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24B1 -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24B1
KR850000324B1 KR1019800001262A KR800001262A KR850000324B1 KR 850000324 B1 KR850000324 B1 KR 850000324B1 KR 1019800001262 A KR1019800001262 A KR 1019800001262A KR 800001262 A KR800001262 A KR 800001262A KR 850000324 B1 KR850000324 B1 KR 85000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harging current
image
ton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 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 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따로 filed Critical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복사기 전체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드리프트 보상회로의 회로도 .
제4(a)도은 본 발명의 이득 조정회로의 회로도 .
제4(b)도은 동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바이어스 조정회로의 회로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은 제어 모드 선택동작을 표시한 타임챠드.
본 발명은 사전에 기준 타켓트를 감광체상에 감광시킨 후 현상하여, 그의 토너상의 농도를 검출하여, 얻어진 검출신호에 의하여 복사농도나 백지농도가 어느 규정치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토너공급장치, 현상 바이어스전압, 대전기 및 노광계등을 사전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총합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복사기에는 얻어진 복사화질 특히, 복사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토너의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와 현상 바이어스전압을 제어하는 장치등이 채용되었다. 이들 장치는 현상제의 투과 광량이나 전기저항, 자기저항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현상제 중의 토너의 함유율을 자동적으로 일정레벨로 유지하므로서 화질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으나, 이들 장치에서는 현상제나 노광램프등이 열화했을 경우, 또는 습도등이 높아진 경우에도 토너 함유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이때 얻어지는 복사화질이 반대로 저하하게 되고, 특히 자기 브러쉬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에서는 이들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제어장치의 결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토너 공급장치나 현상 바이어스 전압, 대전기 및 노광계등을 총합적으로 제어하는 복사기에 있어서, 특히 기준 타켓트의 토너상으로 부터 검출한 화상 및 배경농도중의 적어도 한쪽을 사전에 설정한 기준치화 비교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에 의하여 현상기로의 토너공급량, 현상기의 현상전극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 대전기의 대전전류 및 노광램프의 노광전류중의 적어도 한쪽을 중앙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모드에 의해 제어하도록 한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안정된 화질의 복사를 항상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채용한 전자 복사기로서, 복사기본체(1)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2)가 마련되어 있다. 원고대(2)의 하측에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기준타켓트(3)와 원고대(2)에 따라 이동하는 노광램프(4)가 설치되어있다. 이 노광램프(4)에 의하여 원고와 기준 타켓트가 노광되도록 되어있다. 원고 또는 기준 타켓트(3)의 반사광은 광학계(5)를 거쳐 복사기 본체(1)내의 감광체(6)에 도달하여 대전기(25)에 의하여 대전된 감광체(6)의 주면에 정전잠상(靜電潛像)을 형성한다. 감광체(6)의 정전잠상은 다음 현상기(7)에 의하여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현상기(7)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현상전극(8)을 감광체(6)의 주면에 따라 갖고서, 토너 공급장치(9)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제에 의하여 감광체(6)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것으로, 이 현상기(7)의 상방에는 감광체(6)상에 형성된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의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10)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기(10)는, 예를들어, 제2도 도시한 바와같이 발광 다이오등의 발광소자(10a) 및 광전 다이오드 등의 수광소자(10b)로 구성된 반사형 센서로서, 감광체(6)상의 유효복 사면밖에 형성된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토너상으로부터 토너상의 농도 및 배경농도를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기준 타켓트는(3)는 농도가 다른 것을 복수개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다 섬세한 화질의 제어를 가능케한 것으로, 여기서는 화상부의 농도를 대표하는 것과 저 콘트라스트 또는 비화상부, 즉 배경부의 농도를 대표하는 것을 각각 한개씩 준비하여, 기준 타켓트(3)에 의한 토너농도의 검출량에 따라서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기준타켓트란 항상 일정한 농도를 갖는 것으로서, 복사기는 이들 상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어된다. 