KR860000953B1 -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53B1
KR860000953B1 KR1019840005745A KR840005745A KR860000953B1 KR 860000953 B1 KR860000953 B1 KR 860000953B1 KR 1019840005745 A KR1019840005745 A KR 1019840005745A KR 840005745 A KR840005745 A KR 840005745A KR 860000953 B1 KR860000953 B1 KR 86000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le
fixing pin
sliders
engag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691A (ko
Inventor
마사도시 사와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04B9/3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by striping
    • D04B9/3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by striping by wrap strip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hread guide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제1도는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경사공급장치의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경사공급장치의 사시도.
제8도-제12도는 슬라이더캠에 의하여 제어되는 경사 공급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13도는 제11도의 있어서의 13-13사시도.
제14도는 랩 실구멍, 경사 및 편침의 각각 상대적인 움직임을 나타낸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16) : 슬라이더 다이얼
(17) : 슬라이더홈 18(18A,18B) : 경사(經
Figure kpo00001
)공급장치
(20) : 슬라이더캠 22(22A,22B) : 제1슬라이더
23(23A,23B) : 제2슬라이더 24(24B) : 랩실구멍(
Figure kpo00002
口)
(30) : 긴구멍(長孔) 31(31B) : 블록(block)
(32) : 실안내부재 (35)(36) : 실안내구멍
(41) : 경사 (42) : 수평홈
본 발명은 환편기(丸編機)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씨편지(weft knitting fabric)에 경사를 공급하여 웨일(wale)방향의 무늬지(柄地)를 편직하는 경우에 경사를 편침에 공급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종래 기술로는 예를들면 특개소 57-143548호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설된 2개의 각부(脚部)를 지닌 레버와 이 레버와 함께 이동하도록 배설한 실안내부재와로된 랩실구멍을 지닌 환편기를 공개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레버의 회전기구는 제1및 제2돌기를 지니고 있다.
제1돌기는 레버의 제1각부의 이동통로에 위치하여 실이 편침의 후부를 통과하는 비작동위치로 부터 편침의 전방을 통과하는 작동위치까지 실안내부재를 회전시킨다.
제2돌기는 레버의 제2각부의 이동위치에 위치하여 레버를 비작동위치에 도로 보낸다. 2개의 각부를 지닌 레버는 레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기 때문에 각부 회전이 되므로 상당히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다수의 레버를 밀접하게 설치할 수 없다. 그러기 때문에 웨일 방향의 무늬지의 간격을 좁히고 싶은 요망이 있어도 각 레버의 간격을 좁힐수 없기 때문에 무늬지의 간격을 좁힘에 있어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또 2개의 각부를 지닌 레버의 야동궤적은 일정하기 때문에 편직조건이 다른 경우에 레버를 자유로히 제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것으로 특히 웨일방향의 간격을 좁흰 무늬지를 편직할 수 있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은 여러가지로 다른 편직 조건에 맞추어서 랩실구멍을 자유로히 제어 또는 작동시킬수 있는 경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상기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경사공급장치는 실린더 상방에서 그것과 동축선상에 배치되었으며, 또한 실린더와 동기 회전하는 슬라이더 다이얼과 슬라이더 다이얼의 반지름 방향의 동일홈안에 접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제2슬라이더와 이것들의 슬라이더중의 한쪽의 슬라이더(제2슬라이더)외단부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하였으며, 또한 실을 통하기 위한 실안내구멍을 마련한 실안내 부재를 지닌 랩실구멍과 다른쪽의 슬라이더(제1슬라이더)의 작동으로 전기한 랩실구멍을 수평면내에서 호상(弧狀)운동시키기 위한 계합수단과 제1, 제2슬라이더를 하나하나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슬라이더캠와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랩실구멍을 수평면내에서 호상 운동시키기 위한 계합수단은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수 있다.
