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45B1 - 자기헤드 - Google Patents

자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45B1
KR850001445B1 KR820000665A KR820000665A KR850001445B1 KR 850001445 B1 KR850001445 B1 KR 850001445B1 KR 820000665 A KR820000665 A KR 820000665A KR 820000665 A KR820000665 A KR 820000665A KR 850001445 B1 KR850001445 B1 KR 85000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gnetic
magnetic head
glas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0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557A (ko
Inventor
이사오 야스다
요리노부 요시사또
요시히고 가와이
까즈아끼 꼬야마
Original Assignee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6268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872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8114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8083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8602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34084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가오루
Publication of KR83000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255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wea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274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with "composite" cores, i.e. cores composed in some parts of magnetic particles and in some other parts of magnetic meta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헤드
제 1 도는 종래의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 2(a)도, 제 2(b)도, 제 2(c)도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1실시예인 정면도, 평면도 및 A-A'단면도.
제 3(a)도, 제 3(b)도, 제 3(c)도는 심도가공전의 코어주체, 코어부체 및 이들을 포갠상태의 각 정면도.
제 4 도는 자성체의 비자성체에 대한 용착작업의 온도프로그램도.
제 5 도는 이 용착의 설명에 제공되는 자성체, 비자성체 각 블록의 사시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코어주체와 유리재의 마모성과 수명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재생출력의 시간에 대한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어주체 (30) : 코어부체
(32) : 비자성체 (33) : 자성체
본 발명은 비디오정보와 같이 고주파성분을 함유하는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VTR에서는 자기헤드의 코어재로서 전기저항이 큰 페라이트재가 잘 이용되고 있으나, 소위 메탈테이프라고 칭하는 고항자력(高抗磁力)테이프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 포화자속밀도가 큰 합금자성재료 예를 들면 자성합금(Fe-Al-Si계 합금)재를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자성합금재로 이루어진 자기헤드코어는 그것을 고주파역에 있어서도 사용가능케 하기 위해서, 코어두께를 극히 얇게(예를 들면 β방식 VTR의 트랙폭인 약 30㎛정도) 하지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얇은 코어는 내마모성에 난점이 있기때문에, 이것을 보강하는 의미에서, 이 코어재의 열팽창계수에 근사하는 특성의 유리재를 첨접하는 일이 고려되고 있다.
그래서,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성합금재 자기헤드코어(1)의 양측에 각각 보강코어(2)(2)를 첨접케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각 보강코어(2)(2)는 코어(1)의 작동홈(3) 구성역에 보강용 유리부재(4)를 배설하고 또한 그 하부에 도전율이 작은 자성재인 페라이트재(5)를 배설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유리부재(4)는 그 테이프 당접면측의 표면을 자기헤드코어(1)의 테이프 당접면과 면이 균일해지도록 되어 있어서 테마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또 뒷면 홈측의 자로(磁路) 단면적을 크게 해서 재성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기헤드에서는 자기헤드코어의 테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서, 자기헤드 코어재에 비해서 비커즈경도(硬度)가 큰 보강용 유리부재를 선택 이용토록 하고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장기간에 걸친 사용경과후에서는, 재생출력특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특히, 이 경향은 자기헤드코어에 대한 유리부재의 비커즈경도의 대소에 불구하고 인정되고 있으며, 단지 비커즈경두에 따라서 유리부재로 선정한 것만으로는 특성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자기헤드를 얻기가 곤란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그리고, 이 특성저하의 원인은 주로 자기헤드코어의 테이프 당접면이 유리부재의 그것에 비해서 함몰해서 소위 공간손실이 생기기 때문이라 것이 판명되었다.