실제의 기준타켓트로는 10내지 20mmm2의 금속판에 도장되거나, 착색된 마일러 시트(mylor sheet)또는 플라스틱 시트등이 이용되며, 기준타켓트(3)의 농도조합으로는 예를들어, 0.3GSAD와 0.7GSAD 또는 0.4GSAD와 0.8GSAD가 적당하다. 또한 기준타켓트(3)는 노광램프(4)의 주사이동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데, 이와같이, 배열하면 감광체(6)상에는 회전방향으로 늘어선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토너상이 통과하는 위치의 상방에 설치된 단일의 검출기(10)의 검출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토너농도를 검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사용하는 반사형의 검출기(10)는 반사광의 정반사 성분을 수광 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데, 이와같은 검출기(10)는 집광성이 좋고, 또한 분해능이 높으므로, 적은 상농도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검출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검출타이밍의 제어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 반사광의 난반사 성분에 대하여도 감응하도록 구성하면 상농도가 평가화되어 버리므로 검출타이밍의 제어가 곤란하고, 따라서 기준타켓트(3)의 면적도 비교적 큰 것이 필요케 되므로 바람직스럼지 못하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검출기(10)가 현상위치과 전자 위치간에 배치되어 현상직후의 토너농도를 검출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검출기(10)의 위치는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전사위치와 클리어링 위치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검출기(10)의 수광소자(10b)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는 제2도에 도시한 증폭회로(12)에 의하여 적당한 레벨의 신호로 증폭된 후, 샘흘 홀드회로(15)에서 샘플 홀드된다. 상기 증폭회로(12)에는 검출기(10)와 증폭회로(12)내에서 발생되는 드리프트를 보상하기 위한 드리프트 보상회로( ALC)(13)와 토너에 의하여 검출기(10)가 더럽혀질 경우에 발생되는 레벨의 저하등에 대해서도 일정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이득조정회로(AGC)(14)가 부가되어 있는데, 이들 회로(13), (14중에서 드리프트 보상회로(13)는 예를들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동증폭기(33)와 홀드회로(34)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지금 복사기본체(1)(1)의 시동스위치(도시안됨)을 눌러서 복사기본체(1)의 동작을 개시한 직후의 수 100msec 기간중에 규정시간, 예를들어, 수 10msec만큼 차동 증폭기(33)와 홀드회로(34)간에 설치한 에너로그 스위치(31)를 온시키고, 검출기(10)나 증폭회로(12)에 발생한 드리프트 전위를 콘덴서(32)에 충전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때 검출기(10)의 발광소자(10a)는 오프로 하여 둔다. 다음에 이 값을 홀드회로(34)를 통하여 차동증폭기(33)의 한쪽 입력측에 궤환시켜서, 검출기(10)가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을 검출할때, 그의 신호내에 포함된 드리프트를 상쇄되게 하면, 차동증폭기(33)의 출력측에는 토너상에 의해 검출된 진짜의 검출 신호만이 증폭되어 출력되며. 그의 값(V0)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이때, R1〓 R3,R2〓 R4이라면
Figure kpo00002
로 된다.
여기서 VIN〓 (Vs+Vb), Vb〓 VH(단, Vs: 진짜신호, Vb는 드리프트 전위, VH는 호드전위)로 하면
Figure kpo00003
로 된다.
이때, 출력전압 V0는 진짜신호만이 증폭되어 출력된 것으로 된다.
또한, 이득 조정회로(14)는, 예를들어, 제4(a)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그리고, 제4(b)도은 제4(a)도의 회로를 블록화한 것이다.
즉, 이득 조정회로(14)는 노광 및 현상되지 않는 감광체(6) 표면의 반사광의 값이 검출기(10)의 오염등에 의하여 변화하여도 검출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복사기본체(1)의 시동스위치를 누르면 드리프트 보상회로(13)가 동작하여 검출기(10)나 증폭기(12)의 드리프트량이 보상된다. 그후 수 10msec동안 검출기(10) 및 증폭회로(12)가 동작되고, 노광 및 현상되지 않은 감광체(6) 표면의 반사광은 검출기(10)에 의해 검출되어, 증폭회로(12)를 통하여 이득조정회로(14)에 입력된다. 이득 조정회로(14)는 제4도의 오차 증폭기(35)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오차 증폭기의 한 입력에는 기준치 설정회로(36)에 의해 설정된 기준치가 입력된다. 따라서 여기에 입력신호와 기준치가 비교되어 출력되어서 출력측에 설치되어 있는 애너로그 스위치(6)의 온과 더불어 증폭기(36)의 한쪽 입력측에 접속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등으로 구성된 감쇄기(42)에 입력되고, 게이트전압(VGS)이 설정됨과 더불어, 이 값은 콘덴서(43)에 기억된다. 즉, 증폭기(36)의 출력 V0가 높으면 [검출기(10)가 오염되지 않은 경우], 증폭기(36)의 입력 VIN이 적어지도록 동작하고, 반대로 낮으면 압력 VIN이 켜지도록 감쇄기(42)가 제어되어 검출기(10)의 오염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출력 V0가 증폭회로(12)에 출력되어, 증폭회로(12)의 이득이 제어됨과 더불어, 증폭회로(12)의 출력은 프로세서(17)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신호에 따라서 샘플 홀드회로(15)에 홀드된다.
