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053B1 -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 Google Patents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053B1
KR850001053B1 KR1019810000071A KR810000071A KR850001053B1 KR 850001053 B1 KR850001053 B1 KR 850001053B1 KR 1019810000071 A KR1019810000071 A KR 1019810000071A KR 810000071 A KR810000071 A KR 810000071A KR 850001053 B1 KR850001053 B1 KR 85000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 plate
tension
plat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899A (ko
Inventor
가쓰히고 가네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가이하쓰 콘설탄트
잇시끼 미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가이하쓰 콘설탄트, 잇시끼 미꼬도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가이하쓰 콘설탄트
Priority to KR101981000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053B1/ko
Publication of KR8300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며 제1(a)도는 정면도, 제1(b)도는 중앙당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중앙단면도, 제(c)도는 장력부여헤드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중앙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압력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5(a)도는 정면도, 제5(b)도는 중앙단면도.
본 발명은 대판(帶板)의 스릿팅(Sliting : 세로베기)선에 잇어서 판두께 편차로 생기는 소폭절단 대판 각조의 권취(卷取) 인장력의 불균형을 조정하고 균등한 인장력을 대판에 부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릿팅선에 있어서 대판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롤러 부라이들(roler bridle) 방식과 텐션 팻트(tension pat) 방식이 알려져 있다.
롤러 부라이들 방식은 소폭으로 스릿팅된 대판을 권취기에 공급하는 도중에 롤러 부라이들을 설치하여 그 롤러에 대판을 감아붙여서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수개의 롤러에 스릿팅된 각조의 대판을 동시에 감아붙여서 롤러에 연결된 부레이크장치 등의 제동력에 의해서 인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때 대판과 롤러와의 표면에 있어서의 마찰저항을 적당하게 선정하므로써 대판은 롤러 표면에서 미끄러짐이 없이 송출된다.
그러나 절단전 대판의 횡단면은 완전히 평탄하지 았으며, 중앙이 두껍고 양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음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소폭 절단된 대판을 릴에 감는다면 중앙부와 양단부의 권취하는 지름에 차이가 생겨서 권취속도에 차이가 생기므로 소폭절단된 대판 각조의 인장력은 불균형하게 된다. 이 때 릴에 권취된 코일은 중앙부의 코일에 비해 양단부가 느슨하게 감겨지므로 릴로부터 뽑아냈을 때 나선관 모양으로 풀어지든가 테레스코우프(telescope) 모양이 되던가 권취된 모양이 타원모양으로 신축되었던가 하여 되감기 혹은 운반이 불가능한 코일이 된다.
또 양단부의 각조의 대판에 적당한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의 제동력을 조정하면 롤러중앙부 근방의 대판은 롤러 표면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 때 릴에 권취된 코일 표면에는 미끄러진 흠집이 생기던가 릴마이크가 생기는 등의 제품상의 결함이 생긴다.
