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437Y1 -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437Y1
KR850002437Y1 KR2019850007184U KR850007184U KR850002437Y1 KR 850002437 Y1 KR850002437 Y1 KR 850002437Y1 KR 2019850007184 U KR2019850007184 U KR 2019850007184U KR 850007184 U KR850007184 U KR 850007184U KR 850002437 Y1 KR850002437 Y1 KR 850002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amera
discharge
capaci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근
제영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주식회사
전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30001679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9194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주식회사, 전상호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7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Landscapes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제 1 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
제 2 도는 플래시 회로도.
제 3 도는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완료 표시회로와 플래시 회로간의 상호 결합도.
제 4 도는 카메라 핫 슈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전부 2 : 고전압 발생부
3 : 방전제어부 4 : 조리개 선택 및 광감지부
5 :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완료 표시부 7 : 주전원회로
T1 : 트리거 코일 DT : 방전관
PT : 포토트랜지스터 C1 : 주 캐패시터
C2 : 트리거 캐패시터 SW1 : 메인스위치
SW2 : 접점스위치 FC : 플래시회로
B1,B2 : 집적회로(IC) A, B : 핫슈우의접 접점
11-16 : 적회로(B1)의 핀 21-28 : 직접회로(B2)의 핀
본 고안은 조리개위치 F 2.8 혹은 F 5.6의 상태에서 피사체와 카메라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조사하여 적정수준의 조명을 제공하고,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X 접점인 1/100초로 자동절환시키며, 카메라 내부의 화인더(Finder)에 촬영준비완료 표시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자동플래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래시는 벌브램프식과 전자플래시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벌브램프식은 조사광량이 풍부하나 1회 조명용이므로 다수의 사진을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 플래시로써의 역활을 만족하게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벌브램프식과 달리 연속조명이 가능한 전자플래시는 현재까지 카메라의 모든 조정요소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플래시 사용조건에 셋팅시키는 방식만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수동식 플래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파사체간 거리를 목축으로 확인한 후 그 거리에 합당한 가이드 넘버(guide number)를 조리개 값으로 환산하여 카메라의 조리개를 해당조건에 맞게 일일이 셋팅시키고 카메라와 플래시를 동조시키기 위하여 셔터속도를 임의로 정하여 일정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플래시방식은 촬영시 매번 램프를 갈아끼거나, 촬영시 각기 다른 카메라 조정요소에 따라 조작부재를 맞추어야 했다. 또한 측정치를 목측에 의존하여 정하므로 조리개 값이나 셔터속도가 부정확하게 셋팅될 우려가 있으며 카메라의 기능이 단순해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플래시 방식이 가지는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것으로, 광량의 변화에 민감한 수광소자(photo transistor)를 사용하여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서 플래시의 광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플래시 회로의 일측에 ×접점자동절환및 촬영준비완료 표시회로를 부가시켜서 플래시 작동시 셔터속도를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카메라의 화인더 내부에 촬영준비완료 표시를 해주므로써 플래시 조명이 필요한 경우 플래시를 적정조건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하므로써, 카메라 조작의 간편화와 기능의 다양화를 구현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주 캐패시러(C1), 인덕터(L1), 바이패스용다이오드(D1) 및 방전관(DT)으로 구성되는 방전부(1)에 트리거 캐패시터(C2)와 트리거코일(T1)이 직렬로 결합된 고전압발생부(2)를 연결하여서 된 통상의 플래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DT)의 출력측에 SCR1과 SCR2 및 캐패시터(C3)(C4)로 구성되는 방전 제어부(3)를 연결하고, 방전제어부(3)의 입력측에 트랜지스터(TR1)(TR2)와 2 단계노 출설정용 캐패시터(C8)(C9) 및 포토트랜지스터(PT)로 구성되는 조리개선택 및 광감지부(4)를 연결하며, 방전부(1)의 주 캐패시터(C1)의 양단과 X 접점스위치(SW2)에는 집적회로(B1)(B2)로 구성된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 완료표시부(5)를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 7은 주전원회로, 12는 플래시 충전신호 처리입력핀, A, B는 카메라 핫 슈우의 접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 1 도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계통도로서, 방전부(1)는 고 임피던스로 인하여 즉각적인방전을 할 수 없으므로 고 전압발생부(2)로 부터의 전압으로 임피던스를 낮춘 후 동작하게 된다.
