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3351Y1 -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 Google Patents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3351Y1
KR850003351Y1 KR2019850007414U KR850007414U KR850003351Y1 KR 850003351 Y1 KR850003351 Y1 KR 850003351Y1 KR 2019850007414 U KR2019850007414 U KR 2019850007414U KR 850007414 U KR850007414 U KR 850007414U KR 850003351 Y1 KR850003351 Y1 KR 850003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elf
tape
recording
record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오기로
신이찌 고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히다찌 맥셀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010559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03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010560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6463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히다찌 맥셀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쓰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3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제1도 및 제2도는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제3도는 상부를 제거한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상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기 녹화테이트 카아트리지의 상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저면도.
제6도는 회전식 뚜껑을 제거한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의 전면도.
제7도는 리일중의 하나를 장착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하부의 상면도.
제8도는 동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하부의 전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하부의 저면도.
제10도는 제7도에서 I - 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리일의 회전방지용 멤버의 분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멤버의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좌측에 위치한 리일의 회전방지용 멤버의 사시도.
제14도는 리일의 부분분해 저면도.
제15도는 리일의 하부플랜지의 상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하부플랜지의 저면도.
제17도는 테이프스토퍼의 물림상태를 나타내는 리일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8도는 리일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 있는 리일 회전 방지용 멤버의 확대 상면도.
제19도는 리일이 허용된 리일회전 방지용 멤버의 확대 상면도.
제20도는 제7도의 Ⅱ - Ⅱ 선상의 부분 단면도.
제21도는 록레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저부 일부분에 대한 확대 상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Ⅳ - Ⅳ 선상의 부분 단면도.
제23도는 록레버의 사시도.
제24도는 회전식 뚜껑부의 전면도.
제25도는 회전식 뚜껑부의 상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Ⅴ-Ⅴ 선상의 부분 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의 Ⅵ - Ⅵ 선상의 단면도.
제28도는 뚜껑이 달린 상태의 회전식 뚜껑부의 주요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제29도는 뚜껑이 열린 상태의 회전식 뚜껑멤버의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30도는 회전식 뚜껑을 여는 동작을 나타내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측면도.
제31도는 제7도의 Ⅲ - Ⅲ 부분 단면도.
제32도는 상부의 상면도.
제33도는 상면부의 저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Ⅶ - Ⅶ 선상의 단면도.
제35도는 스프링판의 상면도.
제36도는 스프링판의 측면도.
제37도는 변형된 스프링판의 상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변형된 스프링판의 측면도.
제39도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측면도.
제40도는 회전식 뚜껑부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상면도.
제41도는 카아트리지케이스와 회전식 뚜껑부의 물림을 나타내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주요부분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42도는 지지구멍에 인접한 상부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측면도.
제43도는 제42도의 Ⅷ -Ⅷ 선상의 부분 단면도.
제44도는 회전식 뚜껑부에 대한 변형된 로킹기구 중의 록레버의 확대도.
제45도 및 제46도는 제44도에 나타낸 록멤버(47)의 작동을 각각 나타내는 도.
본 고안은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녹화테이프를 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리일의 회전을 로킹하기 위한 하나의 로킹(LOCKING)기구 및 전면을 따라 뻗는 자기 녹화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카아트리지의 전면을 닫는 목적의 회전식 뚜껑부를 가진 하나의 자기녹화 테이프카아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말한 바와같은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자기녹화테이프에서 비데오신호를 녹화 또는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로서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비데오테이프카아트리지는 녹화 및 재생장치의 구동축으로 구동되며 녹화테이프를 감는 목적의 한쌍의 리일 및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펼쳐져 있는 카아트리지 전면을 따라 뻗어있는 녹화테이프의 중간부분을 보전하기 위하여 리일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프의 중간부분을 보호하도록 전면부를 닫게 하는 카아트리지 전면쪽에 장착된 회전식 뚜껑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더우기, 그 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사용시에 리일로킹기구를 해정시키는 목적의 하나의 장치와 닫혀진 위치에서 뚜껑부를 로킹하거나 또는 사용시에 카아트리지의 전면부를 열리게 하도록 뚜껑부를 해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재래식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카아트리지의 크기는 축소시켰으나 여러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경우의 회전식 뚜껑부에 대한 로킹기구는 제1도와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아트리지케이스(201)는 최상부(202) 및 하부(203)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속에 자기녹화테이프(204) 및 그 녹화테이프(204)를 감기위한 한쌍의 리일(도해없음)을 갖고 있다. 그 카아트리지케이스(201)는 그 자기녹화테이프(204)의 녹화를 재생하게 되었을때 케이스(201)로 부터 자기녹화테이프(204)를 끌어내기 위하여 전면부에 구멍(205)을 갖고 있으며, 자기녹화테이프(204)의 일부분이 계속적으로 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전면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회전식 뚜껑부(206)는 먼지의 부착 및 조작자의 손의 접촉으로 부터 자기녹화테이프(204)를 보호하기 위하여 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전면쪽에 회전식으로 장치되어 있다.
회전식 뚜껑부(206)는 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전면쪽을 덮도록 전면판(207)을 갖고 있고, 그 전면판(207)의 양쪽에는 측면판(208 A), (208 B)의 한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피벗핀(209)과 한쌍의 측면판(208 A), (208 B)각각의 내면에서 그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회전식 뚜껑부(206)는 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전면에 노출된 자기녹화테이프(204)를 덮게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회전식 뚜껑부는 (206)차 후에 설명하는 록장치로 닫혀있도록 한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가 녹화 또는 재생장치에 장착되었을때 뚜껑부(206)의 로킹이, 녹화 또든 재생장치의 해정멤버(도해없음)로 해정되어 회전식 뚜껑부(206)가 그 녹화를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를 놓이도록 회전하게 한다.
하부(203)의 전면 모서리에 챔버(2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속에 록판(도해없음)이 회전식 뚜껑부(206)의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선회할 수 있게 내장되어 있다.
