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68B1 - 강의 연속 주조법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 주조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268B1 KR850001268B1 KR1019810001443A KR810001443A KR850001268B1 KR 850001268 B1 KR850001268 B1 KR 850001268B1 KR 1019810001443 A KR1019810001443 A KR 1019810001443A KR 810001443 A KR810001443 A KR 810001443A KR 850001268 B1 KR850001268 B1 KR 8500012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x density
- casting
- continuous casting
- strand
- segreg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2—Use of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자력선속 밀도대 함유물지수의 그래프.
제2도는 큰 단면적을 가지는 연속주조 스트랜드에서의 주파수 대 교반 강도의 그래프.
제3도는 교반이 없이 산출된 연속주조 스트랜드와 주형안의 교반을 가진 연속주조 스트랜드와 주형 및 중간 응고구역의 교반을 가진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커다란 흠결의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a도와 제4b도는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육안 조직의 사진.
제5도는 화이트 밴드(white bend)에서의 자력 선속밀도대 중앙 편석비대 부편석비의 그래프.
제6도는 자력 선속밀도의 최적범위의 그래프.
제7도는 제5도에 유사한 그래프.
제8도는 제6도와 유사한 자력선속 밀도의 최적범위의 그래프.
제9도는 인발 감소비의 그래프.
제10도는 제5도와 제7도에 유사한 그래프.
제11도는 자력선속밀도의 최적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2도는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폭방향의 편석 그래프.
제13도는 다른 교반조건하에서의 편석그래프.
본 발명은 연속으로 강을 주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의 연속 주조에서, 초음파 시험으로 관찰되는 걸점이 발생하는 데, 예를들면 연속 주조 스트랜드(strand)의 부표면(sub-surface)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함유물이나, 응고단계나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축중앙부에 생기는 수축등이 발생한다. 또한 심한 편석이 연속 주조 공정의 고온에서 주조되는 연속 주조 스트랜드에서 일어나서, 낮아진 감소율 때문에 냉간 단조성을 해친다.
중앙 편석과 수축공을 포함하는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내부걸함을 제거하기 위해 주형이나 제2 냉각구역안에서의 단일 전자석 교반을 통해 여러가지 시도가 행하여졌는 바, 이는 등방성의 양질의 걸정핵을 생산하기 위한 걸정성장의 선단부에 용융강의 유동성을 주며, 이로인해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중앙부에 등방성의 걸정구역을 확장시켰다. 그러나, 이 방법중의 어느것도 중앙편석의 비를 감소시키거나,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축방향의 중앙 편석의 불규칙성을 감소 시키는데는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으며, 양질의 주강을 생산시키지 못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상기의 문제접을 극복하고 연속주조법에서의 중앙편석을 적게가진 양질의 주강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적절한 형태에서 적어도 두개나 세개의 위 치에서 용융금속을 전자석교반시키는 단계 즉, 주조주형의 전자석 교반을 위해 주파수 f=1.5Hz-10Hz의 교류로 저장을 유도하여 주조 주형의 내부 표면에 195×e-0.184-1790×e-0.2f범위의 G(Gauss)를 갖고, 중간응고 구역의 전자석 교반을 위해 주파수 f=1.5-10Hz의 교류로 자장을 유도하여 스트랜드 표면에 195×e-0.18f-1790×e0.2f범위의 자력선속밀도 G를 갖거나 주파수 f=50-60Hz의 교류로 자장을 유도하여 스트랜드의 표면에 0.6×106/ (D-107)2-1.8×106/ (D-100)2(여기에서 D는 스트랜드의 응고 껍질층의 두께)의 자력선속 밀도 G를 갖고, 최종응고 구역의 전자석 교반을 위해 주파수 f=1.5-10Hz의 교류로 자장을 유도하여 스트랜드의 표면에 895×e0.2f-2137×e-0.2f의 자력 선 속밀도를 갖는단계를 주조주형과 연속주조주형의 중간응고 구역과 최종 응고구역에 적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강의 연속주조법에서 용융강의 기등력을 일으키는 전자석 교반이 너무 약하면 용융강에서 전술한 함유물과 부(negative) 편석과 중앙편석의 정도를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하게 된다. 한편, 과도한 교반은 반대로 연속주조스트랜드안의 함유물과 부편석을 돌연히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함유물 정도뿐 아니라 부편석과 중앙편석의 비를 고려하여볼 때, 발명자는 연속주조 공정에 의해 양질의 강을 생산하기 위하여 전자석 교반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인자의 연구와 광범 위한 실험을 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저탄소 킬드강에 적용시키는 실시예로 설명하고자 한다. 용융강을 LD 전로에서 준비하여, 출탕시간에 Al과 FeMn 조절을 한 후 대체적으로 C=0.13%, Mn=0.45%, Si=0.06%, P=0.014%, S=0.017%, Ni=0.01%, Cu=0.01%, Cr=0.02%, Mo=0.01%와 Al=0.035%의 화학적 조성을 갖도록한다.
