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82Y1 -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82Y1
KR860000882Y1 KR2019840005800U KR840005800U KR860000882Y1 KR 860000882 Y1 KR860000882 Y1 KR 860000882Y1 KR 2019840005800 U KR2019840005800 U KR 2019840005800U KR 840005800 U KR840005800 U KR 840005800U KR 860000882 Y1 KR860000882 Y1 KR 860000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vator
relay
ct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478U (ko
Inventor
조용길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5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882Y1/ko
Publication of KR860000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제1도는 엘리베이터 교통수요에 따른 운전형식 검출회로도.
제2도는 건물의 전원계통을 간략히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운전제어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L : 건물의 부하 OL : 부하검출장치
BT, IT : 평상, 한산 운전형식 검출릴레이 R : 건물측 부하 검출릴레이
SW1: 절환스위치
BF1-BF4: 기준층 도착 검출용 릴레이의 접점
RU1-RE4: 운전릴레이의 접점 A-D : 구동전원차단 지령릴레이
SKE1-SKE4: 엘리베이터 기동지령회로
CTT1-CTT4: 모우터 구동용 전자접촉기
본 고안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때 건물의 전력소요가 최대로 되어 엘리베이터의 전력소비량의 경감을 필요로 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교통수요를 판단해가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대수를 삭감할 수 있게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건물의 부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상태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의 부름등록이 3분이상 계속해서 없게 되면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1대씩 정지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1~3개 정도의 부름등록이 발생되는 한산한 운전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모두가 가동되어 전력소비량이 증가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형식에 따라 건물의 전력부하가 최대로 되는 경우 필요한 최소수의 엘리베이터만 운행되어 전력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교통수요에 따른 통상의 운전형식 검출회로도로서, 엘리베이터 교통수요 검출장치(PT)의 검출신호에 따른 비교기(CM)의 동작에 의해 평상 운전형식 검출릴레이(BT), 한산 운전형식 검출릴레이(IT), 출근(상승) 운전형식 검출릴레이(UP), 퇴근(하강)운전형식 검출릴레이(DP) 및 중식운전형식 검출릴레이(LT)중 하나가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도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전원계통을 간략히 나타낸 회로도로서, 건물변전실(SS)의 출력전류가 건물의 부하(RL)에 흐르는 것을 3상 전류 검출용 변류기(RH), (SH), (TH)로 검출하여 부하검출장치(OL)를 동작시키고, 엘리베이터 운전반(DISP)을 통한 건물변전실(SS)의 출력전류는 각 호기의 회로차단기(FFB1-FFB4) 및 모우터 구동용 전자 접촉기(CTT1-CTT4)의 접점(CTT11-CTT41)을 각각 통해 각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1-EL4)를 구동시키게 구성한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 운전제어장치의 회로도로서, 상기의 부하검출장치(OL)의 접점(OL1)은 평상운전형식 검출릴레이(BT)의 접점(BT1) 및 한산운전형식 검출릴레이(IT)의 접점(IT1)을 통해 건물측 부하검출릴레이(R)에 접속하고, 건물측 부하검출릴레이(R)의 접점(R1)은 절환스위치(SW1)의 가동접점(CO)에 접속하여 그의 고정접점(C1-C4)을 직렬 접속된 기준층도착 검출용릴레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의 접점(BF1-BF4)및 운전릴에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의 접점(RU1-RU4)을 각각 통해 구동전원차단 지령릴레이(A-D)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기동지령회로(SKE1-SKE4)는 구동전원차단 지령릴레이(A-D)의 접점(A1-D1)을 각각 통해 모우터 구동용 전자접촉기(CTT1-CTT4)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기준층도착 검출용릴레이는 엘리베이터가 기준층에 도착했을 때 동작되는 릴레이이고, 운전릴레이는 엘리베이터가 상승 또는 하강 운전될 때에 동작되는 릴레이이며, 도면의 접점 중 a접접( )은 릴레이가 동작할 때 접속되고 동작하지 않을 때 개방되는 접점이고, b접점( )은 릴레이가 동작할 때 개방되고 동작하지 않을 때 접속되는 접점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엘리베이터가 4대일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엘리베이터가 다수대 증가되어도 제3도에 나타낸 방식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교통수요 검출장치(PT)의 검출에 따른 비교기(CM)의 동작에 의해 평상운전형식 검출릴레이(BT) 또는 한산운전형식 검출릴레이(IT)가 동작되면 그의 접점(BT1) 또는 (IT1)이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의 부하(RL)에 인가되는 전력이 증가되어 어느 일정치 이상이 되면, 이를 3상전류 검출용변류기(RH), (SH), (TH)로 검출하여 부하 검출장치(OL)를 동작시키므로 그의 접점(OL1)은 접속된다.