그 록판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 및 제2돌출부(211) 및 (212)가 마련되어 있어서 하부(203)의 측면벽(213)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그 록판은 하나의 스프링멤버(도해없음)로 하부(203)의 측면벽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있다. 챔버(210)에 대면한 회전식 뚜껑부의 측면판(208 A)에는 록판의 제1돌출부(211)가 물리도록 오목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제44도에서와 같은 열려있는 상태의 회전식 뚜껑부(206)를 닫으려 할때는 그 회전식 뚜껑부(206)의 측면판(208 A)의 단부(215)가 하부(203)의 측면벽(213)을 넘어서 연장되는 제1돌출부(211)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단부(215)의 내부면은 테이퍼되어 있으므로 단부(215)는 제1돌출부(211)를 통과하다가 나중에는 그 돌출부를 압축하여 록판이 스프링멤버의 탄성에 저항하여(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내부쪽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식 뚜껑부(206)를 더 회전시켰을 때에 제1돌출부(211)의 자유단부는 측면판(208 A)의 오목부(214)에 물리우게 되어서 회전식 뚜껑부(206)가 록판과 물림으로서 닺힌 상태로 로킹되도록 되어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제2돌출부(212)는 측면벽(213)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뻗어서 측면판(208 A)의 단부(215)와 하부(203)의 측면벽(213)의 단턱(216)사이에서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가 그 회전식 뚜껑부(206)를 닫은 상태로 하여 녹화재생장치에 장착하였을 경우 록판의 제2돌출부(212)는 녹화재생치의 로킹릴리이스멤버로 카아트리지케이스(201)의 안쪽으로 압착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록판은 스프링멤버의 탄성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제1돌출부(211)가 오목부(215)에서 빠지므로 회전식 뚜껑부(206) 및 록판의 물림이 해제된다. 그리고나서,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를 녹화재생장치 안으로 내려가게 하여 회전식 뚜껑부(206)의 단부는 녹화재생장치 속에 설치된 뚜껑을 여는 멤버(도해없음)에 의하여 잡히게 하여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내림과 함께 회전하여 열리되므로 제1도에서와 같이 자기녹화테이프(204)를 노출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는 그 카아트리지케이스(201)내에 록판의 회전 및 스프링 멤버를 내장하기 위하여 넓은 공간을 형성한 록판이 챔버(210)를 포함하므로 그 챔버(210)는 불가피하게 넓을 공간을 점유한다. 또한 회전식 뚜껑부(206)의 단부(215)와 하부(203)의 단턱(216)사이에 제2돌출부(212)가 뻗어있게 하고 또한 그 제2돌출부(212)와 연결된 로킹릴리이스멤버를 끼우는데에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한 공간의 필요성은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저해요소이며, 또한 록장치의 배치를 하부(203)전면의 모서리에 한정하고 설계상의 공차를 불충분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회전식 뚜껑부(206)는 측면판(208 A)의 한쪽 단부에서 록되어 있으므로 다른쪽 측면판(208 B)은 회전식 뚜껑부(206)를 열기 위한 외부힘을 받았을때에 그 회전식 뚜껑부(206)의 변형으로 약간 열리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회전식 뚜껑부(206)의 기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 하나의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 형으로서 회전식 뚜껑부의 전면판의 하단부에 로킹릴리이스멤버를 수용하는 하나의 오목부와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은 록장치와는 다르게 그 오목부에 반대쪽 부분의 카아트리지케이스에 마련된 하나의 로킹릴리이스멤버를 가진 형도 있다. 그 로킹릴리이스멤버는 로킹릴리이스레버의 테이퍼된 전단부를 압착하도록 그 오목부에 삽입하여서 회전식 뚜껑부와 물려있는 로킹릴리이스레버를 회전시켜서 그 뚜껑부로부터 풀려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 형에서는 카아트리지케이스의 전면을 따라 노출된 자기녹화테이프의 단부가 오목부를 통하여 끼워진 로킹릴리이스 멤버에 의하여 손상을 받기 쉽다. 그러한 자기녹화테이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그 로킹릴리이스멤버의 삽입통로를, 자기녹화테이프로 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 그것은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크기를 축소하는데 대한 어려움과 설계상 공차의 불충분성을 초래한다.
테이프리일의 재래식 로킹기구의 한 예를 제3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로킹기구는 카아트리지케이스의 하부(203)의 후면벽(302)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릴리이스핀(도해었음)이 끼워지는 하나의 관통구멍(303)과 하나의 회전레버(304), 두개의 포울멤버(305) 및 두개의 코일스프링(30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관통구멍(303)은 후면벽(302)근처의 대략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릴리이스핀(도해없음)을 접수하는데에만 사용된다. 레버(304)는 관통구멍(303)의 열려 있는 상단부를 닫기 위한 블록멤버(307) 및 블록멤버(307)의 저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둥(308) 및 블록멤버(307)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된 기둥(308)으로 부터 연장된 한쌍의 가압부(309)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304)는 후면벽(302)으로 부터 관통구멍(303)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돌출부(310)에 회전할 수 있게 얹혀있다. 포울멤버(305)는 각기는 하부(203)에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311)의 외주면과 회전식으로 물려있는 원통형 몸체(312) 및 레버(304)의 가압부(309)와 접촉되어 있는 아암(313) 및 리일(314)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포울(315)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311)는 그 상단부가 하부(203)로 부터 돌출된 접촉핀(316)과 접촉한 하나의 단부와 포울멤버(305)의 포울(315)과 접촉되어 있는 또 하나의 단부를 가진 코울스프링(306)과 물려있다.
코일스프링(307)의 탄성으로 인하여 포울멤버(305)의 포울(315)과 블록멤버(307)는 각각 리일(314)에 대하여 압착되어서 관통구멍(303)을 닫게 되어있다. 리일(314)의 플랜지(317)의 외주면에 복수의 홈(318)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홈(318)에 포울(315)의 전단부가 맞물리어 리일(314)이 정지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의 자기녹화카아트리지가 녹화재생기기에 장착되었을때 그 자기녹화카아트리지는 녹화재생기기에 대하여 끼워져서 녹화재생지지에 마련되어 있는 두개의 표준형 핀(도해없음)이, 그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의 하부(203)의 전면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319)에 장착하도록 삽입되게 되어있다. 녹화재생기기에 마련된 회전정지 릴리이스핀(도해없음)은 관통구멍(303)에 끼워져서 블록멤버(307)가 코일스프링(306)의 탄성에 저항하여 올려지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작동으로 포울의 회전레버(304)의 가압부309)는 후면벽(302)쪽으로 움직임으로서 그 포울멤버(305)를 샤프트(31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하여 포울(315)이 홈(318)으로 부터 이탈하여 리일(314)을 회전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형의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에서는 하부(203)가 릴리이스핀을 삽지하는 관통구멍(303) 및 표준형핀을 삽지하는 관통구멍(39)등이 각각 별도로 형성된 구멍들을 설치하는데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크기를 축소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더우기 테이프리일을 정지시키기 위한 재래식 로킹장치의 부품들은 모양과 구조가 복잡하여 그 각기 구성부분을 조립하는데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고안의 기본목적은 테이프리일의 코킹 및 릴리이싱 장치 및 뚜껑 로킹장치에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마련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은 카아트리지의 크기를 축소시키는데 적당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마련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하나의 카아트리지케이스를 형성하도록 고착장치로 함께 조립된 하나의 하부와 하나의 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카아트리지케이스는 하나의 저면벽과 테이프챔버를 갖고 있으며, 그 전면벽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최소한 하나의 리일이 그 테이프쳄버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 전면벽은 카아트리지 케이스의 하부의 저부판에 형성된 구동축 삽입구멍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자기녹화테이프는 위의 리일에 감기우며 녹화테이프의 중간부분이 전면벽에 의해 정해진 일정한 통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펼쳐지며, 그리고 하나의 뚜껑부는 카아트리지케이스에 경첩으로 장착되어 있어 전면벽과 대체로 평행되게 놓인 대체로 직선의 뚜껑부를 갖고 있어서 전면벽을 따라 놓여진 자기녹화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게 전면벽의 구멍들을 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뚜껑부는 사용시 전면벽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물리게멤버는 카아트리지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뚜껑부로 부터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록장치가 록멤버를 갖고 있고,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그 록멤버는 닫혀있는 상태에서 뚜껑부를 록하도록 뚜껑부의 물리게 멤버와 물리우게 되어 있으며, 록장치는 뚜껑부의 물리게멤버로 부터 록멤버의 물림을 해제하도록 작동하여 뚜껑부가 열려진 상태로 이동하게 하며, 하나의 관통구멍이 테이프플레이어의 록릴레이 스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하부의 저부면에 로킹장치의 일부를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도~제6도에서는 본 고안의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은 상부(1A), 하부(1B) 및 상부(1A)의 전면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장방형 뚜껑부(3)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부호(1)로 된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각기 부분은 폴리스틸렌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제5도 및 제7도 참조 하부(1B)는 케이스(1)의 세로방향 X에 대하여 대체로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고 녹화재생기기의 구동축을 끼울수 있게 케이스(1)의 가로방향 Y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한쌍의 관통구멍(4)을 갖고 있다. 자기녹화테이프(5)를 감기위한 한쌍의 리일(6)은 각기 회전할 수 있게 관통구멍(4)에 장착되어 있다.