또한, 이때 파형의 평균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 중심위치를 측정하도록 하고 감광체(6)표면의 거칠음의 영향을 적게하기 위하여 적분 시간을 길게하면 좋다. 그리고, 도면중(11)은 검출기(10)의 구동회로이다.
한편, 상기 동작에 의해 샘플홀드회로(15)에 홀드된 농도신호는 다음단의 비교회로(16)에 의하여 기준회로(19)로부터 입력된 기준 농도신호와 비교되고, 그결과가 중앙제어회로(20)에 입력된다. 중앙제어회로(20)는 상기 비교회로(16)로부터 입력된 농도 판정결과 따라서 제어 모드를 선택하고, 출력회로(21)을 거쳐각종 제어회로(22)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이들 제어회로(22)를 제어하는데, 복사기에 의해 원고의 농담(農談)에 의하여 복사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이와같은 복사기에서는, 예를들어, 비교적 색이 엷은 원고를 복사할 경우, 별도로 설치한 엷은 색 원고용의 프린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저하시켜 상농도가 증가하므로 엷은색의 원고로부터도 양호한 복사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복사기에서는 엷은 색 원고용의 프린터 스위치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복사를 행하면 기준타켓트(3)의 토너상도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저하에 의하여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것을 검출기(10)에서 검출해 볼때 통상의 복사에 비하여 출력신호가 저하되며, 따라서, 이것을 기준회로(19)의 고정된 기준치와 비교회로(16)에서 비교해 보면, "화상농도가 너무 높음" 또는 "배경농도가 너무 높음"이란 판정 결과가 나타나고 이 판정 결과가 중앙 제어회로(20)에 입력되므로, 이후 중앙 제어회로(20)는 이 판정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을 진행시키게 되는 결점이 생긴다. 그러므로 엷은 색 원고용의 스위치 또는 짙은색 원고용의 프린트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복사한 경우에는 검출기(10)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를 보정하여 상술한 결점이 해소되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제5도에 도시된 바이어스 보정회로(18)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샘플 홀드회로(15)의 출력측에는 저항 R 및 RN가 마련되어 있어, 통상의 원고 복사에 있어서는 이들 저항 R 및 RN에 의하여 결정된 신호 Vs가 비교회로(16)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저항 R 과 RN의 한쪽 R에는 이것과 병렬로 RL과 스위치(SW5)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SW5)는 엷은색 원고용의 프린트스위치에 연동하여 온으로 되도록 되어 있어 이 스위치(SW5)가 온으로 되면 저항 RL이 저항 R과 병렬로 접속되고, 입력신호 Vs가 다음과 같이 보정(시프트업)되어 비교회로(16)에 입력된다. 이제 Vs(N)=Vs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의 상태에서, 스위치(SW5)가 온으로 되면, Vs(L)Vs
Figure kpo00006
H=
Figure kpo00007
=Vs(N)>Vs
Figure kpo00008
H로 된다. 따라서 RL>R가 되도록 저항 RL의 값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엷은 색 원고 복사시의 입력신호 Vs를 시프트업 할수가 있게 된다. 또한 다른쪽 저항 RN에는 이것과 병렬로 저항 R6및 스위치(SW6)의 직렬회르가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치(SW6)는 짙은색 원고용의 프린트 스위치와 연동하여 온으로 되도록 되어있어, 이 스위치(SW5)가 온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저항 RN에 저항RL가 병렬로 접속되어, 입력신호 Vs를 시프트 다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로써, 비교회로(16)에는 엷은색 또는 짙은색 원고용의 프린트 스위치가 눌러졌을 경우에도 보정회로(18)에 의해 보정된 신호Vs가 입력될 수 있게 되며, 중앙제어회로(20)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동작에 의하여 비교회로(16)로 부터 출력된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 농도의 판정결과에 의하여 중앙제어회로(20)는 제6(a)도 내지 제6(b)도에 표시한 동작으로 제어모드를 선택한다.
