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68B1 -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 Google Patents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68B1
KR840002168B1 KR1019810000133A KR810000133A KR840002168B1 KR 840002168 B1 KR840002168 B1 KR 840002168B1 KR 1019810000133 A KR1019810000133 A KR 1019810000133A KR 810000133 A KR810000133 A KR 810000133A KR 840002168 B1 KR840002168 B1 KR 84000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re
printed circuit
reinforcement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929A (ko
Inventor
피. 블록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엘코아 라미네이팅 컴패니 오브 어메리카
린우드 에이. 채프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코아 라미네이팅 컴패니 오브 어메리카, 린우드 에이. 채프맨 filed Critical 엘코아 라미네이팅 컴패니 오브 어메리카
Priority to KR101981000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68B1/ko
Publication of KR83000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47Drilling of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14Back-up or entry material, e.g. for mechanical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2-2)을 절취한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3-3)을 절취한 횡단면도.
제4도는 공작물의 드릴링에서 보강재의 이용을 설명하는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본 발명은 프린트 회로기판의 드릴링 작업에 이용할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도선부품을 통과하게 하고 또 기판을 적소에 부착하는데 필요한 구멍을 뚫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드릴링작업에서, 드릴이 동피복면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멍의 원주에 버어(burr)가 발생하는 문제에 부닥치게 된다. 그러한 버어는 구멍을 도금하는 중에 혼입물 또는 공기로 인해 댐(dam) 같은 상태를 형성하는 면으로 보아 좋지 않은 것으로서, 그 결과 도금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적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버어는 별도로 연마하여 제거하거나 적합한 보강재를 사용하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야 하는데, 후자의 적합한 보강재를 사용하는 편이 더 저렴하고 연마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회로기판의 드릴링용으로 특히 적합한 보강판은 본인의 1972년 10월 24일자 특허 제 3,700,341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보강판은 금속 박판, 적합하게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외부층을 입힌 가압목재를 코어로 사용하고 있다. 본인의 상기 종래기술의 보강판이 버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 드릴을 냉각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는 보다 개량된 점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는 상부및 하부박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는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드릴링중에 공기가 코어를 통해 흐르도록 하며 드릴과 프린트회로기판이 쉽게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드릴팁이 상부박판을 관통하여 하부박판 사이의 공간부에서 작용함에 따라 공작물을 드릴링 한후의 드릴은 더욱 쉽게 냉각된다. 아울러 드릴링 기계에는 진공방식을 도입하여 공작물 주위로부터 파편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코어는 파편을 제거하고, 부수적으로 프린트 회로기판과 드릴을 냉각시키는데 적합한 진공방식을 사용하는데 최적인 조건을 제공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공작물과 드릴의 냉각 및 파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외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앞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간단히 설명하여 보강재는 구리, 마그네슘 또는 강, 적합하게는 알루미늄인 한쌍의 마주보는 금속박판과, 금속박판 사이에 삽입되며 마주보는 결절부를 갖는 코어부재로 구성되는데, 코어부재의 양면은 각각 금속박판의 양면을 대한다. 결절부는 금속박판의 단부사이에서 대체로 평행선을 유지하며 연장되는 것이 적합하며 그 형태는 사인곡선에 근사한 파형이다. 드릴링함에 있어서, 회로기판은 그 하부면이 보강재의 상부박판에 접촉시킨 상태로 보강재 위에 올려놓고 실시한다. 드릴이 공작물을 관통한 후, 드릴은 보강재의 상부박판을 관통하고 공간부로 들어가는데, 상기 공간부를 지나서는 더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코어내로는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파편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고 아울러 드릴 및 공작물의 냉각을 돕는다.
제1도 내지 3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강재는 상부 금속박판(11)과 하부금속박판(12) 및 그 사이에 삽입된 파형의 코어부재(14)를 포함한다. 코어부재(14)는 박판(11) 및 (12)의 내면에 각각 기대어 마주보는 결절부(14a,14b)를 갖는다. 결절부(14a,14b)는 적합한 접착제(13)를 사용하여 박판(11) 및 (12)의 양단부에 접착하는데, 이러한 결절부(14a,14b)의 정점은 박판(11) 및 (12)에 접촉된 상태로 거의 평행선을 유지한다. 박판(11) 및 (12)와 코어(14)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상기 적합한 재질로서의 알루미늄 박판은 3003-H19타입을 이용하고 각 부품의 두께를 0.0127cm로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타입의 알루미늄은 규소 6%, 철 7%, 구리 0.05내지 0.20%, 망간 1.0내지 1.5%, 아연 0.10% 및 나머지는 순수한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두께가 0.0127cm인 상기 타입의 알루미늄을 사용함에 있어서, 두개의 박판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전형적으로 약 0.1346cm하여 보강재의 총두께를 0.160cm로 한다. 보강재의 총두께를 0.2362cm로 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박판 및 코어의 두께를 0.0178cm하고, 보강재의 총두께를 0.3175cm로 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박판 및 코어의 두께를 0.0229cm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보강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공작물(20)은 양면에 구리층(20b,20c)이 피복된 에폭시 유리질 기판(20a)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프린트 회로기판으로서, 사용시에는 보강재(15) 위에 놓는다. 화살표(21)로 표시한 공기공급원은 파형의 코어부재(14)의 영역에 형성되는데, 기류는 드릴구멍(22)을 통하여 공기배출구(23)로 빠져나간다. 공기는 송풍기 또는 적합한 진공방식으로 공급하는데 후자의 진공방식이 대표적인 드릴링 기계에서 사용된다. 드릴(25)은 드릴비트(29)가 코어부재(14)의 영역을 넘어서까지 관통하지 않도록, 즉 보강재의 하부박판(12)을 관통하지 않도록 작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강재는 두번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데, 즉 사용하지 않은 면을 드릴을 향하여 뒤집어서 새로운 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드릴링 작업중에 공기는 공작물을 관통했을때의 드릴비트의 플루우트(flute)를 따라 흐르고, 이에 따라 드릴의 팁이 냉각된다. 드릴링 작업이 끝나면 공기는 코어부재를 통하여 순환되며 드릴비트와 공작물은 더욱 냉각된다. 드릴비트가 후퇴한 직후에는 공기는 드릴구멍(22)을 통하여 흐르면서 잔류하는 어떠한 파면도 깨끗이 제거된다.
제4도에 도시된 장치는 압축대(28)를 포함하는데, 압축대(28)는 드릴링 직전에 하향이동하여 공작물(20)에 접촉한다. 이에 대한 효과로서 드릴이 공작물에 초기 접촉했을 때 공작물은 유동이 생기지 않는다. 드릴이 예정된 최대깊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같이 드릴의 하향운동은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상향운동한다. 하향 및 상향 운동 사이에서의 "정지"위치는 종래의 드릴링 기술에서 드릴이 보통 최고 온도에 도달 했을 때이다. 드릴이 완전히 전진하면 공기배출구(23)에서 진공이 발생하여 공작물 위로부터 파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공기공급은 보강재의 코어내에서 발생하는데, 냉각처리 및 파편제거에 도움이 되며, 특히 파편제거에 있어서는 드릴구멍의 하단 및 내에 있는 파편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사용하면 공작물 및 드릴이 쉽게 냉각될 뿐만 아니라 파편 및 그밖의 부스러기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알루미늄박판의 제1및 제2로울(33,34)은 회전식으로 지지되며 핀치로울러(36)에 의해 풀려진다. 알루미늄 박판(11,12)은 핀치로울러(36)에 도달하기 전에 로울러(38,39)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표면이 접착제(13)로 피복된다. 적합한 접착제로는 에폭시와 경화제 50대 50의 비울의 합성물인 에폭시수지 접착성 물질이다. 알루미늄 박판(11,12)이 핀치 로울러(36)를 통과함과 동시에 파형의 코어부재(14)가 그 사이에 삽입된다. 코어부재(14)의 파형부는 적합한 한쌍의 성형로울러로써 평평한 박판으로부터 제조하는데, 파형부는 전형적으로 결절부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접착제(13)를 0.0051cm의 층으로 피복하여 알루미늄 박판의 양면에 접착한다. 최종제품은 코어부재(14)가 핀치 로울러(36)를 통과하면서 삽입된 후, 결합부품을 52내지 288℃, 적합하게는 116℃의 온도로 가열하고 공작판 또는 코울(Caul)판 사이에 놓은 다음 1.8내지 22.8kg/cm2, 적합하게는 3.5kg/cm2의 압력으로 프레스하면 얻어진다.

