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48Y1 - 전원 전압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전압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48Y1
KR860000948Y1 KR2019840004202U KR840004202U KR860000948Y1 KR 860000948 Y1 KR860000948 Y1 KR 860000948Y1 KR 2019840004202 U KR2019840004202 U KR 2019840004202U KR 840004202 U KR840004202 U KR 840004202U KR 860000948 Y1 KR860000948 Y1 KR 86000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plug
voltage
so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486U (ko
Inventor
박병하
Original Assignee
박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하 filed Critical 박병하
Priority to KR2019840004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948Y1/ko
Publication of KR850010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전압 전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 부분의 분리 사시도에 연결된 회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플럭 부분의 횡단면도.
본 고안은 100V 또는 220V를 겸용하는 냉장고나 에어콘등의 전기전자기기에 두 종류의 휴즈가 내장 설치되는 전원 전압 전환 장치의 구성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 전압을 100V나 220V를 겸용하는 전기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전압 전환 장치는 플럭과 플럭짹 및 100V용 휴즈홀더가 조합된 소켓 그리고 별도의 220V용 휴즈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환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220V용 휴즈 홀더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품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사용중에 보수하기에도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체로된 몸체에 100V 및 220V용의 두 개의 휴즈홀더가 고정된 소켓을 형성하여 사용전압에 알맞게 소켓에 플럭만 꼽으면 간단하게 전원 전압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은 소켓이 소형으로 축소되어서 자리 차지가 적어서 전기 기계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또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플럭(1)에 공지의 3개의 플럭핀(2, 2', 2")과 휴즈 고정마개(2)를 설치하되, 플럭핀(2")은 플럭(1)에 매설된 와서형의 도전체(5)와 연결되며 휴즈 고정마개(3)의 도전부(4)는 도전체(5)에 접촉되고, 소켓(6)에 두개의 휴즈홀더(7, 7')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소켓면(8)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된 휴즈 삽입구(9,9')와 플럭핀이 끼워지는 공지의 구멍(10, 10', 10")을 형성하여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1 : 소켓단자, 12 : 소켓 고정용 나사구멍, 13 : 전압표시홈, 14 : 플럭핀 (2, 2')을 연결하는 도전체, 15 : 사용기기에 설치된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16 : 휴즈, 17, 17': 휴즈 홀더 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수전 전압이 100V일 경우에는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플럭(1)을 꼽으면, 플럭발(2, 2', 2")이 구멍(10, 10')에 삽입되며, 휴즈 고정마개(3)는 휴즈(16)와 같이 휴즈 홀더(7')의 휴즈 삽입구(9')에 꼭 맞게되어 제2a,b도와 같이된다. 이 때에는 휴즈 고정마개(3)가 소켓의 휴즈 삽입구(9')에 나사결합 되므로서 휴즈 고정마개(3)에 설치된 도전부(4)는 도전체(5)→플럭핀(2")→구멍(10')에 연결 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과 회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 전압이 220V가 필요한 경우에는 100V의 전압이 가해진 AC 입력의 일측은 단자(17)→단자(17')→휴즈(16)→도전부(4)→와셔형 도전체(5)→플럭핀(2")→구멍(10')→변압기(15)의 중성점순으로 도통되며, 타측은 220V 출력의 일측과 단자(11)→구멍(10)→플럭핀(2')→도전체(14)→플럭핀(2)→구멍(10)→연결된 단자(11)→변압기(15)의 일측단자 순으로 연결되어 진다. 따라서 변압기(15)의 타측 단자는 220V 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AC 출력은 220V로 승압되는 것이다.
이때 전압 표시홈(13)은 휴즈 홀더(7')에 인접하여 소켓면(8)에 표시된 전압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또한 220V의 수전 전압인 경우에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럭(1)을 반대로 하며 소켓(6)에 꼽으면 플럭발(2, 2')이 구멍(10', 10")에 삽입됨과 동시에 플럭발(2")은 구멍(10')에 삽입되고 고정마개(3)는 휴즈(16)과 같이 휴즈 홀더(7)의 휴즈 삽입구(9)에 꼭맞게 된다.