지금, 제6(a)도에 있어서, 복사기본체(1)에 전원이 투입되면 현상 바이어스 전압, 대전전류 및 노광램프전류의 각 파라메타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로 블록(61)에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프린트 스위치를 눌러 복사가 개시되면, 각 복사 공정마다 감광체(6)에 형성된 기준 타켓트(3)의 토너상이 검출기(10)에 의해 검출되나, 이때 화상농도의 검출 또는 배경농도의 검출중에서 어느 것을 먼저 행할 것인가는 사전에 설정해 두면 된다. 예를들어, 최초의 복사동작에 있어서, 화상농도를 검출하면, 다음 복사 동작후에는, 예를들어 5회에 걸쳐 배경농도를 검출하고, 이후, 이 순서를 반복하는 검출공정을 사전에 설정하여 두면 좋다. 이와같이 사정의 검출공정에 따라서 플로우챠트는 블록(62)으로부터 서브루틴 A (블록 63) 또는 서브루틴 B (블록 64)로 진행하여 각 서브루틴 A 또는 서브루틴 B에 있어서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제어동작을 각 제어대상에 지시한 후, 되돌아와 다음 복사를 위해 대기한다. 또한 상기 서브루틴 A는 검출기(10)가 화상농도를 검출하였을 때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검출치가 적정한 화상농도의 경우에는 제6(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 공급장치(9)의 구동모터가 간헐적으로 동작되도록 토너 공급량 제어회로(22C)에 지시(블록 65)만 하면 되나, 화상 농도가 적정치에 대하여 높은 값 또는 낮은 값을 나타낼 경우에는, 토너 공급장치(9)의 구동모터에 정지지시(블록 66) 또는 연속구동지시(블록 67)을 발한 후, 대전기(25)의 대전전류 및 현상전극(8)의 바이어스 전압이 각 파라메터의 값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지시한다. 예를들어, 화상농도의 검출치가 낮으면 토너공급장치(9)의 구동모터에 연속구동지시(블록 67)를 부여한 후, 대전기(25)의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가의 판단(블록 68)이 행하여진다. 이때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 경우에는 다시 현상전극(8)의 바이어스 전위가 사전의 설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가장 낮은 전위에 있는지 판단된다(블록 69). 만일 여기에서 바이어스전위를 일정량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바이어스 전위의 레벨이 블록(70)에 있어서 일단계 낮추어지게 되나, 이미 바이어스 전위가 가장 낮은 전위로 되어 있어, 이 이상 바이어스 전위를 저하시킬 수 없을 경우에는,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지 않는 경우와 같이, 대전전류가 설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인지의 판단이 행해진다(블록71). 만일 여기서 대전전류를 일정량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대전전류를 일정량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대전전류의 레벨이블록(72)에서 일단계 높허지게 되나 이미 대전전류가 최대로 되어 있어, 이 이상 증가될 수 가 없는 경우에는 아무런 지시를 발생하지 않고 서브루틴 A을 떠나게 된다.
이상은 화상 농도가 적정치에 대해 낮은 경우의 제어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화상농도가 적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먼저 토너공급장치(9)의 구동 모터가 정지되고 (블록 66). 이 상태는 구동 재개지시가 재차 발생될때까지 계속된다. 이후,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지 판단되며(블록 73). 여기서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을 경우 에는 다시 현상전극(8)의 바이어스 전위가 설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가장 높은 전위에 있는지 판단된다(블록 74). 만일 바이어스 전위를 증가시키는 일이 가능한 경우에는 블록(75)에 의해 바이어스 전위가 일단계 증가되나, 이미 가장 높은 전위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전기(25)의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지 않는 경우와 같이. 대전전류가 설정가능한 범위에서 최소인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블록 76) 만일, 여기에서 대전전류가 최소가 아니고 일정량 저하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다시 복사직전의 복사동작에 있어서의 배경농도에 대한 판정결과가 판단되게 되며(블록 77). 이 배경 농도가 낮지 않았던 경우에 한해서, 대전전류가 블록(78)에서 일단계 낮추어짐과 더불어, 기타의 경우에는 하등의 지시가 발생되지 않고 서브루틴 A을 떠나게 된다.
또한 제6(a)도에 도시한 서브루틴 B는 배경농도를 검출했을 경우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의 제어모드는 검출된 배경농도가 이상한 값을 표시했을때만 대전기(25)의 대전전류 및 노광램프전류를 각 파라메타의 값에 따라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검출된 배경농도가 적정치인 경우에는 하등의 지시를 발생하지 않고, 서브루틴 B을 떠나게 되나, 만일 검출된 배경농도가 적정치 보다도 낮은 값을 표시할 경우에는 제6(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먼저 대전기(25)의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지의 판단을 행하게 된다(블록 79). 여기에서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 경우에는, 노광램프 전류가 설정 가능한 범위에서 최소한 상태에 있는지 재차 판단된다(블록 80). 만일 여기에서 노광램프전류를 일정량 감소시키는 일이 가능하면, 노광램프 전류의 레벨을 블록(81)에 있어서 일단계 낮추도록 제어하나, 이미 노광램프 전류가 최소 상태에 있어 더 이상 저하시킬 수가 없는 경우에는,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지 않았던 경우와 같이 대전전류가 설정 한범위 내에서 최대상태에 있는지 판단된다(블록 82). 이때 대전전류를 일정량 증가시키는 일이 가능하면, 대전전류의 레벨을 일단계 증가시키도록 지시하게 되나(블록 83). 만일 이미 대전전류가 최대 상태에 있어 더 이상 증가시킬 수가 없는 경우에는 하등의 지시를 발생하는 일없이 서브루틴 B을 떠나게 된다.
