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63B1 -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63B1
KR860000863B1 KR1019840003398A KR840003398A KR860000863B1 KR 860000863 B1 KR860000863 B1 KR 860000863B1 KR 1019840003398 A KR1019840003398 A KR 1019840003398A KR 840003398 A KR840003398 A KR 840003398A KR 860000863 B1 KR860000863 B1 KR 86000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pulse
driv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088A (ko
Inventor
시로오 이찌노세
Original Assignee
도오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로오 이찌노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로오 이찌노세 filed Critical 도오신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31Machines for printing webs
    • B41F15/084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 B41F15/08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with a stationary screen and a moving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측면 배치도이며,
제2도는 구동 제어계의 블럭 다이아 그램이며,
제3도는 무단 벨트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로울러 (2) : 무단벨트
(5) : 직류전동기 (9) : 데이타설정기구
(11) : 위치검출기 (19) : 편차카운터
(20 )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21) : 서오브 증폭기
본 발명은 자동 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무단 벨트의 간헐 구동로울러의 디지탈 제어기구와 정지시에 있어서의 이 구동 로울러의 전기적 록크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단벨트의 두께의 불균일성이나, 신축에 의한 위치 결정 불량을 해소한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에 관한다.
종래 자동스크린 날염기에 있어서의 무단벨트의 간헐적 구동은 한 쌍의 로울러에 의해서 지지되는 무단 벨트에 따라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수평 왕복동 하는 벨트 크램프장치를 설치하고, 이 벨트 크램프 장치를 스톱퍼 사이에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일반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벨트 지지기구 이외에 많은 벨트 구동장치계가 필요하며, 장치의 대형화 복잡화란 점에서 아직 불만족한 것이며, 또 그림무늬에 대응하는 반복(리피이트) 길이의 설정 및 조절도 비교적 노력과 시간과를 필요로한다는 문제가 있다.
무단벨트의 간헐적 구동을 펄스 제어로 행하는 것도 이미 알려져 있어 예컨데 일본국 특공소 55-24427호 공보에는 반복 길이를 펄스수로서 설정하고, 실제의 무단벨트의 이송을 펄스수로서 검출하고, 이 설정 펄스수에서 검출펄스수를 감수연산하여서 설정펄스수로 벨트를 정지시키도록 무단벨트 지지로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 간헐적 구동장치는 반복길이의 설정이 용이하며, 또한 벨트의 이송 정밀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달성되나, 실제의 위치결정 정밀도에 있어서는 아직 충분히 만복할 수 없는 것임이 발견되었다. 즉, 날염기에 사용되는 무단벨트는 강체가 아니고, 일반으로 보강 고무로 되어 있어, 어느 정도의 신축경향이 있음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구동개시시에 생기는 벨트의 신장 및 정지시에 생기는 벨트의 수축에 의해서 위치결정 정도에 나쁜 영향이 미쳐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염용 무단벨트의 신축경향에 불구하고, 정밀도가 높은 위치결정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디지탈 제어방식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단 벨트의 디지탈 제어 이송기구와 동시에 벨트를 정지 위치에서 록크하는 전기적 록크기구를 구비한 무단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트 자동 스크린 날염기의 무단벨트를 로울러로 간헐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구동장치는 벨트의 이송길이를 펄스수소서 설정하고, 또한 벨트의 이송속도 및 가감속을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기구와 로울러에 연결되고, 벨트의 이송길이를 펄스수로서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상기 데이터 설정기구 및 위치 검출기와에 접속되어, 설정 펄스수에서 이송 펄스를 감수 연산하고, 그 차가 제로로 되었을 때 벨트의 이송을 정지시키기 위해 편차 카운터와 이 편차 카운터로 부터의 신호를 직류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와, 이 변환기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로울러 구동용 진류 전동기를 제어하는 서어보 증폭기로 되며, 이 편차카운터는 위치검출기로 부터의 펄스신호의 방향성을 판별하는 방향판별 기능을 구비하고, 위치검출기, 편차카운터,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및 로울러 구동용 직류전동기로 벨트 정지시에 있어서의 로울러의 전기적 록크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표시하는 구체예에 의것하여서 상세히 설명한다.
날염기 전체의 배치를 표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 틀체의 양단부 즉 날염 작업지역 P의 양측에는 구동로울러(1) 및 피동로울러(2)가 설치되고, 이들 구동로울러(1) 및 피동로울러(2)의 사이에 무단벨트(3)가 둘러싸여져 있다.
피날염재료는 무단벨트(3)의 피동풀리(2)의 쪽에 첨부되고, 구동 로울러(1)에 의해 필요에 의해 감속기(4)를 거쳐 연결된 직류전동기(5)의 간헐구동에 의해 나염 작업지역 P에 간헐적으로 1반복(리피이트) 길이씩 보내진다.
날염작업지역 P에는 무단벨트(3)의 상방에 1개 혹은 복수개의 스크린체(6)가 위치하고 있어, 이 스크린체(6)를 무단벨트(3)에 대하여서 상대적으로 승강 운동을 시키기 위한 승강프레임(7)과 이 승강 프레임(7)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체(6)은 무단 벨트(3)의 이송 조작시에는 상대적으로 상승 위치에 있어, 무단벨트(3)의 정지시에는 구동기구(8)에 의해 하강하여서 스크린과 피날염 재료가 접촉한다.
