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80Y1 - 장어잡이용 통발 - Google Patents

장어잡이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80Y1
KR860000680Y1 KR2019830010977U KR830010977U KR860000680Y1 KR 860000680 Y1 KR860000680 Y1 KR 860000680Y1 KR 2019830010977 U KR2019830010977 U KR 2019830010977U KR 830010977 U KR830010977 U KR 830010977U KR 860000680 Y1 KR860000680 Y1 KR 860000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el
cylinder
guide tub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278U (ko
Inventor
한수인
Original Assignee
한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인 filed Critical 한수인
Priority to KR201983001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680Y1/ko
Publication of KR850004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어잡이용 통발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안내통 5 : 보조안내통
5' : 보조안내간 7 : 요입홈
7' : 돌환부
본 고안은 장어잡이용 통발의 입구에 결합사용하는 장어유입안내통을 2중구조로 하여 장어 포획능력을 향상시킨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장어잡이용 통발의 입구에는 선단측에 길이 방향으로 세절시킨 안내간을 원추형으로 모아서 정점을 이룬 안내통을 일체로 형성시킨 구성이며, 이는 통발 통체에 장어가 유인될때는 상기 통발 통체의 입구부에서부터 안내통이 접점 개구된 원형입구로부터 구멍이 작아지는 형태로 되므로서 일단 장어가 개구면으로 유인되어 세절된 안내간의 정점으로 비집고 들어와 포획된 이후는 상기 세절된 안내간의 정점이 입구가 작고 폐쇄력이 있으므로 통발통체의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통의 선단으로 모아지는 안내간이 보통 합성수지등에 의한 탄력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통발통체에 잡혀진 장어가 꼬리등을 이용하여 안내간의 세절된 부분의 정점에 형성된 입구를 삐집고 나가면 안내간의 폐쇄력을 이기고 들어온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도망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 때는 상기 안내간으로 이뤄지는 폐쇄력은 장어가 안내간의 정점부를 삐집고 들어올때 비교적 수월하게 유입되면서 장어의 몸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의 탄력성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므로 장어가 꼬리등을 이용하여 강력한 힘을 쓴다거나 할때 안내통의 정점부를 삐집고 나올 경우까지 고려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안내통은 대개가 그러한 점까지 세밀하게 분석하여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보편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탄성을 부여하도록 설계되므로서 잡혀진 장어의 도망감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여건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포획된 장어가 절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한 보조 안내통을 기존의 안내통에 덧씌운 결합구성으로 하므로서 일단 잡혀진 장어는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게 되어 장어의 궁극적인 포획능력을 상당히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구멍(2)이 뚫린 망통상의 통발통체(1)의 입구(3)부에 선단측이 세절부(4')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안내간(4")을 원추형의 정점으로 밀집되게 하여 형성시킨 안내통(4)을 결합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4)의 세절부(4') 및 안내간(4")을 둘러싸는 세절부(4') 와 보조안내간(5')을 원추형 정점으로 모으고 상기 안내통(4)정점으로부터 끼워서 결합되도록 한 입구와 이 입구 주면에 돌환부(7')를 형성시킨 보조안내통(5)을 구성한다.
또, 상기 안내통(4)의 세절부(4')가 시작되는 점의 후단 외주면엔 상기 보조안내통(5)의 돌환부(7')와 대응된 요입홈(7)을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통발의 가라앉힘용 금속링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기존의 안내통(4)선단부에 보조안내통(5)의 입구를 끼우고 상기 안내통(4)의 요입홈(7)에 대응하여 보조안내통(5)의 돌환부(7')가 위치되었을때는 이들이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안내통(4)의 선단에 보조안내통(5)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보조안내통(5)의 보조안내간(5')이 안내통(4)선단의 세절부(4')를 막고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다시 통발통체(1)의 입구(3)부에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이후 기존의 안내통(4)입구(3)부로 유인된 장어는 원추형으로 모아지는 정점을 향하여 돌진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통(4)선단의 세절부(4')와 안내간(4")에 의하여 탄성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상기 정점의 소구경입구로 용이하게 빠져들어가 통발통체(1)내로 포획이 되는 것이다.
이후 통발통체(1)에 포획된 장어가 몸부림치는등의 활동을 하면서 안내통(4)선단의 정점부입구로 꼬리등을 드리밀때는 보조안내통(5)의 보조안내간(5')이 기존의 안내통(4)의 안내간(4")사이의 세절부(4')를 막고 있어서 정점부 입구가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로부터 빠져나갈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통상의 통발 통체의 입구에 결합사용되는 안내통을 이중구조로 함에 의해 일단 통발통체내로 유인되어 포획된 장어가 외부로 빠져나갈수 없게 되므로서 장어의 궁극적 포획능력을 상당히 양호하게 개선하게 되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발통체(1)의 입구부에 복수의 안내간(4")과 세절부(4')를 원추형 정점으로 모은 안내통(4)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4)의 원추형 선단 외주면에 대응한 복수의 안내간(5')과 세절부(4')를 가진 보조안내통(5)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통(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형성시킨 요입홈(7)과 보조안내통(5)의 개구면주연에 형성시킨 돌환부(7')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통(4)의 선단측에 보조안내통(5)을 결합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KR2019830010977U 1983-12-19 1983-12-19 장어잡이용 통발 KR860000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977U KR860000680Y1 (ko) 1983-12-19 1983-12-19 장어잡이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977U KR860000680Y1 (ko) 1983-12-19 1983-12-19 장어잡이용 통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278U KR850004278U (ko) 1985-07-22
KR860000680Y1 true KR860000680Y1 (ko) 1986-04-24

Family

ID=7016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977U KR860000680Y1 (ko) 1983-12-19 1983-12-19 장어잡이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6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278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680Y1 (ko) 장어잡이용 통발
CA2470509A1 (en) Insect holder
US3986291A (en) Fishing lure
KR970019847A (ko) 낚싯대용 도사환
US5005313A (en) Animal trap
KR970025384A (ko) 낚싯대용 톱 가이드
KR200470111Y1 (ko) 부력주머니가 구비된 낚시찌
KR19990014314U (ko) 낙지잡이통발
KR960005443Y1 (ko) 중간통과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대롱
KR950013363A (ko) 가이드 부착 진출간의 간끝 보호커버
KR200186652Y1 (ko) 절첩식 물고기 포획망
KR20210000977U (ko) 두족류 낚시도구
KR0141280B1 (ko) 어류포획기의 제작방법
SU1717043A1 (ru) Рыболовный крючок
KR0129815Y1 (ko) 어류포획기
JP3772284B2 (ja) 複合釣具
KR100326169B1 (ko) 잠자리채
KR100375642B1 (ko) 어류포획기
KR820000632Y1 (ko) 쥐 덫
JPS58113365U (ja) 釣竿用導糸環
KR890000358Y1 (ko) 장어잡이 통밭
RU1824137C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 селективности лова рыбы
KR960009373Y1 (ko) 화살의 구조
SU1566407A1 (ru) Узел резки провода дл устройства прошивки ферритовых сердечников
KR900010975Y1 (ko) 장어잡이용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