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21B1 -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 Google Patents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21B1
KR850000621B1 KR8203377A KR820003377A KR850000621B1 KR 850000621 B1 KR850000621 B1 KR 850000621B1 KR 8203377 A KR8203377 A KR 8203377A KR 820003377 A KR820003377 A KR 820003377A KR 850000621 B1 KR850000621 B1 KR 85000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thread
support shaft
guide plat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688A (ko
Inventor
고우조우 모도바야시
가쑤미 나가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 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 꾸쇼 filed Critical 도요다 요시도시
Publication of KR84000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30Moistening, sizing, oiling, waxing, colouring, or drying yarns or the like as incidental measures during spinning or twisting
    • D01H13/308Moistening, sizing, oiling, waxing, colouring, or drying yarns or the like as incidental measures during spinning or twisting by applying solids, e.g. wax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30Moistening, sizing, oiling, waxing, colouring, or drying yarns or the like as incidental measures during spinning or twi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왁싱장치를 오픈 엔드정방기에 구체화시킨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한 왁싱상태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왁싱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왁싱장치의 위치변환동작시의 사조에 대한 안내판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약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브라켓트 13 : 선회브라켓트
15 : 수납케이스 17 : 왁스지지축
21 : 안내판 22 : 압압부재
23 : 왁스 24 : 가압봉
25 : 인장스프링 L-L : 지지축 17의 중심축선
O : 지지축 17의 경동(傾動)중심 D : 경동중심 O의 편심거리
ℓ : 직선 W' : 사조의 트래버스폭
본 발명은 오픈엔드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엔드정방기, 사조권취기등의 섬유기계에 있어서는 사조에 왁스를 도착시켜서 평활성을 주는 여러가지의 왁싱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한가지 예로서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실개소 52-158138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픈엔드정방기의 방사실에 의하여 방사되어 위쪽으로 인출되는 사조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경동(傾動) 가능하게 축설한 안내핀에 커버를 감합고정시킴과 동시에 왁스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전기한 커버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설치하고 또한 전기한 왁스와 커버간에 사조를 끼워서 왁싱작용을 행하도록하여 실잇기할때등 왁싱장치가 방해가 될때에는 전기한 왁스 및 커버를 안내핀과 함께 위쪽으로 반전시켜서 퇴피(退避) 위치에 보지되도록 한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왁싱장치에는 퇴피위치로 반전할때 왁스와 커버가 위쪽으로 즉 사조를 따라서 이동되므로 왁스와 커버의 간격으로부터 사조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하여서는 왁스를 커버로부터 이간시키고 또한 사조를 커버의 측방으로 인장하여 전기한 간격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반전조작이 귀찮고 신속성을 요구하는 실잇기작업의 장해가 되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왁스의 지지축을 사조의 주행경로와 거의 직교하도록 또한 이 직교상태에서 사조에 접근 이간하도록 경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기한 지지축의 경동중심을 지지축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전기한 사조와 대응하는 쪽으로 일정한 거리 편재시키고 또한 지지축에 감합한 사조의 안내판의 외주에는 사조를 안내판과 왁스사이로 인도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왁싱장치를 실잇기할 때등에 있어서 원탓치로 지극히 간단하게 작용위치와 정지위치에 교호로 반전시킬 수 있어 실잇기작업등을 신속하게 행할수 있음과 동시에 사조에 과도한장력을 주지않고 사질을 균일하게 보지할수 있는 오픈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오픈 엔드 정방기에 구체화시킨 수단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이 오픈엔드정방기는 개략적으로 보아 기틀 1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버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실을 가진 방사단위 2와, 이방사단위 2로부터 방출된 사조 Y를 위쪽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실인출기구와, 전기한 방사단위 2와 실인출기구간의 사조주행위치에 배치된 왁싱장치와, 전기한 실인출기구로부터 인출된 사조를 트래버스 시키면서 권취하기 위한 실권취기구(도시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왁싱장치의 설명에 앞서서 실인출기구를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기틀 1에는 전추(全錘) 공통의 회전축 4가 기대길이방향을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설치되고, 적당한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하여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축 4에는 야안파이프 3으로부터 사조 Y를 인출하기 위한 다수의 인출로울러 5가 각추마다 감합고정되어 있다. 전기한 회전축 4의 위쪽에서 회전축 4와 평행이 되도록 기틀 1에 고정된 고정축 6위에는 각추마다 다수의 지지아암 7이 회동 가능하게 착설되고 이들의 선단에는 전기한 인출로울러 5의 주면에 전동(轉動) 접촉하는 톱로울러 8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들 톱로울러 8의 일측주연의 일부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야안파이프 3으로부터 도출된 사조를 걸어서 전기한 인출로울러 5와 톱로울러 8과의 사이로 인도하기 위한 실인괘부
Figure kpo00001
8a가 절결형성되어 있다.
