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68B1 -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68B1
KR860000368B1 KR1019830001313A KR830001313A KR860000368B1 KR 860000368 B1 KR860000368 B1 KR 860000368B1 KR 1019830001313 A KR1019830001313 A KR 1019830001313A KR 830001313 A KR830001313 A KR 830001313A KR 860000368 B1 KR860000368 B1 KR 86000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hocolate
chocolate material
continuous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785A (ko
Inventor
도꾸지 아꾸다가와
Original Assignee
아꾸다가와 세이까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지 아꾸다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꾸다가와 세이까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지 아꾸다가와 filed Critical 아꾸다가와 세이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368B1/ko
Publication of KR84000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14Continuous pro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제 2도는 제 1초콜렛재료를 주입하고, 주입과 문지르는 작업에 의해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내로 밀어넣은 제 1모울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 3도는 제 2모울드의 저면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 4도는 제 1, 제2 초콜렛재료가 포함되어 결합된 제 1, 제 2모울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 5도는 제 1모울드가 제 2모울드에서 분리되어 성형된 초콜렛블럭이 제 2모울드에 수반된 것으로서, 제 1모울드 일부와 제 2모울드 일부를 나타낸 부분 절단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베이어 2 : 새겨진모울드캐비티
3 : 제 1모울드(4)의 상면 4 : 제 1모울드(하부모울드)
5, 16 : 용기 6 : 제 1초콜렛재료
7 : 스크레이퍼 8 : 제 1냉각기
9, 18 : 진동기 10 : 제 2모울드(상부모울드)
11 : 관통개구 12 : 관통개구주위의거친부분
13 : 제 2모울드의 저면 14 : 제 2모울드를 위치시키는 장치
15 : 제 2초콜렛재료 17 : 제 2냉각기
19 : 모울드분리기
본 발명은 초콜렛을 모울딩하는 공정 및 장치로서 특히 연속자동장치에 의해서 본체 일부가 장식양각무늬를 수반하여 한색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지고 다른색의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양각무늬를 각각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식양각무늬의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장식양각무늬로 모울딩하기 위한 제 1초콜렛재료가 액체화되도록 가열되어 편평한 상면과 바라는 형태나 문자처럼 장식양각무늬로 성형된 하나 또는 그 이상 새겨진 캐비티로된 제 1 즉 하부모울드에 주입하는 것이다.
제 1모울드의 상면을 문지른후, 제 1초콜렛재료는 어느한도에서 냉각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통개구를 갖는 제 2 즉 상면모울드는 제 1모울드에 놓여진다.
제 1모울드에 새겨진 캐비티에 포함된 제 1초콜렛재료가 고체화되기전에, 제 1초콜렛재료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제 2초콜렛재료를 가열하여 액체화한후 제 2모울드의 관통개구안에 주입한다.
제 1, 제 2초콜렛재료가 고체화되어 결정(結晶)된 후에 상면모울드가 하면모울드로부터 분리되며 결합된 모울드로부터 모울드된 초콜렛블럭을 분리한다. 그러나 액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는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제 2모울드의 저면사이의 접촉면에 부득이 형성된 공간으로 스며들려고 한다.
침투된 제 2초콜렛재료는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제 2모울드의 저면에 들러붙거나 버어(burr)가 형성되도록 모울드된 초콜렛블럭의 본체일부의 들러붙는다.
제 2초콜렛재료의 소량이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새겨진 캐비티 근처에서 제 1모울드의 상면에 들러붙으면 색과 질이 제 1초콜렛재료와 상이한 들러붙은 제 2초콜렛재료는 다음 재순환작업의 문지르는 단계에서 제 1초콜렛재료와 혼합된다.
그로인해서 제품의 질과 모양이 저하되고 제품의 상품가치가 감소된다.
장식무늬를 만드는 새겨진 캐비티주위의 하부 모울드의 상면에 들러붙은 남은 제 2초콜렛재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하부모울드는 더운물로 씻어져야 하고 다음 재순환작업에 계속 사용되기 전에 건조되어야 한다. 이런이유로, 장식양각무늬는 한색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본체일부는 다른색의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지는 종래의 초콜렛공정은 하부모울드를 더운물로 씻어내는 작업과 씻은 하부모울드를 건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결과, 하부모울드의 재순환사용에 의해 한개씩 초콜렛블럭을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는 불가능하다.