일단 방전이 개시되어 파사체에 조명광이 조사되면 조리개선택 및 광감지부(4)에서는 피사체에 조사되었다가 반사되어 나오는 조명광을 입력하여서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방전제어부(3)에 SCR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리하여 방전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방전부(1)의 발광은 중지되고, 피사체는 카메라와의 거리에 따라 적정시간만큼 조명을 받게 되므를 카메의 필름면에는 적정노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을 행하는 플래시회로는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완료 표시부(5)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완료 표시부(5)는 방전준비시간동안 방전부(1)로부터 충전신호를 받아서 셔터 속도를 플래시 사용에 적절한 X 접점(1/100초)으로 자동절환시키는 한편 카메라 내부의 화인더(finder)에 촬영준비 완료표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계통적 신호흐름에 의해서 동작하는 본 고안을 구케적인 회로동작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중의 발광회로부분인 플래시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방전부(1)는 주 캐패시터(C1), 인덕터(L1),바이패스용 다이오드(D1),방전관(DT) 및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압으로는 단번에 방전관(DT) 을 구동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플래시의 메인스위치(SW1)를 온(ON)온 시켜서 주 캐패시터(C1)에 전원(V1)의 일부를 축적하였다가 일시에 큰 에너지를 방출하므로서 대량의 광량을 얻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방전관(DT)으로는 일반적으로 크세는 방전관(Xedischarging tube)을 사용하는데, 이 크세논 계열의 방전관은 주 캐패시터(C1)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265-400V DC)이 인가되어도 방전관내부개스의 이온결합에 의한 고임피던스로 인하여 방전을 개시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고전압 발생부 (2)를 방전관(DT)의 게이트(G)에 결합시켜서 고전압으로 방전관(DT) 내부를 이온화하여 임피던스를 낮추어주게 된다. 이러한 방전관(DT)과 고압발생부(2)의 결합방식은 이미 관용 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촬영을 위하여 메인스위치(SW1)를 온(ON)시킨 후, X 접점스위치(SW2)가 제 3 도에 도시된 집적회로(B1)에 의해서 온상태로 되면(제 3 도회로의 동작은 후술될것임), 트리거 캐페시터(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트리거코일(T1)의 1차측으로 방전되고, 트리거코일(T1)의 2차측에는 코일 권선비에 따라 고전압(수KV)이 발생되어 방전관(DT)의 게이트(G)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방전관(DT)의 내부 개스는 이온화되어 저임피던스로 되므로 주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265-400V DC)이 인덕터(L1)를 통하여 방전관(DT)에 가해지게 되는데, 캐패시터(C3)(C4)와 저항(R4)이 주 캐패시터(C1) 및 방전관(DT)과 폐회로를 구성하여 순간적으로 SCR1의 게이트에 트리거신호가 유기되는 순간에 SCR1이 온 상태가 되므로 방전관(DT)은 주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265-400V DC)을 받아서 발광을 시작한다.
방전관(DT)이 발광을 시작하면 방전관(DT에서 발관된 빛이 피사체에 조사되었다가 반사되어 수광소자인 포토트랜지스터(PT)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또한 방전관(DT)의 방전과 동시에 제너다이오드(ZD)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캐패시터(C7)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방전을 개시하여 트랜지스트(TR1)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게이트 트리거신호 구동용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 된다. (여기에서 방전관(DT)이 발광하지 않을 때에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역전압이 걸려있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위와같은 상태에서 캐패시터(C8)는 포토트랜지스터(PT)에 들어온 반사광에 의해 충전되기 시작하는데, 트랜지스터(TR2)를 구동시킬 수 있는 수준까지 충전되면 트랜지스터(TR2)는 온되어서 트랜지스터(TR2)의 클렉터와 저항(R10)를 통하는 출력전류가 SCR2의 게이트에 가해지게 되어 SCR2는 도통상태가 된다. 따라서 SCR2가 온 상태로 됨에 따라 캐패시터(C3)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캐패시터(C3)-SCR2-R 3-캐패시터(C3)로 이어지는 폐회로를 타고 SCR1에 역바이어스를 가하여 SCR1은 오프상태로 되고, SCR1에도 저항(R3)을 통해 역전압이 유기되므로 SCR2도 오프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전관(DT)은 방전을 중지하게 되므로 파사체로의 발광역시 중지된다.