전기한 인출로울러 5와 톱로울러 8과의 접촉부의 전하방에서 로울러 5와 평현이 되도록 기틀 1에 전추공통의 트래버스롯드 9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설치되고 그 외주에는 각추마다 사조를 괘지하여 트래버스시키기 위한 다수의 실안내구(溝) 9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야안파이프 3으로부터 도출된 사조 Y가 톱로울러 8의 실인괘부 8a에 걸려서 이 톱로울러 8과 인출로울러 5와의 사이로 인도되면 사조는 트래버스롯드 9의 실안내구 9a에 의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너비 W로 각각 트래버스되면서 전기한 톱로울러 8과 인출로울러 5에 의하여 위쪽으로 인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실권취기구에 의하여 권취된다.
전기한 방사단위 2와 실인출 기구간의 사조주행위치에는 각추마다 왁싱장치가 설치되어 사조에 왁스가 도착되도록 되어있다. 이 왁싱장치의 1추분의 한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한 기틀 1의 앞면에는 지지브라켓트 10이 보울트 11에 의하여 체착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브라켓트 10의 수평지지면 10a단부에는 강제(錦製) 원통부재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결하여 반경방향으로 확대되는 탄선을 부여할 수 있는 스프링핀 12가 상향으로 식설(植設)되고, 이 스프링 핀 12에 의하여 짧은 원주상의 선회브라켓트 13이 전기한 핀 12를 중심으로 지지면 10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회브라켓트 13의 저면에는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톱핀 14가 하향으로 식설되고 이 스톱핀 14가 지지브라켓트 10의 후단면 10b와 접하면 선회브라켓트 13이 정위치(후기하는 왁스 23의 작용위치)에 정지되도록 되어있다. 전기한 선회브라켓트 13의 상면에는 감합구(溝) 13a가 전후방향으로 각설(刻設)되고 이 감합구에 대하여 후기하는 인장스프링 25의 수납케이스 15가 전후방향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감합되고 선회브라켓트 13에 대하여 감합구 13a와 직교하도록 나입(螺入) 시킨 스톱보울트 16에 의하여 브라켓트 13에 고정되어 있다.
전기한 수납케이스 15의 전단면 15a에는 왁스지지축 17의 기단부(基端部)가 삽입되고 케이스 15의 선단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나입한 스톱보울트 1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전기한 지지축 17의 후단부에는 슬리브 19가 회전가능하게 피감(被嵌)되고 전기한 수납케이스 15의 전단면 15a와 지지축 17에 감합된 스톱링 2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전기한 슬리브 19의 전반부에는 사조 Y의 안내면 21a를 가진 안내판 21이 슬리브 19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감합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판 21의 외주연에는 왁싱장치를 퇴피위치(제3도 이점쇄선)로부터 작용위치(제3도 실선)로 이동시킬때 사조 Y를 안내판 21의 안내면 21a와 왁스 23의 작용면 23b사이로 인도하기 위한 안내경사면 21b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횡원추대(橫圓錐臺)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기한 지지축 17의 선단부 가까이에는 압압부재 2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설치되고 이 압압부재 22의 후단외주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짧은 횡원 통상의 착설통부(筒部) 22a에 대하여 살이 두꺼운 횡원통상의 왁스 23의 일단을 감입시켜서 지지시키고 왁스 23의 선단작용면 23a를 전기한 안내판 21의 안내면 21a에 접촉시키고 있다.
다음에, 전기한 안내판 21의 안내면 21a에 대하여 왁스 23의 작용면 23a를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압압시킬 수 있도록한 정압(定壓)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한 수납케이스 15의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안내구(溝) 15b가 케이스 15의 중공부 15c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기한 수납케이스 15의 중공부 15c에는 평면
Figure kpo00002
형을 이루는 가압봉 24의 후단이 안내구 15b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가압봉 24의 전단에 형성한 괘합환부 24a는 전기한 지지축 17에 감합되어 있다.
또 전기한 수납케이스 15의 중공부 15c는 인장스프링 25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단부는 괘지금구 26을 개재하여 전기한 가압봉 24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단부는 수납캐이스 15의 후단면에 괘지되는 괘지금구 27로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한 인장스프링 25의 힘 F는 가압봉 24를 개재하여 압압부재 22로 전하여지고 이 압압부재 22에 의하여 왁스 23이 후방으로 압압되고 왁스 23의 작용면 23a와 안내판 21의 안내면 21a사이에 협지되어 일정한 폭 W'(제3도 참조)로 트래버스되면서 위쪽을 향하여 주행중인 사조에 압력을 부여하여 사조 Y에 왁스의 도착작용을 행한다. 이 왁싱작용중에 있어서는 사조 Y의 위쪽으로의 주행에 의하여 안내판 21, 왁스 23, 및 압압부재 22는 지지축 17을 중심으로 하여 제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왁스는 균일하게 마모된다.