이 같이 하여서 스크린상의 날염풀은 그 자체 공지의 스퀴즈작용에 의해 피날염 재료상에 날염되고, 이 스퀴즈 작용의 종료에 의해, 스크린체(6)는 구동 기구(8)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승 구동되어서, 전술한 상승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대적 위치관계에 있어서, 무단벨트(3)은 구동로울러(1)에 의해 1반복 길이만 보내지고, 상술한 조작이 반복된다.
무단벨트(3)의 간헐적 구동은, 제1도에 표시하는 데이터 설정기구(9) 디지탈 DC 서어보기구(10) 및 위치검출기(11)에 의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이와 같이 직류전동기(5)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행해지나 본 발명의 간헐적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위치검출기(11), 디지탈 DC 서어보기구(10) 및 직류전동기(5)의 사이에 구동로울러(1)의 전기적 록크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현저한 특징이다.
이 데이터 설정기구(9) 및 디지탈 DC 서어보기구(10)의 세부를 도시하는 제2도에 있어서, 이 데이터 설정기구(9)는 벨트(3)의 이송길이를 펄스수로서 설정하고 또한, 벨트의 이송속도 및 가감속을 설정하는 것이며, 대충 잡아서, 반복길이 설정스위치(12), 데이터설정 카운터(13), 가감속기(14) 및 벨트속도 설정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 스위치(12)에 의해 반복 길이(L)는 전기적인 펄스 신호로 변환되어서 펄스수로서 설정스위치(16)에 의해 벨트(3)의 각 부분의 두께의 불균형 등에 대응하여서 보정 데이터(
Figure kpo00001
)가 역시 펄스서로서 설정된다.
스타아트 신호가 투입되면, 가감산기(17)로
Figure kpo00002
이 계산되고, 그것과 동시에
Figure kpo00003
의 데이터가 데이터 설정 카운터(13)에 셋트된다, 벨트 속도 설정기(15)는 사전에 벨트의 이송속도(μ°)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며, 전술한 데이터의 설정 완료에 의해 이 벨트속도 설정기(15)로 부터의 속도지령 펄스는 가감속기(14)에 보내진다. 가감속기(14)는 벨트 속도 설정기(15)로 부터의 속도 지령 펄스를 기계측부하 조건에 합치시킨 가감속도(가속도=감속도)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가감속기(14)에서 출력된 펄스 신호는 데이터 설정카운터(13)의 내용을 감산하면서, 디지탈 DC 서어보기구(10)에의 지령펄스 신호로 되어서 배선(18)을 거쳐서 서어보 기구(10)에 보내진다. 또한 데이터 설정카운터(13)의 내용이 제로로 되면 가감속기(14)는 동작을 정지하고, 지령펄스의 송출이 완료한다.
이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3도는 무단 벨트의 이송속도(v)와 시간(t)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며, 무단벨트(3)는 가속구동된 후, 정속구동되고, 이어서 감속 구동되어서 정지한다. 벨트 속도 설정기(15)는 이 정속속도(v°)를 설정하는 것이며, 한편 가감속기(14)는 가감속도(α12)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벨트의 이솔길이(L)는 가속구동시간을
Figure kpo00004
, 등속구동시간을 t0, 감속구동시간을
Figure kpo00005
로 하면,
Figure kpo00006
로 표시된다.
이 속도 패턴은 단위 시간당의 이송 펄스량을 제3도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디지탈 DC 서어보기구(10)는 편차카운터(19), 디지탈 아나로그(D/A) 변환기(20) 및 서어보증폭기(21)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설정기구(9)에서 배선(18)을 통하여서 편차카운터(19)에 공급된 펄스량은 D/A 변환기(20)에 의해 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되어서 속도지령 신호로 되고, 서오보증폭기(21)를 거쳐 직류전동기(5)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직류전동기(5)의 구동축에는 이 전동기의 실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타아코 제너레이터(22)가 연결되고, 이 타아코 제너레이터(22)로 부터의 검출신호는 결선(23)을 거쳐서 서어보 증폭기(21)에 피이드백 된다.
구동로울러(1)가 구동되면, 이 로울러 혹은 로울러의 구동축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 검출기(펄스 제너레이터)(11)가 로울러(1) 따라서 벨트(3)의 변위에 대응하여서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 펄스신호는 결선(24)를 거쳐서 편차 카운타(19)에로 피이드백 되어 편차카운터(19)의 내용을 감산한다. 위치검출기(11)로 부터의 펄스수가 데이터 설치카운터(13)를 경유하여서 공급된 지령펄스수와 동등하게되면 편차카운터(11)로 부터의 펄스수가 데이터 설치카운터(13)를 경유하여서 공급된 지령펄스수와 동등하게되면 편차카운터(19)의 내용은 제로로 되고 직류전동기(5), 따라서 구동로울러(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와 동시에 양펄스수의 편차제로의 신호가 결선(25)을 거쳐서 데이터 설정 카운터(13)에 보내지고, 이 카운터에서 결선(26)을 거쳐서 위치 결정완료신호(R)가 송출된다.