따라서, 전원(B+)은 부하검출장치(OL)의 접점(OL1) 및 평상운전형식 검출릴레이(BT)의 접점(BT1) 또는 한산운전형식 검출릴레이(IT)의 접점(IT1)을 통해 건물측 부하검출릴레이(R)에 인가되므로, 건물측 부하검출릴레이(R)가 동작되어 그의 접점(R1)이 접속된다. 이에따라 전원(B+)은 건물측 부하검출릴레이(R)의 접점(R1)을 통해 절환스위치(SW1)의 가동접점(CO)에 인가되고, 이때 절환스위치(SW1)의 가동접점 (CO)이 그의 고정접점(C1)에 절환되었다고 가정하면, 가동접점(CO)에 인가된 전원(B+)은 고정접점(C1)에 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1호기 엘리베이터가 운전되어 기준층에 도착하면 기준층도착 검출용릴레이가 동작되므로 그의 접점(BF1)이 접속되고, 또한 엘리베이터가 기준층에 도착하여 완전히 정지하면 운전릴레이가 구동을 중지하여 그의 b접점인 접점(RU1)이 접속되므로 상기 고정접점(C1)에 인가된 전원(B+)은 기준층도착 검출용릴레이의 접점(BF1) 및 운전릴레이의 접점(RU1)을 통해 구동전원 차단지령릴레이(A)에 인가되어 그를 구동시킨다. 이에따라 그 구동전원 차단지령릴레이(A)의 접점(A1)이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기동지령회로(SKE1)의 출력전압이 모우터 구동용전자접촉기(CTT1)에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모우터 구동용 전자접촉기(CTT1)가 동작을 중지하여 그의 접점(CTT11)이 개방되고, 이 접점(CTT11)의 개방에 의해 1호기 엘리베이터제어장치(EL1)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그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절환스위치(SW1)의 가동접점(CO)을 고정접점(C2), (C3), (C4)에 절환시킨 경우에도 상기에서와 같이 그에 해당되는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2), (EL3), (EL4)만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한산 또는 평상운전형식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할 대수에 맞게 절환스위치(SW1)의 고정접점(C1-C4)을 공통접속한 후 그의 가동접점(CO)을 고정접점(C1-C4)에 절환하면 그에 해당되는 각 호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1-EL4)는 상기와 같이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의 부하(RL)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이 부하검출장치(OL)의 설정치 이하가 되면 부하 검출장치(OL)의 접점(OL1)이 개방되므로,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1-EL4)는 모두 동작되어 정상 운행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평상 및 한산운전형식에서 건물의 전력부하가 부하검출장치에 설정된 일정 이상이 되면 절환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운행을 중지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소비전력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기동지령회로(SKE1-SKE4)로 모우터 구동용 전자접촉기(CTT1-CTT4)를 각각 구동시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L1-EL4)를 구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건물의 부하(RL)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를때 접속되는 통상의 부하 검출장치(OL)의 접점(OL1)을 평상, 한산 운전형식 검출릴레이(BT), (IT)의 접점 (BT1), (IT1)을 통해 건물측 부하검출 릴레이(R)에 접속하여 그의 접점(R1)을 절환스위치의(SW1)의 가동점(CO)에 접속하고, 그의 고정접점(C1-C4)은 직렬접속된 기준층도착 검출용릴레이의 접점(BF1-BF4) 및 운전릴레이의 접점(RU1-RU4)을 각각 통해 구동전원차단지령릴레이(A-D)에 접속한 후 그의 접점(A1-D1)을 상기 엘리베이터 기동지령회로(SKE1-SKE4)와 모우터 구동용전자접촉기(CTT1-CTT4)사이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KR2019840005800U 1984-06-20 1984-06-20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KR860000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800U KR860000882Y1 (ko) 1984-06-20 1984-06-20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800U KR860000882Y1 (ko) 1984-06-20 1984-06-20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78U KR860000478U (ko) 1986-02-13
KR860000882Y1 true KR860000882Y1 (ko) 1986-05-14

Family

ID=1923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800U KR860000882Y1 (ko) 1984-06-20 1984-06-20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8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78U (ko) 198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48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review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of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EP0418919B1 (en) Multicircui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860000882Y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
GB2333407B (en) Motor drive system and power window system
US20040156152A1 (en) Device for Error Detection and Locking of Power Breakers
BG103581A (en) Electric motor drive
JPH0723287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装置
SU602459A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елени лифтом
SU15941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одвижным объектом
JPS5914379A (ja) 電動機の総括運転制御装置
JPH0727839Y2 (ja) モータ駆動制御回路
SU12635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бора на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 объекта
KR900006481Y1 (ko) 전동기 스위칭 장치
US2199563A (en) Circuit control panel
SU1365315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H09247991A (ja) 舞台機構の制御装置
SU10532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ухдвигатель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KR910008255B1 (ko) 엘리베이터 도착예보 기능 조작방법 및 장치
RU20802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гаражным подъемником
SU11462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бора на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 объекта
SU9859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SU10325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ухдвигатель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JP2000305628A (ja) 2位置制御装置
JPH0646023Y2 (ja) 電動開閉機器の制御装置
JP2001218498A (ja) 電動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