리일(6)의 둘레는 전면내부벽(7A), (7B)과 후면내부벽(8A), (8B), (8C)이 마련되어 있고, 그 각각은 리일(6)의 외주면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벽(7), (8)은 하부(1B)와 일체가 되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내부벽(7A), (7B) 각각은 리일(6)의 원형 언저리부에 부합하는 호형 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내부벽(7A), (7B)은 중간벽(7C)으로 서로간에 연결되어 있다. 좌축 전면내부벽(7A)의 중간부는 세로방향 X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연결벽(9D)을 이용하여 전면외부벽(9A)의 오른쪽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왼쪽 전면내부벽(7A)은 또한 호형의 연결벽(9E)으로 중간 전면벽(9B)의 왼쪽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바른쪽 전면내부벽(7B)의 중간부는 연결벽(9F)으로 중간전 면벽(9B)의 바른쪽 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뚜껑 로킹장치를 내장하기 위한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그 상세한 설명은 추후에 하기로 한다.
바른쪽 전면내부벽(7B)은 또한 전면내부벽(7B)의 바른쪽 단부로 부터 전면벽(9C)의 왼쪽 단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벽(9G)을 통하여 전면벽(9C)과 연결된다. 바른쪽 후면내부벽(8C)은 바른쪽 축면벽(10)으로 부터 후면벽(11)까지 연장되어 하부(1B)의 후방 모서리에 테이프리일 로킹장치를 장착할 수 있게 평면도상으로 볼때 대체로 삼각형의 챔버(12C)로 되어 있다. 이 챔버(12C)와 유사한 챔버(12A)가 또한 왼쪽 후방내부벽(8A)으로 하부(1B)의 왼쪽 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평면도상에서 대체로 V형의 모양을 가진 후면내부벽(8B)은 그 양쪽 단부가 중간부에 있는 후면벽(11)과 연결되어서 평면도상으로 대체로 삼각형의 중앙챔버(12B)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 후면내부벽(8B)은 후면벽(11)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그 상단부가 하부(1B) 및 상부(1A)를 조립하였을때 상부(1A)의 저부 내부면에 가깝게 한다.
하부(1B)는 녹화의 잘못된 소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챔버(12B)의 내부에 자기녹화테이프 소거방지멤버(13)를 일체가 되게 저부면에 갖고 있다.
그 소거방지멤버(13)는 하부(1B)의 저부면에서(13C)를 통하여 슬라이드구멍(13A)으로 형성된 접을수 있는 플랫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이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엷은 부분(13D)을 통하여 후면벽(1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 소거방지멤버(13)가 하부(1B)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소거방지멤버(13)는 구부렸을때에 저부판(1B)으로 부터 분리되며 이렇게 소거 방지멤버(13)가 챔버(12B)에 끼워졌을 때 그 멤버(13)는 자기녹화테이프와 물리지 않고 손상도 주지 않으며 또한 리일(6)의 회전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왼쪽의 후면내부벽(8A)과 축면벽(10) 및 후면벽(11)으로 구성된 챔버(12A)내에는 하나의 보스(14A)와 하나의 선회축(15A)이 돌출되어 있고, 또한 녹화재생기기의 표준형 핀을 끼우기 위한 약간 늘어진 관통구멍(16A)과 선회축(15A)에 대하여 아치형을 이루는 호형 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바른쪽의 후면내부벽(8C)과 축면벽(10) 및 후면벽(11)으로 형성된 챔버(12C)내에는 하나의 보스(14B)가 하나의 선회축(15B)의 표준형 핀을 끼울 수 있는 원형의 구멍(16B) 및 호형의 안내홈(17B)등이 있으며, 이 모든 것들은 보스(14A)와 선회축(15A), 관통구멍(16A) 및 안내홈(17A)과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일(6)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방지멤버(18B)는 선회축(15B)에 회전식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회전방지멤버(18B)는 저마찰계수를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선회축(15B)의 외주면과 물려있는 슬리이브(19B)(제11도 참조) 및 슬리이브(19B)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시이브멤버(20B) 및 리시이브멤버(20B)의 전단부에 형성된 포울(21B)(제11도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포울(21B)의 하단부는 슬리이브(19B) 및 리시이브(20B)의 하단부까지 약간 아래서 연장되어 있어서 포울(21B)의 하단부가 회전방지멤버(18B)와 선회축(15B)이 물리게 될때 안내홈(17B)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리시이브멤버(20B)는 회전방지멤버18B)가 선회축(15B)과 물리었을때 구멍(16B)에 대면하는 부분에 L형곡부(22B)를 갖고 있다. 또한 리시이브멤버(20B)는 그 하단부 안쪽으로 약 30°~60°로 경사진 경사부(23B)를 갖고 있다.
왼쪽의 선회축(15A)과 접촉하게 될 회전방지멤버(18A)는 제1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방지멤버(18B)와 대칭이 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슬리이브(19A)리시이브멤버(20A) 및 포울(21A)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의 리시이브멤버(20A)는 그 중심부에 곡부(22A), 그리고 하단부에는 경사부(23A)를 갖고 있다.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멤버(24B)는 선회축(15B)에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그들 중간에는 회전방지멤버(18B)가 놓여 있다. 제11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프링멤버(24B)는 그 중앙에 복수의 권선으로 형성된 환상부(25)를 갖고 있고, 그 환상부(25)로 부터 연장된 자유단부는 환상부(25)의 세로방향으로 양쪽을 구부려서 탄성의 자유단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부(25)는 선회축(15B)의 머리부에 헐겁게 끼워져 있고, 그 탄성의 단부(26A), (26B)는 스프링멤버(24B)의 탄성에 대항하여 약간 압착되어 있고, 동시에 축면벽(10) 및 리시이브(20B)사이의 간격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런 연후에 탄성단부(26A), (26B)는 해정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멤버(24A)의 복귀력에 의하여 탄성단부(26A), (26B)는 리시이브멤버(20B)의 면과 축면벽(10)의 내부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방지멤버(18B)의 포울(21B)은 스프링멤버(24B)로 리일(6)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착하게 된다. 그러한 구조는 스프링멤버(24B)의 설치와 지지를 간편하게 한다.
