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93Y1 -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 Google Patents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293Y1
KR850001293Y1 KR2019830010853U KR830010853U KR850001293Y1 KR 850001293 Y1 KR850001293 Y1 KR 850001293Y1 KR 2019830010853 U KR2019830010853 U KR 2019830010853U KR 830010853 U KR830010853 U KR 830010853U KR 850001293 Y1 KR850001293 Y1 KR 850001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xed
shaft
cam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락
Original Assignee
박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락 filed Critical 박세락
Priority to KR2019830010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valves or valv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2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스패너위치와 바이트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일부인 작동간의 습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4절링크에 의하여 바이트가 상하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8 도는 바이트와 고정간이 고정지지대에 안내되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 9 도는 사프트의 나선부에 고정된 캡으로 바이트가 하강되고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0도는 크레인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1도는 경사캠에 지렛대가 접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2도는 바이트의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13도는 스패너에 캡이 삽입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4도는 스패터가 탄발스프링에 탄설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동판 1a : 기어부
1b : 홀더 2 : 중간축
3 : 선축 4 : 회동축
5 : 주축 16 : 고정기대
18 : 고정간 19 : 피니언
20 : 중간기어 21 : 스토퍼
22 : 작동간 25a, 25b : 크레인
26a,26b : 지지봉 27a,27b : 원뿔베어링
28a,28b : 스플라인축 29a,29b : 스플라인휘일
30a,30b : 풀리 31: 샤프트
32 : 지렛대 33 : 지지구
34 : 스패너 35 : 탄발스프링
본 고안은 수도밸브용 캡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기계를 적은 인력과 짧은 시간에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되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수도밸브용 캡은 단조등의 방법으로 1차가공을 한후 그 내측에 나선부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도금등의 표면처리를 하여 수도 밸브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데 단조가공 후 완성된 캡은 그 형태가 아름답지 못하고 그 모서리가 예리하여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종래에는 샌드 페이퍼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캡의 외주면을 일일이 다듬었으므로 많은 인력이 소모됨에 비하여 생산되는 완성품의 갯수가 적어 비능률적이며 깨끗하지 못하였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가공되도록 하고 적은 시간에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M)에 의하여 함께 회동하는 감속기어(M')에는 중간축(2), 선축(3), 회동축(4)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비율로 회동토록 하고 중간축(2)에는 경사캠(6), 제회동캠(7), 제2회동캠(9)이 각각 축설도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체인을 연결하여 주축(5)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주축(5)에는 제1편심캠(10), 제2편심캠(11)과 원뿔캠(21)을 각각축설하여,형 바이트(13)가 끝단에 부착된 습동간(14)과 이에 유설된 4절링크(15)에는 제1편심캠(10)을 고착하고 고정기대(16)에 안내되어 습동하는형 바이트(17)의 끝단에는 제2편심캡(11)을 고착하여 원뿔캠(12)에는형 고정간(18)의 끝단을 각각 유설시키어 외주면에 기어부(1a)가 환설된 회동판(1)위에 일정 균등간격으로 입설 고정된 각 홀더(1b)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기어부(1a)가 환설된 회동판(1)은 피니언(19)과 중간기어(20)에 각각 교합되어 있으며 피니언(19)에는 감속기어(M')와 연결된 회동축(4)에 고정되어 회동하므로 이에 따라 중간기어(20)와 이에 교합된 회동판(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인데 회동축(4)의 하단에는 걸림턱(4a)가 돌설되어 이를 단속하는 스토퍼(21)의 작동에 따라 회동축(4)의 회동이 단속된다.
스토퍼(21)에 고착된 작동간(22)에는 롯드(22a)가 유설되어 제3회동캠(9)의 회동에 따라 롯드(22a)를 회전토록하며 스프링(23)이 작동간(22)에 고정되어 원위치되도록하고 제1회동캠(7)과 제2회동캠(8)의 하단에는 양측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어 지지대(24)에 유설된 크레인(25a)(25b)이 절곡되어 접하고 있으며 크레인(25a)(25b)의 끝단에 삽입된 지지봉(26a)(26b)중앙에는 원뿔베어링(27a)(27b)이 스플라인축(28a)(28b)을 수직으로 감삽 하고 있어 스플라인휘일(29a)(29b)에 고착된 풀리(30a)(30b)의 회동에 의하여 스플라인축(28a)(28b)이 회동가공하도록 하고 풀리(30a)(30b)는 별도의 모터(M")에 연결시킨다.
