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097Y1 - Controller of robot - Google Patents

Controller of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097Y1
KR850002097Y1 KR2019830005306U KR830005306U KR850002097Y1 KR 850002097 Y1 KR850002097 Y1 KR 850002097Y1 KR 2019830005306 U KR2019830005306 U KR 2019830005306U KR 830005306 U KR830005306 U KR 830005306U KR 850002097 Y1 KR850002097 Y1 KR 850002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data
unit
storage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3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0304U (en
Inventor
야스노부 시가
하루기 안도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5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097Y1/en
Publication of KR850000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0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9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로보트(Robot)의 제어장치Robot control device

제1도는 N/C 방식에 의한 종래의 로보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obot control apparatus by N / C method.

제2도는 제1도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of FIG.

제3도는 티칭플레이백(Teaching play back)제어방식에 의한 종래의 로보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obot control apparatus using a teaching play back control method.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티칭플레이백 제어방식에 의한 로보트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obo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yback control method shown in FIG.

제5도는 본 고안장치의 1실시예에 의한 N/C방식 로보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 / C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 티칭 플레이백 제어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control device of the teaching playback control method includ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로보트의 제어장치 2 : CRT(Cathode Ray Tube 표시부1: Robot controller 2: CRT (Cathode Ray Tube display unit

3 : 키보오드스위치(Key Board Switch)데이터입력부3: Key board switch data input unit

4 : 조작입력부 10 : 입력부4: operation input unit 10: input unit

11 : 중앙처리부 12 : 기억부11: central processing unit 12: storage unit

13 : 표시장치 28 : 기계제어버퍼(Buffer)13: display device 28: machine control buffer (Buffer)

29 : 로보트본체 30 : 로보트 주변기기29: robot body 30: robot peripheral device

41 : 제어반 42 : 티칭박스(Teaching Box)41: control panel 42: teaching box

51, 52, 61 : 케이블 53, 54, 62 : 코넥터51, 52, 61: cable 53, 54, 62: connector

본 고안은 로보트(Robot)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of the robot (Robot).

특히 점의 위치데이터를 기억시키고, 기억시킨 점에서 점으로 로보트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수치제어방식(이하 N/C방식이라고 한다)의 로보트, 또는 실제로 로보트를 이동시켜서 점의 위치 데이터를 교시하고, 교시된 점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로보트를 동작시키는 티칭플레이백(Teaching Play Back)제어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a robot of a numerical control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 / C method) that stores the position data of a point and automatically operates the robot from the stored point to the point, or teaches the position data of the point by actually moving the rob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ontrol apparatus of a teaching play back control method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 robot according to the teachings.

근래에 와서 공장의 에너지 절약과 인력절약을 위하여 조립로버트 또는 아아크용접 로보트 등의 산업용로보트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dustrial robots such as assembly robots or arc welding robots have been widely used for energy saving and manpower saving in factories.

이들 로보트는 상술한바 있는 N/C 방식 또는 티칭플레이백 제어방식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These robots are controlled by the N / C method or the teaching playback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제1도는 N/C방식에 의한 로보트 제어장치의 사시도를 표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N/C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의 제어블록을 표시한 것이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N / C system, and FIG. 2 shows a control block of 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N / C system shown in FIG.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은 로보트의 제어장치(2)는 제어장치(1) 외주에 착설된 CRT(Cathode Ray Tube)등의 표시부, (3)은 키이보오드스위치(Key Board Switch)등으로 된 데이터입력부(4)는 스위치 등으로 된 조작입력부이고, 데이터입력부(3) 및 조작입력부(4)에 의하여 입력부(10)을 구성하고 있다.1 and 2,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ontrol unit 2 of the robot; a display unit such as a CRT (Cathode Ray Tube) moun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controller 1; and (3) a key board switch (Key). The data input unit 4 made of a board switch or the like is an operation input unit made of a switch or the like, and constitutes the input unit 10 by the data input unit 3 and the operation input unit 4.

또한 (1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및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 (12)는 위치데이터기억부(23)과 작업내용 데이터기억부(24)가 있는 기억부, (13)은 표시제어버퍼(Buffer)(27)과 CRT(2)로 구성된 표시장치이다.11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21 and a control program, (12) a storage unit having a position data storage unit 23 and a work content data storage unit 24, (13) ) Is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display control buffer 27 and a CRT 2.

더우기(28)은 기계제어버퍼이고, 로보트본체(29) 및 로보트의 주변기기(30)에 데이터 등을 전달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28 is a machine control buffer, and transmits data to the robot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of the robot.

이와같이 구성된 N/C 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입력부(3)은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키보오드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었다.In the N / C type robot control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unit 3 inputs position data and work content data,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keyboard switch or the like.