이 위치결정 완료신호(R)의 의거하여서 예컨데 날염 프레임(7)의 강하 및 그에 이어지는 스퀴즈 작용등이 제1도에 관하여서 설명한 순서로 행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로울러(1)에 연결한 위치검출기(펄스제너레이터)(11)에서 편차카운터(19), D/A 변환기(20) 및 서어보 증폭기(21)를 거쳐서 구동로울러(1)에 연결한 직류 전동기(5)에 이르는 전기회로가 위치결정 종료후로 형성되고 그리고 이 편차카운터(19)에는 구동로울러(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가 즉, 벨트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방향판별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전동기(4)의 정지상태 즉 위치 결정완료 상태에서는 편차카운터(19)의 내용은 제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벨트의 수축 혹은 기터의 외력에 의해 구동 로울러(1)가 회전된 경우에는 구동로울러(1)에 연결되어 있는 펄스제너레이터(11)로 부터의 펄스신호가 편차카운터(19)에 공급된다. 이 펄스는 D/A변환기(20)를 거쳐 전동기 구동지령 신호로 되나, 전술한 방향 판별 기능에 의해 로울러(1)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구동지령 신호로 되어, 전동기(4)를 구동시켜 로울러(1)의 회전량을 원상태로 되돌리는 힘을 발생시킨다.
날염용 무단벨트는 보강 고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가 정지할 때에 수축하는 경향이 피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기(5)의 정지상태에서도 전기적인 브레이크력(서어보록크)을 발생시켜서 벨트의 수축을 방지하여서, 정밀도가 좋은 위치결정 조작이 가능으로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플랫트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무단 벨트를 로울러로 간헐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구동장치는 벨트의 이송길이를 펄스수로서 설정하고, 또한 벨트의 이송속도 및 가감속을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기구와 로울러에 연결되고, 벨트의 이송길이를 펄스수로서 검출하는 위치검출기와 상기 데이터 설정기구 및 위치 검출기와 접속되고 설정 펄스수에서 이송펄스를 감수 연산하고 그 차가 제로로 되었을 때 벨트의 이송을 정지시키기 위한 편차카운터와, 이 편차 카운터로부터의 펄스신호를 직류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와, 이 변환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로울러 구동용 직류전동기를 제어하는 서어보 증폭기로서 되며, 이 편차 카운터는 위치검출기로 부터의 펄스 신호의 방향성을 판별하는 방향판별 기능을 구비하고, 위치검출기, 편차카운터,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및 로울러 구동용 직류전동기로 벨트 정지시의 로울러의 전기적 록크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KR1019840003398A 1983-07-19 1984-06-16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KR860000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30231A JPS6023045A (ja) 1983-07-19 1983-07-19 自動スクリ−ン捺染機のベルトの間欠的駆動装置
JP???58-130231 1983-07-19
JP58-130231 1983-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088A KR850001088A (ko) 1985-03-14
KR860000863B1 true KR860000863B1 (ko) 1986-07-11

Family

ID=1502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398A KR860000863B1 (ko) 1983-07-19 1984-06-16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3045A (ko)
KR (1) KR86000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065A (zh) * 2012-11-20 2014-06-04 吴江市利群纺织有限公司 圆网印花机的一种导带纠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088A (ko) 1985-03-14
JPS6023045A (ja) 198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7387A (ja) パイルリフター
US48980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inuous paper printing machines connected to each other
KR870004431A (ko) 테이프 이송방법 및 장치
EP0747214A3 (d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Mehrmotorenantriebs einer Druckmaschine sowie entsprechende Steuerung
KR860000863B1 (ko) 자동스크린 날염기의 벨트의 간헐적 구동장치
GB2059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of feeding of endless belt in automatic screen printing
US6805426B2 (en) Mo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801588B2 (ja) 枚葉紙を処理する印刷機のパイル行程駆動装置のための制御装置
US4419613A (en)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driving endless belt in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KR920009900B1 (ko) 두대의 모터에 의한 직물날염기의 엔드레스벨트 구동장치
CN1019289B (zh) 电梯控制装置
KR860000862B1 (ko) 자동 스크린 날염기
EP0084202B1 (en)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driving endless belt in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JPS6031728B2 (ja) 自動スクリ−ン捺染機におけるエンドレスベルトの間欠的駆動装置
JP2587096B2 (ja) エンドレスベルトの間欠的駆動装置
US3433326A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940001251Y1 (ko) 스크린 날염기의 구동오차 제어장치
JP3800904B2 (ja) 移動体の速度制御方法
JPS63143110A (ja) 複数コンベヤの停止位置制御方法
JP3596632B2 (ja) 木材加工機
JPH0222098Y2 (ko)
JPS6350046Y2 (ko)
JPH05245556A (ja) 搬送制御装置
KR910009503Y1 (ko) 소재 연속공급장치
GB126377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cument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