제14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리일(6)의 각각은 일체로 돌출되는 허브(27)를 가진 하부플랜지(28) 및 상부플랜지(29)를 갖고 있다. 하부플랜지(28)는 불투명의 함성수지로 제조되어 있고 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30)를 갖고 있다.
제15도 및 제1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허브(27)는 외주면에 하나의 오목부(31)를 갖고 있으며, 그 오목부(31)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테이프스토퍼와 물리울수 있게 허브(27)의 외주면쪽으로 열려있다. 오목부(31)는 그 저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프니퍼(32)를 갖고 있고 양쪽벽에는 한쌍의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자기녹화테이프(5)의 한단부를 통하여 오목부(31)와 접촉하게 되는 테이프스토퍼(34)는 테이프니퍼(32)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만이라도 최소한 편탄한 하단부면(35)과 하단부면(35)의 양쪽에서 약간의 신축성을 갖는 한쌍의 탄성돌출부(36)를 갖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스토퍼(34)가 자기녹화테이프(5)의 단부를 통해 오목부(31)안으로 탄성돌출부(36)들은 양쪽다 안쪽으로 가압되어 압입하였을때 변형하여 오목부(31)의 돌출부(33)들을 각각 통과하여 들어가게 되므로 테이프스토퍼(34)를 오목부(31)에 끼워지게 한다. 오목부(31)에 끼웠을때 테이프스토퍼(34)는 돌출부(33)의 스토퍼로서의 기능으로 인하여 오목부(31)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자기녹화테이프(5)는 테이프니퍼(32) 및 테이프스토퍼(34)의 하단면(35)사이에서는 테이프스토퍼(34)의 가압력으로 고정되며 또한 탄성돌출부(36) 및 돌출부(33)사이에서는 각각의 탄성돌출부)36)의 탄력으로 고정됨으로서 자기녹화테이프(5)의 단부는 허브(27)와 접촉하게 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허브(27)는 그 상부에 상부플랜지(29)를 허브(27)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합돌출부(27)와 리일(6)의 중앙돌출부(38)를 갖고 있다. 투명의 합성수지로 된 상부플랜지(29)는 허브(27)의 접합돌출부(37) 및 중앙돌출부(38)를 끼우게 되어 있는 구멍(39)을 갖고 있다(제14도 참조).
접합돌출부(37) 및 중앙돌출부(38)를 구멍(39)에 끼운 후에 접합돌출부(37)의 상단부는 상부플랜지(29)에 가열처리로 접합시켜서 그 상부플랜지(29)를 허브(27)에 고정시킨다. 중앙돌출부(38)는 구멍(39)을 통과하여 상부플랜지(29)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제16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허브(27)는 그 하방에 녹화재생기기의 구동축을 끼우기 위한 오목부(40)를 갖고 있으며, 그 오목부(40)는 자기녹화테이프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그 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41)를 갖고 있다. 리일(6)을 하부(1B)의 일정한 위치에 놓았을때 허브(27)의 오목부(40)는 하부(1B)의 관통구멍(4)에 적절히 놓이게 된다. 상부(1A)의 일정한 위치에 리일(6)을 놓았을때, 회전방지멤버(18) 및 스프링멤버(24)는 각기 선회축(15)과 물리게 되고 회전방지멤버(18)의 포올(21)은 리일(6)의 돌기(30)에 물려서 리일(6)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방지멤버(18)의 리시이브멤버(20)의 극부(22)는 제7도, 제12도 및 제18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형의 구멍(16)위에 위치하게 된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장착하고 그 안으로 내리눌렀을때 표준형 핀(42)(제12도 및 제19도)의 상단부는 원형의 구멍(16)을 통과하여 회전방지멤버(18)의 리시이브멤버(2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리시이브멤버(20)는 하단부에 경사부(23)를 갖고 있기 때문에 리시이브멤버(20)들이 표준형 핀(42)로 인해 스프링멤버(24)의 탄성복귀력에 저항하여 늘어나서 회전방지 멤버(18)가 선회축(15)을 축으로 하여 하부(1B)의 후면벽(11)쪽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울(21)은 리일(6)의 돌기(30)로 부터 이탈하여 리일(6)을 회전방지로 부터 해정한다(제19도 참조). 원형구멍(16)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리시이브멤버(20)에 곡부(22)를 마련함으로서 회전방지멤버(18)는 표준형 핀(42)과 원활히 또한 확고하게 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는 규격핀(42) 및 하부(1B)의 원형구멍(16A), (16B)의 물립으로 인하여 녹화 또는 재생기기 내의 일정한 위치, 즉 표준위치에 적절히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 회전방지멤버(18A), (18B)는 각각 스프링멤버(24)의 탄력으로 규격핀(42)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며, 제19도의 화살표 K2에서 보는바와 같이 후방으로 자기녹화테이프카아르티지를 이동시켜서 규격핀(42)의 반대쪽(42B)이 구멍(16B)의 내주면 언저리에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함으로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적정한 과정을 확고히 한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로 부터 떼어낼때 규격핀(42)은 원형구멍(16)으로 부터 이탈하게 하여 회전방지멤버(18)를 스프링멤버(24)의 복귀력으로 리일(6)에 반하여 회전하게 하며, 포울(21)은 다시 리일((6)의 외주면의 돌기와 물리우게 하여 리일(6)의 회전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멤버(18)의 리시이브멤버(20)는 편면도상으로 L형으로 된 곡부(22)를 갖고 있으나, 그 곡부(22)는 편면으로 볼때 Ω형이 되게 할수도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 경사부는 리시이브멤버(20)의 하단부의 거의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어 있지만, 그 경사부(23)는 곡부(22)의 하단부와 그 인접에서만 마련할수도 있다.
제6도, 제8도 및 제2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화재생기기에 대한 카아트리지의 잘못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멤버(도해없음)를 물리우는 식으로 끼우기 위한 하나의 홈(43)이 하부(1B)의전면벽(9B)의 하부에 그 중앙으로 부터 약간 편심된 위치로 마련되어 있다. 홈(43)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부(1B)가 사다리꼴로 융기(44)와 함께 저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융기부(44)의 전면벽(9B)을 지나서 연장되면서 자기녹화테이프(5)를 정상위치에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자기녹화테이프(5)를 정지시키는 동안에 자기녹화테이프리지의 전면을 따라 뻗어있는 테이프(5)의 중간부는 융기부(44)에 의해서 약간 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제6도 및 제20도 참조).
