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467Y1 -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467Y1
KR850002467Y1 KR2019830011121U KR830011121U KR850002467Y1 KR 850002467 Y1 KR850002467 Y1 KR 850002467Y1 KR 2019830011121 U KR2019830011121 U KR 2019830011121U KR 830011121 U KR830011121 U KR 830011121U KR 850002467 Y1 KR850002467 Y1 KR 850002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tape
elevator
rod
ca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918U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1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467Y1/ko
Publication of KR850004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제1도는 기존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구성원리도로서,
제1(a)도는 스틸테이프 전괘식(全掛式) 구성도.
제1(b)도는 스틸테이프 반괘식(半掛式) 구성도.
제2도는 제1(a)도, 제1(b)도의 카(Car)측 스틸테이프 이상검출 장치도.
제3도는 종랭의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구성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구성사시도.
본 고안은 에리베이터의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는 건물층수, 건물층고를 실제와 똑같이 축척하여 놓고 엘리베이터가 상, 하로 운행할 때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가 승강로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여 제어반내 신호회로를 통해 운행에 관한 모든 지령을 하고 케이지 및 출입구측에 엘리베이터 운행방향 및 엘리베이터 운행방향 및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표시기 장치에 신호를 내보낸다.
이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는 스틸테이프 구동장치가 카아에 연결되어 카아가 운행됨에 따라 스틸테이프도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기계실에 위치한 구동플리를 회전시키고 이와 일체로 연동되는 스프로켈이 구동용 체인을 회전운동시켜 층제어기로 보낸다.
이 스틸테이프가 카아와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전괘식((全掛式)과 반괘식(半掛式)으로 구분되며 반괘식에서는 스틸테이프가 카아측에 위치한 스틸테이프 이상 검출장치와 카운터 웨이트에 위치한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사이에 서로 연결하여 카아의 움직임에 따라 스틸테이프도 움직여 층제어기에 전달하는데 이때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메인로우프의 늘어남의 보상과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때 스틸테이프가 인장력을 가져 다른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층제어기의 위치검출을 제1도와 같이 스틸테이프 장치를 이용하여 카아의 운행에 따라 스틸테이프에 전달되도록 하는데 제1(a)도와 같이 권상기 쉬브(1)에 메인로우프(4)가 감기고 그 양단부는 카아(2) 및 카운터 웨이트(3)에 결속되어 카아(2)가 움직이면 기계실에 위치한 구동플리(6)와 하방의 핏트(PIT)에 있는 핏트플리(7)사이의 스틸테이프(8)가 감기고 그 일단을 카아(2) 상단의 이상 검출장치(9)에 고정하여 구동시키는 방법을 전괘식이라하여 적용하나, 이를 구조면에서 개선하기 위하여 제1(b)도와 같이 반괘식 구성으로 적용되고 있다.
반괘식은 전괘식과 같이 권상기 쉬브(1)에 메인로우프(4)가 감기고 역시 그 양단을 카아(2) 및 카운터 웨이트(3)에 결속시켜 구동되게하며 스틸테이프(8)는 기계실에 위치한 구동플리(6)에 감긴상태로 그 일단을 카아(2) 측상부의 이상 검출장치(9)에, 타단은 카운터 웨이트(3)의 상부인장장치(11)에 고정시켜 카아(2)의 움직임에 따라 스틸테이프(8)가 연동되게 한 것이며, 이 움직임에 의해 구동플리(6)는 회전하고 이와 일체로된 스프로켓이 구동용체인(10)을 회전시켜 층제어기에 전달되게 한다.
또한 카아(2) 상부측에 위치한 스틸테이프 이상 검출장치(9)는 제도2와 같이 롯드(12) 상하부에 나사를 내고, 상부에는 스틸테이프 취부브라켓(13)이 넛트로 고정되며 이 상부에 스틸테이프(8)가 고정된다.
중간부에는 카아(2)축에 취부토록 취부판(14)이 위치하고 그 위에 케이스(17)를 볼트로 조립하고 케이스(17)측면에 이상 검출용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취부되어 있으며, 스틸테이프(8)의 인장력을 주기위해 취부판(14)하부에 방진고무(15)를 그 밑에는 스프링(16)을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이상 검출장치(9)에서는 평시에는 현수하중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는 스틸테이프(8) 및 롯드(12)의 인장력 때문에 스프링(16)이 차체에 고정된 취부판(14)에 받쳐져 제2도의 상태로 압축되어 있다가 이상원인 즉, 스틸테이프(8)의 탈선 또는 절단에 의해 위험이 발생하였을 때는 스프링(16)이 자유장으로 하강 복귀하므로 롯드(12) 및 그 상부에 위치한 카버(19) 역시 스프링(16) 힘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8)를 작동시켜 카아(2)를 비상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반대로 카운터 웨이트(3) 상부측에 위치한 종래의 스틸테이프 인장장치는 제3도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 사이드 플레이트(20)에 브라켓을 응접취부하고 가이드(22) 중간부를 볼트로 취부시키게 되어있고, 반괘식에서 감안해야하는 사항으로 메인로우프(4)가 현수하중에 의해 늘어나고 스틸테이프가 인장력없이 작동될 때 흔들림이 발생하여 승강로내의 다른 구조물과 접촉이 일어나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적당한 중량, 적당한 길이의 웨이트(23)를 사각으로 가공하여 가이드(22)를 삽입하고 그 상하부에 나이론 가이드(23')를 취부한후 웨이트(23) 상단에 스틸테이프 취부프라켓(24)을 연결하여 그 단부에 스틸테이프(8)가 결속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된 종래의 인장장치는 메인로우프(4)가 현수하중에 의해 늘어나므로 웨이트(23)는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보상해주고 웨이트(23) 중량에 의해 스틸테이프(8)에 인장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장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 및 취부성이 나쁘다. 더욱 자세하게는 웨이트(23)를 사각으로 기계가공해야 하고 중량이 무거워 작업성이 나쁘며 가이드(22)를 절곡하며 사각구멍을 가공해야하는 바, 약간의 상, 하 구멍오차가 있어도 웨이트(23) 동작에 문제가 있고 메인로우프(4)가 늘어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했을 때 비록 중간 가이드(25)가 있드라도 지탱력이 약하므로 반력에 의해 웨이트(23)가 이탈할 수 있는 확율이 크고 이로인한 사고발생의 위험도 많은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건물 행정에 따라 인장력이 달라져야 하나 종래 인장장치의 구조상으로는 조절장치가 없어 적당한 인장력을 스틸테이프에 걸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의 제4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인장장치는 카운터 웨이트 사이드 플레이트(20)에 ㄴ형 고정브켓트(26)을 볼트로 취부하고 이 브라켓트(26)의 구멍을 통해 롯드(28)를 끼워, 너트(29)로 고정시키며 롯드(28) 상단에는 로울러(31)를 가진 크레비스(30')를 결속시킨다.
