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86Y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86Y1
KR850001886Y1 KR2019820002617U KR820002617U KR850001886Y1 KR 850001886 Y1 KR850001886 Y1 KR 850001886Y1 KR 2019820002617 U KR2019820002617 U KR 2019820002617U KR 820002617 U KR820002617 U KR 820002617U KR 850001886 Y1 KR850001886 Y1 KR 850001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juice
burner
juice tra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597U (ko
Inventor
쯔네노리 나리다
히데끼 다니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리기
제1도는 본 고안인 조리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체의 평면도.
제3도는 즙액받이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6도는 즙액받기가 적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재치되었을 때의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메인버너
3 : 점화버너 5 : 즙액받이의 받침턱
6 : 즙액받이 7 : 저부
8 : 구멍 9 : 주위 입상부
10 : 창 11 : 얕은부분
12 : 깊은부분 13 : 즙액받이 설치공간부
14 : 돌출부 15 : 비돌출부
본 고안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에 있어서 저부에 메인버너의 구멍을 형성한 즙액받이의 주위입상부에 창을 형성하고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점화버너의 불꽃이 그 창을 통하여 메인버너에 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조리기는 메인버너의 근체에서 점화버너의 불꽃으로 직접 점화하는 것보다 조리시에 발생되는 끊는 즙액에 대하여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즙액받이를 본체에서 붙이고 떼는 것을 자유롭게 하면 끊는 즙액의 청소시에 편리하게 되지만 청소후에 창과 점화버너가 제대로 위치되지 아니할 경우에 점화버너의 불꽃이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는 불합리성을 유발하게 되어 즙액받이를 본체에 정확하게 장착시켜야 하는 주의를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 즉, 즙액받이를 본체에 정확하고도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에는 메인버너(2)와 점화버너(3)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의 상판(4)에는 즙액받이(6)의 받침턱(5)이 형성되어 있는데 첨부도면의 일예로서 본체 상판(4)은 본체(1)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체(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관하다.
그리고 본체(1)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되는 즙액받이(6)의 저부(7)에 메인버너용 구멍(8)과 주위입상부(9)에 점화버너용 창(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즙액받이(6)는 얕은부분(11)과 깊은부분(12)으로 구분형성되어 있다. (14)는 상술한 즙액받이(6)의 받침턱(5)에 둘러 쌓인 즙액받이(6)의 설치공간부(13)에 설치된 돌출부, (15)는 그 즙액받이(6)의 설치공간부(13)의 비돌출부이다.
즙액받이(6)에 형성된 얕은부분(11)의 아래위치에 본체(1)의 돌출부(14)가 위치되도록 하고 깊은부분(12)의 아래에는 비돌출부(15)가 위치되도록 하여 즙액받이(6)는 본체(1)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이 된다.
이때의 점화버너(3)의 불꽃은 창(10)을 통하여 메인버너(2)의 착화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돌출부(14)는 버너(16)를 가진 그릴(17)케이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점화전극, 19은 구멍(8)을 차단시키는 차단턱을 표시하며 삼발이는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본 고안의 조리기는 상기와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화버너(3)를 점화시키게 되면 점화버너(3)의 불꽃이 창(10)을 통하여 메인버너(2)에 도달하게 되어 메인버너(2)는 착화된다.