하부(1B)는 또한 전면벽(9B)과 거의 편행으로 뻗어있는 지지돌출부(45)한쌍을 전면벽(9B)의 후방쪽으로 갖고 있으며, 그 지지돌출부는 각각 상부면에 홈 모양의 베어링(46)들을 갖고 있다.
장방형의 부분을 가진 록레버(47)는 그 로크레버의 양쪽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핀에 의해 지지돌출부(45)들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걸쳐있으며, 그 핀들은 베어링(46)의 홈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록레버(47)의 상세한 것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융기부(44)에 인접해서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있는 릴리이스핀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46)은 그 깊이가 회전핀(49)의 직경의 크기와 거의 같은 깊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핀(49)은 지지돌출부(45)의 상부면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함이 없이 베어링(46)의 홈에 완전히 끼워질 수 있다. 상부(1A)는 그 내부면에 또한 하부(1B)의 지지돌출부(45)에 대면하는 지지돌출부(62)한쌍(제30도 참조)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상부(1A)의 지지돌출부(62)는 편면의 하부면을 갖고 있다. 상부(1A) 및 하부(1B)를 조립할때 회전핀(49)은 흔들리지않고 지지돌출부(45), (62)사이에서 회전식으로 지지되어 있다(제22도 참조).
제21~제2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록레버(47)는 그 한쪽 단부에 판 모양의 가압멤버(50)를 갖고 있으며, 그것은 경사연결판(50a)을 통하여 레버(47)의 중간부(47a)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가압부(50)의 높이는 중간부47a)보다 낮게 되어있다. 록레버(47)의 바른쪽 단부에는 스톱멤버(51)가 있고, 그 멤버(51)는 중간부(47a)의 바른쪽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판(51a)한쪽 단부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록레버(47)는 베어링(45)에 걸려있게 되어 있어서 가압멤버(50)는 하부(1B)의 저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8)바로 위에 대면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톱멤버(51)는 전면벽(9E) 및 연결벽(9F)으로 형성된 모서리 근처에 위치해 있다.
주름진 모양으로 구부린 판스프링(63)은 록레버(47)의 스톱멤버(51)와 연결벽(9F)사이에 끼워적 있어서 록레버(47)는 판스프링(63)에 의해 탄성적으로 편심이 되어서 가압부(50)로 관통구멍(48)을 갖게 되어 있다. 록레버(47)의 스톱멤버(51)는 판스프링(63)과 이끌어지는 식으로 접촉하여서 그 스톱멤버(51)가 판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그 판스프링 쪽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록레버(47)는 이제 닫힌 상태로 놓인 뚜껑부(3)의 열리는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4도~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회전식 뚜껑부(3)는 길게 편면의 전면판(52)이 그 전면판(52)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판(53) 및 상부판(53)과 같은 방향으로 전면판(52)의 양단부로 부터 돌출된 한쌍의 단부판(54)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에서 보이는 단부판(54)과 바른쪽에서 보이는 또 하나의 단부판(54)은 각각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1선회핀(55) 및 제2선회핀(56)을 갖고 있다. 회전식 뚜껑부(3)는 상부(1B)의 양쪽면에 형성된 접수구멍(57)(제39도)에 회전식으로 물러있는 선회핀(55) 및 (56)과 함께 상부(1A)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회전식 뚜껑부(3)는 코일스프링(65)에 의해서 닫힌 상태로 계속 탄성적으로 편심되어 있으며, 그 코일스프링(65)은 제1선회핀(55)에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한쪽의 곡단부(64A)는 선회식 뚜껑부(3)와 접촉하여 있고 다른쪽 곡단부(64B)는 상부(1A)와 접촉하여 있다.
제5도와 제24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로카 재생기기의 잘못된 삽입방지부를 끼우기 위한 오목부(58)가 한부(1B)와 홈(43)에 대면하는 위치로 뚜껑부(3)의 전면판(52)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녹화 또는 재생기기의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 호울터 내에 마련된 작정부(도해없음)를 끼우기 위한 오목부(59)한쌍의 전면판(52)의 하부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5도 및 제26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판(53)은 그 측면테 록레버(47)에 대면되는 부분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고리형멤버(60)를 갖고 있다. 그 고리형멤버(60)는 상부(1A)에 형성된 구멍(61)을 통과하여 록레버(47)의 스톱멤버(51)쪽으로 연장되어 있다(제4도 및 제28도 참조).
회전식 뚜껑부(3) 및 록레버(47)의 작동은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21도, 제22도, 제28도 및 제30도에서 회전식 뚜껑부(3)는 닫힌 상태로 보이고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구멍(48)은 판스프링(63)의 압력으로 인하여 록레버(47)의 가압멤버(50)로 덮는다. 제2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톱멤버(51)는 회전식 뚜껑부(3)의 고리형 멤버(60)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여 있어서 그 회전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스톱멤버(51)와 고리형멤버(60)의 접합으로 인하여 회전식 뚜껑부(3)는 외부힘으로도 열리지않도록 닫힌 위치로 록된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장착하였을때 릴리이스핀(666)(제22도)이 먼저 길게 관통구멍(48)에 워끼져서 판스프링(63)의 탄성에 저항해서 가압부(50)를 상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그러므로 제22도와 화살표 K1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회전핀(49)을 축으로 하여 시계바향으로 록레버(47)를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판스프링(63)이 압축되고 스톱멤버(51)는 제28도 및 제29도에서와 같이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스톱멤버(51)는 고리형멤버(60)로 부터 이탈하여서 뚜껑부(3)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나서 제30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회전식 뚜껑부(3)의 하단부는 뚜껑열기멤버(67)에 의하여 위로 밀려서 회전식 뚜껑부(3)를 닫는 역할을 하는 코일스프링(65)의 팽창력에 저항하여 열리게 되며, 열렸을때에는 회전식 뚜껑부(3)는 제30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오게 된다. 회전식 뚜껑부(3)는 그 하부면의 양단부에 뚜껑열기멤버(67)에 의한 뚜껑부(3)를 용이하게 열수있도록 뚜껑열기멤버(67)와 맞물리게 한 평판(102)들을 갖고 있으며, 그 평판(102(의 각기는 중심부에 상부판(53)근처로 연장되는 작은 구멍(101)을 갖고 있으며, 그 구멍(101)은 평면판(102)을 형성하는 단부판(54)의 성형하는 동안에 수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제24도 참조).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로 부터 떼어낼때에 뚜껑열기멤버(67)로 부터 분리하여 회전식 뚜껑부()3는 코일스프링(65)의 복귀력으로 닫혀진 위치로 회전한다. 또다른 한편으로 릴리이스핀(66)은 하부(1B)의 관통구멍(48)으로 부터 이탈되어서 스톱멤버(51)가 고리형 멤버(60)의 회전방향의 앞쪽의 판스프링(63)의 복귀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가열되어 그 가압멤버(50)가 구멍(48)의 개방부를 닫아서 로킹작용을 완성하는 동안에 고리형멤버(60)와 같이 접촉하게 되어 있다.