정련후, 용융강을 잠긴노즐을 통해 주조주형에 연속적으로 공급 시키며, 용융강을 잠긴 노즐을 통해 주형에 연속적으로 공급 시키는 반면 주조시에 함유물의 생산을 막기위해 레들로 부터 턴디시(tundish) 및 주형까지 아르근으로 밀폐시켜 산화를 방지시킨다.
주조주형의 용융강은 SiO2=33.9%, CaO=34.0%, Al2O3=4.3%, Fe2O3=2.0%, Na2O=8.4%, K2O=0.6%, MgO=0.9%, F=5.1%, C=5.5%의 분말과 같은 분말 우형의 윤활제가 첨가된다. 주조주형에서의 용융강은 주형벽 표면의 냉각효과에 의해 외부표면부터 응고하기 시작하고 제2 냉각구역으로 이동되기 위해 주형의 아래쪽으로 연속적으로 계속된다. 전자석 코일을 주조주형의 외면 주위에 제공되며, 이는 교류가 통하면 전자석 교반을 위한 자장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주조주형안의 전자석 교반을 위해, 작게 감쇠된 1.5-10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력을 저투과 성의 주형의 구리벽을 통하여 용융강에 미치게한다. 주형안에 적절한 전자석 교반을 갖게하기 위해, 전자석 코일로 유도된 주형의 내벽표면의 자력 선속밀도는 주파수와 더불어 중요한 인자이다.
제1도는 교반의 강도를 나타내는 자력선속밀도가 적용된 전류의 각 주파수에서 여러가지로 변화할 때 일어나는 연속 스트랜드안의 함유물의 지수 그래프이다. 여기에서는 자력선속밀도는 실제적인 연속주조 스트랜드안의 함유물의 지수의 허용범위가 일정한 제약을 가짐을 나타낸다. 즉, 교반에 의해 용융강의 예정된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주파수와 자력선속 밀도에 의해 정해진 값은 정해진 범위내에 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제1도에서 주파수 f의 값은 자력선속도밀도 G가 195×e-0.18≪G≪1790×e-0.0f의 범위 일동안은 1.5-10.0 범위이내이어야 한다. 즉, 이 범위밖에서 연속주조 스트랜드는 낮은냉간 단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증가된 양의 함유물을 함유하여, 크랙이 쉽게 발생되고, 걸함이 있는 제품의 비율이 늘어난다.
전술한 범위내에서의 전자석 교반은 용융강내에 등방성 걸정핵의 생성을 촉진한다. 특히, 교반된 용융강에 의한 등방성 걸정핵의 생성은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외부표면으로 부터 자라는 원주형의 수지상(dendrit) 매우 미세한 응고의 초기 단계에서 쉽게 일어나며, 미세한 등방성 걸정핵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게 한다. 더우기, 등방성 걸정핵의 생성은 주형의 요철안의 용융강의 흐름의 걸과인 칠(chill) 효과에 의해 가속화된다.
단면적이 400㎠ 이상인 연속주조 스트랜드스의 생산에 적용되는 전류의 주파수에 대하여는 전자석 교반의 적절한 강도를 성취시키는 데 필요한 강한 자력투과성의 관점에서 주파수를 1.5-4Hz의 범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 제2도는 커다란 단면적의 연속주조 스트랜드에서 일어나는 다른 주파수에서의 전자석 교반작용의 강도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전자석 교반의 적절한 강도가 주파수를 1.5-4Hz의 범위로 취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음이 알려졌다. 물론, 이 경우에서의 자력선속밀도는 전술한 식에 의해 지배되는 범위에 제한된다.