예를들면 이 계합수단은 제2슬라이더 스템 전단부의 긴구멍을 지나서 관통하도록 랩실구멍의 블록 측면부분에 돌설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이 감합하는 제1슬라이더 전단부에 마련된 요부(凹部)이다. 또, 이 계합수단은 제1슬라이더 전단부 상연의 요부(요부)에 감합하도록 랩실구멍의 블록측면부에 돌설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슬라이더 전단부에 마련된 긴구멍이였어도 좋다. 또, 이 계합수단은 랩실구멍의 부채꼴 블록의 상면에서 그 두께 방향으로 수평홈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을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1슬라이더 전단부 상연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돌기부였어도 좋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편직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이 도면에서 부호(1)은 실린더를 뜻한다. 이 실린더(1)의 외주에는 원형으로 늘어선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침홈(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침홈(2)에는 수직방향으로 활동이 자유로운 편침(3)이 수용되어 있다. 각 편침(3)에는 작동용 버트(butt)(4)가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1)와 대면하는 캠호울더(5)에는 편침(3)을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캠(6)이 마련되어 있다. 캠호울더(5)는 기대(도해없음)내에 수용된 캠링(7)위에 고정되어 있다. 편직시에 편침(3)과 협조 가동하는 싱커(sinker)(8)는 수평방향으로 배설되었으며, 싱커다이얼(9)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접동이 자유롭다. 싱커(8)는 싱커캡(10)은 캡링(12)안에 수용되어 있다. 이 캡링(12)은 캠링(7)위에 4개-6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받침대(13)에 의하여 받쳐지고 있다. 실린더(1)의 하측부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장치되어 있는 구동기어(14)가 있다. 통상기계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될때 이 구동기어(14)는 실린더(1)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실린더(1)의 상방에는 이것과 같은 중심을 장치되고 또한 실린더(1)와 동기 회전하는 슬라이더 다이얼 지지반(盤)(1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다이얼 지지반(15)의 바깥쪽에는 슬라이더 다이얼(16)이 장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다이얼(16)의 저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더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홈(17)에는 본 발명에 관한 수평방향으로 접동이 자유로운 경사공급장치(18)(상세히는 나중에 설명한다)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다이얼(16)의 바로 밑에 설치된 슬라이더 캠 호울더(19)에는 경사공급장치(18)를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슬라이더 캠(20)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 호울더(19)는 기대(機臺)에 고정된 슬라이더 캠 호울더 지지반(21)에 장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경사공급장치(18)이다. 이 경사공급장치(18)는 주로 제1슬라이더(22), 제2슬라이더(23) 및 랩실구멍(24)으로 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22)의 스템은 아래 가장자리에 1개의 작동용 버트(25)를 지니고 있으며, 스템의 전단부위 가장자리에 요부(凹部)(26)를 지니고 있다. 제1슬라이더(22)와 동일 홈안에 수용되어 있는 제2슬라이더(23)는 제1슬라이더(22)와 같은 높이 방향의 폭으로 된 스템을 지니고있다. 이 제2슬라이더(23)의 아래 가장자리에도 1개의 작동용 버트(27)가 마련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22)와 제2슬라이더(23)을 겹쳤을때 각각의 작동용 버트(25),(27)의 위치는 다르다. 