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59B1 -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59B1
KR860000859B1 KR1019840001938A KR840001938A KR860000859B1 KR 860000859 B1 KR860000859 B1 KR 860000859B1 KR 1019840001938 A KR1019840001938 A KR 1019840001938A KR 840001938 A KR840001938 A KR 840001938A KR 860000859 B1 KR860000859 B1 KR 86000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oe outsole
lower layer
release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373A (ko
Inventor
박우양
Original Assignee
박우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양 filed Critical 박우양
Priority to KR10198400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859B1/ko
Publication of KR85000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형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금형의 분해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여 하층부 성형 상태를 보인 금형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여 상층부 성형 상태를 보인 금형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 외창의 일부 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금형 2 : 중간 금형
3 : 상부 금형 1 ' : 요입부
4 : 보조금형 2' : 통공부
4' : 조립부 7 : 클립장치
본 발명은 스포츠화 및 일반 캐주얼화용 신발의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신발외창을 폴리우레탄 폼으로 성형할 때 비중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른 폴리우레탄폼이 접합체로서 적층 형성되게 신발 외창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신발은 주로 고무외창을 사용했기 때문에 특히 외창의 연부 및 발꿈치의 외축부가 마모가 심했을 뿐만아니라 고무 외창은 여러가지 이유에서 보행공학상 발의 피로도가 빨랐던 것이 사실이다.
이와 반면에 고탄성 폴리우레탄폼은 복원성이 우수하어 체중에 몇배에 해당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서 접지시 무릎과 발목을 보호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할뿐아니라 고무보다 비중이 약 두배정도 낮아 신발무게가 상당히 가벼워 발의 피로도를 경감해주고 경제적이므로 최근에 폴리우레탄폼제 신발 외창이 개발되게 되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폼 외창은 전술의 이점이 있는 반면에 가장 큰 단점인 잘미끄러지는 성질이 있어, 이의 보완책으로 가벼운 장점을 살리면서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외창 즉, 맨 밑바닥부분은 고무성질에 가까운 비중이 높은 폴리우레탄폼으로, 윗부분은 본연의 비중이 낮은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하층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소위 투 칼라(TWO COPOR)외 창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종래 알려진 이층(異層) 폴리우레탄 폼 접합체에 의한 신발 외창 제조방법은 미리 이형제를 도포한 금형을 예열하고 예열된 금형내에 먼저 외창의 밑바닥 부분에 해당하는 하층부 성형용 폴리우레탄폼 원액을 주입 발포하여 성형시키고 중간 금형을 탈형한 후 상면에 묻어있는 이형제를 완전 제거시킴과 함께 그부분이 상층부와 접착이 잘되도록 상면부 전체에 접착제 도포등의 선처리를 하고, 그 상면에 다시 2단계로 외창의 윗부분에 해당하는 상층부 성형용 폴리우레탄폼 원액을 주입 발포시켜서 신발 외창의 상하 양층부가 접합상태로 일체로 성형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의 종래 방법은 하층부 성형시 상층부와 접합 성형될 하층부의 상면에 이형제가 묻어 있게되어 이의 제거처리와 그 이후의 접착선처리 과정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불가능할뿐아니라 무엇보다도 이형제의 완전 제거 및 완전한 선처리 작업을 기대할 수 없어서 상하층부의 접착이 불완전하게되어 접착 불량품 발생율이 높고, 이러한 접착불량은 파괴 검사로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량 선별이 불가능한채로 제품화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은 신발외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에 매우 적합한 신발 외창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전술의 종래 문제점에 착안하여 연구하던중 무엇보다도 먼저 종래 방법에서 가장 문제가되는 이형제 제거 및 선처리공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점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첫째, 고분자 과학 일반에서 내용제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용융접착 방법이외에는 접착이 불가능하다알려져 있고 분자 구조학상 안정하다고 인정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피렌등의 몇 가지 합성수지중에서 폴리에틸렌이 이형제 처리없이도 폴리우레탄폼으로 부터 쉽게 이형되는 것을 알아냈고, 둘째, 폴리우레탄의 화학적 결합특성, 즉, 이소시아네이트가 물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탄산가스가 마이크로셀을 거의 