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341Y1 - 스냅단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냅단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341Y1
KR850001341Y1 KR2019830010141U KR830010141U KR850001341Y1 KR 850001341 Y1 KR850001341 Y1 KR 850001341Y1 KR 2019830010141 U KR2019830010141 U KR 2019830010141U KR 830010141 U KR830010141 U KR 830010141U KR 850001341 Y1 KR850001341 Y1 KR 850001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ocket
button assembly
male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64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29Press-button fasteners made of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 Y10T24/4555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having separate mounting means inserted into area
    • Y10T24/4556Plastic deformation of means or surface required f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 Y10T24/4556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having separate mounting means encompassing cross section of proj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 Y10T24/45874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having axially extending expansion slit along side of c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88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 Y10T24/45906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having component of means permanently deformed during mounting operation
    • Y10T24/45927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having component of means permanently deformed during mounting operation and inserted into or through cavity or projection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냅단추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냅단추 조립체의 암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암부재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부분단면도.
제6도는 침부재의 수직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침부재의 저면도.
제8도는 암부재가 침부재에 의해 의복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암부재의 단면도.
제9도는 숫부재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숫부재의 저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부분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부분단면도.
제14도는 숫부재가 별도의 침부재에 의해 별도의 의복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숫부재의 단면도.
제15도는 별도의 의복부분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암부재와 숫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암부재와 숫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암부재 (B) : 암부재용 침부재
(C) : 암부재가 부착될 의복부분 (D) : 숫부재
(E) : 숫부재용 침부재 (F) : 숫부재가 부착될 의복부분
(1) : 암부재의 기부 (2) : 소켓트
(5) : 소켓트구멍 (6) : 고정돌출편
(7) : 중공부 (8) : 중앙구멍
(9) : 반경방향홈 (10) : 개구부
(16) : 환형부분 (17) : 요부(凹部)
(20) : 침부재의 머리부분 (21) : 침부재의 다리부분
(30) : 숫부재의 기부 (31) : 플러그
(33) : 고정돌출편 (35) : 구멍
(36) : 중앙구멍 (37) : 환형홈
(44) : 요부
본 고안은 스냅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숫부재(male member)와 암부재(female member), 그리고 이들 숫부재와 암부재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들을 한쌍의 의복부분에 각각 부착시키기 위한 한쌍의 침부재(tack member)로 이루어지는 단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단추조립체에 있어서의 암부재는 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기부(基部)와 소켓트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단부를 따라서 뻗어나온 고정돌출편이 안쪽을 향하고 있으며, 한편 숫부재는 이와 일체로 되어있는 기부와 플러그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단부를 따라서 뻗어나온 고정돌출편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숫부재의 고정돌출편과 암부재의 고정돌출편을 계합시키면 숫부재와 암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추조립체에는 또한 한쌍의 침부재가 있는데, 이들 침부재는 암부재 및 숫부재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한쌍의 의복부분에 각각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숫부재 및 암부재는 각각 합성수지를 성형시켜 제조되지만, 암부재의 경우에는 안쪽을 향하는 고정돌출편이 소켓트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암부재를 주형(이 주형내에는 소켓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공간이 있다)으로 부터 꺼낼 때에 소켓트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암부재를 주형으로 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현재에는 고정돌출편의 높이 혹은 소켓트벽의 두께를 최소한도로 감소시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고정돌출편의 높이를 감소시키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결합이 부적절하게 되고, 소켓트벽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암부재가 강도적으로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숫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결합강도를 상당히 필요로 하는 대형의 스냅단추 조립체를 제조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냅식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암부재와 숫부재, 그리고 이들 암부재와 숫부재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들을 한쌍의 의복부분에 각각 부착시키기 위한 한쌍의 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스냅단추 조립체가 제공된다. 원반형의 기부 및 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원통형의 소켓트로 구성되는 암부재의 원주면을 따라서는, 각각 기부를 통해 뻗어나와서 소켓 구멍(숫부재의 플러그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에 흡수되는 다수의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는 소켓트내의 안쪽을 향하는 다수의 고정돌출편과 함께 암부재의 축주위에서 각도를 두고 정렬되어 있다. 제조시, 암부재는 한쌍의 반주형(mold half)상에서 성형되는데, 기부를 성형하기 위한 한쪽의 반주형에는 이 기부내에 각각의 개구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숫부재와 적절히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쌍의 반주형상에서 용이하게 제조되어 이들 반주형으로 부터 꺼낼 때에 그 일부가 변형 혹은 파손되는 일이 전혀 없는, 기계적으로 강도가 큰 암부재를 갖는 스냅단추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의복에 부착되없을 때에 이 의복상에서 밀려 돌아가는 일이 없는 암부재를 갖는 스냅단추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기타의 잇점, 특징 및 목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냅단추 조립체에 있어서의 암부재(A)는 원반형의 기부(1)와 일체로 되어서 기부(1)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소켓트(2)를 가지고 있다. 기부(1)의 원주면(3)은 안쪽이 높이 올라가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다. 소켓트(2)의 원주면(4)은 안쪽이 낯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기부(1)의 저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소켓트(2)의 중앙에는 숫부재(D)(이 숫부재에 대하여서는 다음에 설명하겠음)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5)이 있다. 또한, 이 소켓트(2)의 단부를 따라서는 안쪽을 향하는 4개의 고정돌출편(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돌출편(6)은 기부(1)의 저면과 함께 중공부(中空部)(4)(이 중공부의 역할에 대하여서는 다음에 설명하겠음)를 부분적으로 한정짓고 있다.