모울드된 초콜렛블럭이 거기서 분리된후에 다른 스크레이퍼(scraper)를 사용하여 하부 모울드에 들러붙은 제 2초콜렛재료를 긁어내도록 고려되었지만, 하부모울드는 제 2초콜렛재료의 적은 부서진 조각을 끌어당기는 스크레이퍼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로 충전된다. 종래방법에 의하면 하부모울드로부터 일단들러붙은 제 2초콜렛재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하부모울드의 상면이 스크레이퍼나 고체화된 초콜렛재료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에 제 1모울드에 들러붙은 고체화된 초콜렛재료를 긁어내는 것은 좋지않다.
종래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제품의 상품가치를 유지하도록 모울드된 초콜렛제품에 들러붙은 버어를 제거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문자나 그림같은 바라는 형태를 형성하는 한색의 장식양각무늬와 다른색의 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본체를 각각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무늬로 새겨진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초콜렛블럭본체용 제 2초콜렛재료를 넣기 위한 캐비티를 갖는 제 2모울드의 저면사의의 접촉면에 흐르거나 스켜드는 초콜렛블럭재품의 본체일부를 형성하는 초콜렛재료가, 씻어내고 건조하는 단계, 또는 들러붙어 고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를 긁어내는 단계를 하지않도록 제 2모울드에는 들로붙지않고 제 2모울드위위에만 들러붙도록한, 문자나 그림같은 바라는 형태를 형성하는 한색의 장식양각무늬와 다른 색의 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본체를 각각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양각무늬와 버어없는 본체일부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깨끗한 장식양각무늬를 형성하도록 혼합되지 않는 제 1,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다음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색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양각무늬와 상기 장식양각무의를 수반하고 다른색의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본체일부를 각각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만드는 연속자동장치는, (a)적어도 1개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가 제공되어 있고 최소한 그 주위부분이 편평하고 매끄러운 상면을 갖고 있는 다수의 제 1 모울드에 연속적으로 상기 장식양각 무늬를 만들기 위한 제 1초콜렛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 (b)상기 새겨진 모울드캐비티안에 상기 제 1초콜렛재료를 계속 밀어넣고 넘친 제 1초콜렛 재료를 긁어내도록 상기 제1모울드의 상면을 문질러 내는 단계 ; (c) 제 1모울드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 1초콜렛재료를 계속 냉각하는 단계 ; (d)연속적으로 상기 제 1초콜렛재료가 고체화 되기전에 제 2모울드를 상기 각 제 1모울드 위에 올려놓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2모울드는 모울드 캐비티를 결정하는 관통개구를 최소한 한개는 갖고 있으며 최소한 대체적으로 편평한 거친 표면부를 이루는 상기 관통개구주의를 둘러싸는 부분을 갖는 저면을 갖고 있다 ; (e)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초콜렛재료를,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제 2모울드의 저면사이의 갭으로 흘러든 제 2초콜렛재료가 제 2모울드의 상기 저면상의 상기 거친표면부에만 들러붙도록, 상기 제1초코렛재료가 고체화되기 전에 상기 제2모울드의 각 관통개구로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단계 ; (f) 상기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제품을 만들기 위해 결합된 제 1, 제 2모울드내에 포함된 제 1, 제 2초콜렛재료를 고체화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냉각단계 ; (g)모울드로부터 상기 초콜렛블럭제품을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색깍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양각무늬와 다른 색깔의 제 2초콜렛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식양 각 무늬를 수반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자동적으로 만들기 위한 장치는, (a)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으로 놓여진 다수의 제 1모울드를 그 위에 얹어서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 제1 모울드는 새겨진 모울드캐비티가 최소한 1개 제공되어 있으며, 최소한 상기 새겨진 모울드캐비티를 둘러싸는 상기 상면부는 대체적으로 편평하고 