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584Y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584Y1
KR850002584Y1 KR2019850010595U KR850010595U KR850002584Y1 KR 850002584 Y1 KR850002584 Y1 KR 850002584Y1 KR 2019850010595 U KR2019850010595 U KR 2019850010595U KR 850010595 U KR850010595 U KR 850010595U KR 850002584 Y1 KR850002584 Y1 KR 850002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wrench
handle member
fixed jaw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오 아이다
Original Assignee
아끼오 아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30003473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5682A/ko
Application filed by 아끼오 아이다 filed Critical 아끼오 아이다
Priority to KR2019850010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28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pivotally movable
    • B25B13/34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렌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렌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1부를 절재한 주요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1부를 절개한 주요부분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분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주요부분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렌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각구성부재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주요부분사시도.
제8도, 제9도는 제6도와 다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1부를 절개한 주요부분 평면도.
본 고안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래칫렌치와 같이 너트나 보울터머리등 죄어붙이는 부재에 고정턱 및 이동력을 맞물린 그대로, 죄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과의 양쪽방향에 대한 회동을 반복함에 따라서 죄어붙이는 부재를 연속적으로 죄어붙일수 있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렌치는 핸들부재와 고정턱 및 이동턱을 지닌 헤드부재가 일체로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기 때문에 헤드부재의 고정턱 및 이동턱을 죄어붙이는 부재에 맞물린 그대로, 핸들부재를 죄어붙이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죄어붙는 부재를 죄어붙일수 있으나, 그것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그 죄임이 느슨하게 된다.
그러므로 죄어붙이는 작업을 계속하여 실시하려면, 일단 죄어붙이는 방향으로 회동한 헤드부재를 죄어붙이는 부재에 대한 고정턱 및 이동턱의 맞물림의 교환을 하지 않으면 않되며, 연속적으로 죄어붙이는 것이 곤란하여, 작업능률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실정에 비추어 래칫렌치와 헤드부재를 죄어붙이는 부재로부터 하나하나 떼어내지 않아도 죄어붙이는 부재에 고정턱 및 이동턱을 맞물린 그대로 죄어붙이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과의 양쪽방향에 대한 회동을 반복하여 죄어붙이는 부재를 연속적으로 죄어붙이는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래칫렌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대형화해야 하고 값이 비싸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렌치가 지닌 결점을 배제하여 래칫렌치와 같이 죄어붙이는 부재를 연속적으로 죄어붙일 수 있고, 더우기 구조가 간단하여 싼 값으로 제작할 수 있는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한 목적은 핸들부재와 고정턱 및 이동력을 지닌 헤드부재와 이 헤드부재핸들 를 부재의 일단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심축과 전기한 이동턱이 고정턱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주는 가세부재와를 포함하고, 전기한 이동턱에 핸들부재의 일단부에 마련한 계합부와 통상상태에서 맞물려서 이동턱에 대한 이동을 억지하는 억지부를 구비하여, 헤드부재로 죄어붙이는 부재를 맞물린 그대로 핸들부재를 죄어붙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였을 때 전기한 억지부가 계합부에서 이탈하여, 이동턱이 가세부재의 가세하는 힘에 저항하여 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렌치를 제공함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그밖의 목적은 고정턱과 이동턱의 맞물리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른 사이즈의 죄어붙이는 부재에 대하여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기한 목적은 억지부로서 이동턱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동부재를 채용하고, 이 작동부재가 이동턱에 형성한 톱니와 맞물리는 조절나사와 이 조절나사에 지지되며 또한 핸들부재의 계합부와 이탈할 수 있는 억지부재를 포함하도록 되어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달성할 수 있다.
이제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려는 바, 제1도-제5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렌치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따. 이 렌치(1)는 헤들부재(2)와 헤드부재(3)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부재(3)는 고정턱(4) 및 이동턱(5)을 지니고 있어서 핸들부재(2)의 일단부에 연설한 지지판(6)에 중심축(7)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헤드부재(3)의 중심축(7)쪽에는 감압홈(8)이 형성되었으며, 감압홈(8)에는 지지판(6)의 중심축(7)쪽의 상반부가 감합되어 있다.
지지판(6)의 하반부와 대면하는 헤드부재(3)에는 슬라이드홈(9)이 형성되었으며, 슬라이드홈(9)에는 이동턱(5)의 기부(10)가 접동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다. 기부(10)는 이동턱(5)보다도 실질적으로 엷게 형성되어 있다.
