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06Y1 -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 Google Patents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06Y1
KR840002406Y1 KR2019830000939U KR830000939U KR840002406Y1 KR 840002406 Y1 KR840002406 Y1 KR 840002406Y1 KR 2019830000939 U KR2019830000939 U KR 2019830000939U KR 830000939 U KR830000939 U KR 830000939U KR 840002406 Y1 KR840002406 Y1 KR 840002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heat
cover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115U (ko
Inventor
감석문
Original Assignee
감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석문 filed Critical 감석문
Priority to KR201983000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06Y1/ko
Publication of KR840004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온수통부분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 2 : 덮개중앙부
3 : 온수통 4 : 온수통상면 요함부
4' : 온수통 저면부 5 : 온수배출관
6 : 환수관 7 : 보온재
본 고안은 구멍탄 보일러의 연소통 상부에 재치하여 덮개 겸용으로 이용되는 온수가열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써 가열온수통의 상면에 요함부를 형성하여 덮개중앙 저면과 요함부 사이에 두터운 보온재를 충진시킬 수 있게 하고, 온수통의 저수량을 극소화시켜 적은 열기에도 빨리 가열되고 온수통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하여 연탄열의 난방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온수획득율이 현저히 높게 되는 효과를 얻게 한 것이다.
종래의 온수가열기는 덮개 자체가 용량이 큰 온수통으로 되어서 덮개와 사이에 보온층이 없었기 때문에 연소통 직상부에 덮개처럼 덮어 사용하면 온수통의 저수량이 많아서 적은 열기로는 가열이 어렵고, 또 덮개상부를 통해 발산되는 열이 많아 쉽게 식기 때문에 연소통의 불문을 크게 열어야 하므로 온수통에 보다 많은 열기가 동원되어 필요이상으로 소화되기 때문에 온수는 많이 얻을 수 있으나 방이 따뜻하지 않게 되어 연탄을 많이 연소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탄연소통 덮개(1)의 중앙부 저면(2)에 착설되는 온수통(3)의 상면부에 요함부(4)를 형성시켜 요함부(4)와 덮개중앙저부 사이에 두터운 보온재(7)를 충진시키고 덮개를 통해 온수통(3)에 도달되게 통상의 온수배출관(5)과 환수관(6)을 연결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덮개(1)의 중앙부(2) 저면에 부착되는 온수통(3)의 상면이 요함부(4)로 되어서 온수통(3)의 용적이 그만큼 적어졌기 때문에 저수량이 적어지게 되고, 가열표면적은 종래와 비슷하게 되어서 연소통위에 올려놓으면 적은 열량을 받아도 온수통이 쉽게 가열되어 순환이 빠른 이점이 있고, 요함부(4)내에 보온재(7)를 진충시켰기 때문에 온수통(3)의 직상부를 열기가 발산될 수 없어 온수통(3)의 가열이 보다 쉽게 되는 이점이 있는 바, 난방에 이용되고 남은 적은 열량으로 충분히 수통이 가열되어 많은 온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연소통 덮개의 기능을 겸한 온수가열기로써의 소임을 가장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연탄연소통 덮개(1)의 중앙부(2) 저면에 착설되는 온수통(3)의 상면에 요함부(4)를 형성하고 덮개중앙 저면부와 요함부 사이에 두터운 보온재(7)를 장설케 한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KR2019830000939U 1983-01-31 1983-01-31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KR840002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939U KR840002406Y1 (ko) 1983-01-31 1983-01-31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939U KR840002406Y1 (ko) 1983-01-31 1983-01-31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115U KR840004115U (ko) 1984-08-25
KR840002406Y1 true KR840002406Y1 (ko) 1984-11-22

Family

ID=1922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939U KR840002406Y1 (ko) 1983-01-31 1983-01-31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61B1 (ko) * 2006-12-11 2008-02-27 김정미 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61B1 (ko) * 2006-12-11 2008-02-27 김정미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115U (ko) 198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406Y1 (ko)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ES2141027A1 (es) Destilador de agua con caracteristica mejorada de desconexion automatica.
JPS623051Y2 (ko)
KR910008350A (ko) 순간온수 가열장치
KR900009689Y1 (ko)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JPH0131658Y2 (ko)
KR870002588Y1 (ko) 보온 물통의 가열장치
KR860000249Y1 (ko) 온 장 고
KR810000484Y1 (ko) 구멍탄 온수 보일러
KR830009757A (ko) 보온 포트
KR850003338Y1 (ko) 온수 가열기
KR890005443Y1 (ko) 온수 보일러의 전기 가열장치
JPS623091Y2 (ko)
KR900009736Y1 (ko) 축열온수기
KR900008402Y1 (ko) 조리용 용기
JPS605865Y2 (ja) ドリップ式コ−ヒ沸し器
JPS5854013Y2 (ja) 蒸し器
KR870002348Y1 (ko) 온수 가열기
KR820002214Y1 (ko) 온수보일러의 가열장치
KR880000450Y1 (ko) 구멍탄 연소통용 온수가열기
KR860002507Y1 (ko) 온수 가열기
KR790001155Y1 (ko) 가열장치부 통조림
JPS5867222A (ja) 保温兼用湯沸器
RU2060720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ипячения воды
KR860002506Y1 (ko) 온수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85100000454;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850627

Effective date: 19850927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850627

Effective date: 198509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