또, 보강코어(2)를 구성하는 유리부재(4)와 페라이트재(5)의 접합은 일반적으로 경도가 큰 유리는 용착이 곤란하므로, 양자 사이에 저융점프리트(frit)유리를 개재시켜서 이것을 용착시키므로서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접합은 유리부재(4)의 하면과 그것에 맞닿는 페라이트재(5)의 상면이 한면내에 있어서 면접합되는 것 뿐이므로, 면방향에 대해서 약간 약하여, 기계적 강도에 난점이 있다. 즉, 자기헤드의 매체당접면의 연마테이프에 의한 성형가공시 혹은 자기헤드의 사용시(특시 마모가 진행된 후의 사용시) 등에 유리부재(4)를 결락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결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위 메탈테이프와 같은 고항자력을 지닌 자기매체(예를 들면 테이프)에 비디오 정보와 같이 고주파성분을 함유한 신호(비디오신호)를 기록, 재생하는데 적합한 자기헤드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금자성재료에 의해서 형성되고 작동홈 및 이 작동홈의 하단을 규정하고 또한 코일을 감는 코일창을 가진 코어주체와, 이 코어주체의 자로구성면에 첨접되고 이 코어주체의 상부자로에 대향하는 비자성체와 이 코어주체의 하부자로에 대향하고 상부면에 상기 코일창에 대향하는 절결구멍을 가진 자성체를 접합해서 이루어진 코어부체를 갖춘 자기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자성체를, 자기테이프에 대한 마모성이 코어주체의 합금자성재료보다도 큰 유리재로 구성해서, 자기헤드를 기록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주행시키는 사용시, 코어주체에 비해서 이 유리재를 먼저 마모시켜 자기헤드와 기록매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따른 자기특성의 열화(소위 공간손실=spacing loss)를 방지하고, 또 자성체의 절구멍의 위쪽 측벽에 상기 유리재를 배치해서, 상기 주행시, 이 유리재가 트랙이 연재해있는 방향으로 받아서 이 자성체와의 사이에서 이 유리재가 박리력을 받아도 그것에 의한 박리를 방지하고, 또한, 이 유리재의 용착에 의해서 상기 절결구멍내에의 이 유리재의 배설과 함께 상기 자성체와의 일체화를 실현해서 구성 및 제조가 용이한 자기헤드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 2 조는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평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A-A'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10)은 코어주체이고, (30)(30)은 한쌍의 코어부체이다. 코어주체(10)는 그 자로구성면에 코어부체(30)(30)를 첨설하고, 이들은 각 충합면간에 유기접착재를 침투시키므로서 일체화 되어 있다.
코어주체(10)는 합금자성재료(sendust)에 의해서 성형되고, 트랙폭(11)에 상당하는 두께(예를 들면 29㎛의 코어반분체(12)(13)를, 각 반분체의 충합면간의 적소 즉 작동홈(14) 및 백홈(back gap)(15)의 일부에, 필요한 홈길이(예를 들면 0.2㎛)의 절반두께의 스페이서(도시생략)를 끼어서 접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접합은, 한쪽의 코어반분체(13)에 형성된 앞면 넓이가 50㎛정도의 줄홈(16)(제 3(a)도참조)내에 충전된 결합재(예를 들면 은납)(17) 및 코일창(18)의 하면(18a)에 착설한 동종의 결합재(19)에 의해서 용착하도록 하고있다. 코일창(18)은 그 상단(18b)이 작동홈(14)의 하단을 규정하게 하고 있다. 이 코일창(18)을 가진 코어반분체(13)는 그 외측에 이 코일창(18)을 규정하는 경사면(18c)에 대체로 평행인 경사면(20)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쪽의 코어반분체(12)의 자로단면적과 대략 같게하고 있다.
코어부체(30)(30)는 어느 것이나 코어주체(10)과 두께를 제외하고 대략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두께(31)는 내마모성 및 재생효율과 VTR의 상하실린더 사이의 홈간격을 고려해서 적당히 설계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100~110㎛정도로 선정되어 있다. 각 코어부체(30)(30)는 코어주체(10)의 상부 자료에 대향하는 자성체(32)와 이 코어주체의 하부자로에 대향하는 자성체(33)를 갖추고 있다.
자성체(33)는 본 실시예에서는 정면(33a)이 (110)면, 측면(33b)이 (100)면, 평면(비자성체(32)와의 충합면)(33c)이 (110)면인 단결정 페라이트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재생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용되므로 다결정페라이트재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자성체(33)는 코일창(18)에 대향하고 또한 이 코일창보다 약간 큰 절결구멍(34)를 갖추고 있어서, 코일(도시생략)의 권회에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작동홈(14)근처에 있어서 이 자성체(33)에 의한 자기단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자성체(33c)의 평면(33c)은 작동홈(14)의 하단위치(18b)로 부터 100~200㎛정도 아래쪽에 설정되어 있다. 하단측에 가까워지면, 자기헤드의 마모가 진행되어 갔을때 비자성체(32)가 결락할 위힘이 중대하게 되며, 반면, 보다 이간시키면 자성체(33)의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비자성체(32)는 그 마모성이 코어주체(10)의 재료인 합금자성재에 비해서 큰 유리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PbO, SiO, K2O, NaO, Sb2O3, B2O3가 각각 중량 %로, 59.5, 32.5, 7.12, 0.25, 0.49, 0.14의 조성비를 가지고, 연화점이 530℃, 열팽창계수가 102.0×10-7(1/℃)의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 비자성체(32)는 그 자체에 의해서 자성체(33)에 용착되고, 그 용착시, 연화된 유리가 이 자성체의 절결구멍(34)의 상부구멍벽(34a)에 자중으로 유동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35)가 형성된다. 이 융기부(35)는 자성체(33)에 용착해서, 비자성체(32)의 평면(33c)방향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 유동에 의해서 절결구멍(34)이 막혀서 권선역이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융착시, 이 절결구멍내에 환봉을 장착하고, 굳어진 다음에 이 환봉을 제거하도록 해도된다. 제 2(a)도중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여진영역(36)(36)은 코일권선역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선의 직경 0.03~0.04mm의 선을 25터언권회(균형감기)하고 있다.
