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918Y1 - 편물 바늘 - Google Patents

편물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918Y1
KR850002918Y1 KR2019830007242U KR830007242U KR850002918Y1 KR 850002918 Y1 KR850002918 Y1 KR 850002918Y1 KR 2019830007242 U KR2019830007242 U KR 2019830007242U KR 830007242 U KR830007242 U KR 830007242U KR 850002918 Y1 KR850002918 Y1 KR 850002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ire rod
knitted
hole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66U (ko
Inventor
히데가즈 오까다
Original Assignee
구로바아 가부시끼 카이샤
히데가즈 오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바아 가부시끼 카이샤, 히데가즈 오까다 filed Critical 구로바아 가부시끼 카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918Y1/ko

Link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물 바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편물 바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스토퍼어(Stopper)부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스토퍼어의 Ⅲ-Ⅲ선의 횡단면도.
제4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스토퍼어부의 종단면도.
제5도 제4도의 스토퍼어의 Ⅴ-Ⅴ선의 횡단면도.
제6도 제3실시예의 스토퍼어의 후단 단면도.
제7도 제4실시예의 스토퍼어부의 종단면도.
제8도 제7도의 스토퍼어의 Ⅷ-Ⅷ선 횡단면도.
제9도 제5실시예의 스토퍼어부의 종단면도.
제10도 선재(線材)의 말단부를 계지공에 계지(係止)되어 수장(收藏)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물 바늘 본체 (2) : 편물바늘 본체의 기단부(基端部)
(3) : 가요성 선재(可撓性線材) (4) : 스토퍼어(Stopper)
(5) : 선재의 말단부
(6) : 스토퍼어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
(7) : 선재삽통공(揷通孔) (8) : 계지공(係止孔)
(10) : 계지공의 내주벽 (11) : 계지단부(係止段部)
(12) : 요구(凹溝) (13) : 링체
(14) : 선재굴곡부(線材曲部)
본 고안은 강성(剛性)의 편물바늘 본체의 기단부에 가요성 선재를 연결하고 또한 이 선재위에 편물로의 일탈 방지용의 스토퍼어가 자유롭게 이동 되도록 지지시켜서 된 편물 바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다란 치수의 편물을 얻으려면 길다란 치수의 편물바늘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강성체로 된 길다란 치수의 편물 바늘을 사용하게되면 이 후단부가 편물작업자의 팔 부분등에 접촉되어 원활한 운침(運針)을 방해한다.
그래서 강성의 편물 바늘 본체의 기단부에 유연한 가요성 선재를 연결함으로써, 가령 편물바늘의 전장(全長)이 길다란 치수이므로 이 후단이 편물작업자의 팔등에 당접되어도 원활한 운침에 지장이 없도록한 편물바늘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류의 편물 바늘을 사용하게되면, 편성된 부분을 무릎위에 올려놓고 편물 작업을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 선재위에 지지되어 있는 편성부를 자유롭게 굴곡절첩(屈曲折疊)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가령편물 작업을 중단하였을 경우등에는 편성된 부분을 소형으로 절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어가 가요성 선재에 따라서 이동이 자유로우며, 마찰에 의하여 가요성 선재위의 임의의 위치에 계지케하는 것이 가능 하므로 편물의 길이에 따라서 편물 바늘의 필요길이 즉 강성 편물 바늘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스토퍼어에 이르는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으며, 편물의 치수에 대한 융통성을 현저하게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류의 편물 바늘을 비교적 짧은 편물에 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토퍼어를 강성의 편물 바늘 본체에 접근되도록 가요성 선재위를 이동시켜서 소정된 위치에 계지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가요성 선재의 편물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후단부분이 스토퍼어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볼품없을 뿐만 아니라 편물 부분에 걸려서 원활한 운침 작업을 방해하는 새로운 결점에 봉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물바늘 본체의 기단부에 가요성 선재를 열결하고 또한 이 선재에 편물코 일탈방지용의 스토퍼어를 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편물바늘에 있어서 전술한 스토퍼어에 그 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상술한 가요성 선재의 사용되지 않는 단부를 삽탈이 자유롭게 계지되는 계지공을 천설(穿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바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관한 편물 바늘은 편물 바늘 본체(1)의 기단부(2)에 가요성 선재(3)를 연결하며, 또한 선재(3)에 일탈 방지용의 스토퍼어(4)를 선재(3)에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마찰에 의하여 선재상의 임의의 위치에 계지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있다.
더구나 가요성 선재(3)의 단부(5)에는 스토퍼어(4)가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 부분을 구형상(球形狀) 턱 형상 기타의 적당한 형상으로 팽출시켜서 된 스토퍼어 일탈 방지수단(b)을 설치하고 있다.
스토퍼어(4)는 원하는 길이로 그 외형은 적당하게 정하면 된다. 스토퍼어(4)에는 가요성 선재(3)를 삽통하기 위한 선재 삽통공(7)이 천설되어 있다. 이 선재 삽통공(7)은 스토퍼어(4)를 가요성 선재(3)에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계지할 수 있도록 가요성 선재(3)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공경(孔徑)이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그렇게되면 스토퍼어(4)는 가요성 선재(3)와 선재 삽통공(7)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가요성 선재(3)의 임의의 위치에 계지되게 된다.
또한 스토퍼어(4)에는 상술한 선재 삽통공(7)외에 가요성 선재(3)의 단부(5)를 삽탈이 자유롭게 계지하여 수장하는 계지공(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공(8)은 선재 삽통공(7)과 연통(連通)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즉, 가령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삽통공(7)으로 부터 삽통된 가요성 선재의 일부분과 절곡반전(折曲反轉)시킨 선재단부(5)의 쌍방을 수장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으로 된 계지공(8)을 스토퍼어(4)의 후단면(9)으로 부터 천설하고 선재 삽통공(7)과 연통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게지공(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대략 장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형성하게되면 선재단부(5)를 수장하여 계지하는데 좋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공(8)의 내주벽(10)의 원하는 부위에 상술한 스토퍼어 일탈방지 수단(6)과 계합하는 계지단부(11)를 설치하게되면, 선재단부(5)를 보다 확실하게 계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와 같은 단부(11)는 가령,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지공(8)의 내주벽에 요구(凹溝)(12)를 천설하던가, 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지공(8)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된 링(ring) 체(13)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것을 계지공(8)에 삽입하여 그 내주벽(10)에 접착시키므로써 얻어진다. 더구나, 전술한 요구(12)는 계지공(8)의 내주벽(10)에 환형상(環形狀)으로 각설(刻設)하는 것이 가공하는데 편리하다.
더구나, 또한 그 개수는 1개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여러개로 할 수도 있다. 또 계지공(8)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삽통공(7) 근처에 별도로 천설하여도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계지공(8)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맹공(盲孔)으로 하여도 좋다. 더구나 이러한 경우, 계지공(8)의 공경은 스토퍼어 일탈 방지 수단인 팽출부(6)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해야 할 것이다. 계지공(8)에 삽입된 선재단부(5)는 선재(3)의 굴곡부(14)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계지공(8)내에 계지된다.
본 고안에 관한 편물 바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짧은 치수의 편물에 관하여 사용하여야 할 스토퍼어(4)를 가요성 선재(3)에 따라서 편물바늘 본체 기단부(2)에 근접 되도록 이동시켰을 때 스토퍼어(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가요성 선재(3)의 잉여 부분인 단부(5)를 반전형상으로 굴곡시켜서 계지공(8)에 삽입계지 할 수 있으므로 편물 바늘의 전장을 필요에 따라서 최대한 가요성 선재의 길이의 약 1/2까지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그 선재의 굴곡부(14)는 미끄러운 만곡형상을 나타내므로 이것이 편