여기에서 캐패시터(C8)와 캐패시터(C9)는 포토트랜지스터(PT)와 함께 조리개의 개방면적에 따라 피사체에 적절한 광량을 조사하는 시간을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인바, 조리개를 많이 열경우에는 충방전 시간을 빨리하여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리개를 적게 열 경우에는 충방전 시간을 길게하여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길게 해주므로써 적정광량이 필름면에 가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캐페시터(C8)(C9)는 C8<C9인 관계가 있으므로 조리개를 F 2.8로 설정하고 싶을때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를 캐패시터(C8)에 접속시키고, F 5.6으로 설정하고 싶을 때는 캐패시터(C9)에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동작하는 플래시회로(FC)에서인 덕터(L1)는 방전관(DT)의 발광시간을 조절하는 한편 SCR1과 SCR2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바이패스용다이오드(D1)는 인덕터(L1)에 흐르는 전가류오프되었을 때에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서 회로에 과전류의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3 도는 플래시회로(FC)에 부가되어 사용되는 X 접점자동절환및 촬영준비완료표시부(5)의 구체적인 회로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집적회로(B1)(B2)의 각 핀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플래시신호 검출용 집적회로(B1)
11번핀 : 동작전원 입력
12번핀 : 플래시 충전신호 입력
13번핀 : SW2 ON신호 출력
14번핀 : X 접점절환용 전원출력
15번핀 : 싱크로 접점(synchro contact) 신호입력
16번핀 : 접지(ground)
2) X 접점자동절환용 집적회로(B2)
21번핀 : X 접점 절환신호 및 펄스파형출력
22번핀 : 기준 레벨입력
23번핀 : 싱크로 접점신호 입력
24번핀 : 접지(ground)
25번핀 : 펄스파형 기준 레벨 입력
26번핀 : 삼각파형 발생용신호 입력
27번핀 : 펄스파형 발생용신호 입력
28번핀 : 동작 전원입력
상기한 집적회로(B1)(B2)에 있어서,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방전준비가 시작되는데, 주 캐패시터(C1)의 전압이 소정치(265-400V)정도까지 충전되면 이 전압이 플래시신호검출용집적회로(B1)의 12번 핀으로 입력된다.
충전전압이 소정치까지 다다르면 14번 핀으로 부터 동작전원(V2)이 공급된다. 직접회로(B1)의 14번핀으로부터 X 접점절환용 집적회로(B2)의 28번핀에 전원이 공급되면 저항(R19)과 캐패시터(C10)의 시정수와 저항(R16) (R17)(R18)에 따르는 펄스 파형발생용 신호가 27번핀으로 입력된다. 이때 집적회로(B2)의 25번핀에는 내부의 삼각파및 펄스신호 발생회로를 위한 기준레벨이 입력되고, 27번핀으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집적회로(B2)의 21번핀에서는 비교적 진폭이 작은 펄스가 발생한다.
이 신호는 제 4 도에 도시된 핫슈우(hot shoe)의 접점(B)으로 부터 카메라 내부로 입력되는바, 이 신호가 카메라 내부에서 촬영준비 완료표시 신호가 된다.
