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39Y1 -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39Y1
KR850001139Y1 KR2019830009801U KR830009801U KR850001139Y1 KR 850001139 Y1 KR850001139 Y1 KR 850001139Y1 KR 2019830009801 U KR2019830009801 U KR 2019830009801U KR 830009801 U KR830009801 U KR 830009801U KR 850001139 Y1 KR850001139 Y1 KR 850001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control
typhoo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74U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9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39Y1/ko
Publication of KR850003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7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6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input of human supervis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low Chart).
제2도는 본 고안의 태풍 관제운전 순위를 표시하는 플로우 챠트(Flow Chart).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태풍관제 스위치를 표시하는 구성 일예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의 속도제한 상태를 표시하는 일예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제부 200 : 지시부
300 : 속도제한부 400 : 조명등점밀부
500 : 타이머구동부 S1: 태풍관제스위치
본 고안은 초고층용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에 있어서 건물의 주위 환경이나 태풍등과 같은 외부 기상 조건변화에 따라 이를 관할 통제하므로서 안전 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관제 운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태풍등과 같은 주위 기상 조건 변화 현상이 발생하게되면 승강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승강로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주행용 레일을 진동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승강로내를 초고속으로 주행하는 카(Rail)가 탈선할 우려가 다분히 있는 것이다.
특히 초고층용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초고속으로 운행되는 실태 이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존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 간단한 구성의 관제 운전 회로를 부가 설치하여 태풍 엄습시 또는 기타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제한 하거나 대기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a접점 : 릴레이가 동작하면 ON상태가 되는 접점, b접점 : 릴레이가 동작하면 OFF상태가 되는 접점, S1: 감사반 또는 관리실에 설치되어 특정인만 조작할 수 있는 태풍관제 스위치, RA: 1차 태풍관제 검출 릴레이, RB: 2차 태풍관제 검출 릴레이, L1: 태풍관제 지시용 램프(Lamp), 1b: 지진 관제 검출 릴레이(도시생략)의 b접점, 2b: 화재 관제 검출 릴레이(도시생략)의 b접점, 3b: 자가발전 관제 검출 릴레이(도시생략)의 b접점, RC: 공지의 최근접층 정지검출 릴레이, RD: 공지의 군관리 운전검출 릴레이, RE: 공지의 출발 지령 릴레이, RF: 공지의 도어 개방(Door Open)지령 릴레이, RG: 공지의 카(car)조명등 점렬 릴레이, RH: 공지의 도어 폐쇄(Door Close)의 지령 릴레이, T : 지연 타이머(TM)에 의해 구동 되는 릴레이, R20-R24: 공지의 속도상승 지령 릴레이, TM : 공지의 지연 타이머, TM1: 타이머 접점, C1: 공지의 최근 접층 정지논리회로, C2: 공지의 군관리 지령 논리회로, C3: 공지의 출발 지령 논리회로, C4: 공지의 부름 등록 논리회로, C5: 공지의 도어개방 지령 논리회로, C6: 공지의 카 조명등 점밀 논리회로, C7: 공지의 도어 폐쇄 지령 논리회로, Aa1-Aa2: 릴레이(RA)의 a접점, Ab1-Ab2: 릴레이(RA)의 b접점, Ba1-Ba6: 릴레이(RB)의 a접점, Bb1: 릴레이(RB)의 b접점, Ea1: 릴레이(RE)의 a접점, Eb1-Eb2: 릴레이(RE)의 b접점, Ta1-Ta2: 릴레이(T)의 a접점, Tb1-Tb3: 릴레이(T)의 b접점, 20a : 릴레이(R20)의 a접점, 21a : 릴레이(R21)의 a접점, 22a : 릴레이(R22)의 a접점, 23a : 릴레이(R23)의 a접점.
제5도에서 태풍 관제 스위치(S1)의 1차 시기 접점(①)에 각 지진, 화재, 자가발전 관제 검출 릴레이의 b접점(1b)(2b)(3b) 및 1차 태풍관제 검출릴레이(RA)를 직렬 접속시키고, 스위치(S1)의 2차 시기 접점(②)에 2차 태풍관제 검출 릴레이(RB)를 직렬 접속시키어 관제부(100)를 구성하고, 릴레이(RA)의 a접점(Aa2) 및 릴레이 (RB)의 b접점 (Ra2)을 병렬로하여 태풍관제 지시용램프(L1)에 직렬 접속시키어 지시부(2000)를 구성하고, 릴레이(RA)의 b접점(Ab2) 및 속도상승지령 릴레이(R22)를 직렬접속시키어 속도제한부 (300)를 구성하고, 릴레이(RB)의 a접점 (Ba4)을 카조명등 점멸 논리회로 (C6)에 병렬로 하여 카 조명등 점멸 릴레이(RG)에 직렬 접속시키어 조명등 점멸부(400)를 구성하고, 지연 타이머(TM)에 릴레이(T)의 b접점(Tb3) 및 릴레이(RB)의 a접점 (Ba5), 출발 지령 릴레이(RE)의 b접점(Eb2)을 직렬 접속하고, 릴레이(T)의 a접점 (Ta1) 및 릴레이(RB)의 a접점 (Ba6)을 직렬로 하여 타이머(TM)의 접점(TM1)과 병렬 접속하고 이를 타이머 구동 릴레이(T)에 직렬 접속시키어 타이머 구동부(500)를 구성한다.
