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557Y1 -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 Google Patents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557Y1
KR830001557Y1 KR2019820004309U KR820004309U KR830001557Y1 KR 830001557 Y1 KR830001557 Y1 KR 830001557Y1 KR 2019820004309 U KR2019820004309 U KR 2019820004309U KR 820004309 U KR820004309 U KR 820004309U KR 830001557 Y1 KR830001557 Y1 KR 830001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container
lid
ashtray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용
Original Assignee
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용 filed Critical 정찬용
Priority to KR2019820004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꽂임봉 (7) : 부빔편
(8) : 소공 (9)(9')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덮는 뚜껑에 담배재를 떠는 구멍을 천공하여서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용기 바닥 중앙에 융출된 융출부에 모기향 꽂이봉을 입설하고 코일스프링을 "X"자 형으로 융출부 상방측 용기내에 설치하여서 된 구조에 대한 것으로, 이는 "X"자 코일스프링으로 하여금 꽂이봉에 꽂아진 모기향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뚜껑을 덮어 재떨이로도 사용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 재떨이에는 모기향을 피우는 장치가 없어 모기향을 피울 때에는 접시 같은 그릇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방에 재떨이와 접시가 같이 놓이게 되어 지저분한 인상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타고 난 모기향의 재가 선풍기의 바람에 날려 위생상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 중앙부에 융출부(1)가 형성된 용기(2)에 덮는 뚜껑(3)에 담배재를 터는 중앙공(4)과 이 중앙공(4) 주위에 여러개의 작은 구멍(5)들을 천공하여서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융출부(1) 상면에 공지의 꽂이봉(6)을 돌설하고 뚜껑(3)의 작은 구멍(5) 밑으로 담배불을 부벼끄는 부빔편(7)을 부착하였으며, 용기(2)의 주벽에 4개의 소공(8)을 천공하여 코일스프링(9)(9')을 "+"자가 되게 그 교차점이 융출부(1) 상면에 얹히는 정도의 높이로 소공(8)에 끼워 설치하였으며, 뚜껑(3)의 요입부 외주면과 용기(2)의 상내주면에 각기 수개의 사면삽착부(10)(10')와 용기(2)의 일측 외주면에 걸이공(11)을 천공한 편(1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모기향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면삽착부(10)를 사면삽착부(10')에 접하도록 용기(2)에 뚜껑(3)을 덮은 다음 뚜껑(3)을 돌려 사면접착부(10)(10')가 밀착되게 하여 임의대로 뚜껑(3)이 벗겨지지 않게 용기(2)에 덮게 되며, 꽂임봉(6)에 모기향(13)을 꽂게 되면 코일스프링(9)(9')이 모기향(13)을 받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나선식으로 감긴 모기향(13)의 내단을 공지의 꽂임봉(6)에 꽂을때 그 외단부가 무게에 의하여 밑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코일스프링(9)(9')이 받쳐주게 되며 뚜껑(3)이 닫힌 용기(2)내에 모기향(13)을 피우게 되므로 선풍기의 바람을 타지 않아 타고난 재가 방안에 흐트러지지 않아 위생상 좋을 뿐만 아니라 재떨이 겸용으로 사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모기향(13)을 피우기 위하여 별도의 접시가 필요치 않게 된 장점이 있으며, 모기향(13)만 피우게 될 경우 벽에 박힌 못에 걸이공(11)을 걸어 벽에 설치 사용하게 되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용기(2)에 임의대로 벗겨지지 않게 뚜껑(3)을 덮게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융출부(1) 상면에 공지의 꽂임봉(6)과 작은구멍(5) 밑으로 부빔편(7)을 형성하고 4개의 소공(8)에 코일스프링(9)(9')을 걸어 "+"자형으로 융출부(1) 상방측에 가설하여서 된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KR2019820004309U 1982-06-02 1982-06-02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KR830001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309U KR830001557Y1 (ko) 1982-06-02 1982-06-02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309U KR830001557Y1 (ko) 1982-06-02 1982-06-02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57Y1 true KR830001557Y1 (ko) 1983-08-25

Family

ID=1922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309U KR830001557Y1 (ko) 1982-06-02 1982-06-02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5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599A1 (en) Hookah bowl
US20100083973A1 (en) Hookah bowl
JPS59501812A (ja) タ−ルを吸収しない喫煙具
EP0998207A1 (en) Portable repository for spent smoking materials
US5085230A (en) Smoker's appliance
MXPA02008441A (es) Difusor.
US4236539A (en) Smoking apparatus
KR830001557Y1 (ko) 재떨이 겸용 모기향 연소기
US5038801A (en) No-smoke ashtray
US2737956A (en) Smoker's article
US2818615A (en) Deodorizer
US4027683A (en) Disposable ashtray liner and mating bowl
US2029139A (en) Ash receptacle
US4984586A (en) Ashtray having cigarette snuffing device
CN211458844U (zh) 一种防飞灰烟灰缸
US1776563A (en) Cigarette holder
US2536302A (en) Cigarette extinguisher and retrieving device
US4534370A (en) Cigarette extinguisher and ash disposal device
JPS627097Y2 (ko)
US4569655A (en) Pocket sized portable smoke raiser
KR200169905Y1 (ko) 모기향 연소기
US2032964A (en) Ash tray
KR810002490Y1 (ko) 도자기제 재털이
US2227354A (en) Combined ash tray and cigarette extinguisher
JPS621907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