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82B1 -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82B1
KR850000982B1 KR1019810002624A KR810002624A KR850000982B1 KR 850000982 B1 KR850000982 B1 KR 850000982B1 KR 1019810002624 A KR1019810002624 A KR 1019810002624A KR 810002624 A KR810002624 A KR 810002624A KR 850000982 B1 KR850000982 B1 KR 85000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aluminum alloy
deep drawing
manufacturing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456A (ko
Inventor
고오소오 아라이
교오헤이 다구찌
가스오 도요다
아끼히로 다마루
Original Assignee
쇼오와 아루미니우무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도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와 아루미니우무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도시로오 filed Critical 쇼오와 아루미니우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82B1/ko

Links

Landscapes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캡이나 그릇등의 성형에 사용하는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일반적으로 A 1100 합금, A 3003 합금 등을 사용하여 열간압연, 냉간압연, 풀림등의 각 공정을 경유하여 제품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나 이와같이 이미 알려진 제조공정의 범위내에서 그 제조조건을 여러가지로 조정하여도 충분하게 만족될 수 있는 제품을 얻을 수가 없었다. 예컬대 A1100 합금을 사용한 경우에는 정상부에 주름살 발생률이 높고 또한
ㄱ) 표면이 거칠게 되지 않는 것
ㄴ) 디이프 드로잉에 의한 정상부의 주름살이 생기지 않는 것
ㄷ)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는 것
ㄹ) 성형성이 양호하고, 한계 디이프 드로잉 비율이 큰 것 등의 모든 점에서 한층 더 개선된 우수한 품질특성을 보유하는 디이프 드로잉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며, 여러가지 실험과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특정한 합금조정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특정한 열처리의 부가와의 결합에 그 특징을 보유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합금조성으로서 Fe 0.3-1.5%, Si 0.3-1.5%, Cu 0.3-1.0%, Ti0.1%이하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제조공정으로서 상기
Fe 및 Si 는 공존하여서 재결정입자를 미세하게 하고, 정상부에 생기는 주름살 높이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유하며, Fe는 강도, 인성(靭性)의 개선에 의하여 한계 드로잉 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Fe : 0.3%미만, Si : 0.3 : 미만에서는 상기한 효과를 만족하게 얻을 수가 없다. 반대로 Fe가 1.5%를 초과하면 거칠고 큰 화합물의 결정으로 석출되어서 가공성이 나쁘게되며, 한편 Si가 1.5%를 초과하면 0-90°방향의 정상부에 생기는 주름살이 높게되는 폐단과 손해가 파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로는 Fe : 0.7-0.9%, Si : 0.7-0.9%의 범위이다.
Cu는 Mg와 함께 강도의 증대, 성형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그 양이 0.3% 미만에서는 상기한 효과가 미약하며, 반대로 1.0%를 초과하면 내식성이 나쁘게 됨과 아울러 45°방향의 정상부에 생기는 주름살 높이가 크게된다. 그 함유의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3-0.5%이다. Ti는 주조조직을 균일 미세하게 하여서 정상부에 생기는 주름살 높이의 불균일을 작게한다. 그러나 그 양이 0.1%를 초과하면 거칠고 큰 화합물을 생성하여서 가공성을 나쁘게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0.04%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제공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미 알려진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합금주괴에 얼간압연, 냉간압연, 최종 풀림의 각 필수공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한 열간압연후·냉간압연, 최종 풀림의 각 필수공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한 열간압연후·냉간압연전에 열간압연된관개의 풀림을 행하고, 또는 그 외에 열간압연전에 주괴에 균질화 가열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한 열간압연된 판재의 풀림은 알류미늄 합금에 Cu를 함유하는 것과의 관계에 의하여 Si의 석출을 촉진시켜서 결정입자를 미세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일간압연판재의 풀림은 250℃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한 석출이 충분하지 않으며, 450℃를 초과하면 석출입자가 크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처리 시간은 30분보다 짧으면 효과가 없고, 6시간이상 가열하여도 효과는 변함이 없다.
가장 바림직한 처리조건은 330-370℃로서 2-4시간 정도이다. 또 열간압연전에 행하는 균질호가열처리는 최종판의 강도증가, 결정입자, 미세화, 디이프 드로잉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450℃미만 및 1시간미만의 처리로서는 상기한 효과가 없으며, 635℃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는 용해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또 20시간이상 가열하여도 효과는 변합이 없다.
가장 바람직한 처리조건은 520-610℃로서 8-12시간 정도이다. 상기한 열간압연판재의 풀림후에 행하는 냉간압연은 이것을 50%보다 낮은 압연률로서 행하면 0-90° 방향의 주름살이 발생하여서 가공판표면이 거칠어지게 되기 때문에 50% 이상의 압연률로서 행하여야 할 것은 이미하는 바와 같다. 특히, 바림직하게로는 80-90% 정도의 압연률로서 행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한 냉간압연후, 필수공정으로서 행하여지는 최종풀림 후, 또 다시 필요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10-60%의 냉간압연 및 만곡제거 목적의 풀
이 임의적 냉간압연 공정은 최종판재의 강도 향상의 목적으로서 행하여지는 것이며, 또 그후에 행하여지는 임의적 만곡제거를 위한 풀림은 최종 판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서 행하여지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의 대비로서 표시한다.
제1표 좌측란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각종 합금조성의 알루미늄 합금주괴를 사용하여 여기에 각각 제1표 우측단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처리조건으로서 균지리화 가열처리→열간압연→열간압연판재풀림→냉간압연→최종풀림→임의적 냉간압연의 각 공정을 여러가지의 결합으로서 차례로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두께 0.6mm 및 0.23mm의 2종류의 판두께의 각종 디이프 드로잉용 판재를 얻었다. 또한 제1표에서 생략한 열간압연 공정은, 주괴온도 520℃로서 압연을 개시하여 3mm의 판으로 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에 의하여 얻어진 각종 판재의 성능은 이것을 대비하여서 표시하면 제2표와 같다.
[제2표]
Figure kpo00002
상기한 표의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할 때는 성형성·한계 디이프 드로잉 비율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강도 향성, 정상부의 주름살 발생률의 감소를 도모할 수가 있으며, 또한 결정입자 지름의 미세화에 의하여 가공한 표면의 거칠은 것의 방지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는 디이프 드로잉용 판재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Fe 0.3-1.5%, Si 0.3-1.5%, Cu 0.3-1.0%, Ti 0.1% 이하를 함유하는 알류미늄 합금주괴를, 열간 압연후 250-450℃로서 최소한 30분 이상 상기 열간압연된판재를 풀림하고, 그후 50% 이상의 압연률로서 냉간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KR1019810002624A 1981-04-09 1981-07-20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KR850000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821 1981-04-09
JP5382181A JPS57169072A (en) 1981-04-09 1981-04-09 Production of aluminum alloy plate for deep draw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56A KR830006456A (ko) 1983-09-24
KR850000982B1 true KR850000982B1 (ko) 1985-07-05