제2슬라이더(23)의 스템 전단부에는 긴구멍(30)이 마련됨과 함께 스템의 위 가장자리보다도 높은 위치에 수평부(2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평부(28)의 대략 중앙에는 구멍(29)이 뚫려져 있다. 랩실구멍(24)은 주로 블록(31)와 실안내부재(32)로 되어 있다. 블록(31)에는 그 상면에서 돌출한 축부(33)가 삽입되어 측면에 돌출한 고정핀(34)에 의하여 이 축부(33)가 고정되어 있다. 블록(31)의 전방에는 T자형의 실안내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안내부재(32)의 근원부는 블록(31)에 고착되었으며 자유단에는 실을 안내하는 실안내구멍(35),(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랩실구멍(24)을 제2슬라이더(23) 및 제1슬라이더(22)와 조합하려면 제2슬라이더(23)의 수평부(28)의 하방에서 블록(31)의 축부(33)를 수평부(28)의 구멍(29)에 삽입하여, 수평부(28)위에 돌출한 축부(33)를 스냅링(37)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블록(31)의 측부에서 돌출하고 있는 고정핀(34)은 제2슬라이더(22)의 요부에 감합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 랩실구멍(24)은 제2슬라이더(23)의 수평부(28)의 바로 밑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축방향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지금 제1, 제2슬라이더(22),(23)가 슬라이더캠(20)에 따라 바깥쪽으로 전진시켰을 경우, 가장 전진하게 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제2슬라이더(23)의 전진을 멈추고 그런다음 제1슬라이더(22)를 전진시키면 제1슬라이더(22)가 고정핀(34)을 개재하여 랩실구멍(24)을 화살표 방향으로 호상운동시킨다. 이 랩실구멍(24)에 도입되고 있는 실(41)은 상승하고 있는 편침(3)의 전면을 가로 질러서 휘감게 되고 편침(3)이 하강함에 따라 바늘 코안으로 넣게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경사공급장치(18A)이다. 제1실시예와 다른것은 제2실시예의 제1슬라이더(22A), 제2슬라이더(23A)의 위치가 제1실시예의 그것과 좌우반대로 되어 있는 점뿐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경사 공급장치(18B)이다. 제1슬라이더(22B)는 전단부의 위 가장리에 간격을 두어서 수평방향으로 2개의 돌기부(38),(39)의 중간은 노치부(40)로 되어 있다. 제2슬라이더(23B)의 전단부에는 노치부(30B)가 형성됨과 동시에 스템의 위 가장자리보다도 높은 위치에 수평부(28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평부(28B)의 대략 중앙에는 구멍(29)이 천설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22B)와 제2슬라이더(23B)를 겹쳤을때 제2슬라이더(23B)의 노치부(30B)의 하면은 제1슬라이더 2개의 돌기부(38),(39)의 상면보다 조금 높으므로 양 슬라이더더는 밀착할 수 있다. 랩실구멍(24B)은 주로 부채꼴 블록(31B)와 실안내 부재(32)로 되어 있다. 부채꼴 블록(31B)의 상면에는 축부(33B)가 돌설되어 있으며, 옆부분 부채꼴 외주에는 수평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홈(42)을 관통하여 수직 설치되어 있는 것은 고정핀(34B)이다. 나아가서 부채꼴 블록(31B)의 전방에는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조를 지닌 실안내부재(32)이다. 이 랩실구멍(24B)을 제2슬라이더(23B) 및 제1슬라이더(22B)와 조합하려면 제2슬라이더(23B)의 수평부(28B)의 하방에서 부채꼴 블록(31B)의 축부(33B)를 수평부(28B)의 구멍(29)에 삽입하여, 수평부(28B)상에 돌출한 축부(33B)를 스냅링(37)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제1슬라이더(22B)의 돌출부(38),(39)는 제2슬라이더(23B)의 노치부(30B)를 넘어서 수평홈(42)에 들어가고, 부채꼴 블록(31B)에 수직 설치된 고정핀(34B)를 끼운상태로 지지한다. 이 구성에 따라, 랩실구멍(24B)은 제2슬라이더(23B)의 수평부(28B)의 바로 밑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축방향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더(22B)의 전후 운동에 따라 랩실구멍(24B)은 구멍(29)을 중심으로 호상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경사공급장치(18)를 예로하여 그 작동을 설명하는바 제2, 제3실시예의 경우도 대략 마찬가지 이다.