고리형멤버(60)와 접촉하게 되는 스톱멤버(51)의 측면(68)은 그 멤버(60)의 회전방향 전방으로의 스톱멤버(51)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가급적이면 경사지게 하거나 둥그렇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스프링(53)은 스톱멤버(51)의 후방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가압멤버(50)는 그 가압멤버(50)와 상부(1A)사이에 코일스프링과 같으 스프링멤버를 끼움으로서 구멍(48)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제44도 및 제45도는 뚜껑 록멤버(47)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릴리이스핀(66)이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로 끼워졌을때 록멤버(47)는 고리형멤버(60)로 부터 멀어져가는 빗금친 부분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여서 스톱멤버(51)와 고리형멤버(60)사이에 록이 해제된다.
제46도는 또 하나의 록멤버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것의 록멤버(47)는 구멍(48)에 대면한 한쪽 단부(471A)를 가진 선회핀(472)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1차 물리게멤버(471)와 1차 물리게멤버(471)에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부면이 고리형멤버(60)아래에 놓여진 2차 물리게멤버(473)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474)은 선회핀(472)에 헐겁게 끼워져 있고, 그 스프링의 한 단부는 2차 물리게멤버(473)와 물려있고 다른 단부는 고정멤버(도해없음)와 물리어 있어서 고리형멤버(60)가 닫힌 위치에서 회전식 뚜껑부(3)를 록하도록 2차 물리게멤버(473)와 대면하게 되는 정상위치로 록멤버(47)를 편심되게 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치배열로 카아트리지케이스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장착할때 릴리이스핀은 구멍(48)을 통해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로 끼워져서 선회핀(472)을 축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록멤버(47)를 회전하게 하며, 그런 후에 2차 물리게멤버(473)를 고리형멤버(60)로 부터 떼어내서 열린 위치로 뚜껑부(3)의 회전을 하게 한다.
2차 물리게멤버(473)의 저부면과 올려진 부분(44)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은 돌출부(475)를 2차 물리게멤버(473)의 저부면에 마련할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476)가 1차 물리게멤버(471)와 물리도록 하부(1B)의 저부면에 돌출되어 있어서 정상위치를 초과하여 시계방향으로 록멤버(4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제5도 및 제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형의 관통구멍(69)이 관통구멍(48)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고 하부(1B)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48)과 관통구멍(69)은 한쌍을 이루어서 녹화 또는 재생기 내에 일정한 위치에 자기 또는 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좌정시키기 위한 좌정 보조핀(도해없음)을 끼우게 되어 있다.
제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부(1B)는 전면부의 양단부 부분에 고착용 스쿠르로 각각 나착되어 있는 한쌍의 보스(14C), (14D)를 갖고 있으며, 전면 내부벽(7A), (7B)교차점의 전면쪽의 대략 중심부에는 유사한 보스(14E)를 갖고 있다.
하나의 중공핀(70)은 보스(14C), (14D) 각각의 바깥쪽으로 회전식으로 끼워져 있어서 각기의 중공핀(70)은 자기녹화테이프(5)가 돌아갈때에 그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각기의 보스(14C)와 (14D)가 중공핀(70)의 지지멤버로서 작용함으로서 테이프 안내멤버로 점유된 공간이 그 테이프 안내멤버가 고착용 스쿠르에 대한 각각의 보스로 부터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에 비교하였을때 감소시킬 수가 있다.
구멍(72)이 중공핀(70)의 후방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자기녹화테이프(5)의 전방 및 후방 단부를 탐지하기 위한 원통의 광원(71)을 끼우게 되어 있다.
제3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1A)는 하부(1B)의 구멍(72)에 대면하는 위치에 원통의 광원(71)들을 끼우기 위한 한쌍의 오목부(73)를 갖고 있다. 또한 상부(1A) 및 하부(1B)의 측면벽(10) 및 (74), 관통구멍(72) 및 오목부(73)에 대면하는 위치에 반원형 오목부(75)를 가지고 있어서 제2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1A) 및 하부(1B)를 조립할때에 광원(71)을 끼우기 위한 원형구멍(75)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끼울때에 원통형 광원(71)을 구멍(72) 및 오목부(73)에 끼우며 광원(71)에 대면하는 광전 다이오우드를 가진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를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의 측면부에 놓는다. 작동중에 자기녹화테이프(5)는 광원(71)과 광리시이브 엘레멘트(76)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주행하며 자기녹화테이프(5)의 전후방 단부를 폴리에스터필름으로된 광투과성 리더테이프(도해없음)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5)의 전면단부는 제7도의 왼쪽부에 있는 관통구멍(72)에 끼워진 원통형 광원과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로 탐지되며, 그 테이프(5)의 후단부는 제7도의 바른쪽에 있는 관통구멍(72')에 끼워진 광원 및 광리시이브 엘레멘트(76')로 탐지된다.
즉, 자기녹화테이프(5)의 전단부는 리더테이프와 자기녹화테이프(5)를 향하여 조사된 광선의 투과로 부터 차단의 광학적 변화를 감지하는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로 탐지되며 자기녹화테이프(5)의 후단부는 차단으로 부터 투과로 변하는 광선의 광학적 변화는 광선의 광학적 변화를 감지하는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로 탐지된다.
어떠한 소음으로 부터도 피해받지않고 자기녹화테이프(5)의 전후방 단부들의 광학적 탐지를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 있다.
첫째, 감지레버 즉, 원통형 광원 및 광리시이브엘레멘트들이 독립적으로 전단부를 탐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전용으로 후단부를 탐지하기 위한 것들로 배치되어 있다.
둘째, 관통구멍(72)이 하부(1B)의 측면벽(10)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어서 광원으로 부터 광리시이브 엘레멘트(76)까지의 광통로의 거리를 가능한한 단축하게 하고 있다.
셋째, 하나의 원통형 방패벽(77)이 광통구멍(75)에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창(77A)을 갖고 관통구멍(72)둘레에 형성되어 있어서 광의 분산을 방지하면서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에 대한 원통형 광원 광지향성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넷째, 자기녹화테이프(5)의 감기는 양을 표시하도록 상부(1A)에 형성되어 있는 창(78)을 통과하는 외부 광으로 부터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1A)의 전면 내부벽(7A), (7B)은 서로간에 측면벽(10)근처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1A)의 전면내부벽(79A), (79B)은 또한 측면벽(74)근처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어서 광리시이브엘레멘트(76)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창(78)에 들어오는 외부 광을 방지하게되어 있다.
다섯째, 돌출된 핀의 형태로 된 핀형의 1차 안내멤버(80) 및 자유롤러(81)의 형태로 된 2차 안내멤버가 자기녹화테이프(5)에 대한 안내멤버 중의 하나로 역할을 하는 중공핀(70)과 리일(6)사이에서 로카테이프(5)의 통로를 따라 연차적으로 마련되어 있어서 자기녹화테이프(5)를 1차 및 2차 안내멤버(80) 및 (81), 그리고 3차 안내멤버로서 역할을 하는 중공핀(70)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주행케 함으로서 자기녹화테이프(5)가 관통구멍(72) 및 오목부(73)의 외주면 근처에서 안내되어 광원(71) 및 자기녹화테이프(5)사이의 간격을 가능한한 단축시키고 있다.