또 텐션팻트 방식은 스릿팅된 대판을 권취기에 공급하는 도중에 텐션팻트를 설치하여 이로서 대판에 압력을 가해서 인장력을 부여토록 하는 것이다. 즉 대목(臺木) 표면에 펠트(felt)재등을 점착한 한쌍의 팻트를 상하에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소폭 절단된 각조의 대판을 여기에 통과시키며 상측 또는 하측의 팻트에 취부한 압력조정장치에 의해 펠트재를 대판에 압착시킴으로서 펠트재와 대판과의 미끄럼 마찰저항에 의해서 대판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때에는 각조의 대판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압력조정장치를 부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대판의 장력을 고르게 하여 릴에 권취할 수는 있으나 대판의 표면에 미끄럼 흠집이 생겨서 제품상의 결함이 생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서는 대판 표면에 흠집을 전혀 생기지 않게 하여 소폭절단된 대판을 권취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흠집이 생기지 않는 제품을 만들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각조의 대판을 상하면으로부터 압착하여 균등한 인장력을 대판에 부여함과 동시에 대판 표면에는 미끄럼 흠집이 전혀 생기지 않게 하는 대판의 인장력 부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며, 대판(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가압금구(2) 및 가압금구(2)에 대해서 그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된 관상대(官狀帶)(3) 및 가압금구(2)를 의지시킨 베이스 프레임(4) 등으로 이루어진 장력부여헤드(5)를 대향시켜 설치함으로써, 스릿팅한 각조의 대판(1)이 대향한 장력부여헤드(5) 사이의 공통반송로(共通搬送路)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의 장력부여헤드(5)를 압력조정장치(6)에 의하여 가압 또는 복귀가 가능하게끔 기틀에 부착한다. 가압금구(2)는 베이스 프레임(4)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관상대(3)의 대판(1)과 접촉하는 외주면은 마찰계수가 큰 재료, 예를 들면 연질나이론 또는 고무 등의 층을 형성해서 미끄럼이 적게 하고, 가압금구(2)와 접촉하는 내주면은 마찰계수가 적은 자기윤활성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경질나이론 또는 강판 등의 층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스릿팅라인을 가동하고, 적정한 압력으로 압력조정장치(6)를 조작시켜 두면 가압금구(2)는 관상대(3)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관상대(3)의 외주면은 대판(1)과 밀착되어 대판(1)과 동일속도로 가압금구(2) 의 둘레를 회동한다. 이 때에 다시 압력조정장치(6)의 압력조정을 행하여서 대판(1)이 관상대(3)의 표면에서는 저항이 커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았고 관상대(3)와 가압금구(2)의 사이에서만 미끄러지도록 하면 이 미끄럼에 의한 마찰저항이 대판(1)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관상대의 내주면에서의 마찰계수를 외주면에서의 마찰계수보다 작게 하고, 또 관상대의 외주면에서의 미끄럼이 발생하기 전에 내주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도록 가압력을 조정하면 대판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고 대판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를 복수로 적용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대판(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복수개의 가압금구(7), 가압금구(7)의 각각에 대해서 그 둘레에서 회동하도록 형성한 관상대(8) 및 가압금구(7)가 의지되는 베이스프레임(9)으로 구성된 인장력 부여헤드(10)를, 압력조정장치(12)에 의하여 기틀(13)에 대하여 가압 또는 복귀가능토록 대판(1) 상방의 오우버프레임(11)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의 인장력 부여헤드(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인장력 부여헤드(14)를 대판(1)의 하방에 대향시켜 기틀(13)에 장착함으로써 상방의 인장력 부여헤드(10)와의 사이에 공통반송로를 형성하고, 압력조정장치(12)의 가압력이 대향되어 있는 인장력 부여헤드(10)(14)의 사이에 미치게 한다. 오우버 프레임(11)에는 연장력 부여헤드(10)의 베이스 프레임(9)이 끼워지는 안내흠(15)이 설치되어 있어서, 압력조정장치(12)의 조작에 의해서 베이스 프레임(9)은 안내흠(15)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어 대판(1)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오우버 프레임(11)은 인장력 부여헤드(14)의 부수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핀(16)과 볼트(17)로 기틀(13)에 조립되어 있고, 볼트(17)를 풀고 핀(16)을 회전축으로 하여 오우버 프레임(11)이 개폐될 수 있도록 기틀(13)에 유압실린더(18)를 장착하고 유압실린더(18)에서 출입되는 피스톤의 상단부는 오우버 프레임(11)의 미단부와 링크되어 있다. 관상대(8)는 위에서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내주면에서의 마찰계수가 외주면의 마찰계수보다 적게 되도록 재질이 선택되어 있다. 즉 외주면을 연질나이론 또는 고무로, 내주면을 경질나이론 또는 강판 등으로형성한다. 또 내주면에 자기 윤활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내주면에만 윤활제를 도포시키는 방법에 있다. 이와 같은 윤활유 공급장치로서는 관상대(8)와 가압금구(7)와의 간극부에 윤활제를 공급키 위한 배관을 구비하면 된다.