데이터입력부(3)에서의 입력신호는, 입력제어버퍼(26)를 경유하여 위치데이퍼는 기억부(12)의 위치데이터기억부(23)에, 또한 작업내용 데이터는 작업내용 데이터기억부(24)에 각각 기억되는 것이다.The input signal from the data input unit 3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 data storage unit 23 of the storage unit 12 via the input control buffer 26, and the job content data is stored in the job content data storage unit ( Each is remembered.

기억부(12)에 기억된 데이터는, CPU(21)과 제어프로그램(22)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11)에 의하여 표시제어버퍼(27)을 경유하여 CRT(2)상에 표시된다.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is displayed on the CRT 2 via the display control buffer 27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ncluding the CPU 21 and the control program 22.

소망의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 데이터를 데이터입력부(3)에서 기억부(12)에 입력한 후, 로보트의 동작개시 및 동작정지에 관한 스위치를 보유하는 조작입력부(4)로 부터의 지령을 근거로 하여 로버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기계제어버퍼(23)에서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에 보내져,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은 소망의 동작을 하고 있다.On the basis of the instruction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4 holding the switch for starting and stopping operation of the robot after inputting desired position data and work content data from the data input unit 3 to the storage unit 12. Therefore, data necessary for the Robert operation are sequentially sent from the machine control buffer 23 to the robot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and the robot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are performing the desired operation.

또한 제3도는 티칭플레이백 제어방식에 의한 로보트 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 티칭플레이백 방식에 의한 로보트 제어장치의 제어블럭을 표시한 것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yback control method, and FIG. 4 shows a control block of the robo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yback method in FIG.

본 제어방식에서는 티칭박스(42)로 부터의 입력데이터에 의하여 로보트본체(29)를 동작시켜, 소망하는 위치에 로보트 위치결정을 한 후, 티칭박스(42)에서 점위치의 티칭조작을 한다.In this control method, the robot main body 29 is operated by the input data from the teaching box 42, the robot is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teaching box 42 teaches the point position.

더우기 티칭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점위치 데이터는 위치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된다.Furthermore, the point position data input by the teaching operation is stored in the position data storage section 23.

다음에 비칭된 각점에서 시행되는 작업내용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부(3)에서 입력제어버퍼(26)을 경유하여 작업내용 데이터기억부(24)에 기억시킨다.Next, the work content data to be executed in each of the unnamed points is stored in the work content data storage section 24 by the data input section 3 via the input control buffer 26.

기억부(12)에 기억된 각 데이터는 상기한 N/C 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와 마찬가지로 중앙처리부(11)에 의하여 제어되어 표시제어버퍼(27)을 경유하여 CRT(2)상에 표시된다.Each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similarly to the robot control apparatus of the N / C system described above and displayed on the CRT 2 via the display control buffer 27.

소망의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 데이터를 입력한 후, 로보트본체(29)에 플레이백 동작을 시키는 조작입력부(4)등의 조작은 상술한 N/C 방식의 로보트 제어장치의 경우와 같다.After inputting the desired position data and work content data,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4 or the like which causes the robot body 29 to perform a playback opera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robot control apparatus of the N / C system described above.

더우기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Moreover, in FIG. 3 and FIG.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FIG. 1 and FIG. 2,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종래의 제어장치(1)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control apparatus 1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작업자는 제어장치(1)의 데이터입력부(3) 및 조작입력부(4)를 빈번하게 조작할 필요가 있어서,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과 제어장치(1)등을 인접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어 있다.The operator needs to frequently operate the data input unit 3 and the operation input unit 4 of the control device 1, so that the robot main body 29, the peripheral device 30, the control device 1, and the like are located at adjacent positions. Arrangement is inevitable.

그러나, 제어장치(1)자체가 인간과 동등한 크기를 가진 대형이라는 것, 또한 로보트본체(29)의 동작영역내에 제어장치(1)을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과 제어장치(1)을 가장 효율적이고 상호 관련성있는 배치로 하는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trol device 1 itself is a large size having a size equivalent to that of a human being, and since the control device 1 cannot be disposed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robot body 29, the robot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control and control device 1 the most efficient and correlated arrangeme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로보트본체 및 주변기기와 가장 효율적이고 상호 관련성있는 배치로 할수 있는 로보트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ontrol device which can be arranged in the most efficient and correlated configuration with the robot main body and peripheral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이동량을 감소시킬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도할 수 있는 로보트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of the robot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worker to pray for improved work efficiency.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소형, 경량화 할수 있는 로보트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ontrol apparatus that can be compact and lightweight.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보트의 제어장치를, 기억부 및 중앙처리부를 내장한 제어반과, 데이터입력부 및 조작입력부로 된 입력부와 표시부를 제어반에 케이블 및 코넥터에 의하여 가반식(可搬式)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panel having a storage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including a data input unit and an operation input unit, and a control panel by cables and connectors. It is connected detachably.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5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N/C 방식에 의한 로보트 제어장치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N / C method.

