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901Y1 -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901Y1
KR850002901Y1 KR2019830009989U KR830009989U KR850002901Y1 KR 850002901 Y1 KR850002901 Y1 KR 850002901Y1 KR 2019830009989 U KR2019830009989 U KR 2019830009989U KR 830009989 U KR830009989 U KR 830009989U KR 850002901 Y1 KR850002901 Y1 KR 850002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pply unit
terminal pin
pin materi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590U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9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901Y1/ko
Publication of KR850004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92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as a separa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슬라이더 4 : 안내봉
5 : 에어실린더 6 : 안내구
6' : 안내홈 7 : 보라켓
8 : 작동간 8' : 걸림부
8" : 경사면 9 : 축핀
10 : 공급유니트 11 : 비틀림스프링
12 : 멈춤유니트
본 고안은 같종 전자기기의 회로를 하나의 소형 판넬에 집적 축소한 프린트기판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 기판에 같인된 회로의 같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피을 절단성형하기에 앞서 그 단자핀 절단성형기에 소정의 단자핀재료를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연속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자핀은 프린트기판의 같 회로단부에 입설되어 이에 전자기기의 같 주요부품을 작동시키는 회로선들이 납땡이나 기타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단자핀을 기판에 설치해주는 방법은 기판상의 같 회로단부에 핀공을 뚫어 설치하여 이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성형된 개개의 단자핀을 인서어팅머신(INSERTING MACHINE)등을 사용하여 삽설시켜 주게 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최종적인 단자핀삽설작업에 앞서 소정의 선재로된 긴 단자핀재료를 절단기에 공급하여 일정길이의 단자핀으로 절단 성형해주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바로 상기의 단자핀 절단성형기에 단자핀재료를 정일길이만큼씩 안정되게 연속공급할 수 있는 장치인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고정대(1)(1')의 각 내측단에 평행입설한 한쌍의 지지대(2)(2')사이에 안내봉(4)을 수평연설하여 이 안내봉(4)상에 장방형의 슬라이더(3)를 좌우로 이동 자재토록 설치하고, 일측지지대(2')의 외측에 에어실린더(5)를 장착하되 이의 작동봉(5')을 지지대(2')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3)의 지지편(3')에 연결 고착하며, 상면중앙에 안내홈(6')을 요설한 안내구(6)를 한쌍의 브라켓(7)사이의 하단부에 고착하여 걸림부(8')와 경사면(8")을 가진형의 작동간(8)을 상기 브라켓(7)사이에 축핀(9)으로 유착하되 이 축핀(9)의 일측 연장부상에 비틀림스피링(11)을 권설하여 이의 일단(11')은 슬라이더(3)몸체에 타단(11")은 상기 작동간(8)의 상단부에 탄지시킴과 동시에 작동간(8)의 걸림부(8")하단이 전기 안내구(6)의 상면에 괘지되도록 한 공급 유니트(10)를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 부착 고정하고, 이와같이 구성된 공급유니트(10)와 동일한 구조의 멈춤유니트(12)를 상기 공급유니트(10)와 같은 높이상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고정대(1')측에 설치고정하며, 지지대(2)에는 안내구(6)의 안내홈(6')을 통하여 이송되는 단자핀재료(13)를 최종장소로 적의 안내할)수 있는 안내관(14)을 외측으로 설치하여서된 것이며, 미설명부호 13'는 상기 단자핀재료(13)상에 일정간격마다 형성한 노치부들이고, 15는 보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유니트(10) 및 멈춤유니트(12)에 관해 설명하면, 이들은 상호 꼭같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동일한 높이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공급유니트(10)는 에어실린더(5)의 작동을 따라 좌우로 수평왕복을 하게되는 반면 멈유니트(12)는 항시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들 공급 및 멈춤유니트(10)(12)의 각 작동간(8)은 스프링(11)에 의해 축핀(9)을 중심하여 항상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탄동하려함과 동시에, 그 걸림부(8')의 선단이 안내구(6)의 상면 내지 소정의 멈치핀에 괘지되어 있으므로 도면 제2도의 상태를 기준하여 스프링(11)의 탄발력을 거슬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다가 원위치할 수는 있으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치 못한다.