그밖의 회로는 공지된 회로 구성으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플로우 챠트(Flow Chart)로서 태풍 경보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태풍관제스위치(S1) 를 1차 시기로 절환 시키게 되면,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는 일단 최근접층에 강제 정지되고, 군관리 운전중인 엘리베이터는 군관리 해제후 제한된 운전 속도로 운행하게 되며, 이때 모든 홀(Hall)부름 및 카(Car)부름은 정상 운전 상태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1차 태풍 관제 운전 상태의 해제는 태풍 관제 스위치(S1)를 OFF상태로 복귀 시키면 되는 것이다.
만일 주변환경 조건이 더욱 악화되어 태풍 관제스위치(S1)를 2차 시기로 절환하게 되면,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는 1차 시기와 동일하게 최근접층에 정지되고, 모든 홀부름 및 카 부름은 등록취소 및 재등록 불가의 상태로 되고, 카도어는 일단 개방 상태가 되어 탑승객을 외부로 유도한후, 카내의 조명등을 소동 시키게 되면, 지연 타이머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카 도어는 폐쇄되고, 대기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때 카내의 운전반상의 태풍 관제 지시용 램프가 점등되어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2차 태풍 관제 운전 상태도 수위치(S1)를 OFF상태로 하여 해제시키게 된다. 전술한 태풍 관제 운전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관제, 화재관제, 자가발전 관제 다음에 행하여 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본 고안의 시켄스(Sequence) 회로를 나타내는 제5도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태풍 경보시 관제부(10)의 즉 스위치(S1)를 1차 시기로 절환 하게 되면 스위치(S1)의 접점(①)→접점(1b)→접점(2b)→접점(3b)(이때 지진, 화재, 자가 발전 관제는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접점(1b)(2b)(3b)은 모두 ON상태임)→1차 태풍관제 검출 릴레이(RA)에 전원(B+)이 인가되어 릴레이(RA)가 구동 되므로 최근접층 정지논리회로(C1)에 병렬 접속된 릴레이(RA)의 a접점 (Aa1)이 ON되어 이에 직렬 접속된 최근접층 정지 릴레이(RC)가 구동 되므로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는 최근접층에 정지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군관리 운전 중이게 되면 군관리 지령 논리회로(C2)에 직렬 접속된 릴레이(RA)의 b접점 (Ab1)이 OFF되어 군관리운전 검출 릴레이(RD)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는 군관리 운전상태로 부터 해제되고, 단독 운전 상태로 운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속도 제어부(300)의 릴레이(RA)의 b접점(Ab2)이 OFF되므로 속도 상승지령 릴레이중 릴레이(R22)가 구동되지 않게되어 릴레이(R22)의 a접점(22a)이 OFF 되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R20), (R21)만 구동 되므로 더이상의 속도 상승을 제한하여 안전 운행을 수행토록 한다.
한편 지지부(200)의 릴레이(RA)의 a접점(Aa3)이 ON되어 태풍 관제 지시용 램프(L1)가 점등 되므로 탑승객에게 태풍관제 상태임을 알려주게 되고, 한편 출발 지령 릴레이(RE)는 계속하게 구동되고, 카부름 등록 논리회로도 구동(이때 접점(Bb1)은 ON상태)되고 있으므로, 모든 홀 부름, 카부름 등록이 가능하며, 제한된 속도로 안전 운행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비상 사태시 관제부(100)의 스위치(S1)를 2차 시기로 절환하게 되면, 이때에는 스위치(S1)의 접점(②)→접점(1b), (2b), (3b)→2차 태풍관제 검출릴레이(RB)에 전원(B')이 인가되어 릴레이(RB)가 구동되므로 최근접층 정지논리회로(C1)에 병렬 접속된 릴레이(RB)의 a접점(Ba1)이 ON되어 최근접층 정지릴레이(RC)가 구동 되므로 1차 시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는 최근접층에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름등록 논리회로(C4)에 직렬 접속된 릴레이(RB)의 b접점 (Bb1)이 OFF되므로 부름 등록논리회로(C4)가 동작되지 않게되어 홀부름, 카부름 등록을 차단하여 대기상태로 있게된다.
