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97Y1 - 비상 탈출용 혁대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용 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97Y1
KR850000397Y1 KR2019840000167U KR840000167U KR850000397Y1 KR 850000397 Y1 KR850000397 Y1 KR 850000397Y1 KR 2019840000167 U KR2019840000167 U KR 2019840000167U KR 840000167 U KR840000167 U KR 840000167U KR 850000397 Y1 KR850000397 Y1 KR 850000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braking plate
belt
scre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권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이우권
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권, 김영화 filed Critical 이우권
Priority to KR2019840000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97Y1/ko
Priority to US06/666,919 priority patent/US4569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 탈출용 혁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혁대고리를 분리하는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탈출기 내면 제동판을 보여주는 상태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혁대 2 : 소형 탈출기
3 : 고정축 4 : 강선
5 : 구멍 6 : 고정핀
7 : 레크기어 8 : 로울러
9 : 판스프링 10 : 절곡편
11 : 안내턱 12 : 볼트
12a,A,B,C : 나사구멍 13 : 고정 제동판
13a : 유동제동판 14,14a : 절곡부
15 : 덮개 16 : 안내봉
17 : 장방형 구멍 18,18' : 나봉
19,19' : 돌출부 20,20',20" : 홈
21 : 조정볼트 22 : 소공
23 : 버클 24 : 고리
25,25' : 연결구멍 26,26' : 구멍
27,27' : 장홈 28,28' : 스프링
29,29' : 탄력봉 30,30' : 나사구멍
31,31' : 숫나사 32,32' : 손잡이
33 : 나사홈 34 : 조임나사
35 : 손잡이 끈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 화재로 예기치 않은 위험이 신변에 닥쳐올 때 고층건물내로부터 평소에 휴대하고 있던 혁대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몸을 피할 수 있게된 비상탈출용 혁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위험을 갖게된 고층빌딩의 투숙인이 비상탈출구가 설치되어있는 위치를 찾지못해 방황하며 심지어는 인명피해를 감수해야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본인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비상탈출기를 휴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같이 예상치 않은 사고를 막기위해 여행시마다 신변을 보호하도록 휴대용 비상 탈출기를 지니고 다닌다는 것도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줄이며 예상치않은 위험이 신변에 닥쳐오는 경우에도 몸에 지닐 수 있는 혁대의 도움으로 신속하게 피신을 할 수 있게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해 그구조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혁대(1)의 선단을 소형탈출기(2)의 고정축(3)에 감기도록 하고 혁대(1) 내부로 코일 스프링처럼 접혀서 넣어진 강선(4)의 끝단을 혁대(1)의 끝면에 뚫린 구멍에 매듭지어 고정하고 강선(4)의 다른끝면은 고정축(3)을 타고 소형탈출기(2) 후면의 연결구멍(5)을 통과하여 로울러(8)의 안내홈(도면불표시)을 따라 감기게되어 있고, 로울러(8)는 소형탈출기(2)의 내측면고정핀(6)에 의하여 레크기어(7)와 함께 설치되어 있어서 고정핀(6)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되어있고 레크기어(7) 면에는 소형탈출기(2)의 몸체내면 모서리에 고정시킨 판스프링(9)의 양측절곡면(10)이 치면내로 밀착되어 있어서, 레크기어(7)의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안내턱(11) 상측에는 고정제동판(13)과 유동제동판(13a)이 위치하는데 고정제동판(13)은 양측에 뚫린 나사구멍(12a)과 볼트(12)의 결합에 의하여 덮개(15)와 소형탈출기(2)에 일체로 고정되고 고정제동판(13)의 내측단면은 유동제동판(13a)의 내측단면에 교합되도록 절곡부(14)(14a)로 각각 형성되며 유동제동판(13a)은 소형탈출기(2)의 내면양측에 세워진 안내봉(16)에 의해서 유동제동판(13a)의 양쪽에 수직으로 관통된 장방형구멍(17)에 걸려있어서 그 장방형 구멍(17)에 의하여 유동제동판(13a)이 세로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소형탈출기(2)의 저면에 뚫린 나사구멍(A)(B)(C)중 양측나사구멍(A)(C)으로 나봉(18))(18')을 나사조임하여 나봉(18)(18')의 전면 돌출부(19)(19')가 유동제동판(13a)의 외면에 형성된 홈(20)(20')(20") 중 홈(20)(20") 내로 끼워져서 고정제동판(13)의 절곡부(14)에 유동제동판(13a)의 절곡부(14a)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맞추어지도록 한다.