기부(1)의 중앙에는 침부재(B)(제6도와 함께 설명하겠음)의 다리부분(21)을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8)이 있으며, 이 구멍(8)은 둥그스름한 표면을 갖는 환형부분(16)(제1도, 제2도, 제5도 참조)에 의해 한정되어 있고, 또한 소켓트(2)의 구멍(5)과 연통(連通)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부(1) 상에는 환형의 중간부분이 상기 환형부분(16)과 소켓트(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환형의 중간부분은 4개의 아아취형 개구부(10) 및 이들 개구부(10)의 사이마다 하나씩 배치된 4개의 반경방향 홈(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개구부(10)는 중공부(7)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부(10)는 소켓트(2)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홈(9)들은 기부(1)의 윗면, 즉 제8도와 함께 설명될 바와 같이 암부재(A)가 의복부분(C)에 부착될 때에 이 의복부분(C)과 맞닿는 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반경방향 홈(9)의 저면(11)에는 사다리꼴부분(12)이 반경방향으로 뻗어나와 있으며, 이 사다리꼴 부분(12)의 높이는 상기 환형부분(16)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있다.
기부(1)에는, 한쌍의 내측 및 외측 환형표면(14)(13)이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중간부분[즉, 개구부(10)와 홈(9)]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게 뻗어나가고 있다. 이들 내측 및 외측 환형표면(14)(13)은, 환형의 중간부분의 폭이 기부(1)의 저면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같이 경사진 외측의 환형표면(13)은 상기 경사진 원주면(3)과 함께 4개의 아아취형 테이퍼단부(taperededge)(15)를 형성하는데, 이때 이들 각각의 테이퍼단부(15)는 상기 4개의 반경방향 홈(9)의 하나씩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테이퍼단부(15)들은 아아취형 요부(凹부)(17)에 의하여 서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상기 요부(17)는 아아취형 개구부(10)의 하나씩에 각각 흡수된다. 각각의 요부(17)의 깊이는 상기 반경방향 홈(9)의 최대 깊이와 같으며, 이 요부(17)의 양단부에는 바깥쪽으로 경사진 한쌍의 단부면(18)(18) (제1도, 제2도 참조)이 위치하고 있다. 인접한 고정돌출편(6)들은 요부(19)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데, 이 요부(19)들은 반경방향 홈(9)의 하나씩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조시, 암부재(A)는 한쌍의 반주형0도시되지 않았음)상에서 성형된다. 기부(1)를 성형하기 위한 한쪽의 반주형에는 4개의 돌출부가 있는데, 이 돌출부들은 기부(1)내의 각각의 개구부(10) 및 이 개구부(10)와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소켓트구멍(5)의 일부[즉, 중공부(7)]를 모두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부(1)내의 4개의 개구부(10) 및 이 기부를 성형하기 위한 반주형상의 4개의 돌출부는 소켓트(2)내의 대응하는 고정돌출편(6)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이 완료된 직후의 암부재(A)로부터 소켓트(2)의 일부 ]특히 안쪽을 향하는 고정돌출편(6)]을 변형 혹은 손상시킴이 없어도 기부성형용 반주형이나 소켓트성형용 반주형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제조속도가 개선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기부성형용 반주형에 의하면 고정돌출편(6)의 높이나 소켓트벽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다. 즉, 숫부재와 적절히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기계적 강도가 큰 암부재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암부재(A)와 결합되어서 이 암부재(A)를 의복부분(C)에 부착(제8도, 제15도 참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침부재(B)를 나타내고 있다. 이 침부재(B)에는 머리부분(20)과, 이머리부분(20)의 중앙에 일체로 연결된 다리부분(21)이 있다. 머리부분(20)에는 환형의 요부(22)가 다리부분(21)과 동일한 축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2)의 바닥면에는 다리부분(21)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가는 4개의 사다리꼴부분(23)이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분(21)은 원형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그 단부는 테이퍼(taper)되어 있으며, 이 다리부분(21)의 길이방향으로는 4개의 리브(24)가 상기 테이퍼된 단부의 바로 앞까지 뻗어나가고 있다.