이러한 공급유니트(10) 및 멈춤유니트(12)의 설치상태는 노치부(13')가 형성된 단자핀재료(13)를 도면상 좌측으로만, 즉 일방향으로만 이송전진시킴과 동시에 그 역으로는 후퇴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들어 그 작동간(8)의 걸림부(8')선단이 단자핀재료(13)이 노치부(13')에 끼워진 공급유니트(10)가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단자핀재료(13)를 전진시키면 멈춤유니트(12)의 작동간(8)은 그 스프링(11)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자핀재료(13)의 몸통에 밀려 시계방향으로 탄동함으로써 이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고, 이후 상기 공급유니트(10)가 역으로 이동할시는 단자핀재료(13)는, 더이상 역회동하지 않는 멈춤유니트(12)의 작동간(8)에 그 노치부(13')가 끼워져 역으로의 이동이 방해되며 이 상태에서 공급유니트(10)는 반대로, 그 작동간(8)의 선단이 멈춤어진 단자핀재료(13)의 몸통에 밀려 시계방향으로 탄통케 되므로 이 작동간(8)의 걸림부(8')가 상기단자핀재료의 그 다음 노치부(13')에 걸릴때까지 도면상 우측으로 방해받지 않고 역이동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으므로 에어실린더(5)가 작동하여 이의 작동봉(5')을 전진시키면, 상기 작동봉(5')의 선단에 그 지지편(3')이 연결고착된 슬라이더(3)가 안내봉(4)을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 고착된 공급유니트(10)도 이를 따라 좌측으로 수평이동케 되는데, 이때 상기 공급유니트(10)에 설치된 작동간(8)의 걸림부(8')선단이 단자핀재료(13)에 형성한 노치부(13')에 끼워져 이 단자핀재료(13)전체를 상기 공급유니트(10)가 움직인 거리만큼, 즉 작동간(5')의 일행정 거리만큼 안내홈(6')을 따라 좌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에어실린더(5)를 역으로 작동시켜 그 작동봉(5')을 우측으로 회수하면 이를 따라 상기 공급유니트(10)도 우측으로 원위치 후퇴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단자핀재료(3)의 또 다른 노치부(13')가 전술한 바와같이 도면 제2도의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치않는 멈춤유니트(12)의 작동간(8)선단에 걸려 단자핀 재료(13)전체가 멈추어진 상태로 있게 되고 공급유니트(10)의 작동간(8)만 그 경사면(8")이 정지된 단자핀재료(13)의 몸체에 밀려 상기 작동간(8)전체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된 상태에서 공급유니트(10)만 역이동하게되며, 완전히 역이동하고나면, 스프링(11)의 탄발력으로 상기공급유니트(10)의 작동간(8)의 걸림부(8')선단이 그 다음 노치부(13')에 끼워져 다음 공급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이와같은 작동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린더(5)를 적의 조작하여 단자핀재료(13)의 노치부(13')와 노치부(13')사이의 거리만큼 그 작동봉(5')의 왕복행정을 연속반복하면, 상술한 공급유니트(10) 및 멈춤유니트(12)의 작용으로 단자핀재료(13)를 안내관(14)을 통해 목재한 바의 장소로 일정길이만큼씩 연속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프린트기판에 사용되는 단자핀을 절단성형함에 앞서 이 단자핀의 절단성형장치에 소정의단자핀 재료를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연속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린트기판 제작공정의 자동화 추세에 더욱 기여토록한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정정) 안내홈(6')을 가진 안내구(6)를 한쌍의 브라켓(7)사이의 하단부에 고착하여 그 상측에, 걸림부(8')와 경사면(8")을 가진형의 작동간(8)을 축핀(9)으로 유착하되 이 축핀(9)의 일측 연장부상에 상기 작동간(8)이 반시계방향으로 탄통되게 하는 비틀림 스프링(11)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간(8)의 걸림부(8')하단을 전기 안내구(6)의 상면에 괘접시켜서된 공급유니트(10)를, 에어실린더(5)에 의해 안내봉(4)을 따라 수평왕복운동 토록한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 부착고정하고, 상기 공급유니트(10)와 동일한 구조의 멈춤유니트(12)를 그 후방 동일한 높이상에 평향설치토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트기판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KR2019830009989U 1983-11-25 1983-11-25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KR850002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989U KR850002901Y1 (ko) 1983-11-25 1983-11-25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989U KR850002901Y1 (ko) 1983-11-25 1983-11-25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90U KR850004590U (ko) 1985-07-22
KR850002901Y1 true KR850002901Y1 (ko) 1985-12-04

Family

ID=1923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989U KR850002901Y1 (ko) 1983-11-25 1983-11-25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9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90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4382A (en) Trim and clinch device
KR850002901Y1 (ko) 프린트 기판(p.c.b)의 단자핀재료 공급장치
CN111403110A (zh) 一种连续刮漆生产线
US4078302A (en) Module board assembly fixture
DE4011604A1 (de) Elektrische buchsen- und sockelanordnung
US437204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terminal pins
JP2672342B2 (ja) ラジアルテーピング電子部品の供給装置
US3591911A (en) Machine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KR960025514A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
DE19962099A1 (de) Halbleitervorrichtung
EP0147953A2 (en) Wire sorting
EP0026370A2 (en) Device for inserting bars into tubes
DE50312870D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Werkstoffstangen zu einer Werkzeugmaschine
KR200156926Y1 (ko) 봉침된 원단의 해포와 연폭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한 연폭기의 봉침원단 해포장치
KR0174754B1 (ko) 홀더에의 펄스발생소자 조립장치
CN211064048U (zh) 一种圆柱凸轮传动的插件装置
KR920003151Y1 (ko) 프린트기판 공급장치
US3045619A (en) Apparatus for handling fusible materials
SU7057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монтажных проводов на печатной плате
DE2008342A1 (de) Mehrpolige Steckvorrichtung fur elek trische Leitungsverbindungen
CN207630089U (zh) 一种端子裁切装置
CN213259819U (zh) 一种方便更换主刀具机构的pcb锣机
KR830000726Y1 (ko) 부재 간헐 보내기 장치
KR920008846Y1 (ko) 자동선반용 공작물 자동이송장치
KR0157680B1 (ko) 코일스프링의 자동조립용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