매끄럽다 ; (b)상기 양각무늬를 만들기 위한 액체화된 제 1초콜렛재료를 상기 모울드의 새겨진 모울드캐비티에 하나씩 주입하기 위한 수단 ; (c) 상기 제 1초콜렛재료를 상기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에 밀어넣으며 넘친 제 2초콜렛재료를 벗겨 내도록 제 1모울드의 상면을 문질러 주기위한 수단 ; (d)상기 제 1모울드의 상기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에 들어 있는 상기 제 1초콜렛재료를 냉각하기 위한 제 1냉각기 ; (e) 제자리에서 제 2모울드를 상기 제 1모울드상에 놓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모울드는 적어도 하나의 모울드 캐비티에 한정하는 관통개구와 최소한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은 편평하고 거친면을 이루는 부분을 이루는 저면을 갖고 있다 ; (f) 액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를 상기 제 1모울드와 결합된 상기 제 2모울드내로 상기 관통개구를 통해 주입하기 위한 수단 ; (g) 결합된 제 1, 제 2모울드내에 들어있는 상기 제 1, 제 2초콜렛재료를 고체화시키기 위해 연속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제 2냉각기 ; (h) 완전한 초콜렛블럭 제품을 얻기 위해 모울드로부터 고체화된 제 1, 제 2초콜렛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우선 제 1도에 대해서 보면, 콘베이어(1)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하부 즉 제 1모울드(4)를 운반한다. 그림에서 보여주는 실시예에서는 무단 콘베이어가 사용되었지만 체인콘베이어등의 다른 콘베이어장치도 사용할수 있다. 콘베이어(1)는 주구동체와 타이머의 공동조작에 의해 단속적으로 이동한다. 제 1모울드(4)는 대체적으로 편평하고 매끄러운, 제 2도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상면을 갖고 있는데 그 상면에는 장식양각무늬를 만들기 위한 제 1초콜렛재료를 받아 들이기 위해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2)가 적어도 1개는 제공되어 있다. 최소한도 상면(3)의 부분에서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2)를 둘러싸는 부분은 편평하고 매끄러워야 하지만 제 1모울드(4)의 전반적인 윗면은, 어느정도 편평하고 매끄러워서, 뒤에 자세하게 기술하겠지만, 제 2모울드 즉 상부모울드의 저면과 부드럽게 들어맞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제 1모울드(4)의 일반적인 재질은 폴리스티렌 내지 폴리카아보네이트등의 합성수지나 금속이다.
액체화된 제 1초콜렛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5)가 콘베이어(1)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새겨진 모울드캐비티(2)의 체적과 거의 동일한 양의 액체화된 제 1초콜렛재료(6)가 용기(5)바로 밑으로 이동된 제 1모울드(4) 로 공급된다.
소위 백색초콜렛재료가 제 1초콜렛재료로 가장 즐겨쓰이지만, 제 1초콜렛재료는 백색초콜렛재료에만 한정되지 않고 식용색소를 넣어서 만든 원하는 색깔의 다양한 초콜렛재료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용기(5)에 들어있는 제 1초콜렛재료(6)는 공지의 콘칭과 템퍼링공정으로 미리 작업되어서 약 29℃ 내지 31℃의 온도로 유지시켜 액체화시킨다.
콘베이어(1)의 이동방향이 아래방향(제 1도에서 콘베이어(1)의 이동방향은 실선 화살포로 나타내어졌다)인곳에, 제 1모울드(4)의 상면(3)을 문질러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2)로 제 1초콜렛재료(6)를 밀어넣으며, 넘친 제 1초콜렛재료(6)를 벗겨내도록 스크레이퍼(7)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7)는 고무나 합성수지등의 탄성재질의 밴드나 스트립으로 만들수 있으며, 콘베이어(1)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어 각각의 모울드(4)가 스크레이퍼 스트립을 통해 지나갈때 제 1모울드(4)의 상면(3)과 닿도록 되어 있다.
빠른 스크레이핑 작업이 요구될때는 스크레이퍼 스트립을 콘베이어(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딴 방법으로는, 스크레이퍼 스트립의 일단을 피봇시켜서 스크레이퍼 스트립이 피봇측에 대해 회전토록 할수있다.
제 1모울드내의 새겨진 모울드캐비티(2)에 제 1초콜렛 재료를 채워 운반하는 제 1모울드(4)는, 제 2도에서 보는 것처럼, 제 1냉각기(8)를 통해 지나간다. 제 1냉각기(8)의 온도는 모울드(4)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2)안에 들어있는 제 1초콜렛재료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변화시킬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약4℃ 내지 7℃사이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냉각기(8)는 제1초콜렛재료를 그 안에 담고 운반시키는 각각의 제 1모울드(4)가 대체적으로 2 내지 3분의 체류시간을 갖을만큼의 길이를 갖고 있어서 그시간동안 제 1초콜렛재료의 표면온도가 18℃ 내지 22℃사이로 급속히 냉각되며 제 1초콜렛재료에 들어있는 베이스오일과 페트(fat)는 결정화되어 미세결정을 형성한다.