주형에서 전자색 교반을 시킨 후 주형의 하단부를 통해 나온 연속주조 스트랜드를 스트랜드에서 응고되지 않은 용융강을 더욱 교반시키기 위해 연속 스트랜드 주위에 위치하는 전자석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장을 통과하는 통로위에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중간 응고 구역에서 다시 전자석 교반을 받게 한다. 이 경우에, 전자석 교반은 자기 투과에 있어서 저 주파수(1.5-10Hz)와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에 195×e-0°18f≪G≪1790×e-0.2f범위의 자력선속밀도 G를 가질 필요가 있다. 전자석 코일이 연속주조스 트랜드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는, 50-60Hz의 상용주파수를 저주파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mm의 응고된 껍질두께를 가지는 연속주조 스트랜드를 위한 적절한 자력선속밀도 G의 범위는 G 이다.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중간응고구역 및 주조주형안에 전자석교반을 시킴에 의해함유물은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폭방향 전반에 걸쳐 감소되고 냉간 단조성을 개선시킨다. 더우기 중간응고구역의 전자석 교반은 폭의 횡단지역에 등방성 걸정핵을 생성시킨다.
제0도는 표피층으로 부터 각 드스트랜드의 중앙축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전자석 교반이 없는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홈걸의 수(지수)(부호 "0"주형의 단일교반(부호 "☆")과 본 발명에 따르는 중간응고 구역 및 주형에서의 2중교반(부호 "△")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홈결의수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스트랜드의 표면층으로 부터 내측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연속주조법에 의한 저탄소강의 제조에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중앙부에서 일어나는 수축공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는 저탄소강의 본래의 문제접이며 또한 전술한 함유물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 문제점은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최종 응고구역에서 전자석 교반처리 또한 주형이나 중간응고 구역의 교반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용융강의 "최종 응고구역"이란 용어는 응고의 진행결과 등방성 결정으로 되는 것으로서 용융강 푸울(pool)의 작은 직경이 연속 주조 스트랜드가 200㎟ 보다 큰 경우에 100mm보다 작거나, 연속 주조 스트랜드가 200㎟ 보다 작은경우에 스트랜드의 작은면의 길이의 1/2 보다 작은 단계를 말한다.
소위 "브리징(bridging)" 현상은 주상결정의 급속성장에 기인한 저탄소강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주형이나 중간응고 구역에서의 상술한 전자석 교반은 주상결정을 절단하는 효과를 가지며, 등방성 결정의 양을 증가시킨다. 최종 응고 단계의 용융강푸울의 전자석 교반은 각 등방성 결정입자들 사이의 용융강을 분산시키고 이로써 온도 구배를 감소시킨다.
다음에 응고하지 않은 전부분은 거의 동시에 응고되어 수축공은 중앙부의 연속 공동의 생산을 억제하기 위해 분산된다. 최종응고구역의 전자석 교반을 위한 적절한 조건은 필수적으로 1.5-10Hz 범위의 주파수와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에서 895×e-0.2f≪G≪2137×e-0.2f범위의 자력선 속밀도 G를 포함한다. 제4도는 주형내의 단일전자석 교반과 주형 및 최종응고 구역의 조합된 전자석 교반에 의한 각기의 연속주조 스트랜드(A)와 (B)의 육안조직 사진이다. 이로 부터 명백하게 나타나 듯이 중앙부의 수축공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연속주조 스트랜드(B)에서 명백하게 압축된다.
전술한 바와 의해 명백해 지듯이, 상승효과는 연속주조 스트랜드를 주조주형, 중간응고구역 및 최종응고구역을 통해 특정한 주파수와 자력선속 밀도 조건하에서 그 통로를 따라 적어도 두곳에서 전자석 교반을 받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발생된다. 전술한 것은 저탄소강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중탄소강과 고탄소강에도 적절하다.
부편석과 중앙편석의 감소가 요구되는 중탄소강이나 고탄소강에의 적용에 있어서, 주형의 전자석 교반을위해 주파수를 1.5-10Hz 범위로 하고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에서 자력선속밀도 G가 268×e-0·18f G745×e-0·2f……(1) 범위이고,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중간 응고지역의 전자석 교반을 위해 1.5-10Hz의 범위로 주파수를 설정하고, 268×e-0.188G745×e-0.2f……(2)의 범위로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에 자력선속 밀도를 설정 하거나 750000/ (D-170)2 G750000/ (D-100)2……(3)의 범위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에서 자력선속 밀도를 생산하기 위해 50-60Hz의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는 중앙편석 관점으로 부터 상기에 정의된 범위를 설명한다.