여기에서 점화버너(3)의 불꽃은 즙액받이(6)저부(7)의 구멍(8)에서부터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주위입상부(9)의 창(10)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이며 또한, 창(10)이 구멍(8)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조리시에 생기는 즙에 대하여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작동으로 메인버너(2)가 점화가 되어 조리를 할 수 있고 조리시에 발생된 끊는 즙액으로 인하여 즙액받이(6)를 오손하였을 경우에는 즙액받이(6)를 본체(1)로부터 이완시켜 물로 세척하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시 즙액받이(6)를 본체(1)에 재치시키고자 할 때 본체(1)의 즙액받이의 설치공간부(13)에는 돌출부(14)와 비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즙액받이(6)에는 얕은부분(11)과 깊은부분(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즙액받이(6)의 얕은부분(11)아래에 본체(1)의 돌출부(14)가 들어가도록 즙액받이(6)를 본체(1)에 재치되도록 하지 아니하면 첨부도면 제6도와 같이 즙액받이(6)의 깊은부분(12)이 본체(1)의 돌출부(14)에 닿게되어 즙액받이(6)가 본체(1)에 정확히 재치되지 아니하고 얕은부분(11)의 아래에 돌출부(14)가 들어가도록 즙액받이(6)를 본체(1)에 재치시켜야만 점화버너(3)의 불꽃이 창(10)을 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리기는 메인버너(2)와 점화버너(3)를 가진 본체(1)에 붙이고 떼는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즙액받이(6)가 얕은부분(11)과 깊은부분(12)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체(1)의 즙액받이(6)의 설치공간부(13)에는 돌출부(14)와 비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즙액받이(6)가 그 얕은부분(11)의 아래에 본체(1)의 돌출부(14)를 들어가게 하여 본체(1)에 재치할 경우에 점화버너(3)의 불꽃이 창(10)을 통할 수 있게 되므로 점화버너(3)의 불꽃이 창(10)을 통할 수 없게 즙액받이(6)를 본체(1)에 재치시키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상술한 종래의 불합리성을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메인버너(2)와 점화버너(3)를 각각 내설한 본체(1)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즙액받이(6)의 저부(7)와 주위입상부(9)에 메인버너용 구멍(8)과 점화버너용 창(10)을 각각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즙액받이(6)의 받침턱(5)에 둘러쌓인 즙액받이의 설치공간부(13)에 돌출부(14)와 비돌출부(15)를 각각 형성하고 즙액받이(6)의 얕은부분(11)과 깊은부분(12)을 형성하여 즙액받이(6)의 얕은부분(11)아래에 본체(1)의 돌출부(14)가 위치되면서 본체(1)에 재치되도록 하여 점화버너(3)의 불꽃이 창(10)을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KR2019820002617U 1981-06-11 1982-04-06 조리기 KR8500018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85989U JPS6026332Y2 (ja) 1981-06-11 1981-06-11 調理器
JP56-85989 1981-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597U KR830003597U (ko) 1983-12-26
KR850001886Y1 true KR850001886Y1 (ko) 1985-08-31

Family

ID=2988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617U KR850001886Y1 (ko) 1981-06-11 1982-04-06 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6332Y2 (ko)
KR (1) KR8500018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96907U (ko) 1982-12-14
JPS6026332Y2 (ja) 1985-08-08
KR830003597U (ko) 198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2462B1 (en) Integral spark ignited gas burner assembly
KR850001886Y1 (ko) 조리기
JPS6026335Y2 (ja) 調理器
KR850003172Y1 (ko) 조리기
KR850003334Y1 (ko) 가스곤로
KR850003171Y1 (ko) 조리기
KR850001887Y1 (ko) 조리기
US2880614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stove burners
CN216695334U (zh) 一种用于集成灶的温度检测装置和集成灶
JPH0126969Y2 (ko)
JPS6238587Y2 (ko)
KR910002655Y1 (ko) 국물받이팬을 제거시킨 가스테이블용 버너
JPS5939523Y2 (ja) 調理器
CN209951006U (zh) 用于烹饪器具的发热组件及烹饪器具
KR890002122Y1 (ko) 곤로 버너
JPS6314251Y2 (ko)
KR960001233Y1 (ko) 가스렌지의 점화플러그 보호수단
JPS6041452Y2 (ja) 調理器
KR950005850Y1 (ko) 전자레인지용 압력솥 안전카버
JPS5933922Y2 (ja) ガスこんろ
JP3500007B2 (ja) カセット式こんろ
KR860000289Y1 (ko) 가스 조리기
JPS6011361Y2 (ja) 電気コンロ
JPS6314217Y2 (ko)
JPH0225055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