자기녹화테이프(5)는 비교적 짧은 거리를 1차 및 2차 안내멤버(80), (81)와 중공핀(70)을 지그재그식으로 운반됨으로 정지하였을 때에 관통구멍(72)의 근처에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으며, 자기녹화테이프(5)의 단부는 주행 시작과 동시에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안내멤버(80), (81)과 중공핀(70)의 모양은 작동 중의 자기녹화테이프(5)에 대한 인자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방패멤버로서 역할을 하는 전면내부벽(7A), (7B), (79A) 및 (79B)는 본 실시예에서 상부(1A)및 하부(1B)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들 전면내부벽을 그 상하부중 하나의 부분에만 마련하여 다른쪽 부분의 근처로 연장하게 할수도 있다.
제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부(1B)에 있는 보스(14E)는 기타 보스(14A)내지(14D)와는 달리 두개의 리일(6)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비교적 리일(6)근처에 있다. 안내멤버(81)(제7도)가 상부(1A)및 하부(1B)에 조립중에 보스(14A)와 나사로 물리워질때 사용된 합성수지의 조각이 상, 하부(1A), (1B)의 접합부에 있는 간격을 통하여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로 돌아가서 자기녹화테이프(5)를 손상케 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내부벽(7A), (7B)을 길게 늘어지게 하여 보스(14E)와 리일(6)의 주면 언저리 사이에 있는 위치에서 연결하게 하여 보스(14A)를 전면내부벽(7A), (7B)과 전면벽(9B)으로 형성된 챔버(83)에 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보스(14E)는 리일(6)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3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각각의 리일(6)에 감길 테이프(5)의 양을 알기 위한 창(78)은 양쪽 리일(6)위로 걸치게 되는 비교적 긴 투명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배로 사용할때의 자기녹화테이프(5)의 상태는 리트렉트리일(6)과 테이크업리일(6')사이에서의 테이프(5)의 감기는 양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서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창(78)의 부품수와 그 부품들을 상부(1A)의 장착하는 공정을 단축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판(84)을 제3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창(78)과 상부케이스(2)의 후면벽(55)사이에 마련하였다.
대체로 U형의 스프링판(84)을 상부(1A)의 저부면에 교착시켜서 하부(1B)쪽으로 양쪽의 리일(6)들을 누르게 한다. 그 스프링판(84)은 예로서 스테인리스강의 박판으로 만들어져 있고, 제33도 및 제35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평면도로 볼때 거의 U형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86) 및 리일(6)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압멤버(87)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멤버(87)는 리일(6)의 중앙돌출부(38)의 뾰죽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평면부(88)를 가지고 있다.
제3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부(1A)는 스프링판(84)에 대면하는 내부면에 스프링판(84)의 수직운동의 허용범위를 넓게 하기 위하여 얕은 오목부(89)를 갖고 있다.
제37도 및 제38도는 각각 평면도상에서 볼때 대체로 V형을 하고 있는 스프링판(84)의 변형을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판(84)은 창(78)과 상부(1A)의 후면벽(85)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선행기술에서 설치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리일(6)의 좌정을 조정하기 위한 중앙 후면벽을 형성할 공간이 없게 되어 있다. 그러한 조정벽을 전술한 바와같이 하부(1B)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안로배 상부(1A)의 후면벽(85)의 중앙부는 내충격성의 관점에서는 약할수가 있으며 상부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상부(1A)를 주형으로 부터 떼어낼때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후면벽(85)은 보강리브(90)(제33도 및 제34도 참조)를 내부로 일체로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하부(1A), (B)는 또한 각기 보스(14E)와 방패벽(77)의 내충격성을 개선하고 그것들이 상부(1A)와 하부(1B)를 성형후에 해당 주형으로부터 떼어낼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리브(90)를 갖고 있게 하였다. 보강리브(90)를 마련하는 것을 상하부(1A), (1B)를 성형하는 주형내에서 합성수지의 유동성을 더 개량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조립순서는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리트렉트리일(6)및 테이크업리일(6')은 하부(1B)에 있고 자기녹화테이프(5)는 소정의 상태로 그 위에 끼워진다.
그리고나서 상부(1A)를 하부(1B)와 같이 조립되게 놓고 테이프스쿠트(82)로 함께 고착시킨다. 이와는 별도로 회전식 뚜껑부(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5)의 코일형 부분(91)을 회전식 뚜껑부(3)의 제1선회핀(55)에 헐겁게 끼운다.
제41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코일스프링(65)은 코일형 부분(91)의 양쪽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행으로 구부러진 단부(64A), (94B)를 형성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자유단부를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코일스프링(65)의 코일형 부분(91)은 제1선회핀(55)에 헐겁게 끼워져 있고, 한쪽에 구부러진 단부(64A)는 회전식 뚜껑부(3)의 상부판(53)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92A)에 끼워지고 한편으로 또 한쪽의 구부러진 단부(64B)는 코일스프링(65)의 탄성에 저항하여 수동으로 위쪽으로 올리게 한다.
이런 상태에서 회전식 뚜껑부(3)의 제1선회핀(55)은 제3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1A)의 측면벽(74)에 형성된 지지구멍(57)안으로 끼워지고 코일스프링(65)의 다른쪽 구부러진 단부(64B)는 상부(1A)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92)에 끼운다(제32도 및 제41도 참조). 그런 후에 회전식 뚜껑부(3)는 약간 구부러지고 제2선회핀(56)은 상부(1A)의 측면부(74)에 형성된 하나의 지지구멍(57)에 끼워진다.
제2선회핀(56)의 원활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회전식 뚜껑부(3)는 신축성을 갖도록 아크릴니트릴 스틸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수지와 같은 아크릴-니트릴 합성수지로 만들수도 있으며, 제36도 및 제39도 및 제4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안내홈(93)은 상부(1A)의 측면벽(73)의 단부로 부터 지지구멍(57)쪽을 향하여 마련할수도 있다. 안내홈(93)은 제4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방에서 경사지게 하여 상부(1A)의 측면벽(73)의 단부 근처의 측면이 지지구멍(57)근처의 측면보다 더 깊게 한다.
제2선회핀(56)을 지지구멍(57)에 물리우게 하여서 회전식 뚜껑부(3)에 형성된 하향으로 뻗어지는 고리형멤버(60)를 상부(1A)에 형성된 구멍(61)을 통하여 카아트리지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식 뚜껑부(3)는 상부(1A)에 회전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코일스프링(65)의 보건력으로 닫혀진 위치로 편심되게 한다. 또 한편으로 상부(1A)의 내측으로 이렇게 꽂아진 고리형멤버(60)의 자유단부는 스톱멤버(31)의 후단부와 물리게 되어 뚜껑부(3)가 닫힌 위치에 록되게 한다. 이렇게 하여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조립은 완료된다.