사용자는 화인더(finder)를 들여다 보면서 셔터릴리이즈버튼(shutter release button)을 조금누르므로써 촬영준비 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신호는 카메라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셔터릴리이즈 버튼(Shutter release button)을 완전히 누르게 되면, 셔터막이 끊어지며 핫 슈우(hot shoe)의 접점(A)이 온되고, 이에 따라 집적회로(B1)가 동작하여 13번핀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스위치(SW2)가 온 된다.
한편, 핫 슈우의 접점(A)이 온되는 순간 집적회로(B2)의 23번핀도 접지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집적회로(B2)가 동작하여 촬영준비 완료표시 때의 펄스보다 진폭이 더 큰 펄스를 21번핀으로 출력한다. 이 신호가 핫 슈우의 접점(B)으로 입력되어 카메라 본체의 셔터스피드를 X 접점으로 절환시키도록 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SW2가 온되므로써 발광 수단은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동작하게되고, 셔터스피드는 X 접점으로 자동절환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임의로 선택되는 조리개값(F 2.8 또는 F 5.6)과 피사체간 거리에 따라 자동적으로 플래시의 광량을 조절하고, 플래시 회로(FC)의 일측에 설치된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준비완료 표시회로의 동작에 의하여 플래시 사용시 카메라의 셔터를 X 접점으로 연동시키며 화인더(finder)의 내부에 촬영준비 완료 표시기능을 행하게 하므로, 종래의 벌브램프나 수동식 전자플래시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카메라의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종의 측정요소에 대응하여 적정수준으로 동작하므로 카메라의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방전부(1) 및 고 전압발생부(2), 방전제어부(3), 조리개선택 및 광감지부(4)로 구성되어 방전부(1)에 있는 방전관(DT)을 제어하므로써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을 조달하도록 된 카메라용 자동플래시에 있어서, 방전부(1)에 있는 주 캐패시터(C1)와 고 전압발생부(2)의 스위치(SW2)사이에 플래시신호 검출용집적회로(B1)와 X 접점자동절환용집적회로(B2)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SW2)를 카메라본체의 핫슈우접점(A)(B)과 결합되는 X 접점자동절환 및 촬영완료 표시부(5)를 매개로 상기 주 캐패시터(C)에 연결시켜서된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KR2019850007184U 1983-04-21 1985-06-15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KR850002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184U KR850002437Y1 (ko) 1983-04-21 1985-06-15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679A KR840009194A (ko) 1983-04-21 1983-04-21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KR2019850007184U KR850002437Y1 (ko) 1983-04-21 1985-06-15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679A Division KR840009194A (ko) 1983-04-21 1983-04-21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437Y1 true KR850002437Y1 (ko) 1985-10-18

Family

ID=2662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184U KR850002437Y1 (ko) 1983-04-21 1985-06-15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6995A (en) Electronic pre-emission flash device
US5634146A (en) Camera with automatic flash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039023A1 (en) Electronic flash control circuit
US4422744A (en)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camera and attachment
US4555648A (en) Electronic flash unit utilizing pre-flash illumination of flashtube
KR850002437Y1 (ko) 카메라용 자동플래시
JPS5838776B2 (ja) カメラヨウストロボデンゲンソウチ
US4100459A (en) Indicator circuit for electronic flash apparatus
JPS5844428A (ja) 電子閃光装置
US5966552A (en) Flash circuit
US5634153A (en) Static immunity for single touch flash charger control
US4272170A (en) Photographic arrangement using various electronic flash devices
US4436396A (en) Electroflash unit
US4210849A (en) Electronic control circuitry for terminating flash output
US4462670A (en) Light measuring apparatus for camera
US4256391A (en) Flash responsive exposure time control system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US4395658A (en) Proper light emission indicating device for computer flash device
US4331406A (en) Indicating device for computer type electronic flash unit
JPS5816313B2 (ja) 閃光装置の充電完了表示装置
JP2507313B2 (ja) 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電子閃光装置もしくは電子閃光装置を内蔵する撮影機器
JPS5784442A (en) Flash photographing device of ttl metering system
JPS634195Y2 (ko)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JPS60146498A (ja) 直列制御型ストロ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