기부(10)의 이동턱(5)과 반대방향의 단면(端面)에는, 이동턱(5)과 대략같은 두께의 억지부(11)가 형성되었으며, 이 억지부(11)는 지지판(6)의 하반부에 형성한 계합부(12)와 통상상태에서 맞물려서 이동턱(5)의 고정턱(4)에 대한 이동을 억지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부재(3)의 중앙부에는 한끝이 슬라이드홈(9)에 요형(凹形) 구멍(13)이 감압홈(8)과 대략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멍(13)에는 스프링(14)이 배설되어 있다. 스프링(14)과 구멍(13)을 대면하는 이동턱(5)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5)이 개장되었으며, 이동턱(5)이 고정턱(4)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주고 있다.
제5도는 전기한 실시예의 변형에에, 헤드부재(3)의 슬라이드홈(9)이 있는 하단면에 단면이자형 스프링받침판(17)이 연설되어 있다. 스프링받침판(17)과, 이동턱(5)의 기부(10)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8)이 개장되었으며 이동턱(5)이 고정턱(4)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주고 있다. 또, 지지판(6)의 상반부가 안팎면에 마련한 단부(19)에 따라 하반부보다 실질적으로 엷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억지부(20)가 억지부(1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전기한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죄어붙이는 부재인 너트(a)를 죄어붙이면 너트(a)의 대변(a1)을 헤드부재(3)의 고정턱(4)과 이동턱(5)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핸들부재(2)를 화살표의 아래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통상상태에서는 이동턱(5)의 기부(10)에 형성한 억지부(11)와, 지지판(6)의 계합부(12)가 맞물려서 고정턱(4)에 대한 이동턱(5)의 이동이 억지되어 있으므로 핸들부재(2)의 회동력이 고정턱(4)과 이동턱(5)에 작용하여 너트(a)를 회동시켜 죄어붙이게 된다. 나아가서, 너트(a)를 죄어붙이는 경우에는, 전기한 바와같이 너트(a)를 고정턱(4)과 이동턱(5)으로 맞물린 그대로, 제4도에서와 같이 핸들부재(2)를 지지판(6)의 중심축(7)쪽의 단면(端面)(21)이 헤드부재(3)의 감압홈(8)의 홈저면(22)에 접촉하는 일정한 각도, 화살표의 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따라 계합부(12)와 억지부(11)와의 맞물림이 벗어지게 되고, 또한 핸들부재(2)를 더욱 위방향으로 회동하려할때에 발생하는 반동력이 이동턱(5)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이동턱(5)이 스프링(15)의 탄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너트(a)의 맞물림이 느슨하여 진다.
그리고 그대로 핸들부재(2)를 너트(a)를 중심으로 하여 위방향으로 회동하면, 고정턱(4) 및 이동턱(5)은 너트(a)의 대각(a2)을 통과하고, 이때 이동턱(5)이 스프링(15)에 따라 고정턱(4)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통과하고 나면 너트(a)의 다음의 대변(a1)을 맞물리게 된다.
그런 다음, 핸들부재(2)를 일정한 각도 아래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지판(6)의 계합부(12)가 이동턱(5)의 억지부(11)와 재차 맞물리게 되고, 또한 지지판(6)의 단면(21)이 감합홈(8)의 홈저면(22)에서 이탈하여 본래의 통상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통상상태에서 재차 핸들부재(2)를 전기한 바와같이 아래방향으로 회동하여 너트(a)를 죄어붙인다. 전기한 바와같이 너트(a)에 헤드부재(3)의 고정턱(4) 및 이동턱(5)을 맞물린 그대로, 핸들부재(2)를 아래방향과 위방향과의 양방향으로 반복하여 회동함으로써 너트(a)를 점차로 강고하게 죄어붙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랜치(1)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너트(a)에서 헤드부재(3)를 하나하나 벗기지 않아도 반복된 회동을 하므로서 래칫렌치와 같이 너트(a)의 연속적으로 죄어붙일수 있으며, 작업능율도 현저히 향상한다. 더우기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싼값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6도에서 제9도까지에는 본 고안에 의한 렌치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렌치(31)는 멍키렌치라고 일컬는데 너트(a)를 맞무는 고정턱(34)과 이동턱(35)의 맞물리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기한 렌치와 기본적으로 상이하고 있다. 렌치(31)에 있어서 지지판(36)의 안팎면에 있어서의 연설기부에는 단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재(33)에는 지지부(36)의 단부(37)의 근방위치까지 감합하는 감합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홈(38)과 반대방향의 헤드부재(33)에는 슬라이드홈(39)이 형성되었으며, 슬라이드홈(39)에는 이동턱(35)의 기부(40)가 접동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다. 기부(40)는 이동턱(35)보다도 실질적으로 엷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길이방향으로 기어(41)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41)에는 조절나사(42)가 맞물려 있어서, 조절나사(42)에 따라서 기부(40)를 슬라이드홈(39)에 잇따라 접동시켜서 고정턱(34)과 이동턱(35)의 맞물리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절나사(42)는 헤드부재(32)에 형성된 장발형모양의 개구(43)안에, 가이드막대(44)에 감삽되어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막대(44)는 일단부가 헤드부재(3)에 나사붙이기 하였으며, 또한 다른 단부가 감합홈(38)와 연통하여 형성된 슬라이드홈(45)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홈(45)에는 조절나사(42)와 인접하여 가이드막대(44)의 그밖의 단부에 감삽된 슬라이드체(46)가 접동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다. 슬라이드체(46)에는 감합홈(38)에 접동할 수 있도록 회전을 지지하며, 또한 지지판(36)의 중심축(47)과 반대방향의 단부에 형성한 계합부(48)와 통상상태에 있어서 맞물려서 이동턱(35)의 고정턱(34)에 대한 이동을 억지하는 억지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46)는 요부(凹部)(50)를 마련하고 있다.
