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689Y1 -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689Y1
KR900009689Y1 KR2019870022436U KR870022436U KR900009689Y1 KR 900009689 Y1 KR900009689 Y1 KR 900009689Y1 KR 2019870022436 U KR2019870022436 U KR 2019870022436U KR 870022436 U KR870022436 U KR 870022436U KR 900009689 Y1 KR900009689 Y1 KR 900009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hot water
col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861U (ko
Inventor
장주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689Y1/ko
Publication of KR890013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제 1 도는 냉,온수기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냉,온수기 1 : 급수통
2 : 냉수통 3 : 차폐판
4 : 공급관 5 : 온수통
6 : 배기판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 있어서 온수통과 냉수통에 배기관을 연결하여 온수통에 급수가 잘되도록 하며 일정수위까지 물이 차면 급수가 중단되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수기에 있어서는 급수통을 냉,온수기에 얹어 놓으면 급수통의 물이 냉수통으로 급수되고 이때 급수통 내에 설치된 차폐판 위까지 물이 차게 되며 차폐판의 공급관을 통해 온수통에 물이 급수되는데 이때 온수통에는 공기가 차 있는 상태라 공기가 유동되지 못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온수통에 급수를 하기 위해서는 온수꼭지를 눌러 온수꼭지로 온수통내에 공기를 빼내면서 온수통에 물을 공급하였고 또한 온수꼭지로 물이 나오는 것을 보고 온수통에 급수가 완료된 것을 알았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온수꼭지를 눌러 온수통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물을 받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가 온수꼭지를 누르지 않고 전원을 작동시키면 온수통에 물이 없는 상태라 히터가 파손되거나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수통과 온수통에 배기관을 연결하여 급수시 온수통내의 공기를 배기관을 통해 냉수통으로 배기시키는 동시에 냉수통의 물을 차폐판의 공급관을 통해 계속 온수통으로 급수시키며 온수통에 연결한 배기관까지 물이 차게되는데 이때는 냉수통에 물이 급수통의 주둥이에 맞닿는 높이까지 배기관에 차게 되어 자연히 급수가 중단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2 도에서와 같이 급수통(1)의 물이 냉수통(2)에 급수되고 이에의해 냉수통(2)에 설치된 차폐판(3)위로 물이 차면 차폐판(3)의 공급관(4)을 통해 온수통(5)에 물이 급수되는 냉,온수기(가)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2)의 상측부와 온수통(5) 상측부에 배기관(6)을 연결하여 온수통(5)의 공기가 배기관(6)을 통해 냉수통(2)으로 배기되면서 자연히 냉수통(2)의 물이 온수통(5)으로 급수되도록 하되 냉수통(2)의 주둥이에 맞닿는 높이와 같은 높이까지 온수통(5) 상측부에 연결된 배기관(6)에 물이 차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없어 물의 급수는 중단되는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7)은 뚜껑, (8)은 가열기, (9)는 온수관, (10)은 온수꼭지, (11)은 증발관, (12)는 냉수관, (13)은 냉수꼭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온수기 본체(1)에 뚜껑(7)을 덮고 급수통(1)을 얹어 놓으면 급수통(1)의 물은 냉수통(2)에 급수되고 냉수통(2)내에 설치한 차폐판(3) 위까지 물이 차게 되면 차폐판(3)의 공급관(4)을 통해 물이 온수통(5)으로 급수되는데 이때 온수통(5) 상측에 연결된 배기관(6)의 일단이 냉수통(2)의 최고수위 즉, 급수통(1)의 주둥이와 냉수통(2) 수위가 맞닿은 지점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통(5)에 차있던 공기는 배기관(6)을 통해 냉수통(2)으로 배기되는 동시에 냉수통(2)의 물은 계속 온수통(5)으로 급수된다.
계속 급수된 물의 수위는 급수통(1)의 주둥이와 맞닿은 높이와 같은 선상까지 배기관(6)에 올라오게 된다.
즉, 물의 수위가 동일할때 온수통(5)의 공기가 차단상태로 자연히 물의 급수는 중단되어 온수통(5)에 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온수통(5)의 물은 가열기(8)에 의해 온수가 되어 온수관(9)을 통해 온수꼭지(10)로 추출되고 냉수통(2)의 물은 압축된 냉매가 증발관(11)에서 증발하면서 냉수통(2)의 열을 흡수하여 냉수가 되어 냉수관(12)을 통해 냉수꼭지(13)로 추출이 되는 것이다.
한편, 냉수꼭지(13)와 온수꼭지(10)를 통해 냉수통(2) 및 온수통(5)의 물이 밖으로 유출됨과 동시에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빠져나간 물의 양이 제차 채워져 자연히 급수통(1)의 주둥이와 냉수통(2)의 물이 맞닿아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자연히 유출된 양의 물만큼 급수통(1)에서 물이 급수되어 냉수통(2) 및 온수통(5)은 항상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냉수통과 온수통에 배기관을 연결하여 온수통에 급수를 원활하게 하며 적정량의 물이 차면 급수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온수통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냉수통(2)내에 설치된 차폐판(3)의 공급관(4)을 통해서 온수통(5)에 물이 급수되는 냉,온수기(가)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2)의 최고 액면수위 상측에 배기관(6)의 일단을 연결하고 그의 하단은 온수통(5)의 상부에 연결하여 급수시 온수통(5)내의 공기를 배기관(6)을 통해 냉수통(2)으로 배기시키되 온수통(5)에 연결된 배기관(6)까지 물이 차면 자동적으로 급수가 중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KR2019870022436U 1987-12-19 1987-12-19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KR900009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436U KR900009689Y1 (ko) 1987-12-19 1987-12-19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436U KR900009689Y1 (ko) 1987-12-19 1987-12-19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861U KR890013861U (ko) 1989-08-09
KR900009689Y1 true KR900009689Y1 (ko) 1990-10-19

Family

ID=1927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436U KR900009689Y1 (ko) 1987-12-19 1987-12-19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6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861U (ko) 198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87939A (en) Beverage-making device
ES8205458A1 (es) Una disposicion de condensacion de refrigerante para calen- tar agua
FI872575A0 (fi) Kahvin- tai teenkeitin
KR900009689Y1 (ko) 냉,온수기의 온수통 급수장치
FR2572642B1 (fr) Dispositif de securite contre le debordement pour les appareils electro-menagers a circulation de liquide
US5535774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supplying water for use in catering equipment
DE59705762D1 (de) Gargerät mit einer Sicherungsvorrichtung für die Wasserversorgung
KR840002406Y1 (ko) 연소통 덮개겸용 온수가열기
JPH0434880Y2 (ko)
CA1096809A (en) Kettle distilling unit
JPS5792658A (en) Water heater that utilizes solar heat
KR940002428Y1 (ko) 냉온수기의 필터캡
JPS57196086A (en) Heat recovering device from remaining hot water of bath having hot water reservoir
JPH0131658Y2 (ko)
KR900009693Y1 (ko) 태양열 온수기의 배관 배수장치
JPS6038429Y2 (ja) コ−ヒ−液抽出装置
JPH0113961Y2 (ko)
JPH0740939Y2 (ja) 貯湯式温水器
KR800002257Y1 (ko) 온수 보일러의 온수순환 촉진장치
JPH0247399Y2 (ko)
KR980006788U (ko)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JPS6311565Y2 (ko)
JPS57184851A (en) Controlling device of amount of hot water of bathtub
KR890002516Y1 (ko) 히터용 가습기
JPH024809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