이때에는 220V의 수전 전압이 가해진 AC 입력 단자중 일측은 휴즈 홀더 단자(17)→휴즈(16)→도전부(4)→와셔형도전체(5)→플럭핀(2")→구멍(10')→단자(11)→220V 출력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직접적으로 AC 출력 단자에 연결되므로 수전 전압 220V가 그대로 출력 전압이 되는 것이다. 이때 전압 표시홈(13)은 소켓면(8)에 표시된 전압을 외부에서 보이도록한다. 그리고 이때는 변압기(15) 입력측이 오프되므로 휴지상태로 된다.
제1도의 경우에는 입력 전압이 100V와 220V 일 때에 출력 전압을 220V로 사용할 때를 설명하고 있으나, 만약 출력 전압이 100V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1도에서 입력측을 출력측으로하고, 출력측을 입력 측으로하면 된다. 이때에는 변압기(15)가 강압용으로 작용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크기가 소형화가 되면서도 그 사용 및 설치가 극히 간편해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플럭만 반대로 꼽으면 입력시 전압에 맞출 수 있으므로 기기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플럭(1)에 3개의 플럭핀(2, 2', 2")과 휴즈 고정마개(3)를 설치하되, 플럭핀(2")은 플럭(1)에 매설된 와셔형의 도전체(5)와 연결되며 휴즈 고정마개(3)의 도전부(4)는 도전체(5)에 접촉되고, 소켓(6)에 두개의 휴즈 홀더(7, 7')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소켓면(8)에 나사홈을 형성하여된 휴즈 삽입구(9, 9')와 플럭핀이 끼워지는 구멍(10, 10', 10")을 형성하여된 전원 전압 전환 장치.
KR2019840004202U 1984-05-04 1984-05-04 전원 전압 전환 장치 KR86000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202U KR860000948Y1 (ko) 1984-05-04 1984-05-04 전원 전압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202U KR860000948Y1 (ko) 1984-05-04 1984-05-04 전원 전압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486U KR850010486U (ko) 1985-12-30
KR860000948Y1 true KR860000948Y1 (ko) 1986-05-21

Family

ID=1923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202U KR860000948Y1 (ko) 1984-05-04 1984-05-04 전원 전압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9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486U (ko) 198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19116A1 (en) Switch having a temperature-dependent switching mechanism
US3983407A (en) Voltage-adjusting electrical plug
KR860000948Y1 (ko) 전원 전압 전환 장치
KR950016455A (ko) 저전압 할로겐 광원 내장형 이중 점등 램프와 그의 변압 장치 및 이중 점등 램프와 변압 장치의 2차측 소켓의 장착구조
US4350931A (en) Light saver device
DE3682020D1 (de) Glimmlampeneinsatz fuer elektrische installationsgeraete.
DK0840337T3 (da) Afbrydermekanisme
ATA62597A (de) Adapter, stromschiene und kupplungsvorrichtung
KR900000149Y1 (ko) 100v/220v 전원 전압 전환 장치
US2767329A (en) Combined receptacle and switch
KR900004067A (ko) 100v/220v 겸용 코넥터, 콘센트 및 전압선택 플러그
KR0120020B1 (ko) 소켓 일체형 스타터
RU1801238C (ru) Розетка-регул тор напр жени
US1944719A (en) Electric socket connection
KR810001527Y1 (ko) 100/220 볼트 절환용 스윗치
DE59300116D1 (de) Mehrfachsteckdose.
KR830002102Y1 (ko) 콘플럭
KR860000950Y1 (ko) 안전플러그
KR890007933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KR0138021Y1 (ko) 콘센트
KR950026058A (ko) 안전장치가 내장된 콘센트
KR0122682Y1 (ko) 전압절환장치
KR960011690B1 (ko) 접속플러그
KR0127413Y1 (ko) 110v/220v 겸용 플러그
KR890004254Y1 (ko) 100v/220v 겸용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