제8도에서는 제1, 제2슬라이더(22),(23)이 가장 안쪽으로 후퇴하게 된 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에서는 제2슬라이더(23)의 전단부에 축받침되어 있는 랩실구멍(24)의 실안내구멍(35),(36)으로 도입되고 있는 경사(41)는 편침(3)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실린더(1)와 동기 회전하는 슬라이더 다이얼(16)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슬라이더(22)의 작동용버트(25)는 슬라이더 캠(20)의 경사부(20A)에 잇따라서, 또 제2슬라이더(23)의 작동용 버트(27)는 경사부(20B)에 잇따라서 각기 전진운동을 하고 그 결과 제1, 제2슬라이더가 함께 바깥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2슬라이더(23)가 가장 전진하게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9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2슬라이더(23)의 전단부에 축받침되어 있는 랩실구멍(24)의 실안내구멍(35),(36)이 편침(3)의 상부를 통과한다. 그런다음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슬라이더(22)의 전진에 따라 고정핀(34)을 개재하여 랩실구멍(24)의 실안내구멍(35),(36)이 호상운동을 하게된다. 이러한 결과를 랩실구멍(24)의 실안내구멍(35),(36)에 도입되어 있는 경사(41)가 상승된 편침(3)의 전면을 가로질러서 소요개수(도면에서는 2개)의 편침(3)에 휘감겨진다(제13도 참조). 그리고 침은 편침(3)이 하강함에 따라서 편직되며, 웨일방향으로 잇따라서 뻗은 무늬모양이 만들어진다. 나아가서 슬라이더 다이얼(16)의 회전에 따라 제1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 제2슬라이더(22)(23)의 각각이 경사부(20C),(20D)에 의하여 안쪽으로 후퇴하게 되면, 이에 따라 랩실구멍(24)의 실안내구멍(35),(36)이 편침(3)의 뒷면으로 후퇴하게 된다. 다시금 제1, 제2슬라이더의 각각이 후퇴를 계속하면 호상운동을 하게된 랩실구멍(24)의 실안내부재(32)는 제1, 제2슬라이더(22),(23)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제1, 제2슬라이더(22),(23)가 최대로 후퇴하게된 위치에 도달하여, 제1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 제2슬라이더(22),(23)는 다음 공정에 대비하게 된다.
상술한 랩실구멍(24), 경사(41) 및 편침(3)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총합하여 보면 제14도와 같이 된다. 이 도면에서 랩실구멍(24)의 이동상태는 1점 쇄선으로, 랩실구멍에 도입되어 있는 경사(41)의 움직임은 2점쇄선으로 그리고 랩실구멍(24)이 원래 위치에 되돌아가고, 실이 편침(3)의 전면을 가로질러서 소요개수의 편침(3)에 휘어 감은 상태는 실선으로 각기 나타내고 있다. 더우기 슬라이더캠(20)은 편직조건에 맞추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편직 프로그램에 따라서 경사 공급장치를 자유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편침에턱(tuck)위치를 받아들이게 하므로서 봉박기(inlay)조직의 편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사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제1, 제2슬라이더 및 랩실구멍은 어느것이나 가로폭이 좁고, 장치 전체가 가늘고 길게되어 있다. 그때문에 다수의 장치를 설치할 때에도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서 밀접하게 설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결과 특히 웨일방향의 간격이 좁은 무늬지를 얻을수 있다.
또 각 슬라이더를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슬라이더캠홈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상이한 편직조건에 맞추어서 랩실구멍을 자유로히 제어할 수 있다.

Claims (4)

  1. 실린더(1)상방에서, 그것과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실린더(1)와 동기회전하는 슬라이더 다이얼(16)과 슬라이더 다이얼(16)의 반경 방향 동일 홈안에 접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제2슬라이더(22),(23)와 이것들 슬라이더중의 한쪽의 슬라이더(제2슬라이더)외단부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었으며, 또한 실을 통하기 위한 실안내구멍(35),(36)을 마련한 실안내 부재(32)를 지닌 랩실구멍(24)과 다른쪽의 슬라이더(제 1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 랩실구멍(24)을 수평면내에서 호상운동 시키기 위한 계합수단과 2개의 슬라이더를 하나하나에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슬라이더캠(20)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계합수단이 제2슬라이더(23)의 스템전단부의 긴구멍(30)을 통하여 관통하도록 랩실구멍(24)의 블록(31)의 옆부분에 돌설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이 감합하는 제1슬라이더(22)의 전단부에 마련된 요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계합수단이 제1슬라이더(22)전단부의 위 가장자리 요부에 감합하도록 랩실구멍(24)의 블록(31)의 옆부분에 돌설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슬라이더(23)전단부에 마련된 긴구멍(3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계합수단이 랩실구멍(24)의 부채꼴 블록(31)의 상면에 그 두께 방향으로 수평홈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핀과 이 고정핀을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1슬라이더(22) 전단부의 위 가장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돌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KR1019840005745A 1984-05-18 1984-09-20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KR860000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01345 1984-05-18
JP59101345A JPS60246853A (ja) 1984-05-18 1984-05-18 丸編機における経糸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691A KR850008691A (ko) 1985-12-21
KR860000953B1 true KR860000953B1 (ko) 1986-07-23

Family

ID=1429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745A KR860000953B1 (ko) 1984-05-18 1984-09-20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70460A (ko)
JP (1) JPS60246853A (ko)
KR (1) KR860000953B1 (ko)
DE (1) DE3517856A1 (ko)
GB (1) GB2158846B (ko)
IT (1) IT1181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538047A0 (es) * 1984-11-28 1985-09-16 Jumberca Sa Perfeccionamientos en las maquinas circulares de genero de punto.