또한 회동판(1)에 일정 균등간격으로 입설된 홀더(1B)에는 샤프트(31)가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샤프트(31)의 상단에는 나선부(31a)와 하단에는 피동기어(31b)와 원판(31c)이 각각 형성되어 스플라인축(28a)(28b)에 접할때 마찰력으로 함께 회동하도록 하였으며 경사캠(6)에 의하여 회동 단속되는 지렛대(32)의 끝단이 선축(3)에 접하고 있어 피동기어(31b)와 주동기어(3a)가 교합되는 것을 단속하도록 하여 지지구(33)에 유설되고 탄발스프링(35)에 탄발된 스패너(34)를 이용하여 나선부(1a)에 납합된 캡(A)을 나해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모터(M")로 풀리(30a)(30b)와 연결하고 구동모터(M)와 함게 전원을 인입시키게 되면 이와 공시에 감속기어(M'),중간축(2), 주축(5), 선축(3), 회동축(4)와 이에 축설된 모든 캠이 일정비율로 회동하게 되는데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습동간(14)의 하단에 고착된형 바이트(13)는 회동판(1)의 우측중심선에 위치하도록 하고 좌측 중심선상에는 지지구(33)에 유설된 스패너(34)가 위치하도록하며 수직 중심선상에는 고정기대(16)에 안내되어 습동하는형 바이트(17)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축(4) 상단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피니언(19)과 중간기어(20), 기어부(1a)가 각각 교합되어 회동하는 회동판(1)에 일정 균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홀더(1b)에 축설된 샤프트(31)의 끝단 나선부(31a)에는 인위적으로 캡(A)의 내측으로 형성된 암나사를 나합되게하여 고정시킨 후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주축(5)의 끝단에 축설된 원뿔캠(12)의 회동으로 습동하는 고정간(18)은 그 끝단이 각 홀더(1b)의 외경과 일치하도록형으로 되어 있어 홀더(1b)사이로 삽입할 경우에 회동판(1)과 이에 고착된 각 홀더(1b)는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고정간(18)이 홀더(1b)를 고정시키는 이유는 각 바이트(13)(17), 즉형과형 바이트(13)(17)가 렛(A)의 외주면을 가공할 경우에 그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만 가공이 원활할뿐만 아니라 모든 캡(A)의 형상이 동일하고 각 바이트(13)(17)의 수명이 장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간축(2)에 축설된 제3회동캠(9)에 단속되는 롯드(22A)와 이에 유설된 작동간(22)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21)의 단속으로 회동축(4) 하단에 돌설된 걸림턱(4a)을 회동 못하도록하여 회동축(4)선단에 고정된 피니언(19)의 회동을 정지시키어 회동판(1)의 회전을 일정시간 정지시키게 되는데 고정간(18)이 홀더(1b)을 고정시키고 각 바이트(13)(17)가 캡(A)의 외주면을 가공하여 스패너(34)로 캡(A)을 나해시키는 시간동안 스토퍼(21)로 걸림턱(4a)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같은 시간은 제3회동캠(9)의 회전으로 작동간(22)이 후퇴하여 회동축(4)을 회전 가능하게 하면 피니언(19), 중간기어(20)와 기어부(1a)가 각각 교합하여 회동판(1)을 홀더(1b)간의 중심거리인 1피치(P)만큼 회동한후에는 다시 작동간(22)이 이동하여 회동축(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같은 작동으로 회동판(1)이 회동후 정지하게 되면 모터(M")에 풀리(30a)(30b)로 동력이 연결되어 항시 회전하는 스플라인휘일(29a)(29b)과 이에 끝단에 교합된 스플라인축(28a)(28b)은 원뿔베어링(27a)(27b)에 수직으로 재치되어 항상 회전하게되며 지지봉(26a)(26b)은 크레인(25a)(25b)의 끝단에 삽입되어 제1회동캠(7)과 제2회동캠(8)의 단속으로 첨부도면 제10도에서 가상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크레인(25a)(25b)이 지지대(2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지지봉(26a)(26b)의 중앙에 형성된 원뿔베어링(27a)(27b)이 스플라인축(28a)(28b)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풀리(30a)(30b)에 고착된 스플라인휘일(29a)(29b)과 교합되어 항상 회동하고 있는 스플라인축(28a)(28b)의 끝단과 샤프트(31)하단에 착설된 원판(31c)이 압착하여 회동판(1)에 유설되어 있는 샤프트(31)가 회전하게 된다.
