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36Y1 -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36Y1
KR850001936Y1 KR2019850006499U KR850006499U KR850001936Y1 KR 850001936 Y1 KR850001936 Y1 KR 850001936Y1 KR 2019850006499 U KR2019850006499 U KR 2019850006499U KR 850006499 U KR850006499 U KR 850006499U KR 850001936 Y1 KR850001936 Y1 KR 850001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pe
frame
synthetic resin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순
Original Assignee
최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30009316U external-priority patent/KR850001935Y1/ko
Application filed by 최상순 filed Critical 최상순
Priority to KR201985000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패널을 다수 조립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부 3,7 : 절곡부
4,8 : 스페이서 파이프 5,9 : 합성수지
6 : 외곽프레임 10 : 보강프레임
11 : 접착제 12 : 붓
13 : 볼트너트
본 고안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판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간편하고 견고한 거푸집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건축용 패널은 각목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합판 등의 나무판재를 부착하여 제작한 것으로 거푸집 조립시 별도의 지지목(가로·세로 띠장목)을 못으로 부착 보강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패널은 정밀을 요하는 거푸집 조립에는 부적합했으며, 거푸집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강도가 약하며, 거푸집 해체시 그 판재의 표면부가 박리되어 콘크리트에 부착되기 쉬우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그 사용수명이 1-2회 정도로 매우 짧게 되는 등 폐단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철재앵글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나무판재나 철판을 볼트·너트로 조립부착한 소위 유럽식 패널이 안출되어 있으나, 이것 또한 앵글로 된 프레임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단일형태의 거푸집 이외의 다른 형태로의 전환 사용이 곤란하여, 매공사마다 새로이 설계된 것을 사용해야 하므로 패널의 대량생산이 곤란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등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나무판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목재만으로 된 패널에서와 같은 폐단도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철판을 이용한 것은 조립시 크레인 등의 중기를 필요로 하므로 공사비가 급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작 및 거푸집 조립이 간편하며,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1)는 목재나 강판으로 하고, 강판을 내측면(2)이 경사지고 그 하단부에 절곡부(3)가 형성된 역사다리꼴로 형상하여 그 내부에 스페이서파이프(4)를 삽설하고 파이프(4) 외부공간에 합성수지(5)를 주입충전하여 네모서리 접합부(6')를 용착한 외곽프레임(6)을 형성하고 양측면이 경사지고 하단에 절곡부(7)가 형성된 역사다리꼴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스페이서파이프(8)를 삽설하고 파이프(8) 외부공간에 합성수지(9)를 주입충전한 보강프레임(10)을 형성하여 외곽프레임(6)과 보강프레임(10)의 접합부(10')를 용접하고, 패널부(1)를 프레임(6)(10)에 접착제(11)의 못(12) 및 볼트·너트(13)로 고정 부착한 것이다.
상기 강판은 녹이 생기지 않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외곽프레임(6)의 내측면(2)과 보강프레임(10)의 양측면의 경사각도는 약 15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파이프(4)(8)는 중량감소를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 좋으며, 합성수지(5)(9)보다 용융온도가 다소 높은 것이 좋다.
상기 접합부(6')(10')는 일반적인 전기용접으로 하고, 절곡부(3)(7)는 전기용접이나 스포트용접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패널부(1)와 목재나 강판으로 되어 있으며, 외곽프레임(6)(10)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장기 사용시에도 변형되거나 부식되는 일이 없고 거푸집과 콘크리트간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장기간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패널부(1)를 보강하는 프레임(6)(10)은 가볍게 하기 위하여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스페이서 파이프(4)(8) 및 합성수지(5)(9)를 장입한 것이므로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가볍게 된다.
본 고안의 패널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제3도와 같이 다수의 패널을 인접배열하고, 그 인접하는 외곽프레임(6)을 조립용체결구(20)로써 체결 조립하고 보강프레임(10)에 보강파이프(22)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파이프 체결구(21)를 체결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패널은 체결구(20)(21)로써 체결하는 것만으로써 다양한 거푸집으로서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구(21)(21)를 해체하는 것에 의해 해체 및 다른 형태의 거푸집으로서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패널의 제작과 조립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중량이 가벼우므로 조립시 별도의 중기가 필요치 않아 공사비가 절감되는 등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패널부(1)는 목재나 강판으로 하고, 강판을 내측면(2)이 경사지고 그 하단부에 절곡부(3)가 형성된 역사다리꼴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중공스페이서파이프(4)를 삽설하고, 파이프(4) 외부공간에 합성수지(5)를 주입충전하여 네모서리 접합부(6')를 용착한 외곽프레임(6)을 형성하고, 양측면이 경사지고 하단에 절곡부(7)가 형성된 역사다리꼴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중공스페이서파이프(8)를 삽설하고 파이프(8) 외부공간에 합성수지(9)를 주입충전한 보강프레임(10)을 형성하여 외곽프레임(6)과 보강프레임(10)의 접합부를 용접하고, 패널부(1)를 프레임(6)(10)에 접착제(11)와 못(12) 플렌지 부분에 볼트·너트(13)로 고정 부착한 건축용 패널.
KR2019850006499U 1983-10-31 1985-05-31 건축용 패널 KR850001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499U KR850001936Y1 (ko) 1983-10-31 1985-05-31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316U KR850001935Y1 (ko) 1983-10-31 1983-10-31 건축용 패널
KR2019850006499U KR850001936Y1 (ko) 1983-10-31 1985-05-31 건축용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316U Division KR850001935Y1 (ko) 1983-10-31 1983-10-31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36Y1 true KR850001936Y1 (ko) 1985-09-11

Family

ID=2662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499U KR850001936Y1 (ko) 1983-10-31 1985-05-31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9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272B1 (ko) * 2001-06-05 2004-06-23 영산개발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100880124B1 (ko) * 2008-04-14 2009-01-23 아이케이 주식회사 거푸집 및 거푸집용 프레임의 프로파일
KR102041094B1 (ko) 2018-11-08 2019-11-06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용 미경지 제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272B1 (ko) * 2001-06-05 2004-06-23 영산개발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100880124B1 (ko) * 2008-04-14 2009-01-23 아이케이 주식회사 거푸집 및 거푸집용 프레임의 프로파일
KR102041094B1 (ko) 2018-11-08 2019-11-06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용 미경지 제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223B1 (ko) 다가구 필로티 기둥의 diy 보강용 내진보강 공법
KR850001936Y1 (ko) 건축용 패널
KR850001935Y1 (ko) 건축용 패널
KR970004945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JPH11148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SU857379A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клееных дерев 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RU1837094C (ru) Угловой щит опалубки
KR102588569B1 (ko)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KR950008099B1 (ko)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KR960002475Y1 (ko) 건축용 패널
KR20010054439A (ko) 리브형 강판을 갖는 거푸집패널
JPH0754427A (ja) 壁体の構築工法及びその装置
US4572475A (en) Form for pouring of concrete or the like
JP2614425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結合金具
KR930008542Y1 (ko) 조립건축물의 골조 연결장치
JPS61277750A (ja) 型枠兼用化粧板の構造及び型枠兼用化粧板によるコンクリ−ト部材構築工法
JP2600411Y2 (ja) 柱梁の接合構造
KR100354590B1 (ko) 조립식거푸집
JPH0643352Y2 (ja) 型枠建込み用治具
JPH0718803Y2 (ja) 角材接続金具
JPS636074Y2 (ko)
JP2516713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フェンスの製造装置
JPH0568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