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25Y1 -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 Google Patents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25Y1
KR840002425Y1 KR2019830003288U KR830003288U KR840002425Y1 KR 840002425 Y1 KR840002425 Y1 KR 840002425Y1 KR 2019830003288 U KR2019830003288 U KR 2019830003288U KR 830003288 U KR830003288 U KR 830003288U KR 840002425 Y1 KR840002425 Y1 KR 840002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powder
mosquito repellent
combustion
mosqui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형
Original Assignee
한일양행의약품주식회사
정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양행의약품주식회사, 정한승 filed Critical 한일양행의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3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절반을 절개한 상태의 평면도와 정면도.
제3도는 단면상태의 부분확대도.
제4도는 연소망과 뚜껑의 확대도.
본 고안은 분말이나 과립상태의 모기향을 연소시키도록 된 분말 또는 과립상태의 모기향 연소기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모기향은 고체상태로 되어 있고, 달팽이집 형태로 말려있기 때문에 사용시는 별도의 받침대에 고정시켜 연소를 시키는 것이 상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연소를 시킬때는 연소된 부분의 재가 실내에 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재받이 그릇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연소되는 부분이 노출된 상태에 화재의 위험과 어린이들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었다.
또한 고체 상태의 달팽이집 형태로 말려있기 때문에 조금만 부주의하여도 부러지기 쉽고 연소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크기를 임의대로 크게할 수 없었다.
즉, 모기향 자체의 크기를 크게하면 받침대에 고정시켰을 때 자중에 의하여 부러지거나 아래로 처져서 지면과 닿게 되므로 화재의 우려나 연소가 불가능해지는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기향은 그 크기가 적기 때문에 연소시간이 짧은 폐단이 있었다.
이처럼 연소시간이 짧으므로서 수많은 모기종류중 59% 이상이 서식하고 있는 축사 또는 우사등에서는 12시간 이상을 계속 연소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곳에서는 사람이 잠을 설치며 한번씩은 새로운 모기향을 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모기향의 연소시간을 길게하기 위하여 모기향 자체의 강도를 높여(딱딱하게 압축시킴) 그 크기를 더욱 크게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연소가 잘되지 않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화재나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모기향의 연소시간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재받이가 필요없으며,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을 연소시키도록 한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면과 측면에 통기공(2)(3)이 천공되고, 내측벽면(1')에 걸림턱(8)이 돌설된 원통형 용기(1)의 내부로 80호채 크기의 철망에 달팽이집 형태의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수장홈(5)을 형성한 연소망(4)을 내설하고,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수장홈(5)에 조연재가 첨가된 분말 또는 과립 상의 모기향(7)을 충진한 다음 연소망(4)과 대응되게 형성된 망으로 된 뚜껑(6)을 덮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할 때는 뚜껑(6)을 덮은 상태에서 성냥불을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수장홈(5)의 내측 끝단이나 외측 끝단에 대고 점화하면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7)이 내측이 나 외측방향으로 연소되는데, 이때는 용기(1)의 통기공(2)(3)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분말 또는 과립상태의 모기향에는 조연제가 첨가되었기 때문에 분말이나 과립상태의 모기향이라도 연소가 잘된다.
한편, 분말이나 과립 상태의 모기향(7)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연소된 재는 거의 원형 그대로 있기 대문에 연소망(4)에 그대로 있고, 충격에 의하여 하측으로 빠진다하여도 원통형 용기(1)에 담기게 되므로 별도의 재받이 그릇이 필요없으며 망으로 된 뚜껑(6)이 항시 덮여있는 상태이므로 어린이들이 손을 대어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용기가 쓰러져도 화재의 위험이 없다.
특히 본원은 용기(1) 자체를 크게하고, 연소망(4) 자체를 크게하면 자연히 연소시간을 길게할 수 있어 12시간 이상을 계속 피워야하는 우사나 축사등에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실내에서 모기향 불을 끄고자 할때는 뚜껑(6)을 열고 성냥개피나 기타 다른 물건으로 불이 붙은 부분을 타지 않는 부분과 분리시키면 손쉽게 끌 수 있는 특징도 있다.

Claims (1)

  1. 저면과 측면에 통기공(2)(3)이 천공되고 내측벽면(1')에 걸림턱(8)이 돌설된 통상적인 원통형 용기(1)의 내부로 80호채 크기의 철망에 달팽이집 형태로 분말 또는 과립상태의 모기향 수성홈(5)이 형성된 연소망(4)을 내설하고, 연소망(4)과 동일한 재질이고, 연소망(4)과 대응되는 구조로 된 뚜껑(6)을 덮어분말이나 과립 상태의 모기향을 연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KR2019830003288U 1983-04-14 1983-04-14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KR840002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288U KR840002425Y1 (ko) 1983-04-14 1983-04-14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288U KR840002425Y1 (ko) 1983-04-14 1983-04-14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25Y1 true KR840002425Y1 (ko) 1984-11-24

Family

ID=1922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288U KR840002425Y1 (ko) 1983-04-14 1983-04-14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7084C2 (ru) Фумигантная спираль и состав для фумигантной спирали
AU774803B2 (en) A diffuser
KR840002425Y1 (ko)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모기향 연소기
US49599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porizing active substances
GB2276547A (en) Combustible insect repellant or insecticide devices
KR200169905Y1 (ko) 모기향 연소기
JPS6310793Y2 (ko)
JPH046758Y2 (ko)
CN208807446U (zh) 一种畜牧专用蚊香
KR200240205Y1 (ko) 휴대용 담배 재떨이
CN215775104U (zh) 一种盘式艾草艾叶蚊香燃熏装置
JPS60800Y2 (ja) 灰皿
KR200250568Y1 (ko) 모기향 연소기
KR830001557Y1 (ko)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KR910004915Y1 (ko) 모기향연소기 혼용 재털이
KR950005842Y1 (ko) 담배 연기 줄이는 재떨이
KR20140101913A (ko) 휴대용 흡연장치
JP2007070331A (ja) ネギを含有する線香
KR200166072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KR200166085Y1 (ko) 재털이
KR100306779B1 (ko) 재떨이
JPH08193022A (ja) 香 炉
KR19980022639U (ko) 모기향의 연소기
JP2001008814A (ja) うず巻線香用容器
KR790001201Y1 (ko) 안전 모기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