스플라인축(28a)(28b)의 끝단과 이에 암착되는 원판(31c)은 연질 합성수지로 되어 서로 접할경우 큰 마찰력으로 샤프트(3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샤프트(31)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31a)에는 캡(A)이 나합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1)의 회전에 따라 캡(A)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샤프트(31)를 회동시키기 위한 스플라인축(28a)(28b), 스프라인휘일(29a)(29b), 풀리(30a)(30b), 크레인(25a)(25b)등은,형 바이트(13)와형 바이트(17)가 작동되는 부분의 직하방 위치에 있어 그 하단에는 캡(A)이 회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캡(A)이 회전하게 된 후에는 주축(5)에 축설된 제1편심캠(10), 제2편심캠(11)과 원뿔캠(12)의 회동으로 제일 먼저 고정간(18)이 진입하여 홀더(1b)를 고정시키고 제1편심캠(10)에 고착된 4절링크(15)의 유동으로 첨부도면 제7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4절링크(15)의 끝단에 고정된 습동가(14)이 하강하여형 바이트(13)가 캡(A)의 외주면을 바이트(13)의 형상과 동일하게 가공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2편심캠(11)의 회동으로형 바이트(17)가 고정기대(16)에 안내되어 회전하고 있는 캡(A)의 하단부를 가공하여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같은 방법으로 캡(A)을 가공된 후에는 피니언(19)의 회동으로 회동판(1)을 1피치(P)만큼 이동시키게 되며 가공이 끝난 캡(A)이 회동판(1)의 좌측 중심선상에 위치한 스패너(34)의 내측에 삽입하게 되는데 캡(A)의 외주면 육각부분과 스패너(34)의 내측 크기가 통일하여 캡(A)의 모서리 부분이 스패너(34)에 접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제14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탄발스프링(35)으로 탄설된 스패너(34)가 일정각도로 회동한후 다시 원위치 되면서 첨부도면 제13도에서와 같이 캠(A)을 감삽시키게 된다.
순간적으로 이러한 작동이 끝난후에는 경사캠(6)에 접하고 있는 지렛대(32)를 회동시키어 첨부도면 도면 제13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그 끝단이 회동하고 있는 선축(3)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감속기어(M')에 벨트로 연결되어 항상 회동하고 있는 선축(3)은 끝단이 구면베어링(36)으로 되어 지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주동기어(3a)가 형성되어 샤프트(31)의 하단에 축설된 피동기어(31b)와 교합가능하여 지렛대(32)의 회동으로 선축(3)이 이동될 경우에 샤프트(31)는 캡(A)의 기해되는 원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캡(A)은 스패너(34)의 내측면을 따라 나해되며 상승되고 완전히 나해된후에는 회동판(1)이나 몸체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계속 반복하여 작동하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몸체 전면에서 나선부(31a)에 가공한 캡(A)을 나합시키기만 하면 완성품을 스패너(34)의 일측에 자동으로 낙하하는 것이며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워지므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확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성품의 외관이 미려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해진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형 바이트(13)가 끝단에 부착된 습동간(14)과 이에 유설된 4절링크(15)에는 제1편심캠(10)을 고착하고 고정기대(16)에 안내되어 습동하는형 바이트(17)의 끝단에는 제2편심캡(11)을 고착하여 원뿔캠(12)에는형 고정간(18)의 끝단을 각각 유설시키어 외주면에 기어부(1a)가 환설된 회동판(1)위에 일정 균등간격으로 입설 고정된 각 홀더(1b)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하며 스토퍼(21)에 고착된 작동간(22)에는 롯드(22a)가 유설되어 제3회동캠(9)의 회동에따라 롯드(22a)를 회전하도록하여 회전축(4)하단에 돌설된 걸림턱(4a)를 단속하도록 하고 제1회동캠(7)과 제2회동캠(8)의 하단에는 