진동기(9)는 냉각작업시에 제 1초콜렛재료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 1모울드(4)를 진동시키도록 제공되어 있다. 위의 냉각작업단계에서 제 1초콜렛재료는 고체화되어서는 안되지만 냉각작업이 제 1초콜렛재료의 표면온도를 약 18℃ 내지 22℃사이로 급냉시켜서 초콜렛재료내의 베이스오일과 페트가 결정을 이루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제 1초콜렛재료내의 베이스오일과 페트의 결정화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제 1모울드가 냉각기(4)를 통해 지나가도록 냉각기(8)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콘베이어(1)의 이동속도를 조절한다.
제 1냉각기(8)의 근처에, 상부모울드 즉 제 2모울드(10)를 연속적으로 각각의 제 1모울드(4)상에 놓기위한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제 3도에서 보는 것처럼, 각각의 제 2모울드(10)는 환성된 초콜렛블럭의 최종형상을 결정하는 모울드캐비티를 이루는 관통개구(11)가 최소한 한개있다.
관통개구(11)의 깊이는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원하는 두께를 갖는 초콜렛블럭제품을 얻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제 2모울드(10)는 저면(13)을 갖고 있는데, 저면(13)에서 관통개구(11)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편평하고 거칠어서 거친표면구역(12)을 이루게 된다.
거친표면구역(12)은 반드시 저면(13)의 전부분에 걸쳐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 2모울드(10)의 전반적인 저면(13)은 거친표면구역으로 형성되어 질 것이다.
제 1모울드(4)의 상면(3)과 제 2모울드의 저면(13)전체가 편평해야하는 것이 필수적인것이 아니나 최소한, 새겨진 캐비티(2)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제 1모울드(4)의 상면(3)부분은 편평하고 매끄러우며 제 2모울드(10)의 저면(13)부분은 편평하고 거칠게 되어 있어서 제 2모울드(10)가 제 1모울드(4)위에 놓여진 상면(3)과 저면(13)이 밀착되어 결합된 모울드를 형성할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 2모울드(10)는 폴리스티렌, 폴리카아보네이트의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거친면(12)은 제 2모울드(10)의 저면(13)을 샌드페이퍼나 연삭기를 사용하여 한방향 혹은 여러방향으로 긁어서 형성시킬 수가 있다. 거칠기정도가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액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가 제 2모울드의 거친면에만 선책적으로 견고하게 들러붙도록하기 위해 스크래치의 깊이는 되도록이면 50미크론에서 2mm의 범위가 좋지만 100미크론에서 300미크론 사이의 범위는 더욱좋다.
제 1도에서 보여주는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 2모울드가 장치(14)위에 쌓여있어, 제 1모울드(4)가 장치(14)의 바로 밑으로 단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자리에서 각각 제 1모울드(4)와 하나씩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제 2초콜렛재료(15)는 장치(14)에 이웃해 설치되어 있는 용기(16)에 담겨져 제 1초콜렛재료에 대해 상기한 조건과 유사한 조건으로 저장되어 있다. 제 2초콜렛재료(15)는 관통개구(11)에 의해 한정되는 모울드 캐비티의 체적과 거의 같은 양만큼 제 2모울드(10)의 관통개구(11)로 부어져 주입된다.
이때 제 2모울드(10)중 하나는, 제 1초콜렛재료가 고체화되지 않고 아직도 재료내에서 베이스오일과 패트의 결정화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제 2용기(16)바로 밑에 놓여진다.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제 2드모울(10)의 각 상면을 긁기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 4도는 합쳐진 제 1, 제 2모울드(4),(10)내에 주입된 제 2초콜렛재료(15)를 보여준다.
제 2초콜렛재료는 통상의 갈색초콜렛료로 하거나 제 1초콜렛재료와는 다른 여러가지의 초콜렛재료로 할수 있다.