요부(50)와 가이드막대(44)의 다른 단부테두리에 마련한 정지플랜지(51)와의 사이에는 플랜지(52)를 개장하였으며 슬라아드체(46)를 조절나사(42)를 개재하여 이동력(35)이 고정턱(34)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주고 있다. (53)은 지지판(6)과 헤드부재(3)와의 사이에 개장한 스프링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면 제8도, 제9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조절나사(42) 및 슬라이드체(46)가 이동턱(35)에 반동하는 힘이 작용하였을때 이동력(35)과 함께 스프링(52)의 가세에 저항하여 가이드막대(44)를 정지플랜지(51)쪽으로 이동하고, 또 고정턱(34) 및 이동턱(35)이 너트(a)의 대면(a2)을 통과하였을때 이동턱(35)과 함께 이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에서 전기한 실시예의 작용과 상이하며 그밖에는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사이즈가 다른 너트(a)를 죄어 부치려면 조절나사(42)를 회동하여 이동턱(35)을 고정턱(34)에 대하여 이동하고, 고정턱(34)과 이동턱(35)의 맞물리는 간격을 조정한다.

Claims (1)

  1. 렌치(1)로서 핸들부재(2)와 고정턱(4) 및 이동턱(5)을 장비한 헤드부재(3)와 그 헤드부재(3)를 전기한 핸들부재(3)의 일단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심축(7)과 전기한 이동턱(5)이 고정턱(4)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주는 스프링(15)를 포함하여, 전기한 이동턱(5)에 전기한 핸들부재(2)의 일단부에 마련한 계합부(12)와 통상상태에서 맞물려서 이동턱(5)의 고정턱(4)에 대한 이동을 억지하는 억지부(11)를 지니고, 전기한 핸들부재(2)로 죄어붙이는 부재를 맞물린 그대로 핸들부재(2)를 죄어붙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였을때, 전기한 억지부(11)가 전기한 계합부(12)에서 이탈하여 이동턱(5)이 스프링(15)의 가세하는 힘에 저항하여 고정턱(4)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KR2019850010595U 1983-07-26 1985-08-20 렌치 KR850002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595U KR850002584Y1 (ko) 1983-07-26 1985-08-20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473A KR840005682A (ko) 1982-08-19 1983-07-26 렌 치
KR2019850010595U KR850002584Y1 (ko) 1983-07-26 1985-08-20 렌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473A Division KR840005682A (ko) 1982-08-19 1983-07-26 렌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84Y1 true KR850002584Y1 (ko) 1985-10-24

Family

ID=2662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595U KR850002584Y1 (ko) 1983-07-26 1985-08-20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5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943A (en) Chain saw bar tightener
US6135435A (en) Woodworker's vise
US4976298A (en) Anti-kickback hold down device
US5503581A (en) Apparatus for adjustable fin and fin block
US6079683A (en) Angle adjustable support for a sun-shade device
JPS59161242A (ja) クランプ装置
KR20030046466A (ko) 칩 제거 공구
KR850002584Y1 (ko) 렌치
US4325275A (en) Adjustable open-end and box-end wrench
CA1227958A (en) Wrench
JPH0453683A (ja) バイス
JPH0640292Y2 (ja) ドアの振動音防止構造
JPH09193717A (ja) 車両用物品キャリア
JP2596095Y2 (ja) フロアーヒンジのセメントケース内位置決め調整装置
JP2009133363A (ja) クランプ
JPS6324281Y2 (ko)
JP3060202B2 (ja) コンベアフレームのサイドカバー
JP319586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の取付装置
KR850001565Y1 (ko) 회전위치 조정용 핸들
SU16273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ма
JPS5920911Y2 (ja) 締結装置
KR910001431Y1 (ko) 마이크로폰 (Micro phone) 고정장치
KR800002093Y1 (ko) 멍키 스패너
KR900002026Y1 (ko)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JP2001003920A (ja) 突起ダブル締付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