제 3(a)도, 제 3(b)도, 제 3(c)도는 심도가공전의 코어주체(10) 및 코어부체(30)을 각각 분리한 것과 이들을 포갠 것의 정면도이다. 동 도면(a)에 의해서, 제 1(a)도에서는 코어부체(30)의 후방에 감추어지고 있는 부분을 분명히하고있다. 동 도면(b)에 있어서, 파선(37)은 비자성체(32)의 용착작업전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c)에 있어서는 작동홈(14)의 심도가공에 의해서 일점쇄선(38)까지 연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작동홈의 상방역(연마에 의해서 제거되는 부분)에 배설된 스포트용접(39)에 의해서 이 연마시에, 작동홈이 변형을 받기어렵게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의 화살표는, 동 도면(a)의 코어주체를 동 도면(b)의 코어부체 2매로 끼어서 동 도면(c)와 같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 4 도는 자성체(33)에 대한 비자성체(32)의 용착작업시에 있어서의 온도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전기로내에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요(凹)홈(42)을 가진 자성체블록(40)위에 비자성체 블록(41)을 올려놓은 것을 배설하고, 대기압중에서 제 4 도에 나타낸 프로그램에 따라서 작업을 실행하므로서 각 블록은 일체화된다. 그 다음, 소정의 형상으로 상형하고 또한 스라이싱(slicing)해서 제 3(b)도의 코어부체를 제조한다.
다음에, 코어주체와 비자성재인 유리재의 마모성과 수명(재생출력에 대한 시간경과특성)의 관계를 다음의 피시험재의 결합에 대해서 개략설명한다.
Figure kpo00001
위의 표는 합금자성재와 유리부재의 각 마모량(상대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표의 마모량은 표준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크테롬이프 사용, 상대속도 6.9m/s)에 피시험재를 연관시켜서 단위시간당의 마모량을 측정하고, 각 샘플의 마모량을 하나의 샘플(자성합금 A)의 마모량을 100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며, 어느 것이나 실험치이다. 또한, 본표에서는 각 샘플에 대해서 비커즈경도를 참고하기 위해서 병기되어 있다.
제 6 도는 자기헤드코어로서 자성합금(A)를 사용하고 또한 유리부재로서 각각 유리(C)(D)(E)를 사용한 각 자기헤드의 각 출력특성의 시간변화를 나타내고, 한편 제7 도는 자성합금(B)을 사용하고 또한 유리(C)(D)(E)를 사용한 각 자기헤드의 각 출력특성의 시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제 6 도 및 제 7 도의 각 특성곡선 a, b, c은 각각 유리부재(C)(D)(E)와의 결합에 있어서의 출력특성이다. 또한, 세로축은 4MHz의 최대재생출력(단위 : mVP-P)을 나타내고, 한편 가로축은 경과시간(단위 :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것이나, 유리부재(C)와의 결합 즉 코어의 내마모성을 유리부재의 그것보다 크게(따라서 코어의 마모량을 적게) 했을때에 1500시간 이상의 경과까지 출력열화가 없고(제 6 도, 제 7 도의 특성 a 참조) 다른 유리부재 즉(D)(E)와의 결합에서는 재생출력의 열화가 극히 단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이 인정된다(제 6 도, 제 7 도의 특성 b, c 참조). 근소하게 자성합금(A)과 유리부재(E)의 결합에서는, 제 6(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출력이 저하된 곳에서 안정하게 되는 경향이 인정되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 또, 이 특성도에서, 단지 코어재보다 비커즈경도가 작은 유리부재를 채용한 것만으로는, 즉 자성합금(A)과 유리(D)의 결합으로 되어있는 자기헤드에서는 제 6 도 특성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출력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할 수 없는 바꾸어 말하면 재생출력특성(내마모성)과 비커즈경도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헤드는 코어주체의 작동홈을 보호하는 코어부체의 비자성체를, 이 코어주체의 재료인 합금자성재료에 비해서 마모성이 큰 유리재료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험적으로 종래예에 비해서 비약적으로 재생출력의 시간에 대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으며, 또, 코어부체를 구성하는 자성체(페라이트 등의 산화물자성체)에 대해서 이 비자성체 자체로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간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용착시에 자성체의 절결구멍내에 침투 용착되는 융기부가 비자성체의 자성체에 대한 접합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므로, 대충격성도 향상한다.