암부재(A)를 의복부분(C)에 부착시킬 때에는, 침부재(B)의 다리부분(21)을 의복부분(C)에 관통시킨 후에 이 다리부분(21)을 암부재(A)의 구멍(8)으로 힘껏 눌러끼운다. 마지막으로, 침부재(B)가 암부재(A)로 부터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다리부분(21)의 단부를 소켓트(2)의 구멍(5)[즉, 중공부(7)]내로 축방향으로 압축시킴에 의해 이 다리부분(21)의 상기 테이퍼된 단부를 변형시키면 부착이 완료되는 것이다(제8도 참조).
암부재(A)가 이와 같이 의복부분(C)에 부착되면, 이 의복부분(C)은 암부재(A)의 기부(1)와 침부재(B)의 머리부분(20)의 사이에 끼워져 눌려지므로, 의복부분(C)의 일부가 개구부(10)내로 밀려 들어온다. 결과적으로, 암부재(A)는 의복부분(C)에 대해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머리부분(20) 내의 사다리꼴 부분(23)은 의복부분(C)내로 몰려들어가 있기 때문에, 침부재(B)도 역시 의복부분(C) 및 암부재(A)에 대해 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또한, 암부재(A)의 부착시에는 그 기부(1)의 테이퍼단부(15)가 의복부분(C)내로 몰려들어가기 때문에, 이때 이 암부재(A)는 실제보다 얇게 보인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는 상기 암부재(A)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숫부재(D)가 도시되어 있다. 숫부재(D)에는 원반형의 기부(30) 및 이에 일체로된 플러그(31)가 있으며, 이 숫부재(D)가 암부재와는 별도의 의복부분(F)에 부착(제15도 참조)되었을 때에는 상기 기부(30)의 밑면이 의복부분(F)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기부(30)의 원주면(32)은 그 밑면을 향하여 안쪽이 낮도록 경사져 있다.
숫부재(D)의 플러그(31)에는 바깥쪽을 향하는 2개의 반원형 고정돌출편(33)이 있는데, 이들 반원형 고정돌출편(33)은 숫부재(D)와 암부재(A)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암부재(A)의 고정돌출편(6)과 맞물려진다. 상기 2개의 반원형 고정돌출편(33)은 이 고정돌출편(33)을 가로질러 뻗어나가는 2개의 반경방향 요부(34)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다.