또한 상방의 스틸테이프(8)와 연결되는 취부브라켓트(24)에도 상방에서와 같이 로울러(31)를 가진 크레비스(30')를 설치한후 이들 상, 하부 로울러(31)에 인장스프링(33)의 외단부(32), (32')를 걸어주며 플레이트(20) 후단에는 인장스프링(33)의 인장표준 눈금을 맞출 수 있는 조정지시판(36)을 입설하고 롯드(28)의 하단에는 이탈방지용 분할핀(35)을 삽착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인장장치는 롯드(28)의 길이는, 조정너트(29)를 풀고 조임에 의해 상, 하로 조절하고 이로인해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메인로우프(4)가 늘어남에 따라 인장력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이는 인장스프링(33)의 인장에 의해 보상해주게 되고, 카운터 웨이트 사이드 플레이트(20)에 고정된 조정지시판(36)에 의해 보수시 조정필요 눈금에 인장스프링(33)이 인장되었을 때도 조정넛트(29)를 풀어 인장스프링(33)의 인장을 인장 표준눈금에 맞추어 주므로서 조절될 수 있으며 롯드(28)하부에 분할 핀(35)을 끼워주므로서, 만에하나 스틸테이프(8)가 절단되는 사태가 발생되므로 인해 조절너트(29)까지도 파손되어 낙하될 경우에 분할핀(35)이 부라켓트(26)에 걸려지면서 지지하여 주므로 이탈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부품이 간단하여 설치 취부작업이 용이하고 엘리베이터 건물 행정에 따라서 조정넛트(29)를 조절하여 스틸테이프(8)에 적당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고 메인로우프(4)가 늘어남에 따라 인장스프링(33) 자체로 보상해주며 조정지시판(36)에 의해 쉽게 인장력을 판단하여 간단히 조정하면 정상운행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반괘식 안장장치에 있어서, 카운터 웨이트 사이드 플레이트(20)에 고정 브라켓트(26)을 취부하고 이에 롯드(28)를 삽입하여 상, 하부에서 조정넛트(29)로 체결하며 롯드(28)상부와 스틸테이프 취부 브라켓트(24)하부에 로울러(31)를 가진 크레비스(30), (30')를 각각 결착시키고 이들 상, 하 로울러(31)에 인장스프링(33)의 외단부(32), (32')를 각각 취부하며 롯드(28)하부에 분할핀(35)을 삽입하고 카운터 웨이트 사이드 플레이트(20)의 후단에 조정지시판(36)을 설치하여서 된 엘리베이터 층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KR2019830011121U 1983-12-26 1983-12-26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KR850002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121U KR850002467Y1 (ko) 1983-12-26 1983-12-26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121U KR850002467Y1 (ko) 1983-12-26 1983-12-26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18U KR850004918U (ko) 1985-07-31
KR850002467Y1 true KR850002467Y1 (ko) 1985-10-19

Family

ID=7016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121U KR850002467Y1 (ko) 1983-12-26 1983-12-26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4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18U (ko) 198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724A (en) Compensation and rope elongation arrangement
KR930011619B1 (ko) 승강기용 하중검출장치
JP3091227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固定装置
KR100720882B1 (ko)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지지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6193018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US10207898B2 (en) Elevator
EP2084094B1 (en) Elevator speed limiter
JP3234558B2 (ja) エレベータの負荷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US4230205A (en) Elevator system
US20090139802A1 (en) Elevator
US6454054B1 (en) Elevator with separated speed governor and position detector
JP2007512204A (ja) エレベータ
US5105109A (en)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AU2004291352B2 (en) Elevator
KR850002467Y1 (ko) 엘리베이터 층 제어기용 스틸테이프 인장장치
US20060243540A1 (en) Elevator
US20070089937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H0111656Y2 (ko)
CA2120545C (en) Compensation and rope elongation arrangement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FI119927B (fi) Hissi
JPH05319730A (ja) 斜行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のテンショナ装置
KR19990050207A (ko) 이동보도의 종동 스프로킷 휠의 텐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