압력조정장치(12)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고려되난 위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관상대의 외주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기 전에 내주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도록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자동 혹은 수동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유압실린더 혹은 스프링 등을 기틀(13)과 장력 부여헤드(10)와의 사이에 장치하면 좋다.
제2도의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로 스릿팅된 각조의 대판(1)에 대하여 각각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인장력 부여헤드(10)에 대해서 각각의 압력조정장치(12)를 구비해도 좋으며, 혹은 제2도의 제2(a)도와 같이 복수조의 대판에 대해서 동시에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압력조정장치(12)를 구비해도 좋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판상의 가압금구의 둘레를 회동하도록 된 무단벨트로 대판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보이고 있다.
즉 대판(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판상의 가압금구(19), 가압금구(19)의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되며 또 플리(20)에 의지되어 있는 무단벨트(21) 및 가압금구(19)와 플리(20)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22)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인장력 부여헤드(23)를 대판(1)의 상방에 배설한 오우버 프레임(24)에 장착하되, 압력조정장치(25)에 의하여 기틀(26)에 가압 또는 복귀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력 부여헤드(23)와 동일구성의 장력 부여헤드(23)를 대판(1)의 하방에 대향시켜서 장착하여 압력조정장치(25)의 가압력이 두 인장력 부여헤드(23) (27)의 사이에 미치게 한다. 플리(20)에는 조임장치(28)를 부설하여 무단벨트(21)가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무단벨트(21) 및 압력조정장치(25)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제3도의 실시양태의 압력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인장력 부여헤드(23)의 베이스 프레임(22),가압금구(19) 및 스프링(29)를 결합하고 무단벨트(21)를 주행중의 대판에 밀착시켜서 대판(1)과 무단벨트(21)와의 표면에 있어서 미끄럼 발생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즉 압착금구(19)에 입설된 안내봉(32)에 스프링(29)을 끼운 후 안내봉(32)을 베이스 프레임(22)에 의지된 조정너트(30)에 나합시키고, 안내봉(32)의 상부에 턱(31)을 형성시킴으로서 주행중에 발생하는 대판(1)의 상하의 미동이 무단벨트(21)를 거쳐 스프링(29)에 흡수되므로 무단벨트(21)는 대판(1)에 언제난 밀착되어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더우기 가압력의 조절은 조정너트(30)의 회동으로 행해지므로 압력조정장치(25)와 병설시키며는 대판(1)에 대해서 최적의 가압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 있어서의 압력조정장치는 대판(1) 상방의 인장력 부여헤드를 가압하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이것을 대판(1) 하방의 인장력 부여헤드에 부착해도 좋다. 또 스프링(29) 대신에 실린더 등을 부착하는 것도 좋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술한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양태의 일부를 조합한 것이다. 즉 대판(1)과거이 동일한폭을 갖는 가압금구(33), 가압금구(33)에 대해서 그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된 관상대(34) 및 압착금구(33)가 의지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35)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력 부여헤드(36)가 대판(1)의 상방 오우버 프레임(37)에 부착된 압력조정장치(38)에 의하여 기틀(39)에 대해서 가압 또는 복귀 가능토록 설치되고, 또 대판(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또 기틀(39) 중간부에서 좌우대칭으로 돌설된 아암(40)에 의지시킨 플리(41) 및 그 플리(41)에 의지시켜 그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단벨트(42)와 한끝이 무단벨트(42)를 걸어서 당길 수 있게 하고 다른 끝이 기틀(39)에 부착된 조임장치(43)로서 구성된 장력 부여헤드(44)를 대판(1)의 하방에다가 상부의 장력부여 헤드(36)와 적어도 일부에서 공통반송로를 형성하도록 대향 장착시킨다. 조임장치(43)는 한끝의 가이드 롤러(45)가 무단벨트(42)에 걸리게 하고 다른 끝의 가이드축을 하방을 당길 수 있게끔 기틀(39)에 부착되어 있다. 관상대(34)와 무단벨트(42) 및 압력조정장치(38)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무단벨트(42)는 조정넛트(46)의 회동에 의해 긴자오디어 장력 부여헤드(36)와의 사이에 가압력을 발생시키고 대판(1)은 언제나 관상대(34)와 무단벨트(42)의 사이에 밀착되어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릿팅된 대판을 권취기에 공급하는 도중에 가압금구의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관상대 또는 무단벨트를 적어도 일부에서공통반송로를 가지도록 배설하며 관상대 또는 무단벨트의 내주면의 마찰계수를 외주면의 마찰계수보다 적게 하므로서 가압금구가 관상대 또는 무단벨트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져 미끄럼 저항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며, 종래의 회전장치에서는 전혀 채택하지 못하고 있던 물체 사이의 미끄럼을 역으로 이용하여 스릿팅된각조의 대판에 대해서 각각 균등한 인장력을 부여하고 완전한 코일링을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대판 표면에 흠집이 전혀 붙지 않는 코일을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고 또 구조가 간단하여 부수점검도 용이하고 동시에 라인기동에 있어서도 대판의 통과가 용이하게 되어 있어서 작업의 능률이 커지는 등 경제성의 효과도 지대한 것이다.