나사구멍(B)에는 고정볼트(21)를 나사조임하여 조정볼트(21)의 돌출부(19')가 유동제동판(13a)의 홈(20') 내로 삽입되게하고 이 조정볼트(21)의 작동으로 유동제동판(13a)이 안내턱(11)과 안내봉(16)에 걸린 장방형 구멍(17)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게한다. 이때 고정제동판(13)의 절곡부(14)와 유동제동판(13a)의 절곡부(14a) 사이로 통과된 강선(4)은 소형탈출기(2)의 몸체에 뚫어놓은 소공(22)을 거쳐 버클(23)의 고리(24)에 연결된다.
버클(23)의 양측면에는 연결구멍(25)(25')이 형성되고 소형탈출기(2)의 상하면 끝단에는 구멍(26)(26')을 형성하여 그 구멍내로 각각의 스프링(28)(28')을 넣고 다시 나사구멍(30)(30')이 뚫린 탄력봉(29)(29')을 그 스프링위에 넣어서 소형탈출기 측면에 형성된 장홈(27)(27')을 통하는 볼트(31)(31')로 볼트의 손잡이(32)(32')가 외부로 돌출되게 나사구멍(30)(30')과 나사 결합시킨다.
다음에는 버클(23)의 양측 연결구멍(25)(25')과 탄력봉(29)(29')을 스프링(28)(28')에 의해 압출팽창되는 손잡이(32)(32')로 조절하여결합시킨다. 또한 손잡이 끈(35)이 붙은 조임나사(34)가 소형탈출기(2)의 덮개(15)로부터 고정제동판(13)에 관통된 나사홈(33)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나 여행을 떠날경우에도 바지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혁대(1)로 착용하고 혁대(1)의 폭이 넓어 혁대(1)를 착용시 든든한 감을 줄 수 있고 혁대(1)를 착용하는 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 40-50m의 길이까지 내장할 수 있는 강선(4)이 혁대의 내면에 내장되어 있어서 위험에 처하더라도 쉽게 위험지역을 벗어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여행시 투숙하는 장소에서 갑자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 혁대(1)를 뚫어 소형탈출기(2)의 장홈(27)(27')에 있는 손잡이(32)(32')를 안쪽으로 압축시키면 버클(23)의 양측연결구멍(25)(25')에 끼워져있던 탄력봉(29)(29')이 내면의 스프링(28)(28')의 수축으로 인하여 구멍(26)(26') 내로 삽입되면서 버클(23)이 소형 탈출기(2)로 부터 분리된다. 이 때 버클(23)을 견고하게 고정된 물체면에 매듭을 짓거나 일정한 고리면에 걸어 풀리지않게 설치한다.
다음에는 평소의 체중에 따라 고정제동판(13)의 절곡부(14)면과 유동제동판(13a)의 절곡부(14a) 사이로 강선(4)이 잘 풀리지못하게 나봉(18)(18')을 동일한 중량만큼 조여주고 조정볼트(21)로 하강속도에 따라 유동제동판(13a)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조작을 하면서 손잡이 끈(35)과 혁대(1)를 잡고 위험에 처한 장소의 창문 또는 발토니로부터 뛰어 내릴 수 있다.
이 때 혁대(1) 내의 포개지도록 절곡된 강선(4)이 순서적으로 풀리면서 로울러(8)가 체중이 낙하되는 속도만큼 점차빨리 회전된다. 여기에서 로울러(8)의 상면에 레크기어(7) 양면에 밀착된판스프링(9)의 절곡면(10)이 레크기어(7)의 회전비에 따라 제동을 걸어주게되므로 로울러(8)에 1회 감겨 있는 강선(4)이 풀림과 동시에 고정제동판(13)의 절곡부(14)와 유동 제동판(13a)의 절곡부(14a)가 밀착된 사이로 마찰되면서 초속 1.5-2m 속도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항시 몸에 혁대(1)를 착용하고 다닐 수 있어 예기치 않은 위험이 닥치게되어도 위험지를 탈출할 수 있어 종래의 높은 빌딩에서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비상구를 찾지못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갖게 되던것을 본 고안의 소형탈출기(2)로 된 혁대(1)를 착용하게 되므로써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혁대(1)의 선단을 소형탈출기(2)의 후면 고정축(3)에 연결하고 혁대(1)의 내면에 코일 스프링처럼 접어넣어진 강선(4)의 끝단을 혁대(1)의 다른 끝면에 뚫린 구멍에 매듭으로 연결고정하고 다시 강선(4)의 다른 끝단은 고정축(3)을 타고 소형 탈출기(2) 후면에 연결구멍(5)을 통해 고정핀(6)에 설치된 로울러(8)에 1회전 감기게하고 이 강선이 로울러(8)와 일체로 되어있는 레크기어(7)면과 접한 판스프링(9)의 양측 절곡면(10)에 의하여 제동을 받게하고 다시 고정제동판(13)의 절곡부(14)와 유동제동판(13a)의 절곡부(14a) 사이를 거쳐 소형탈출기(2)의 몸체면에 뚫린 소공(22)을 거쳐 버클(23)의 고리(24)에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고정제동판(13)은 소형탈출기(2) 면과 일체로 될 수 있게 덮개(15)와 고정제동판(13)을 관통하는 나사구멍(12a)을 통해 볼트(12)로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 끈(35)이 달린 조임나사(34)가 덮개(15)와 고정제동판(13)의 나사홈(33)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며 유동제동판(13a)은 소형탈출기(2)의 내면 양측에 세워진 안내봉(16)에 의하여 유동제동판(13a)의 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고 세로방향으로 뚫린 장방형 구멍(17)에 걸려 세로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나봉(18)(18')을 소형탈출기(2) 저면의 나사구멍(A)(C)에 나사결합시켜 나봉(18)(18')의 돌출부(19)(19')가 유동제동판(13a)의 홈(20)(20")에 삽입되게하고 조정볼트(21)를 나사구멍(B)에 나사조임하여 조정볼트(21)의 돌출부(19')가 유동제동판(13a)의 홈(20')에 삽입되도록 하고 스프링(28)(28')으로 지탱되면서 나사구멍(30)(30')이 뚫린 탄력봉(29)(29')을 소형탈출기(2)의 상하면 구멍(26)(26') 내로 넣고 장홈(27)(27')을 관통하는 돌출된 손잡이(32)(32')가 붙은 숫나사(31)(31')에 의하여 나사구멍(30)(30')과 나사조임되고 손잡이(32)(32')로 탄력봉(29)(29')을 조절하여 버클(23)의 양측연결구멍(25)(25')에 탄력봉(29)(29')을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혁대.