형성시켰을상태(리스타임(Riss Time)이라함)인 1분-5분정도 이내에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실기가 존재하므로 접착제에 의한 선처리없이도 폴리우레 탄서로는 쉽게 화학적 결합(우레탄 결합)에 의해 완전한 접착이 되는 것도 알아내게 되었으며, 상기 두가지의 알안낸점을 토대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중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른 폴리우레탄폼으로 상하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되는 이층 접합체의 신발 외창을 발포 성형할 때 상하층 접하면사이에 폴리에틸렌 필름등으로 되는 이형판을 개재시켜서 하층부를 성형한 후 1분-5분정도 이내에 이형판을 분리 제거함과 함께 하층부의 접합면에 접착제의 처리없이 직접 상층부 성형용 폴리우렌탄폼 원액을 주입 발포하므로서 상하양층부의 접합이 확실하고생산성이 향상되게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게 한 것인바,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의 시시도로서, 금형은 요부(1')를 갖는 하부금형(1)과 통공부(2')를 갖는 중간금형(2)및 돌출부(3')를 갖는 상부금형(3)으로 구성되는 바, 중간금형(2)의 통공부(2') 내측 주면에는 금형 조립부(4')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중간금형(2)의 조립부(4')내에 보조금형(4)을 착탈 조립하게 하였고, 상, 중, 하 3개의 금형(1)(2)(3)은 경첩(5)(5')으로 연결 유착하고 손잡이(6)(6')를 각각 설치하여 상호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였으며, 하부금형(1)일측에 레버(7')를 갖는 클립장치(7)를 설치하여 폴리우레탄폼 발포성형시 금형(1)(2)(3)들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금형(1)(2)(3)에 형성된 요입부(1')와 통공부(2') 및 돌출부(3')는 신발 외창의 외주 형태에 맞도록 형성되는 바, 특히 요입부(1')는 신발 외창의 하층부 연부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보조금형(4)은 외창의 상층부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금형장치에 의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1)(2)(3)의 요입부(1')와 통공부(2') 및 돌출부(3') 외주면에 미리 이형제 처리를 하고 40℃예열된 하부금형(1)의 요입부(1') 내에 신발 외창의 하층부에 상당하는 폴리우레탄폼원액을 주입한다. 다음에 미리 조립부(4') 내에 보조금형(4)을 삽입시킨 중간금형(2)과 원액을 주입한 하부금형(1) 사이에 두께 0.01-1mm 정도의 이형판(8)을 끼우고 동시에 중간금형(2)과 상부금형(3)을 닫아 클립장치(7)로 금형(1)(2)(3)들을 고정한후 발포시킨다.
이때 하부금형(1)과 중간금형(2) 사이에 개재시키는 이형판(8)을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또는 금속판에 테프론 코오팅을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바, 이 이형판(8)의 재질은 전술한 바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발포압에 견딜 수 있고, 또 폴리우레탄과 접척이 되지 않아 이형성이 좋은 것이라면 어느 재질의 것도 사용히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포가 진행되어 리스타임(Riss Time)인 1분-5분 정도 경과후 금형(2)(3)을 열어 이형판(8)을 제거함과 동시 중간금형(2)에 끼워져 있던 보조금형(4)을 빼어내고, 다시 중간금형(2)을 하부금형(1)에 밀착 고정시킨후 금형(1)내에 남아 있는 하층부 상면을 하등의 이형제 제거처리나 접착 선처리할 필요가 없이 곧바로 그하층부 상면에 신발 외창의 상층부에 상당하는 소정량의 폴리우레탄폼 원액을 주입하고, 상부금형(3)을 닫아 6-7분 발포 성형시킨다. 이와 같이 하층부의 경화반응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상층부를 함께 발포 성형하면 앞에서 설명한바의 폴리우레탄의 화할적 결합특성에 의하여 선처리 없이도 양층간이 서로 쉽게화학적인 결합을하므로 상하층이 완전한 일체로 접합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발포 성형된 것을 탈형하여 약 4시간 정도 상온방치, 완전 경화시킨 후 후처리를하면 제5도에 도시된바의 비중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른 하층부(10)와 상층부(11)가 일체화 접합된 폴리우레탄폼 신발 외창(9)의 완성품을 얻게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외창의 하층부 성형시 상층부 와의 접합 될 면에 폴리에틸렌 필름등으로 되는 이형판을 개재시켜 발포 성형한 후 이 이형판을 한꺼번에 쉽게 떼어낼수 있기 때문에 종래방법에서와 같이 이형제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제검됨은 물론 이형판 탈형후 하등의 접착 선처리 공정이 없이 즉시 상층부 성형이 가능하므로 이형제 제거나 이후선처리 공정에 수반되는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 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면 이형판 사용으로인해 상층부와 접합될 하층부상면에 이형제가 전연 묻어있지 않게 되고 또한 접착제등으로 선처리할 필요가 전연 없으므로 선처리 경우에서와 같은 선처리 누락부분이 생길 염려도 전연 없는데다가 특히, 상하층간의 접합이 직접 화학적인 우레탄 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되므로 접합 불량품이 발생될 요임이 전무하게 된다. 또한편 본 발명 금형장치에 의하면 하부금형의 요입부의 깊이가 하부금형과 중간금형에 의하여 2단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금형과 중간금형 각개에서 볼 때 성형물과의 접촉면을 서로 나누어 가지고 있으므로, 성형물과 접촉면에 상대적으로 적게되어 탈형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도 나타나게 된다.