그러나 초콜렛블럭의 본체를 형성하는 제 2초콜렛재료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 1초콜렛재료로 된 장식 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만들기 위해서, 제 1,제 2초콜렛재료에 들어 있는 베이스오일과 양과 종류는 그들의 용융점과 % 수축율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베이스오일과 패트의 양과 종류는 본체부의 색깔과 좋은 대조를 이루는 색을 갖는 선명한 장식무늬를 갖는 최종 초콜렛블럭을 생산할수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인의 발명한 것을 발표한, 본원과 동시 계류중인 일본특허출원번호57839/1981가 참조로 함께 사용될 것이다. 제 1초콜렛재료와 유사하게, 제 2초콜렛재료는 일반적으로 29℃ 내지 31℃사이의 온도로 제 2용기(16)안에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초콜렛재료가 액체화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한은 저장온도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뒤, 합쳐진 제 1, 제 2모울드(4)와 (10)은 콘베이어(1)가 단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냉각기를 지나고, 이때 제 1, 제 2초콜렛재료제는 고체화되어서 초콜렛블럭을 이루게 된다. 초콜렛블럭을 고체화시키기 위한 냉각온도와시간은 블럭의 본체부의 두께에 따사서 변하는데, 일반적으로 29℃ 내지 31℃사이의 초콜렛재료가 4℃ 에서 7℃사이로 유지되어 있는 냉각기로 보내져 고체화되는데 약 15분에서 25분 사이가 걸린다. 상기 제 2냉각작업단계동안 합쳐진 제 1, 제 2모울드(4)와 (10)을 진동시켜서 제 2초콜렛 재료내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기(18)가 제공되어진다.
그뒤, 제 2모울드(10)는 제 1모울드(4)를 콘베이어(1)위에 남겨둔채 모울드 분리기(19)에의해 틀어올려져서, 제 5도에서 보는 것 같이, 고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15)에 붙어있는 고체화된 제 1초콜렛재료(6)를 제 1모울드(4)로부터 들어낸다. 제 2모울드(10)의 관통개구(11)의 측벽이 관통개구(11)가 윗쪽으로 벌어지도록 약간 경사지게 되어서, 성형된 초콜렛블럭이 제 2모울드(10)에 의해 운반된다.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성형된 초콜렛블럭은, 제 2모울드(10)를 뒤집음으로, 제 2모울드(10)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중요한 장점은 하부모울드(4)의 상면(3)과 상부모울드(10)의 저면(13)사이에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접촉부 갭으로 스며들어 흘러나온 제 2초콜렛재료 모두가 관통개구(11)주위를 둘러싸는 상부모울드(10)의 저면(13)의거친 표면부에만 들러붙어 하부모울드(4)의 매끄러운 상면(3)에는 들러붙지 않게 된다는 것과, 상부모울드(10)의 거친 표면부에 위와같이 들러붙어 있는 제 2초콜렛재료(15)는 모두 스크래치된 확대된 표면구역에 붙어서 거친 표면부(12)의 요상(凹)부에 한정된 냉각에 의해 수축되어서, 하부모울드(4)의 편평하고 매끄러운 상면(3)으로 부터 제 2초콜렛재료(15)를 제거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다음 순환모울딩을 준비하기 위한 작업은 상부모울드(10)의 저면(13)에 들러붙어 있는 제 2초콜렛재료(15)만 제거하면 되어서 하부모울드(4)를 깨끗이 할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해서, 씻어 말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문지르는 작업의 어려움, 이미 알려진 공정에서 달리 불리우기도 하는, 등을 없앨수가 있다. 게다가 상부모울드(4)를 깨끗이 해야하는 단계가, 들러붙어 있는 제 2초콜렛재료의 양이 하부모울드(4)의 상면(3)과 상부모울드(10)의 저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정도에 이르지 않는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또 다른 장점은 하부모울드(4)의 새겨진 캐비티(2)로 제1초코렛재료를 주입한 뒤 제1초콜렛재료(6)를 새겨진 캐비티(2)로 밀어넣기 위해 문지르는 다음 순환작업시 제1초콜렛재료(6)와 제2초콜렛재료(15)가 섞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결과,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초콜렛블럭은 깨끗하고 선명한 양각무늬가, 제 1초콜렛재료(6)로 이루어진 양각무늬가 제 2초콜렛재료(15)가 섞여져 이그러지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필요없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장점은 하부모울드(4)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인데, 왜냐하면 제 2초콜렛재료(15)가 하부모울드(4)의 매끄럽고 편평한 면에 들러붙지 않기 때문에 하부모울드(4)의 상면(13)을 주걱이나 판따위를 사용해 항상 긁어내야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장점은 흘러나온 제 2초콜렛재료(15)가 상부모울드(10)의 관통개구(11)주위의 거친표면부(12)에 견고하게 붙잡혀, 모울드(10)로부터 생산된 초콜렛블럭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고체화된 초콜렛블럭의 본체로부터 자연적으로 쉽게 분리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공정이나 장치에 의해 성형된 제품은 비어(burr)가 없어서 어려운 버어제거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하여 기술되었지만, 당분야에 숙련된 자가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쉽게 만들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내용은 당지 실예로 해석되어야지 한정된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권리범위에 의해 한정되어 진다.