제5도는 중앙편석비 대 전자석 교반의 다른 강도하에서 생생된 표면층의 편석비, 즉 LD변환기에 3부하 충격으로 얻어지고 출탕시간에 알루미늄과 첨부품의 조절 후 C=0.61%, Mn=0.90%, Si=1.65%, P=0.020%, S=0.015%, Cu=0.13%, Ni=0.01%, Cr=0.02%Mo=0.01%, 및 Al=0.03%를 가진 용융강을 사용해서, 주형의 전자삭 교반시 가 교류의 주파수에서 자력선속 밀도를 변화시키는 비의 다이아그램이다. 거기에서 자력선속밀도는 이런 종류의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표면층의 부편식비 및 중앙편석비에 대한 허용범위의 견지에서 어떤 범위 로제한 되어야 한다. 즉, 용융강의 미리 예정된 교반을 전하기 위해 자력선속밀도가 주파수에 의해 지시된 어떤 범위에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제5도의 다이아그램에 도시된 것같이, 교류의 적절한 주파수 f는 1.5-10Hz의 범위이며 연속주조스트랜드의 표면에서 적합한 자속밀도 G(가우스)는 268×e-0·20f G746×e-0·20f……(1)의 범위에 있다.
상기에 기술된 범위의 잉여치는 중앙편석의 증가로 인해냉간 단조성이 떨어지고 표면층의 부편석의 증가로 인해 낮은 켄치 강도를 연속 주조 스트랜드가 갖게하며, 그것은 결함이 있는 부산물의 허용할 수 없는 높은 비에 의해 반영될 것이다.
특히, 제5도는 0.60%C 괴철의 연속적인 주조에 흰밴드로 탄소와 부편석의 중앙편석에 내부주조 저주파수 교반(1.5-10Hz)의 효과를 도시하며, 거기에서 좌표측상의 중앙편석의 비는 가로 좌표축상에 자력선속 밀도의 특수한 범위의 증가로 급하게 떨어진다. 반면에, 흰 밴드의 부편석, 즉 우측 좌표축에 설정된 것은 선형적으로 자력선속 밀도와 함께 증가한다. 제5도는 C의 중앙편석비가 1.2보다 더 작고 C의 부편석비가-0.10보다 더 작은 전자석 교반의 최적 지역을 빗금으로 지시한다. 자력선속밀도의 최적범위는 고 주파 수에서 점점 좁아지고 낮아지며, 2Hz에서 187-500이며 4Hz에서 130-335이다. 제6도에 빗금친 면적은 주파수와 자력선속밀도사이의 관계로 최적 범위를 지시하며, 그럿은 상기에 주어진 공식(1)에 의해 나타난다.
내부 주조 전자석 교반후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축방향에서 중앙편석의 불규칙성의 감소를 위해, 중간응고 지역의 예정된 조건의 전자석 교반을 스트랜드가 한번더 받는 것이 효과적인데, 그것은 등축 결정의 더 큰양을 생산해서 중앙편석을 개선한다. 중간용 고지역의 전자석 교반은 상기에 정의된 주파수와 상기에 기술된 자력선속밀도 범위(2 혹은 3)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최적범위(2)는 내부 주조교반으로 고려된 것과 같은 이유로 결정된다. 그러나, 중간응고지역의 껍질 두께는 상업 주파수가 사용되는 경우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제5도와 유사하게, 제7도는 빗금으로 각 최적범위를 지시하며, 20mm와 60mm의 껍질 두께를 가지고 연속주조 스트랜드에 관해 흰 밴드로 중앙 편석과 부편석과의 관계에서 중간 응고 지역의 전자석 교반의 자력선속 밀도를 예시한다. 자력선속밀도의 최적범위는 제8도의 응고된 껍질 두께(Dmm)와의 관계로 도시된다.