KR2019840000167U 1984-01-10 1984-01-10 비상 탈출용 혁대 KR850000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167U KR850000397Y1 (ko) 1984-01-10 1984-01-10 비상 탈출용 혁대
US06/666,919 US4569417A (en) 1984-01-10 1984-10-31 Buckled belt for the emergency esc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167U KR850000397Y1 (ko) 1984-01-10 1984-01-10 비상 탈출용 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97Y1 true KR850000397Y1 (ko) 1985-03-18

Family

ID=1923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167U KR850000397Y1 (ko) 1984-01-10 1984-01-10 비상 탈출용 혁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569417A (ko)
KR (1) KR8500003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269A (en) * 1987-06-18 1988-11-01 Clay Richard B Descent regulator and escape system
US5505356A (en) * 1993-09-09 1996-04-09 Noriega; Joseph R. Detachable article hold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50A (en) * 1895-10-08 Fire-escape
US311039A (en) * 1885-01-20 Fire-escape
US1574529A (en) * 1925-04-25 1926-02-23 Abraham Samuel Life-saving suit
US1858256A (en) * 1931-03-17 1932-05-17 Loren A Wolfe Life saving device
US3419236A (en) * 1967-11-09 1968-12-31 Alphons P Weber Personnel lowering device
US3498408A (en) * 1968-01-16 1970-03-03 Ronald S Foote Garment-harness combination
US3834489A (en) * 1973-05-01 1974-09-10 Rescue Ind Inc Fire escape device with belt tightening slide
US4102431A (en) * 1977-07-13 1978-07-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Emergency personnel low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69417A (en) 198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9288C (en) Lineman's pole strap assembly
RU2541305C2 (ru) Страх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AT390738B (de) Tragvorrichtung fuer skier
FI75396C (fi) Kaelke foer skyddsanordning vid uppstigning pao en stege.
CA1231359A (en) Lineman's safety strap
US796337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high altitude rappel escape safety device
FR2706744B1 (ko)
ITMI20110023A1 (it) Dispositivo assicuratore e discensore
US6752242B1 (en) Wood pole fall protection device
US2686059A (en) Ski harness
US20070261915A1 (en) Lifeline Trolley
DE10111924B4 (de) Verschiebbare Festspanneinrichtung für Sportartikel
FR2380796A1 (fr) Boucle de serrage, notamment pour chaussure de ski
US20130313047A1 (en) Safety rope blocker having a rotatable body
KR850000397Y1 (ko) 비상 탈출용 혁대
US6585026B2 (en) Safety device for window curtains
CA2032399C (en) Lineman's safety strap assembly
US4960063A (en) Safety device for the foot-holder of a sail board or the like
US4603755A (en) Rappel line clamp and harness
IT201800021406A1 (it) Dispositivo per frenare e/o bloccare una corda
USRE33540E (en) Ski brake
CA1123797A (en) Fire escape device with rope loop clamp
CA1266760A (en) Line clamp for climbing aid
US2290745A (en) Lifesaving device
US4470614A (en) Ski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