그런데 전기한 안내판 21에 대한 왁스 23의 압압력(사조접촉면의 압력)을 P, 인장스프링 25의 힘을 F, 지지축 17 부분의 마찰계수를 μ, 왁스 23과 압압부재 22의 중량을 W라고 한다면 P=F-μw의 관계가 성립되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기한 압력 P가 항상 일정하게되도록 인장스프링 25의 힘 F를 설정하고 있다. 즉, 왁싱작용의 경과에 따라 왁스 23의 중량이 감소하여 전기한 중량 W가 적어지는 것에 비례하여 스프링의 힘 F가 적어져서 압력 P는 일정하게 되어지도록 인장스프링 25를 설정하고 있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가압봉 24의 괘합환부(環部) 24a에는 지지축 17의 선단부에 형성한 소경부(小經部) 17b가 간신히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절결부 2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왁스의 교환을 행할때에는 전기한 가압봉 24를 인장스프링 25의 힘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고 괘합환부 24a를 지지축 17의 대경부 17a로 부터 소경부 17b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전기한 절결부 24b로 부터 소경부 17b를 뽑아 내도록하여 괘합환부 24a를 소경부 17b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상태에서 압압부재 22를 사용끝난 왁스 23과 함께 지지축 17에서 벗어나게하고, 새로운 왁스를 압압부재 22의 착설통부 22a에 감합시킨후 다시 괘합환부 24a를 지지축 17에 끼우고 압압부재 22에 압압시키면 된다.
한편, 오픈엔드정방기에서는 실잇기가 행하여지는 바, 이 경우 확싱장치가 방해가 되므로 지지축 17의 선단소경부 17b로 하여금 지지축 17, 수납캐이스 15, 선회브라켓트 13, 왁스 23등을 스프링핀 12를 중심으로 제8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실잇기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퇴피시킨다.
실잇기가 끝나면 지지축 17의 소경부 17b로 하여금 원위치로 회동시키면 사조 Y는 안내판 21의 안내경사면 21b을 따라서 안내면 21a와 왁스의 작용면 23a사이로 자동적으로 끼워들게 된다. 그리고 선회브라켓트 13에 고착된 스톱퍼 14가 지지브라켓트 10의 후단면 10b에 접한 상태에서 왁스 23이 정규의 작용위치로 정지된다.
그런데 전기한 왁스 23의 작용면 23a와 안내판 21의 안내면 21a간을 주행하는 사조 Y는 제3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일정한 너비 W'로트래버스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축 17의 경동(傾動)중심 (스프링 핀 12)를 지지축 17의 중심축선 L-L로 부터 전기한 트래버스폭 W'와 대응하는 쪽으로 일정한 거리 D만큼 편위시켜서 전기한 경동중심 O를 지나는 중심축선 L-L와 평행한 직선 ℓ와 전기한 트래버스폭 W'의 외단 P를 지나도록 하고있다.
따라서 실잇기할때에 지지축 17, 수납캐이스 15 및 왁스등을 경동시켜서 제3도 실선의 왁싱위치와 제3도 이점쇄선의 퇴피위치로 교호로 위치변환을 행할때에 지지축 17의 경동중심 O가 사조 Y의 트래버스폭 W'로 편위된 만큼 안내판 21에 형성한 안내면 21a 및 안내경사면 21b의 전후방향의 진폭이 작아져서 사조 Y에 작용하는 장력변동이 적어진다.
즉, 가령 지지축 17의 경동중심 O를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선 L-L상의 O'점에 위치시키면 안내경사면 21b의 회동궤도 T'는 경동중심을 O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회전궤도 T보다도 전후방향의 편위(偏位)가 커지고 또한 같은 길이의 경사면 21b라 할지라도 회동궤도 T'의 폭 n'가 궤도 T의 폭 n보다도 작아져서 따라서 지지축 17의 경동중심를 편재시킨편이 사조 Y의 전후방향의 흔들림을 적게할 수 있고 경사면 21b의 길이도 짧게 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조 Y와 거의 직교하도록 그리고 이 직교상태에서 사조 Y에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축 17에 대하여 안내판 21 및 왁스 23을 지지설치하고 퇴피위치로 부터 왁싱위치로 경동할때에 사조 Y를 안내판 21과 왁스 23의 간격으로 인도하기 위한 안내경사면 21b를 전기한 안내판 21에 형성시켰으므로 기대를 운전한 상태에서 왁싱장치를 작용위치로부터 퇴피위치로 또 그 역의방향으로 원 탓치로 간단하게 변환시킬 수가 있다.