Claims (18)

  1. 한색깔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양각무늬(Ornamental relief pattern) 및 상기 장식 양각무늬를 수반하며 상이한 색깔의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본체부를 각각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에 있어서,
    a) 상기 장식양각무늬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가 마련되고 이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를 둘러싸는 부분이 대체적으로 편평하고 매끄러운 상면을 갖는 다수의 제 1모울드로 제 1초콜렛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b) 상기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내로 상기 제 1초콜렛 재료를 밀어넣고 초과한 제 1초콜렛 재료를 벗겨내도록 상기 제 1모울드의 상면을 문지르는 단계.
    c) 각각의 제 1모울드에 들어있는 상기 제 1초콜렛 재료를 연속적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d) 제 1초콜렛재료가 고체화되기 전에 각각의 제 1모울드위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개구 및 대체적으로 편평하고 거친 표면부를 형성하는 상기 관통개구를 에워싸는 부분을 갖춘 저면을 갖는 제 2모울드를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e) 제 1초콜렛재료가 고체화되기 전에 각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제 2모울드의 저면사이의 접촉면으로 제 2초콜렛재료가 흘러들거나 스며들어서 제 2모울드의 저면에 형성된 거친표면부위에만 부착하도록 상기 제 2모울드의 각각의 관통개구내로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2초콜렛재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단계.
    f) 상기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같이 고체화되도록 각각의 결합된 제 1및제 2모울드에 들어있는 제 1 및 제 2초콜렛재료를 연속적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g) 모울드로 부터 초콜렛블럭제품을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초콜렛재료는 단계(a)에 앞서 액체화되도록 29℃ 내지 31℃의 온도로 가열되며, 또한 단계(c)에서 냉각은 약 2 내지 3분동안 4℃ 내지 7℃의 온도록 유지된 냉각기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초콜렛재료는 단계(c)에 앞서 액체화되도록 29℃ 에서 31℃의 온도로 가열되며, 또한 단계(f)에서 냉각은 약 15 내지 25분동안 4℃ 에서 7℃의 온도로 유지된 냉각기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2모울드의 저면의 거친표면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뻗어있고 50μ 내지 2mm범위의 깊이를 갖는 다수의 스크래치(scraf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모울드는 제 1초콜렛재료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도록 단계(c)동안에 진동되며, 또한 상기 결합된 제 1 및 제 2모울드는 제 2초콜렛재료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도록 단계(f)동안에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6. 제 1항에 있어서, 관통개구내로 제 2초콜렛재료를 밀어넣고 초과한 제 2초콜렛재료를 벗겨내기 위해 제 2모울드의 상면을 연속적으로 문지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7. 제 1항에 있어서, 단계(g)는 상기 제 2모울드를 뒤집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되어 있는 제 2모울드로부터 제 1모울드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기 위한 연속자동공정.
  8. 한색깔의 제 1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장식양각무늬 및 상기 장식 양각무늬를 수반하며 상이한 색깔의 제 2초콜렛재료로 만들어진 본체부를 포함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 일정간격으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가 마련되고 이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를 둘러싸는 부분은 대체로 편평하고 매끄러운 상면을 갖는 다수의 제 1모울드를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콘베이어수단.
    b) 하나씩 상기 제 1모울드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로 상기 장식양각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액체화된 제 1초콜렛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
    c) 제 1초콜렛재료를 상기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로 밀어넣고 초과한 상기 제 1초콜렛재료를 벗겨내도록 제 1모울드의 상면을 각각 문지르기 위한 스크래퍼 수단.
    d) 상기 제 1모울드의 새겨진 모울드 캐비티에 들어있는 제 1초콜렛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1냉각기.