Claims (1)

  1. 드릴링 작업동안 프린트 희로기판과 드릴의 냉각 및 파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금속박판(11,12)과, 상기 박판(11,12)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거의 평행선을 유지하면서 마주보는 결절부(14a,14b)를 가지며 상기박판(11,12) 사이에 삽입된 파형의 코어부재(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KR1019810000133A 1981-01-19 1981-01-19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KR84000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133A KR840002168B1 (ko) 1981-01-19 1981-01-19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133A KR840002168B1 (ko) 1981-01-19 1981-01-19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929A KR830004929A (ko) 1983-07-20
KR840002168B1 true KR840002168B1 (ko) 1984-11-26

Family

ID=1921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133A KR840002168B1 (ko) 1981-01-19 1981-01-19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929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549A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US4311419A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EP1174006B1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US4019826A (en)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US5716168A (en) Method of drilling holes in printed circuit boards with backup board material
US4853273A (en) Drill 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0278661B (zh) 多层覆铜板的制备方法
KR840002168B1 (ko)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보강재
CN109108318A (zh) 一种提高钻孔精度的钻孔方法
EP0050693B1 (en) Backup material for use in drilling printed circuit boards
EP0050694B1 (en) Entry material and method for drilling circuit boards
CN109246927A (zh) 成品pcb的v割方法
CN216905507U (zh) 一种超薄线路板导胶压合工具
KR20240043454A (ko) 절단공정에 사용되는 백업보드 및 백업보드 제조장치
CN113286437B (zh) 一种加工软硬结合板的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KR840002167B1 (ko) 프린트 회로기판 드릴링용 인입박판
JPH0434993A (ja) 可撓部を有する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S60261684A (ja) 金属ベ−ス積層板の加工方法
KR20220066442A (ko) 절단공정에 사용되는 백업보드 및 백업보드의 제조장치
JPH0441113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ドリルの形状
JPS61192408A (ja) 多層板の基準孔明け方法
JPS62102908A (ja) 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CN117156724A (zh) 一种pcb制作方法及pcb
WO1982003193A1 (en) Backup material for drilling
NO155834B (no) Innstyringsmateriale for bruk ved boring av trykte kretsk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