Claims (1)

  1. 대판(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가압금구(2) 및 가압금구(2)에 대하여 그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된 관상대(3) 및 가압금구(2)를 의지시킨 베이스 프레임(4) 등으로 이루어진 장력 부여헤드(5)를 대향시켜 설치함으로써 스릿팅한 각조의 대판(1)이 대향한 장력 부여헤드(5) 사이의 공통반송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의 장력 부여헤드(5)를 압력조정장치(6)에 의하여 가압 또는 복귀가 가능하게끔 기틀(13)로 구성된 내판 인장 부여장치와 상기 기틀(13)에 설치된 가압금구(2)의 둘레를 내주면은 마찰계수가 작은 경질 아니론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주면은 마찰계수가 큰 연질나이론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관상대(3)나 무단벨트로 구성된 인장력 부여헤드(10)를 베이스 프레임(4)에 장착시켜 관상대(3)나 무단벨트를 대판과 같은속도로 회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금구(2)와 관상대(3)의 사이에서 미끄럼에 의한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대판의 인장력 부여장치.
KR1019810000071A 1981-01-13 1981-01-13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KR85000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071A KR850001053B1 (ko) 1981-01-13 1981-01-13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071A KR850001053B1 (ko) 1981-01-13 1981-01-13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99A KR830004899A (ko) 1983-07-20
KR850001053B1 true KR850001053B1 (ko) 1985-07-25

Family

ID=1921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071A KR850001053B1 (ko) 1981-01-13 1981-01-13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0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99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9347B2 (ko)
US3391876A (en) Differential unwind or rewing apparatus
US2048754A (en) Web processing machine
CA2064064A1 (en) Process and device for winding continuous webs of material, in particular paper or carton
KR850001053B1 (ko) 대판(帶板)의 인장력 부여장치
US5518203A (en) Rewinding shaft of slitting machine
US1810403A (en) Gripper and breaker wheel and bridging spring for web feeding and severing apparatus
JPS6125617B2 (ko)
US4336911A (en) Frictional tensioning device
US47114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an end of a web on a core tube in a web reeling machine
US3034399A (en) Continuous film feed
US53375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rope
US5179892A (en) Strap feed assembly with floating back-up wheels
DE593836C (de) Antriebsvorrichtung fuer band- oder drahtfoermige, vorzugsweise magnetische Tontraeger
US3537663A (en) Paper unwind stand equipped for flying splice
BR9612391A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a medição da dureza superficial de rolos embobinados de papel
US3344638A (en) Equipment for starting the winding of a strip
US2723085A (en) Tension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continuous elements
US4219168A (en) Slitting and rewinding assembly
JPH084166Y2 (ja) 複数条金属帯の張力付与装置
JPH09278242A (ja) 帯状物の巻取装置
KR100431831B1 (ko) 스트립 이송장치
JPH0630743Y2 (ja) ベルトコンベヤ
US3459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moving strip
JPH087924Y2 (ja) 帯板張力付与装置の無端状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