이때 태풍관제 지시용 램프(L1)는 릴레이(RB)의 a접점 (Ba2)이 ON되므로 계속 접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카가 정지한 후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에는 릴레이(RB)의 a접점 (Ba3)이 ON 되어 도어개방 지령 릴레이(RF)가 구동되므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지연 타이머(TM)에는 릴레이(T)의 b접점(Tb3)→릴레이(RB)의 a접점 (Ba5)→릴레이 (RE)의 b접점(Eb2)을 통하여 전원(B+)이 인가되므로 이정 시간 지연후 타이머(TM)가 동작하게 되며, 이로인해 릴레이(T)가 구동되어 그의 a접점 (Ta2)이 ON되므로 도어폐쇄 지령 릴레이(RH)가 구동되어 폐쇄되고 완전 대기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때 조명등 점멸부 (400)의 릴레이(RB)의 a접점 (Ba4)이 ON상태가 되므로 릴레이 (RG)가 구동되어 카 내부의 조명등을 소등하므로서 탑승객을 외부로 대피 시키게된다.
여기서, 릴레이(T)의 b접점 (Tb1)이 OFF되어 출발지령 릴레이(RE)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2차 태풍관제 운전 상태하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완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2차 태풍 관제운전 상태로 있다가 스위치(S1)를 OFF상태로 복귀 시키게 되면 태풍관제 운전상태는 해제되고 정상 운전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고 본 고안은 태풍 관제스위치를 건물 관리인등 록정 인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태풍 경보시(1차시기)에는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제한하여 운행 하도록 하고, 비상 사태시(2차시기)에는 탑승객을 카 외부로 대피시킨 후 도어를 폐쇄하고 완전정지 대기상태가 되도록 제어 하므로서 초고층용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수행하여 돌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초고층용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에 있어서, 특정인에 의하여 조작되는 태풍 관제스위치(S1) 및 검출 릴레이(RA), (RB)로 구성된 관제부(100)에 의하여 태풍 관제시에는 지시용 램프(L1) 및 검출릴레이(RA), (RB)의 a접점 (Aa2), (Ba2)로된 지시부 (200)가 동작되도록 연결구성하여 태풍 관제상태를 표시하도록하고, 1차 태풍 관제시에는 접점 (Ab2)릴레이 (R22)로된 속도제한부(300)가 제어되도록 연결구성 하여 엘리베이터가 제한 속도로 운전되도록 하고, 2차 태풍 관제시에는 접점 릴레이(RG) 및 접점(Ba4)로 구성된 조명등 점멸부(400)와, 타이머(TM), 타이머 구동 릴레이(T) 및 접점 (To3), (Ba5), (Eb2), (Ta1), (Ba6), (TM1)으로 구성된 타이머 구동부(500)가 제어되도록 연결 구성하여 탑승객 대피후 도어를 폐쇄하여 대기상태로 운전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운전회로.
KR2019830009801U 1983-11-21 1983-11-21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KR850001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801U KR850001139Y1 (ko) 1983-11-21 1983-11-21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801U KR850001139Y1 (ko) 1983-11-21 1983-11-21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39Y1 true KR850001139Y1 (ko) 1985-06-08
KR850003974U KR850003974U (ko) 1985-07-13

Family

ID=7015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801U KR850001139Y1 (ko) 1983-11-21 1983-11-21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74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139Y1 (ko)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회로
KR970065381A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JP20063477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S6147787B2 (ko)
JPS5852171A (ja) エレベ−タの管制運転システム
SU13645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лифта
JPH0426636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S6320689Y2 (ko)
JPS6119545B2 (ko)
JPS5911504B2 (ja) エレベ−タの位置表示装置
JPS6131021Y2 (ko)
JPS6236956B2 (ko)
JPS6131016Y2 (ko)
JPS6114067B2 (ko)
JPS6122665B2 (ko)
JPS627108B2 (ko)
JPH0349873B2 (ko)
JPH05201623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S5921175Y2 (ja) エレベ−タのかご内表示装置
JPS6054223B2 (ja)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H02182684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着床装置
KR870000473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회로
JPS6122664B2 (ko)
KR860002211Y1 (ko) 엘리베이터의 사고시 안내장치
JPH0320068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