도면에 있어, 제1도 내지 제4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in FIGS. 1 to 4.

본 제어장치에서는 기억부 및 중앙처리부는 제어반(41)에 내장되었다.In this control apparatus, the storage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re incorporated in the control panel 41.

또한 소망의 위치데이터, 또는 작업내용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부(3)에 의해 제어반(41)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부에 입력된다.The desired position data or work content data is input to the storage unit built into the control panel 41 by the data input unit 3.

입력부에는, 로보트의 동작개시, 정지 및 동작순서에 관한 입력수단이 있는 조작입력부(4)와 기억부에 기억될 위치데이터나 작업내용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있는 데이터입력부(3)이 설치되어 있다.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input unit 4 having input means for starting, stopping and operating the robot, and a data input unit 3 having input means for inputting position data or work content data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제어반(41)내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입력부(3)의 조작에 의하여 소망의 데이터가 CRT(2)상에 표시된다.In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control panel 41, the desired data is displayed on the CRT 2 by the ope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3.

데이터입력부(3)에서 입력되고, 제어반(41)에 내장된 기억부에 기억된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에 기계제어버퍼(28)을 경유하여 출력하는 것은, 조작입력부(4)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서만 출력된다.The position control data and the work content data, which are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3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built in the control panel 41, are transferred to the robot main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output via 28 is only output by the command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4.

본 실시예 장치에서는 데이터입력부(3)과 CRT(2)가 일체로 구성되고, 이들은 케이블(51) 및 그 선단에 착설된 코넥터(53)에 의하여 제어반(41)에 착탈자재하게 착설되어 가반식으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vice, the data input unit 3 and the CRT 2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y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41 by the cable 51 and the connector 53 installed at the tip thereof, and are portable. It is.

또한 조작입력부(4)도 동일하게 케이블(52) 및 코넥터(54)에 의하여 제어반(41)에 착탈자재하게 착설되어 가반식으로 되어 있다.Similarly, the operation input unit 4 is also attached to the control panel 41 by a cable 52 and a connector 54 so as to be removable.

따라서 로보트본체(29) 및 주변기기(30)에 인접한 위치에 CRT(2), 데이터입력부(3) 및 조작입력부(4)를 배치하고, 제어반(41)을 로보트 본체에서 떨어진 스페이스에 배치하므로써 작업자는 제어반(41)으로 빈번하게 복귀하는 일이 없고 로보트 근처에서 소망의 작업을 로보트에 지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places the CRT (2), the data input unit (3) and the operation input unit (4)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bot body 29 and the peripheral device 30, and arranges the control panel 41 in a space away from the robot body. There is no frequent return to the control panel 41, and the robot can be instructed to the desired work near the robot.

또한, 소망의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 데어티가 확립되고,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로보트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제어반(41)에서 CRT(2) 및 데이터입력부(3)을, 케이블(51)선단의 코넥터(53)에서 이탈시키고, 조작입력부(4)에서 발령되는 지령에 따라서 로보트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esired position data and work content data are established and the robot is operated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panel 41 connects the CRT 2 and the data input unit 3 to the cable ( 51) The robot can be moved away from the connector 53 at the front end and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issued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4. FIG.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N/C 방식에 의한 로보트의 제어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어방식이 티칭플레이백 제어방식의 경우라 할지라도,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티칭박스(42), 케이블(61), 코넥터(62)가 부가되는 것만으로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부와 입력부가 일체로 된것을 도시하였으나, 그들은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도 된다.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robot by the N / C method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if the control method is the teaching playback control method, as shown in FIG. 6, the teaching box 42, Only the cable 61 and the connector 62 are added, and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are obtained. Moreover,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display portion and the input portion are shown as being integrated, they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장치를 제어반과 제어반에 케이블로 접속되고 가반식으로 함과 동시에 코넥터로 착탈할 수 있는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성하였으므로 로보트 본체와 입력부 및 표시부를 인접되게 배치할 수 있고, 더우기 일단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작입력부에서의 지령에 따라서 로보트본체 및 주변기리로 동작시킬 경우에는 데이터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반에서 코넥터로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device of the industrial robo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and the control panel by a cable and is configured as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that can be detached and connected by a connector, the robot bod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urthermore, once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used to operate the robot main body and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the data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can be removed by the connector from the control panel.

그결과, 작업자의 이동량을 감소시키므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기왕에 알려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로보트에 작업을 시킬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는 매우 크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operator, and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device when working on the robot using the known data.