숫부재(D)의 기부(30)의 중앙에는, 둥그스름한 표면을 가진 환형부분(43) 제13도 참조)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플러그(31)내의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36)이 있다. 또한, 이 기부(30)의 밑면에는 상기 구멍(36)과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홈(37)이 있다. 이 환형홈(37)의 바닥에는 4개의 계단부분(39)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계단부분(39)의 윗쪽 계단형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계단부분(39)의 높이는 상기 기부(20)의 4개 테이퍼단부(42) 및 상기 중앙구멍(36)을 한정짓는 상기 환형부분(43)의 높이보다 낮다. 상기 환형 홈(37)을 한정짓는 한쌍의 내측 및 외측벽(41),(40)은, 이 환형 홈(37)의 폭이 그 저면(38)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30)내에는 경사진 원주면(32) 및 상기 외측벽(40)에 의해 한정되는 4개의 테이퍼단부(42)가 상기 홈(37)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일접한 테이퍼단부(42)들은 아아취형 요부(44)에 의하여 서로 떨어져 있으며, 이들 요부(44)는 환형 홈(37)에 흡수되어 있고, 또한 그 주위에는 바깥쪽으로 경사진 한쌍의 단부표면(45)(45)(제11도 참조)이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부재(D)는 암부재용의 침부재(B)(제6도 내지 제8도)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별도의 침부재(E)에 의하여 의복부분(F)에 부착된다. 이 숫부재(D)를 의복부분(F)에 부착시키려면, 침부재(E)의 다리부분(21)을 외복부분(F)에 관통시킨 후에 이 다리부분(21)을 숫부재(D)의 중앙구멍(36)내로 힘껏 눌러끼운다. 마지막으로, 침부재(E)가 숫부재(D)로부터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침부재(E)의 테이퍼단부의 끝을 축방향으로 압축시킴에 의해 이 테이퍼단부를 변형시키면 부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숫부재(D)가 이와 같이 의복부분(F)에 부착되면, 이 숫부재(D)의 기부(30) 및 침부재(E)의 머리부분(20)이 의복부분(F)을 누르게되고, 따라서 의복부분(F)의 일부가 상기 환형 홈(37)과 요부(44)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테이퍼단부(42)가 의복부분(F)내로 몰려 들어가고, 결과적으로 숫부재(D)는 의복부분(F)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머리부분(20)내의 사다리꼴 부분(23)도 의복부분(F)내를 몰려들어가 있기 때문에, 침부재(E)도 역시 의복부분(F) 및 숫부재(D)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침부재의 다리부분(21)내의 리브(24)는, 침부재(E)와 숫부재(D)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사다리꼴부분(23)의 역할을 강화시킨다. 또한, 기부(30)의 테이퍼단부(42)가 의복부분(F) 내로 몰려들어가 있기 때문에, 숫부재(D)는 실제보다 얇게 보이게 된다.
각각의 침부재(B)(E)에 의해 별도의 의복부분(C)(F)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암부재(A) 및 숫부재(D) (제8도 및 제14도 참조)를 서로 결합시키려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부재(D)의 플러그(31)를 암부재(A)의 소켓트(2)내의 구멍(5)으로 힘껏 끼워넣으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암부재(A) 및 숫부재(D)는 의복부분(C)(F)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주조성형된 숫부재(D) 및 암부재(A)와, 이들 숫부재와 암부재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들을 2개의 별도 의복부분(F)(C)에 부착시키기 위한 2개의 침부재(E)(B)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침부재(E)(B)에는 머리부분(20)과 중앙부의 다리부분(21)이 있고, 상기 숫부재(D) 에는 제1기부(30) 및 이와 일체로 되어서 축방향의 제1구멍(30)을 한정짓는 원통형 플러그(31)가 있으며, 상기 제1기부(30)에는 상기 축방향의 제1 구멍(35)과 연통되어서 상기 침부재(E)(B)중의 하나의 중앙 다리부분(21)을 받아들이기 위한 제1 중앙구멍(36)이 있고, 상기 플러그(31)의 자유단 주위에는 바깥을 향하는 다수의 고정돌출편(33)이 있으며, 상기 암부재(A)에는 제2 기부(1) 및 이와 일체로 되어서 상기숫부재(D)의 플러그(31)를 받아들이기 위한 축방향의 제2 구멍(5,7)을 한정짓는 원통형 소켓트(2)가 있고, 상기 제2 기부(1)에는 상기 제2 구멍(5,7)과 연통되는 제2 중앙구멍(8)이 있으며, 상기 소켓트(2)의 자유단 주위에는 안쪽을 향하는 다수의 고정돌출편(6)이 있고, 이들 고정돌출편(6)은 상기 숫부재(D)와 암부재(A)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이 숫부재(D)의 플러그(31)내의 상기 바깥쪽을 향하는 고정돌출편(33)들과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2개의 의복부분(C)(F)을 가진 의복에 부착되기 위한 스냅단추 조립체(A,B,D,E)에 있어서, 상기 안쪽을 향하는 고정돌출편(6)중의 하나씩에 대해 소켓트(2)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멍(5,7)과 연통되는 다수의 개구부(10)가 상기 제2 기부(1)내에 더욱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단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구부(10)가 상기 제2중앙구멍(8)과 동심원을 이루는 아아취형 개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단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트(2)와 반대쪽의 제2 기부(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반경방향 홈(9)이 있으며, 이들 홈(9)의 각각은 상기 아아취형 개구부(10)의 인접한 쌍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단추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부(1)에는 다수의 아아취형 요부(凹部)(17)가 또한 있으며, 이들 요부(17)의 각각은 상기 제2 중앙구멍(8)과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개구부(10)의 하나씩에 흡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단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1)와 반대쪽에 제1 기부(30)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중앙구멍(36)과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홈(37) 및 이 홈(37)과 동심원을 이루며 이에 흡수되는 다수의 아아취형 요부(44)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단추 조립체.