Claims (4)

  1. 편물바늘 본체의 기단부에 가요성 선재를 연결하는 동시에 이 선재위에 편물코 일탈방지용의 스토퍼어를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시켜서된 편물바늘에 있어서, 전술한 스토퍼어에 천설한 선재 삽통공을 관통하고 스토퍼어 후단으로부터 돌출된 가요성 선재의 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공을 전술한 스토퍼어에 천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바늘.
  2. 전술한 계지공을 전술한 선재 삽통공과 연접(連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편물바늘.
  3. 전술한 계지공의 내주벽에 계지용 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편물바늘.
  4. 전술한 계지공을 전술한 선재 삽통공 근처에 별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편물바늘.
KR2019830007242U 1983-04-25 1983-08-16 편물 바늘 KR8500029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62590 1983-04-25
JP6259083U JPS59169390U (ja) 1983-04-25 1983-04-25 編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66U KR840006166U (ko) 1984-11-30
KR850002918Y1 true KR850002918Y1 (ko) 1985-12-09

Family

ID=3019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242U KR850002918Y1 (ko) 1983-04-25 1983-08-16 편물 바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69390U (ko)
KR (1) KR8500029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66U (ko) 1984-11-30
JPS59169390U (ja) 1984-11-13
JPH0318539Y2 (ko) 199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0187A (en) Knitting needle with a flexible cord
US6213987B1 (en) Shroud for a used hypodermic syringe needle
JP3047750U (ja) 自動格納針付き注射器
US3438223A (en) Stitch holder
US7566325B2 (en)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ATE163552T1 (de) Eine einwegspritze mit einer eingebauten gleitschutzkappe für die nadel
KR850002918Y1 (ko) 편물 바늘
KR970704382A (ko) 채혈용 란셋(blood sampling device)
ATE267622T1 (de) Stumpfer stift für nadelanordnung
KR920009285A (ko) 고정가이드 부착구조
US2850014A (en) Hypodermic needle
US2404855A (en) Cable-stitch holder
JP4009518B2 (ja) 摺動装置
JPS5915616Y2 (ja) トラカ−ル付内視鏡
JP3006158U (ja) 安全ピン
US4138864A (en) Cable stitch holder for knitting
US2694910A (en) Le roy
JPH07275256A (ja) 身体挿入用棒状体の固定具
JPH0542839Y2 (ko)
JPH0623462U (ja) 釣用携帯小道具
JPH0322768B2 (ko)
JP2001353219A (ja) 内視鏡用穿刺具
KR960005287Y1 (ko) 낚싯대 앞받침대용 홀더
JPS61176363A (ja) 内視鏡用注射具
JP3709037B2 (ja) 内視鏡用注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