상기에 기술된것 같이, 내부 주조 교반에 연속으로 전자석 교반을 적용하는 것은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편석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런 효과는 제9도에 인발 감소비로 예시 되었으며, 그로부터 본발명에 의한 예(C)의 인발 감소율은 어떤 교반의 예(A)와 비교되지 않고 내부 주조교반안의 예(B)와 비교되어 분명히 개선된다.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축방향에서 중앙편석의 불규칙성이 주조와 중간 응고 지역의 결합된 전자석 교반에 의해 개선되며, 중앙편석을(축방향 중앙부분의 집중을 의미)은 주조와 중앙 응고 지역의 교반에 따라서 마지막 응고지역에서 전자석 교반을 일으켜서 개선될 수 있다. 마지막 응고 지역의 전자석 교반에 의해 용융강의 푸울에 흐름을 일으킬때에 용융강은 용융강의 동축 결정지역내에서 교반된다. 잔유 용융강이 원주형 결정지역의 교반과 비교하여 어떤 온도 구배도 갖지 않는 마지막 응고지역의 교반은용 융강의 전후울동을 방지하는 반면 개개의 결정 그레인 사이에서 응고 표면에서 농축을 하는 용융강이 분배되게 한다. 그러므로, 응고는 별개의 결정입자 사이의 응집된 용융강을 흡수해서 용융강 푸울에 거의 동시에 진행하며, 거기에 의해 편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흰밴드를 확장한다. 이와 관련해서, 자력선속밀도는 실제로 허용할 수 있는 이런 종류의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흰 밴드로 중앙 편석 및 부편석의 율의 허용범위를 고려하여 역시 일정범위로 제한되어 져야 한다. 즉, 용융강에 예정된 교반을 야기시키기 위해, 전자석교반의 자력선속밀도는 주파수와 관련하여 일정 범위에 있어야 한다. 제10도의 다이아그램에 도시된 것 같이, 1.5-10Hz의 주파수의 교류에 대해 연속 주조스트랜드의 표면에서 자속밀도 G(가우스)의 최적범위는 895×e-0·20f G2137×e-0·20f……(4)이다.
다시말하면, 그런 범위의 자력선속밀도는 다량의 중앙편석으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낮아지며, 실제로 허용할 수 없는 결함이 있는 부산물의 비율을 증가시켜서 흰 밴드에서의 증가된 부편석으로 인한 낮은 켄치강도를 가지는 연속 주조 스트랜드를 일으킨다.
특히, 제5도와 제7도와 유사하게, 제10도는 연속적인 0.6% 탄소강블룸의 연속주조에서 흰 밴드로 중앙편석과 부편석의 주위에 적용한 저 주파수 출력(1.5-10Hz) 교반의 효과를 예시한다. 이런 관계로 부터, 제11도에 도시된 자력선속밀도의 최적범위는식(4)에 의해 정의되었다.
제12도 그것들은 상기에 기술된 조건하에서 주물과 마지막응고지역의 전자석 교반후 얻어진 0.60% 탄소강의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폭을 가로질러서 그림방향의 탄소 함유물의 값을 나타낸다. 주물(M)과 마지막 응고지역(F)에서 용융강의 전자석 교반은 흰 밴드로 언급된 부편석의 공식을 줄이고 비교반(0)과 주물만의 교반(A)에 대조적으로 중앙편석을 상당히 최소화 시킨다.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주물 전자석 교반과 전자석 교반의 조합으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축방향에 중앙 편석의 불규칙성을 압착하고 냉각 진행성을 포함해서 유리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여러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중앙 편석율을 낮추어서 상승 효과를 발생한다. 말할필요 없이, 더 개선된 결과가 주조 주형, 중간 응고지역과 마지막 응고 지역의 각각에 연속주조 스트랜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3도는 비 전자석 교반을 이용하는 경우와, 주물(M)과 중간응고 지역(S)이나 마지막 응고지역(F)의 단일 전자석 교반에 영향을 주는 경우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주조와 중간 및 최후 응고지역의 적어도 두 위치에서 조합된 전자석 교반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 관하여 0.6% 탄소강의 200-300×400 불룸의 연속적인 주조에 있어서 -0.10의 흰밴드부편석율에 대해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축방향으로 중앙편석과 중앙편석의 불규칙성율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3위치 즉, 주조 주형의 위치와, 중간 응고지역의 위치 및 최후 응고지역의 위치 중적어도 2개에서 조합된전자석 교반은 한 위치에서 비교반과 단일 교반과 비교해서 중앙편석 및 중앙편석 불규칙성율 을개선하는데 있어서 상승 효과를 증명한다.
주조주형과, 중간응고지역 및 최후 응고지역의 모든 위치에서 조합된 전자석 교반으로 발생된 연속주조 스트랜드와, 주조 주형 및 중간응고지역에서 조합된 전자석 교반으로 생산된 연속 주조 스트랜드와, 주조 주형과 최후 응고지역의 조합된 전자석 교반으로 생산된 연속주조 스트랜드는 중앙편석 뿐만아니라 중앙편석율에 관해 그의 질에 있어서 우수하다.