또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축 17의 경동중심 O를 사조 Y의 트래버스 폭 W'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편재시켰으므로 왁싱장치의 전기한 위치변환동작시에 안내판 21의 전후방향의 진폭을 작게하여 사조 Y에 대한 장력변동을 적게함으로써 사질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실시예를 구체화시킬 수도 있다.
(1)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지지축 17의 경동중심 O를 지나는 지지축 17에 평행한 직선 ℓ가 사조 Y의 트래버스폭 W'의 외단 P를 지나도록 편심거리 D를 설정하였으나, 이것을 트래버스폭 W' 내부의 임의의 위치로 전기한 직선 ℓ가 지나도록 거리 D를 설정함 또 전기한 외단 P보다도 바깥쪽의 위치에서 왁스 23의 외주보다도 안쪽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전기한 경동중심 O를 설정함.
(2) 오픈엔드정방기 이외에도 예를들면 사조권취기등의 섬유기계에 구체화시킴.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섬유기계를 운정상태에서 왁싱장치를 작용위치로 부터 퇴피위치로 또 그역의 위치로 변환시키는 것을 원탓치로 지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위치변환시에 있어서 사조에 대한 안내판의 진폭을 작게하여 사조의 장력변동을 적게함으로써 사질의 저하를 방지할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틀에 대하여 사조의 주행경로와 거의 직교되게 그리고 전기한 주행경로에 접근 이간하도록 지지축을 그일단부에서 경동(傾動)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지지축상에는 사조의 안내판을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설치하고 마찬가지로 전기한 지지축상에는 통상(筒狀)의 왁스 및 압압부재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또한 전기한 안내판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설치 시키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전기한 압압부재를 왁스에 압압시켜서 왁스와 안내판 사이를 주행하는 사조에 왁싱작용을 행하도록 오픈엔드정방기등의 섬유기계에 있어서, 전기한 지지축의 경동중심을 그 지지축의 중심축선으로 부터 사조의 주행경로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편위(偏位)시킴과 동시에 안내판의 외주에 대하여 사조를 안내판과 왁스 사이로 인도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엔드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축의 기단부(基端部)를 기틀에 대하여 스프링핀에 의하여 이핀을 중심으로하여 경동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장치.
KR8203377A 1981-08-12 1982-07-28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KR850000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6229A JPS6017855B2 (ja) 1981-08-12 1981-08-12 オ−プンエンド精紡機等における糸条のワキシング装置
JP???56-121229 1981-08-12
JP56-126229 1981-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88A KR840000688A (ko) 1984-02-27
KR850000621B1 true KR850000621B1 (ko) 1985-05-01

Family

ID=1492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377A KR850000621B1 (ko) 1981-08-12 1982-07-28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7855B2 (ko)
KR (1) KR850000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075A (ja) * 2015-09-18 2017-03-23 村田機械株式会社 ワックス付与装置及び糸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31128A (ja) 1983-02-23
JPS6017855B2 (ja) 1985-05-07
KR840000688A (ko) 198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1045A (en) Spinning apparatus having a servicing position
US4244176A (en) Device for waxing a yarn
KR900009414A (ko) 권취기
JP3902684B2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巻成する繊維機械の綾巻きパッケージ交換装置
US3494120A (en) Rotating ring spinning or twisting frame
US4165603A (en) Apparatus for waxing yarn using solid wax on a textile machine
US3807647A (en) Yarn take-up arrangement
US3479988A (en) Running thread waxer
US4299357A (en) Centering plate for supporting a yarn carrier tube
KR850000621B1 (ko) 오프 엔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US3952959A (en) Textile yarn processing
US3830051A (en) Yarn guiding flyer mechanism for a textile yarn processing machine
GB2076863A (en) Apparatus for effecting a thread join in a bound yarn
US2743061A (en) Winding device
US3521826A (en) Yarn package transfer apparatus
US2843998A (en) Yarn twist controller
KR850000637B1 (ko) 오픈앤드 정방기등에 있어서 사조의 왁싱(Waxing)장치
US5906332A (en)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a thread running on a low pressure air stream to a rotating spool
US2648948A (en) Spindle mounting
US3948032A (en) Anti-friction balloon restrainer in a textile yarn processing machine
JP3258009B2 (ja) 精紡機、特にジェット式精紡機のためのドラフト装置
US4660372A (en) Driving arrangement for open-end friction spinning machines
US2890565A (en) Apex guide arrangement
US2822662A (en) Winding apparatus
JPS59212366A (ja) レボルビング型自動ワインダにおける糸掛け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