한편, 검출된 배경농도가 적정치 보다 높은 값을 표시할 경우에는 대전기(25)의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지 판단되며(블록 84).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는 경우에는 다시 노광램프 전류가 설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상태에 있는지 판단된다(블록 85). 여기에서 노광램프 전류를 일정량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노광램프 전류를 블록(86)에서 일단계 증가시키나, 만일 이미 최대의 상태에있는 경우에는 대전기(25)의 대전전류가 기준치에 있지 않는 경우와 같이, 대전전류가 설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소 인지 판단된다(블록 87). 여기에서 대전전류가 최소가 아니고, 일정량 저하시킬 수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복사직전의 복사동작에서 검출된 화상농도에 대한 판정결과가 판단되며(블록 88). 이때의 화상농도가 낮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대전전류는 블록(89)에서 일단계 낮추어짐과 더불어 기타의 경우에는 하등의 지시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서브루틴 B을 떠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중앙제어회로(20)에 의하여 선택된 제어모드는 출력회로(21)을 통하여 각종 제어회로(22), 예를들어, 현상 바이어스 제어회로(22a), 노광램프 제어회로(22b), 토너 공급량 제어회로(22c) 및 대전전류 제어회로(22d) 등에 출력되어, 이들 제어회로(22)에 의하여 현상 전극(8)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나 노광램프(4)의 노광전류, 대전기(25)의 대전전류 및 토너 공급장치(9)의 토너 공급량이 소정의 제어모드에 따라서 제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기준 타켓트의 토너상으로부터 검출된 화상 및 배경농도중의 적어도 한쪽을 사전에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 판정하여, 이 판정결과에 의해 현상기에 공급되는 토너 공급량, 현상기의 현상전극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 대전기의 대전전류 및 노광램프의 노광전류중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모드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복사기 본체를 설치한 환경이나 복사기 각부의 경시적 변화등에 하등 영향을 받지 않고 현상기로의 토너 공급량, 현상전극의 바이어스 전압 대전기의 대전전류 또는 노광램프를 노광 전류가 총합적으로 제어되므로 항상 안정된 화상 및 배경 농도를 갖는 복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원고대(2)의 근방에 설치한 기준타켓트(3)를 복사시에 감광체(6)의 일부에 노광한 후 현상하여, 얻어지는 토너상으로부터 화상 및 배경농도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각종제어회로(22)을 제어하는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기준타켓트(3)의 토너상으로부터 검출한 화상 및 배경 농도중의 적어도 한쪽을 사전에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에 따라서 현상기(7)로의 토너 공급량, 상기 현상기(7)의 현상전극(8)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 대전기(25)의 대전전류 및 노광램프(4)의 노광전류중의 적어도 한쪽을 중앙제어회로(20)에 의해서 선택되는 제어모드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KR1019800001262A 1980-03-26 1980-03-26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KR85000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262A KR850000324B1 (ko) 1980-03-26 1980-03-26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262A KR850000324B1 (ko) 1980-03-26 1980-03-26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24B1 true KR850000324B1 (ko) 1985-03-20

Family

ID=1921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262A KR850000324B1 (ko) 1980-03-26 1980-03-26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2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1868B2 (ko)
US5122835A (en) Compensating densitometer readings for drifts and dusting
JPS59139057A (ja) 複写装置
JPH0313585B2 (ko)
JPH06118759A (ja) 画像安定化法
US4619520A (en) Variable magnificatio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JPH0314186B2 (ko)
KR850000324B1 (ko) 전자복사기의 제어방법
JPH0215070B2 (ko)
JP3097361B2 (ja) 電子写真式複写機
US65910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control coefficient used to determine electrification bias
JPH0231386B2 (ko)
US467486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image density detectors
JP3222617B2 (ja) 自動画質補償制御装置
JPH0211903B2 (ko)
GB2138582A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H042953B2 (ko)
JPS58182650A (ja) 電子写真複写機の画像濃度制御装置の調整方法
JPS6348063B2 (ko)
JPH0529908B2 (ko)
JPH01118157A (ja) 電子複写機の画像濃度検出装置
JPH0786709B2 (ja) コピー濃度調節方法
JPH0413708B2 (ko)
JP2600224B2 (ja) 複写機
JPH06148991A (ja) 自動画質補償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