Family

ID=1295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624A KR850000982B1 (ko) 1981-04-09 1981-07-20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69072A (ko)
KR (1) KR850000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3784B (zh) * 2007-12-28 2013-04-21 China Steel Corp Method for making heat resistant softened aluminum allo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1820A (en) * 1991-01-04 1992-08-25 Showa Aluminum Corporation Aluminum pipe for use in forming bulged portions there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3784B (zh) * 2007-12-28 2013-04-21 China Steel Corp Method for making heat resistant softened aluminum all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56A (ko) 1983-09-24
JPS57169072A (en) 198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7319B1 (en) A cold-rolled aluminium-alloy sheet for form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48040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luminium alloy material with excellent formability, shape fixability and bake hardenability
JPH0341539B2 (ko)
US5116428A (en) Rolled thin sheets of aluminum alloy
JPS5881957A (ja) 超塑性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その製造法
KR850000982B1 (ko)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JP3161141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2595836B2 (ja) 低温焼付による硬化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49857A (ja) 成形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箔の製造方法
JPS6022054B2 (ja) 成形性および耐食性のすぐれた高強度Al合金薄板、並びにその製造法
JP3867569B2 (ja) 容器用アルミニウム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43974A (ja) 焼付硬化性及び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63442B2 (ko)
JPS6254183B2 (ko)
JPS5919186B2 (ja) 箔圧延性に優れた箔地の製造法
JP4750392B2 (ja) ボトル型缶用の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S6121296B2 (ko)
KR840002271B1 (ko) 디이프 드로잉용 알루미늄 합금
JP2942172B2 (ja) Ppキャップ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H0346541B2 (ko)
JPS6054383B2 (ja) 成形性および耐食性のすぐれた高強度Al合金薄板、並びにその製造法
JPH0143832B2 (ko)
JPH0320454B2 (ko)
JPS6160141B2 (ko)
JPH054249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