Claims (3)

  1. 합금자성재료에 의해서 형성되고 작동홈 및 이 작동홈의 하단을 규정하고 또한 코일을 권회하는 코일창을 가진 코어주체와, 이 코어주체의 자로구성면에 첨점되고 이 코어주체의 상부자로에 대향하는 비자성체와 이 코어주체의 하부자로에 대향하여 상면에 상기 코일창에 대향하는 절결구멍을 가진 자성체를 접합해서 되어있는 코어부체를 갖추어서 된 자기헤드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는 그 마모성이 상기 코어주체의 마모성에 비해서 큰 유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의 하단은 상기 자성체의 상면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결홈의 위쪽 측벽에는 상기 유리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기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은 이 유리재의 용착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
KR820000665A 1981-03-10 1982-02-16 자기헤드 KR850001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33626 1981-03-10
JP3362681U JPH0138724Y2 (ko) 1981-03-10 1981-03-10
JP33626 1981-03-10
JP6811481U JPS57180830U (ko) 1981-05-11 1981-05-11
JP68114 1981-05-11
JP56-68114 1981-05-11
JP18602681A JPH0234084B2 (ja) 1981-11-18 1981-11-18 Jikihetsudo
JP186026 1981-11-18
JP56-186026 198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557A KR830009557A (ko) 1983-12-22
KR850001445B1 true KR850001445B1 (ko) 1985-10-05

Family

ID=2728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00665A KR850001445B1 (ko) 1981-03-10 1982-02-16 자기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061069B1 (ko)
KR (1) KR850001445B1 (ko)
AU (1) AU548168B2 (ko)
DE (1) DE326774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217A (en) * 1982-10-13 1987-09-29 Sanyo Electric Co., Ltd. Magnetic head having a main core of sheet amorphous magnetic material
CA1236212A (en) * 1983-12-30 1988-05-03 Heikichi Sato Magnetic transducer head with slanted thin film
DE3433750A1 (de) * 1984-09-14 1986-05-22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Magnetkop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69314178T2 (de) * 1992-07-17 1998-04-09 Ampex Systems Corp Zusammengesetzter metall- und ferritwandlerkopf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EP0768640A3 (en) * 1995-10-13 1998-11-11 Ampex Corporation A small core magnetic head with non-magnetic side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4335A1 (de) * 1965-11-12 1969-07-17 Grundig Emv Magnetkopf fuer schmale Spurbreiten,insbesondere Videokopf
GB1248072A (en) * 1967-10-18 1971-09-29 Sony Corp Magnetic head
US4017899A (en) * 1974-10-29 1977-04-12 Spin Physics, Inc. Single-track video ferrite record/reproduc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4170059A (en) * 1975-09-22 1979-10-09 Ampex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transducer for narrow track recording and playback
JPS55160321A (en) * 1979-06-01 1980-12-13 Hitachi Ltd Magnetic head
DE3103767C2 (de) * 1980-02-04 1986-12-04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Osaka Magnetk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61069B1 (en) 1985-12-04
AU548168B2 (en) 1985-11-28
DE3267742D1 (en) 1986-01-16
EP0061069A1 (en) 1982-09-29
AU8122082A (en) 1982-09-16
KR830009557A (ko) 198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1860A (en) Magnetic transducer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10042300A1 (en) Magnetic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3842494A (en) Multichannel magnetic ferrite head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159039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with composite magnetic head
KR850001445B1 (ko) 자기헤드
CA1185008A (en) Magnetic transducer
EP0273496B1 (en) Magnetic head having an electro-chemically inert gap of hard material
US4926276A (en) Magnetic head having reinforcing block
US4811146A (en) Composite magnetic head
GB2201540A (en) Magnetic hea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701819A (en) Magnetic head to effect high density magnetic recording
US5016341A (en) A process for producing magnetic heads of the floating type
US4985796A (en) Magnetic head with a tape contacting surface having a metal filled channel therein
US4769728A (en) Magnetic head having ceramic coupling body
EP0085794A1 (en) Magnetic head construction
EP0632431A2 (en) Magnetic head core having ferrite member
JPH0234084B2 (ja) Jikihetsudo
JPH0418365B2 (ko)
JPS6350911A (ja) 複合型磁気ヘツドの製造方法
JP2568497B2 (ja) 磁気ヘツド
JPH0227373Y2 (ko)
JPS6320705A (ja) 磁気消去ヘツド
JPS58196617A (ja) 磁気ヘツド
KR19980064512A (ko) 자기 헤드
JPS61250810A (ja) 磁気ヘツ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