상기에 기술된 것으로 부터 분명히 알려진 것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중앙편석이 문제인 경우에 특히 조합된 전자석 교반에 의해 중앙편석의 불규칙성율을 효과적으로 압착해서 높거나 중간의 탄소강 모두의 함유물을 줄이며, 여기에 의해 만족스런 특성의 연속주조 스트랜드의 생산물을 확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편석비율이 개선된 연속주조 스트랜드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연속 주조 과정에 의해 표면특성, 냉각진행성, 기계능력 및 켄치경직성이 개량된 함유물을갖는 연속 주조 스트랜드를 생산하게 한다.
Claims (1)
- 용융강을 노즐을 통해서 주행내로 이송한 후 주조주형의 하측으로 계속적으로 인발시켜서 되는 연속적인 주조 과정에 의해 강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조주형의 내부벽 표면에, 주파수 f=1.5내지 10Hz의 교류에 의해 195×e-0.18f내지 1790×e-0·2f의 자력선속밀도(G)를 가진 자장을 발생시키고, 연속적인 주조 스트랜드의 중간응고 지역에, 주파수 f=1.5 내지 10Hz의 교류에 의해 195×e-0.18f내지 1790×e-0·2f의 자력선속밀도 G를 가진 자장이나 주파수 f=50 내지 60Hz의 교류에 의해 0.6×106/ (D-107)2내지 1.8×106/ (D-100)2(D=스트랜드의 응고껍질 두께)의 자력선속밀도를 가진 자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주조스트랜드의 최후 응고지역에, 주파수 f=1.5 내지 10Hz의 교류에 의해 895×e-0·2f내지 2137×e-02f의 자력선속밀도 G를 가진 자장을 발생시켜, 상기 2위치, 즉 주조주형의 위치와, 연속 주조 스트랜드의 중간 응고지역의 위치와, 최후 응고지역의 위치 중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용융강을 전자석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기의 주형에 전자석 교반을 하는 연속주조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1443A KR850001268B1 (ko) | 1980-04-02 | 1981-04-27 | 강의 연속 주조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4333980A JPS56148458A (en) | 1980-04-02 | 1980-04-02 | Production of steel material by continuous casting method |
KR1019810001443A KR850001268B1 (ko) | 1980-04-02 | 1981-04-27 | 강의 연속 주조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4923A KR830004923A (ko) | 1983-07-20 |
KR850001268B1 true KR850001268B1 (ko) | 1985-09-04 |
Family
ID=263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1443A KR850001268B1 (ko) | 1980-04-02 | 1981-04-27 | 강의 연속 주조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50001268B1 (ko) |
-
1981
- 1981-04-27 KR KR1019810001443A patent/KR850001268B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4923A (ko) | 1983-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819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 |
US4515203A (en) | Continuous steel casting process | |
JP6631162B2 (ja) | 複層鋳片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装置 | |
US4671335A (en) |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cast steel strands | |
Kunstreich | Electromagnetic stirring for continuous casting-Part 2 | |
KR850001268B1 (ko) | 강의 연속 주조법 | |
JP2937707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CN114086081A (zh) | 一种小断面铸坯生产冷镦钢控制中心疏松的方法 | |
KR102368249B1 (ko) | 연속 주조 방법, 슬래브 주편, 및 연속 주조기 | |
JPH048134B2 (ko) | ||
JPH0314541B2 (ko) | ||
JP3566847B2 (ja) |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Zhao et al. | As-cast structure of DC casting 7075 aluminum alloy obtained under dual-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 |
Nakada et al. | Reduction of macrosegregation by applying a DC magnetic field at the final stage of solidification | |
WO2022138002A1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JP7360033B2 (ja) | 鋼の薄肉鋳片及び鋼の薄肉鋳片製造方法 | |
JP3257546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JPS59159257A (ja) | 連続鋳造法による中・高炭素キルド鋼の製造方法 | |
JPH0220649A (ja) | 耐摩耗性アルミニウム合金の製造方法 | |
JPS60118359A (ja) | 連続鋳造における弱脱酸鋼の製造方法 | |
JPS59159256A (ja) | 連続鋳造法による低炭素キルド鋼の製造方法 | |
JPS58128253A (ja) | 連鋳鋳片の介在物を減少させる溶湯撹拌方法 | |
JPS6411387B2 (ko) | ||
JPS59137164A (ja) | 高炭素クロム軸受鋼の鋳造法 | |
JPH06285592A (ja) | 複層金属材の連続鋳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