양측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지지대(24)에 유설된 크레인(25a)(25b)의 끝단에 삽입된 지지봉(26a)(26b)의 중앙에는 원뿔베어링(27a)(27b)이 스플라인축(28a)(28b)을 수직으로 감삽하고 있어 스플라인휘일(29a)(29b)에 교합되도록 하며 회동판(1)에 일정 균등간격으로 입설된 홀더(1b)에는 샤프트(31)가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설시켜 샤프트(31)의 상단에는 나선부(31a)와 하단에는 피동기어(31b)와 원판(31c)이 각각 형성되어 스프라인축(28a)(28b)에 접할때 마찰력으로 함께 회동하도록 하였으며 경사캠(6)에 의하여 회동 단속하는 지렛대(32)의 끝단이 선축(3)에 접하여 피동기어(31b)와 주동기어(3a)가 교합되는 것을 단속하도록 하고 회동판(1)의 중심선 일측에는 스패너(34)를 입설하여 캡(A)을 나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구(33)에 유설되고 탄발스프링(35)에 탄발된 스패너(34)를 이용하여 나선부(31a)에 나합된 캡(A)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캡의 외주면가공기.
KR2019830010853U 1983-12-20 1983-12-20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KR850001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853U KR850001293Y1 (ko) 1983-12-20 1983-12-20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853U KR850001293Y1 (ko) 1983-12-20 1983-12-20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293Y1 true KR850001293Y1 (ko) 1985-06-21

Family

ID=1923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853U KR850001293Y1 (ko) 1983-12-20 1983-12-20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404838A1 (de) Bohr- und fraeswerk
CN112372085B (zh) 一种齿轮加工用去毛刺装置及其使用方法
US4064657A (en) Machine for machining spiral cutting edges on cutting tools
GB2141057A (en) Grinder
KR850001293Y1 (ko) 수도 밸브용 캡의 외주면 가공기
ES8608985A1 (es) Maquina para el tratamiento con chorro proyectado de piezas de trabajo
DE341662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eifen von oberflaechen
CN111515323A (zh) 一种易清理的螺钉搓牙机
DE373271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eifen eines pilzmeisselbohrkopfes
EP0084373A2 (de) Maschine für die Fertigbearbeitung von Werkstücken mit kompliziertem Profil
CN112518041B (zh) 一种工业用零件倒角加工设备
EP0511619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Legen und Formen von Wurstlängen, insbesondere Bratwurst
DE2433954A1 (de) Industrie-roboter
CN108637825A (zh) 一种灯座的抛光装置
FR2554749A1 (fr) Dispositif d'avancement pour plusieurs chariots a coulissement longitudinal d'une machine-outil
CN114633171A (zh) 一种智能温控开关组件生产成型加工系统
CN207174799U (zh) 用于蜗轮生产线的移载定位装置
JP2607415B2 (ja) ドリル刃先研削機
CN220330781U (zh) 锥筒内表面打磨装置
US2353874A (en) Metalworking apparatus
DE518573C (de) Maschine zur Bearbeitung von Zahnbohrern, bei der mehrere Werkstuecke in einem um seine Achse drehbaren Werkstueckhalter eingespannt sind
CN110170901A (zh) 一种用于显晶类水晶表面的集中处理系统
DE3916104A1 (de) Polierverfahren und poliermaschine
JPS628994Y2 (ko)
DE1652202A1 (de) Schwabbel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