KR2019830010141U 1982-12-01 1983-11-29 스냅단추 조립체 KR8500013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182340U JPS5986111U (ja) 1982-12-01 1982-12-01 スナツプ釦の雌体
JP182340 1982-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64U KR840006064U (ko) 1984-11-30
KR850001341Y1 true KR850001341Y1 (ko) 1985-07-03

Family

ID=1611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141U KR850001341Y1 (ko) 1982-12-01 1983-11-29 스냅단추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39735A (ko)
EP (1) EP0110350B1 (ko)
JP (1) JPS5986111U (ko)
KR (1) KR850001341Y1 (ko)
AU (1) AU542473B2 (ko)
CA (1) CA1228719A (ko)
DE (2) DE3362042D1 (ko)
ES (1) ES276348Y (ko)
GB (1) GB2132470B (ko)
HK (1) HK49587A (ko)
MY (1) MY87005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1446A (en) * 1985-02-15 1986-08-28 Kane Ind Co Ltd M Socket for snap fastener
US5793846A (en) 1985-07-10 1998-08-11 Ronald A. Katz Technology Licensing, Lp Telephonic-interface game control system
GB8617026D0 (en) * 1986-07-12 1986-08-20 Jade Envelopes Ltd Envelope
US5050279A (en) * 1987-09-18 1991-09-24 Snap Fast Industries Snap fastener
US4907320A (en) * 1987-11-30 1990-03-13 Ting Miao Detachable drop-off-proof button
US4805273A (en) * 1987-12-02 1989-02-21 Scovill Fasteners Inc. Snap fastener for molding on to fabric and apparatus for making it
JPH066730Y2 (ja) * 1988-04-13 1994-02-23 吉田工業株式会社 フックにおける雌部の受け部本体
AU661676B2 (en) * 1991-09-25 1995-08-03 Snapfast Industries, Inc. Snap fastener and tooling therefor
JPH1132815A (ja) * 1997-07-17 1999-02-09 Ykk Corp スナップボタンおよびその取付方法
DE19731207C2 (de) * 1997-07-21 2000-11-02 Ykk Corp Druckknopf
GB2327856B (en) * 1997-08-01 2002-01-16 Iris Whyte A pair of socks
US20020029444A1 (en) * 2000-09-07 2002-03-14 Lyle Michael A. Snap fastener
AT411785B (de) * 2003-02-05 2004-05-25 Guenter Sikora Lösbare schnappverbindung
US7617575B2 (en) 2007-10-09 2009-11-17 Ykk Corporation Water migration resistant snap fasteners
JP5166904B2 (ja) * 2008-02-08 2013-03-21 モリト株式会社 Rfidタグを取り付けた装飾体
JP5513000B2 (ja) * 2009-04-10 2014-06-04 モリト株式会社 ロックが可能なボタン
US9265294B2 (en) * 2009-05-15 2016-02-23 Cohaesive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ffixing hardware to garments
WO2010143287A1 (ja) * 2009-06-10 2010-12-16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JP5313359B2 (ja) * 2009-10-22 2013-10-09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方法、ボタン取付システム、及びボタン取付用上金型
US8561264B2 (en) * 2010-02-03 2013-10-22 Ykk Corporation Female snap button
DE112010005770B4 (de) * 2010-07-26 2024-04-18 Ykk Corporation Knopfbefestigungsteil und Knopfanordnung
US8898864B1 (en) * 2010-10-08 2014-12-02 David Porter Integrated rockably released leverage snap fastening system
WO2015035257A2 (en) 2013-09-05 2015-03-12 Boa Technology Inc. Alternative lacing guides for tightening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KR101684606B1 (ko) * 2015-04-23 2016-12-08 유승민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10653212B2 (en) 2015-12-07 2020-05-19 Nike, Inc. Snap-type fastener arrangement
KR102391910B1 (ko) 2016-08-02 2022-04-2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신발끈 결속 시스템의 인장 부재 가이드
US11219283B2 (en) * 2020-04-14 2022-01-11 Bradford M. Bird Conjoining assembly