Claims (4)

  1. 예열된 금형내에 폴리우레탄으로 된 하층부를 주입 발포하고 하층부와 물성 또는 색상이 다른 상층부를 주입 발포함과 동시에 발포되는 상하 양측부를 접합되게 하여 신발 외창을 성형함에 있어서, 하층부 성형시 성형될 하층부 상면과 그 위에 위치하는 금형 사이에 폴리우레탄과 접착되지 않는 이형이 용이한 물질로 된 이형판을 개재시켜서 하층부를 발포 성형하고 리스타임인 1분-5분 정도 이내에 이형판을 제거함과 함께 하층부의 상면에 이형제의 제거나 선처리 없이 직접 상층부를 주입 발포하여 상하양층부가 화학적인 우레탄 결합에 의해 일체로 접합 성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이형판으로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이형판으로 금속판체에 테프론코오팅을 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외창 제조방법.
  4. 요입부(1')를 갖는 하부금형(1)과 통공부(2')를 갖는 중간 금형(2) 및 돌출부(3')를 갖는 상부금형(3)을 경첩(5)(5')으로 연결 유착하여 상호 개폐되게하고, 하부금형(1) 일측에 클립장치(7)를 설치하여 금형(1)(2)(3)들을 고정시키게한 것에 있어서, 중간금형(2)에 신발 외창의 상층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된 보조금형(4)을 통공부(2') 내측 주면에 형성된 조립부(4')에 착탈되도록 구비하고 하부금형(1)과 중간금형(2) 사이에 이형판(8)을 개재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외창의 제조장치.
KR1019840001938A 1984-04-12 1984-04-12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86000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938A KR860000859B1 (ko) 1984-04-12 1984-04-12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938A KR860000859B1 (ko) 1984-04-12 1984-04-12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373A KR850007373A (ko) 1985-12-04
KR860000859B1 true KR860000859B1 (ko) 1986-07-11

Family

ID=1923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938A KR860000859B1 (ko) 1984-04-12 1984-04-12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48B1 (ko) * 2011-04-01 2013-02-07 (주)나노통상 이중 미드솔을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27A (ko) * 2000-07-20 2000-11-06 박차철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48B1 (ko) * 2011-04-01 2013-02-07 (주)나노통상 이중 미드솔을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373A (ko) 198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942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ki
US5785909A (en) Method of making footwear with a pourable foam
US4694589A (en) Elastomeric shoe innersole
US776712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erforated and/or two-color components, particularly for shoes in general
US6007748A (en) Production of molded laminated articles, particularly soles for footwear
US6749781B1 (en) Method of making a shoe sole having a thermoplastic layer
ES8206278A1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piezas perfiladas rigi- das
EP1809463B1 (en) Article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of composite material and thermoplastic or elastomer material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said article
US3805419A (en) Safety footwear and manufacture thereof
US3501564A (en) Method for bonding polyurethane to other materials
KR860000859B1 (ko) 신발 외창의 제조방법 및 장치
EP0105917A1 (en) Outsole
GB2076725A (en) Method of making laminated sole
EP0018087B1 (en) Method of making a last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last made by this method
US3837026A (en) Safety footwear and manufacture thereof
JPH04122302A (ja)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KR20000063527A (ko)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EP001871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ulds for the soles of footwear and a mould produced by this method
JPS59229324A (ja) 表皮体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JP2589650B2 (ja) 発泡ポリウレタン靴底の成形法
KR20000059180A (ko)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JP2799592B2 (ja) 複合成形体の成形方法
KR20030089257A (ko) 주형을 이용한 주형용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와 신발용소재의 일체화 성형방법
US3296350A (en) Method of making a shoe heel
JPS59137002A (ja) ジユ−ト巻き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