    e) 상기 제 1모울드의 그 장소에, 모울드 캐비티를 한정하는 최소한 하나의 관통개구와 상기 관통개구주위의 부분이 대체로 편평하고 거친 표면부를 형성하는 저면을 갖는 제 2모울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f) 상기 관통개구를 통해 상기 제 1모울드와 결합된 제 2모울드내로 액체화된 제 2초콜렛재료를 주입하기 위한수단.
    g) 결합된 제 1 및 제 2모울드에 들어있는 상기 제 1 및 제 2초콜렛재료가 같이 고체화되도록 연속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
    h) 완전한 초콜렛블럭제품을 얻기 위해 모울드로부터 고체화된 제 1 및 제 2초콜렛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스크래퍼 수단은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모울드가 스크래퍼 스트립을 통과할때 상기 제 1모울드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콘베이어의 주행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스크래퍼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스크래퍼 스트립을 상기 콘베이어의 주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스크래퍼 수단은, 탄성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1모울드의 상면을 가로질러 회전운동하기 위해 그의 일단에 추지된 스크래퍼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2모울드의 저면의 거친 표면부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방향으로 뻗어있고 50μ 내지 2mm 범위의 깊이를 갖는 다수의 스크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제 1냉각기는 진동기와 함께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 2모울드는 각각의 제 1모울드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단(e)에 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제 2냉각기는 진동기와 함께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수단(h)는 제 2모울드로부터 제 1모울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모울드분리기, 및 상기 제 2모울드를 뒤집어 회전시키기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7. 제 8항에 있어서, 설정시간 간격으로 콘베이어를 단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18. 제 8항에 있어서, 제 2초콜렛재료를 관통개구내로 밀어넣고 초과한 상기 제 2초콜렛재료를 벗겨내기위해 상기 제2모울드의 상면을 연속적으로 문지르기 위한 스크래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콜렛블럭을 연속 및 자동으로 모울딩하기 위한 장치.
KR1019830001313A 1983-03-28 1983-03-28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KR86000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313A KR860000368B1 (ko) 1983-03-28 1983-03-28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313A KR860000368B1 (ko) 1983-03-28 1983-03-28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785A KR840003785A (ko) 1984-10-04
KR860000368B1 true KR860000368B1 (ko) 1986-04-16

Family

ID=1922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313A KR860000368B1 (ko) 1983-03-28 1983-03-28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85B1 (ko) * 2015-09-02 2017-03-09 김영호 초콜릿 재료로 이루어진 장식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785A (ko) 1984-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0974A (en) Continuous and automatic apparatus for molding chocolate block having ornamental relief pattern
KR880001178B1 (ko) 장식입체무늬를 갖는 초콜릿블럭의 연속적 자동제조장치
EP0589820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moulding of chocolate articles
US4200658A (en) Method for making candy in detailed designs
ES2019143A6 (es) Perfeccionamientos relativos a la fabricacion de pirulis.
GB2321213A (en) Decorated confectionary bar
KR860000368B1 (ko) 장식양각무늬를 갖는 초콜렛블럭을 모울딩하는 연속자동공정 및 그 장치
DE69630696D1 (de) Eisform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sstatuen
JPS6317419B2 (ko)
JPS6250092B2 (ko)
JPS5940415B2 (ja) 装飾チヨコレ−トの連続的自動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S6250093B2 (ko)
JPS5853991Y2 (ja) 装飾チヨコレ−トの成形用型
IT1171126B (it) Metodo ed apparecchio automatico per lo stampaggio in continuo di blocchi di cioccolato provvisti di decorazioni in rilievo
JPS5564760A (en) Method of making multilayered and viscous candy and mold used for making the same
IT1157754B (it) Metodo di stampaggio della cioccolataper fabbricare blocchi di cioccolata aventi desegni o fregi ornamentali
KR950008552B1 (ko) 인장재료 성형방법
JPS6317418B2 (ko)
GB2145019B (en) Method of centrifugal casting
KR850002600A (ko) 비누제 조형물을 내포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JPS5575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olding rodlike glass
JPH03266940A (ja) 立体装飾チョコレートの連続的自動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JPH062031B2 (ja) 粒ゼリーの製造方法
JP2005046106A (ja) キャンディ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S5780011A (en) Manufacture for hollow transpar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