구멍(92A), (92B)에 인접해서 각각 회전식 뚜껑부(3)로 부터 상부(1A)로 연장되는 코일스프링(65)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리시이브홈(94)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스프링이 회전식 뚜껑부(3)의 상부면과 상부(1A)를 지나서 돌출하지않도록 되어 있다. 선회핀(55), (56)의 외주면에는 아무런 돌출멤버도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회핀(55), (56)의 상하부(1A) 및 (1B)가 후술하는 방식으로 서로 조립된 후에 지지구멍(57)에 끼워질수도 있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기녹화테이프(5)는 카아트리지케이스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중앙부에서 하부(1B)의 높여진 부분(44)에 의해서 약간 높여져 있어서 자기테이프(5)가 제6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끼워넣었을때 리일(6)들은 리일(6)의 오목부(40)에 끼워진 구동축으로 인하여 스프링판(84)의 탄성에 저항하여 약간 윗쪽으로 올려지며 또한 자기녹화테이프(5)가 그에 따라 윗쪽으로 이동함으로 자기녹화테이프(5)의 저부 언저리는 올려진부분(44)으로 부터 분리되게 되어 있다.
자기녹화테이프(5)는 카아트리지케이스의 전면을 따라 주행할때에 특히 수직으로 넓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 높여진 부분(44)의 설치는 로카테이프(5)의 수직운동을 조정하여 테이프의 안정된 주행을 용이하게 하고 자기녹화테이프의 단부가 수직진동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하향으로 연장된 고리형멤버가 회전식 뚜껑부의 세로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을때에 비틀림에 의한 회전식 뚜껑부의 단부가 열리는 것은 그 뚜껑부를 열기 위한 외부 힘을 받았을때에도 재래식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의 경우와 비교해서 감소되며 그리하여 자기녹화테이프가 안정되게 보호하고 또한 높은 상업적 가치를 가진 고도의 신뢰성을 가진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록레버는 회전식 뚜껑부의 세로방향에 부합되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가진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위한 특별한 챔버가 필요하지않으며 테이프플레이어의 릴리이스판을 끼우기 위한 공간을 회전식 뚜껑부와 하부 사이에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록레버의 위치가 엄격히 제안되어 있지 않으므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릴리이스핀이 하부의 저면부로 부터 카아트리지케이스에 꽂아지므로 자기녹화테이프는 그릴리이스핀에 의해 손상을 받지않게 된다.
베이스 부분이 카아트리지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테이프리일 정지 탄성멤버가 녹화 및 재생기기의 규격핀의 외주면과 접촉하여서 대각방향으로 그 주면을 계속적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자기녹화테이프카아트리지는 녹화 또는 재생기기에 장치하였을때 수평으로 벗어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어서 위치에 대한 적절한 관계가 자기녹화테이프와 녹화 또는 재생기기의 마그네트헤드 사이에서 흔들리지않고 얻어지게 되어 있으며, 또한 탁월한 녹화 또는 재생의 특성을 얻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테이프리일 정지 탄성멤버가 규격핀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에 대면하는 관부에서 경사지게 되어 있을때 탄성멤버의 이동은 규격핀의 상단부와 접촉으로서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리일 정지 탄성멤버의 측면이 구부러졌을때 자기녹화테이프 카아트리지는 규격핀과의 탄성적인 접촉에 의해 또한 그 탄성멤버와의 곡부와의 규격핀의 주면의 일부의 물림에 의해서 일정한 위치로 더욱 확고하게 작정되어 유지될 수가 있다.

Claims (1)

  1. 테이프챔버를 지닌 카아트리지케이스(1)가 형성되게 조립한 상하부(1A), (1B)와 , 카아트리지케이스(1)의 하부(1B)저면에 형성된 구동축 삽입구멍(4)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게 테이프챔버에 수용된 하나의 리일(6)과, 상기 리일(6)의 전면벽(52)에 예정통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있는 자기녹화테이프(5)와, 상기 예정통로를 따라 위치하고 있는 자기녹화테이프(5)를 보호하도록 상기 통로를 닫아주고 전면벽(52)에 형성된 카아트리지케이스(1)에 절첩되게 설치한 뚜껑(3)과, 상기 뚜껑(3)에서 돌출되어 있고, 또 상기 뚜껑(3)의 회전에 따라 예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리형멤버(60)와, 카아트리지케이스(1)에 착설되고, 또 닫혀진 뚜껑(3)을 닫아주는 고리형멤버(60)와 분리 가능하게 물리는 스톱멤버(51)를 가지며, 또한 로킹멤버의 물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뚜껑(3)을 고리형멤버(60)로 부터 분리시켜 뚜껑(3)이 열려진 상태로 되게끔 레코오딩 또는 재생장치의 릴리이스핀(66)에 의하여 작동하는 록레버(47)와, 릴리이스핀(66)이 통과할 수 있게 하부(1B)저면내의 록레버(47)에 대항하는 구멍(48), 으로 구성된 자기테이프카아트리지에 있어서, 뚜껑(3)의 상부판(53)으로 부터 카아트리지케이스(1)의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리형멤버(60)와 카아트리지케이스(1)에 가동되게 설치된 록레버(47) 및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 스톱멤버(51)가 뚜껑(3)의 앞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프링(63), (63'), (63")등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고, 고리형멤버(60)와 하부(1B)사이에 형성한 공간에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KR2019850007414U 1980-07-28 1985-06-20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KR8500033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105599U JPS633032Y2 (ko) 1980-07-28 1980-07-28
JP55~105599 1980-07-28
JP1980105601U JPH0216463Y2 (ko) 1980-07-28 1980-07-28
JP55~125427 1980-09-02
JP55~125426 1980-09-02
JP55~105601 1980-09-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726 Division 1981-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351Y1 true KR850003351Y1 (ko) 1985-12-31

Family

ID=2644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414U KR850003351Y1 (ko) 1980-07-28 1985-06-20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33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5084B1 (en)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US3809219A (en) Tape cassette
GB2124012A (en) Disc cassette loading apparatus
EP0090573A1 (en) Tape cassette
JPH0620914B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ための容器
JPS6215906Y2 (ko)
EP0045085B1 (en)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JPS6220934Y2 (ko)
KR850003351Y1 (ko)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JPS6037738Y2 (ja) テ−プカセツト
US4864448A (en) Tape cassette
EP0384739B1 (en) Lid lock member for a tape cassette
JPS6215908Y2 (ko)
JPS6020222Y2 (ja) 磁気テ−プカ−トリツジ
JPS6017109Y2 (ja) 磁気テ−プカ−トリツジ
JPS6020221Y2 (ja) 磁気テ−プカ−トリツジ
JPS633032Y2 (ko)
JPH0216463Y2 (ko)
JPH0413799Y2 (ko)
KR100361406B1 (ko) 테이프카세트
JPS5819732Y2 (ja) 磁気記録再生機のカセット収納装置
JPS6213277Y2 (ko)
JPH0621094Y2 (ja) デイスクカセツト
JPS6316069Y2 (ko)
JPH064476Y2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3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