Claims (7)

로보트의 위치데이터 및 작업내용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있는 데이터 입력부(3)와, 로보트의 동작개시, 정지 또는 동작순서에 관한 입력수단이 있는 조작입력부(4)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입력데이터의 기억부(12)와,로보트의 자동운전시에 그 작업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의 입력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13)와, 상기데이터 입력부(3), 조작입력부(4), 기억부(12) 및 표시부(13)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1)등을 갖고 있으며 적의한 점의 위치데이터 및 로보트가 하는 작업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입력부(3)에서 기억부(12)에 기억시켜, 상기 조작입력부(4)로 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위치데이터의 점에서 점으로 로보트를 자동적으로 동작시켜서 소망의 작업을 할수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기억부에서 출력되는 작업내용에 대응된 데이터를 표시부(13)에 동시에 표시시키는 로보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12) 및 중앙처리부(11)을 제어반(41)에 내장하고, 상기 데이터입력부(3), 조작입력부(4) 및 표시부(2)를 상기 제어반(41)에, 케이블(51)(52)(61) 및 코넥터(53)(54)(62)를 통하여 가반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트의 제어장치.A data input section 3 having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position data and work contents data of the robot, an operation input section 4 having an input means for starting, stopping or operating the robot, and input data of the data input section Storage unit 12, a display unit 13 in which data output from the storage unit and input data from the data input unit ar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work contents during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robot, and the data input unit 3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nput unit 4, the storage unit 12, and the display unit 13, and the like. )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nd the robot is automatically operated from the point of the posi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point by the input signal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4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desired work. In the robot control apparatus which simultaneously display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work contents output from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13, the storage unit 12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41. The data input unit 3, the operation input unit 4, and the display unit 2 to the control panel 41, and to the cables 51, 52, 61 and connectors 53, 54, 62; Robo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connection through.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기억부(12)를 위치데이터기억부 및 작업내용 데이터기억부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트의 제어장치.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12) is constituted by a position data storage unit and a work content data storage unit.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표시부(2)를 CRT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트의 제어장치.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splay unit (2) is constituted by a CRT.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1)를 CPU와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트의 제어장치.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s constituted by a CPU and a control program.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로버트의 동작 및 소망의 작업은 기계제어버퍼(28)을 통하여 로보트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트의 제어장치.Robert'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robot and the desired work are transmitted to the robot via a machine control buffer (28).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입력부(3) 및 표시부(2)를 일체구성으로 하고, 이 일체구성과 조작입력부(4)를 각기 다른 코넥터 및 케이블에 의하여 제어반(41)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트의 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nput unit 3 and the display unit 2 are integrated, and the integrated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input unit 4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41 by different connectors and cables. Robert's controller.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로보트의 위치데이터의 티칭조작을 하는 티칭박스(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트의 제어장치.The robo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eaching box (42) is provided for teaching operation of the position data of the robot.
KR2019830005306U 1983-06-17 1983-06-17 Controller of robot KR8500020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306U KR850002097Y1 (en) 1983-06-17 1983-06-17 Controller of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306U KR850002097Y1 (en) 1983-06-17 1983-06-17 Controller of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04U KR850000304U (en) 1985-02-27
KR850002097Y1 true KR850002097Y1 (en) 1985-09-25

Family

ID=1923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306U KR850002097Y1 (en) 1983-06-17 1983-06-17 Controller of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09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04U (en) 198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6930B1 (en) System for setting rectangular coordinates of workpiece for robots
US20090037025A1 (en) Controller for robot having robot body and additional mechanism providing additional operation axes
JPH0215987A (en) Arc vision sensor operating method
KR850002097Y1 (en) Controller of robot
JPS6434688A (en) Master/slave manipulator
JPS57146313A (en) Storage device for manual input data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S5825872A (en) Controller for robot
JP2548026B2 (en) Robot controller
JPS6044282A (en) Controller for industrial robot
JPH08137532A (en) Generating method for operation program of robot and teaching method for robot
JPS57147712A (en) Controller for robot
JP3076466B2 (en) General-purpose milling machine
JP3174218B2 (en) Industrial robot control method
JPH07230312A (en) Cnc system
JPS6111801A (en) Controlling method of control stick
JPS6459460A (en) Text input system in editor for translation
JPH0425116B2 (en)
JPH01140304A (en) Interactive nc input device
JPH08263120A (en) Current position display system for cnc
JPH05212655A (en) Display device machining system
JPH01251111A (en) Production of numerical control sentence
JPH0277904A (en) Nc data origination method
JPH01269105A (en) Off-line programming device
JPS59140515A (en) Controller for robot
JPH01156805A (en) Controller for industrial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