GB8503844D0 (en) * 1985-02-14 1985-03-20 Camber Int Ltd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7197358A (ja) * 1993-12-28 1995-08-01 Etsuzou Sasaki ジャカードガイド及びジャカードガイド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7988A (en) * 1953-05-12 Knitting machine
US2189275A (en) * 1939-03-07 1940-02-06 Samuel Mishcon Wrap-around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GB762012A (en) * 1951-07-05 1956-11-21 Vincent Lombardi Knitting machines, knitting methods, and knit fabric
US3530688A (en) * 1968-07-22 1970-09-29 Victor J Lombardi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832867A (en) * 1971-05-14 1974-09-03 V Luchi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rticles knitted thereby
JPS5257244Y2 (ko) * 1974-06-10 1977-12-24
US3995455A (en) * 1974-06-24 1976-12-07 Sakurai Limited Needle wra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691A (ko) 1985-12-21
US4570460A (en) 1986-02-18
JPS60246853A (ja) 1985-12-06
GB2158846A (en) 1985-11-20
JPS6331580B2 (ko) 1988-06-24
GB8512132D0 (en) 1985-06-19
IT8548089A1 (it) 1986-11-17
DE3517856C2 (ko) 1987-11-12
GB2158846B (en) 1987-07-15
IT8548089A0 (it) 1985-05-17
IT1181677B (it) 1987-09-30
DE3517856A1 (de) 198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650B1 (ko) 플러시(plush)천을 만드는 원편기
US4510775A (en) Fla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stitch density
KR100193343B1 (ko) 환편기에 있어서의 3위치의 캠장치, 그 선침방법 및 캠타이밍 설정방법 및 그에 사용하는 편침
JPH0210260B2 (ko)
US3405542A (en) Cam apparatus for independent needle knitting machines
US4920767A (en) Annular knitting machine with slide needles
US6799443B2 (en) Flatbed knitting machine
US4934161A (en) Mechanism for adjusting the stitch density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860000953B1 (ko) 환편기에 있어서의 경사공급장치
CS244936B2 (en) Apparatus for selection of needles in circular plate of knitting machines for production of rib knitted fabric
US5931025A (en) Lowering sinker actuation cam se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forming standard-terry knitting and sandwich-terry knitting
GB2182951A (en) Knitting machine
EP0348779A2 (en) Kni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adjusting the stitch density and for offsetting the stitch cam with respect to adjacent knitting cams
KR20010049402A (ko) 파일편물, 턱편물 및 평직편물을 포함하는 편물천과 그제조방법
US3508420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runproof stockings
US3013418A (en) Cam means for knitting machine
GB2156866A (en) Control device of stitch length and yarn guide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564869A (en) Multiple-system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links-and-links patterns
US2743595A (en) Cam means for knitting machines
CN111826795B (zh) 一种制作毛圈线圈的圆型针织机及在圆型针织机中制作毛圈线圈的方法
US3681941A (en) Yarn feeding arrangement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516412A (en) Cambox for a flat knitting machine
EP4211297A1 (en) A shaped sinker for knitting machines, in particular for manufacturing open-work knitted fabrics
EP3770312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yarn positions
US3116620A (en) Apparatus for uniform cam adjustment in multiple-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