USD941702S1 (en) 2020-05-22 2022-01-25 Bradford M. Bird Conjo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2165A (en) * 1928-06-11 1930-11-18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Securing means
GB481348A (en) * 1936-06-01 1938-03-09 United Carr Fastener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nap fasteners
US2368100A (en) * 1939-03-28 1945-01-30 Boenecke Alfred Snap fastener
GB541524A (en) * 1939-03-28 1941-12-01 Alfred Boeneck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nap-fasteners
GB751674A (en) * 1953-07-02 1956-07-04 Bonnie Maxine Web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tton or ornament head assemblies
US3107408A (en) * 1961-05-22 1963-10-22 Scovill Manufacturing Co Plastic stud and socket with common rivet
GB936095A (en) * 1961-06-16 1963-09-04 Scovill Manufacturing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nap fasteners
US3195201A (en) * 1963-04-17 1965-07-20 Scovill Manufacturing Co Ornamental snap fastener assembly
GB1073355A (en) * 1963-07-10 1967-06-21 Kanegafuchi Spinnin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snap fasteners
GB1073408A (en) * 1965-11-02 1967-06-28 Scovill Manufacturing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nap fastener
DE2035735C3 (de) * 1970-07-18 1973-11-29 Schaeffer-Homberg Gmbh, 5600 Wuppertal-Barmen Kunststoff Druckknopf
US3613181A (en) * 1970-08-26 1971-10-19 Scovill Manufacturing Co Snap fastener socket
US4253226A (en) * 1979-07-25 1981-03-03 Tadashi Takeda Method for mounting up a plastic fastener
JPS58164512U (ja) * 1981-12-07 1983-11-0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スナツプ
JPS58154618U (ja) * 1982-04-13 1983-10-15 武田 精 スナツプフアスナ−の雌型嵌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6348U (es) 1984-10-16
AU542473B2 (en) 1985-02-21
EP0110350A1 (en) 1984-06-13
GB2132470A (en) 1984-07-11
EP0110350B1 (en) 1986-01-29
AU2164483A (en) 1984-06-21
DE110350T1 (de) 1984-10-11
CA1228719A (en) 1987-11-03
US4539735A (en) 1985-09-10
MY8700509A (en) 1987-12-31
JPS5986111U (ja) 1984-06-11
DE3362042D1 (en) 1986-03-13
KR840006064U (ko) 1984-11-30
HK49587A (en) 1987-07-03
ES276348Y (es) 1985-04-16
GB8331389D0 (en) 1984-01-04
GB2132470B (en) 1985-10-30
JPS638246Y2 (ko) 198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341Y1 (ko) 스냅단추 조립체
KR840001280Y1 (ko) 단추조립체
EP1048234A1 (en) A snap fastener having a detachment directionality
KR20030082446A (ko) 스냅 파스너가 달린 테이프
CA2491121A1 (en) Snap fastener for use with fabrics
US6976291B2 (en) Tape-mounted fasten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JPH0126251Y2 (ko)
US2838820A (en) Press-button of plastic or like material
US3195201A (en) Ornamental snap fastener assembly
KR20010029561A (ko) 테이프가 부착된 화스너 및 그 제법
EP0292892B1 (en) Pair of snappingly engageable members
KR880003206Y1 (ko) 똑딱단추의 구조
KR910006485Y1 (ko) 갈고리 단추의 암요소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JPH0230965Y2 (ko)
US4077728A (en) Distortion of plastic parts aligns non-coaxial members
JPH0225929Y2 (ko)
CN109965461B (zh) 卡合扣具
CN212698880U (zh) 一种试管用盖帽
JPS6227139Y2 (ko)
KR102561777B1 (ko) 조립 어셈블리
JPH0711619Y2 (ja) スナツプフアスナ−の雌型嵌合体
JPS5812385Y2 (ja) コネクタにおけるコンタクトの係止構造
JPS6342806Y2 (ko)
JPS62397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