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23B1 -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23B1
KR840002123B1 KR7902204A KR790002204A KR840002123B1 KR 840002123 B1 KR840002123 B1 KR 840002123B1 KR 7902204 A KR7902204 A KR 7902204A KR 790002204 A KR790002204 A KR 790002204A KR 840002123 B1 KR840002123 B1 KR 84000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henyl
active substance
formula
pyrid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218A (ko
Inventor
렘플러 헤르만
슈르테르 롤프
뵈너 베아트
Original Assignee
아르놀드 사이러, 에른스트 알데르
시바-가이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놀드 사이러, 에른스트 알데르, 시바-가이기 에이지 filed Critical 아르놀드 사이러, 에른스트 알데르
Publication of KR83000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07D213/6432-Phenoxypyridin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치환페녹시-프로피온산 유도체는 제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R. Wegler, 식물보호제 및 보충박멸제 조성물에 대한 화학, Springer-Verlag, Heidelberg, 뉴욕, 1970, 제 2권, 278페이지와 또한 독일 특허공보 제2,223,894호 및 제2,613,697호와 벨기에왕국 특허출원 제855,094호 등의 최근특허출원 참조).
그러나 상기 공지된 화합물을 소량사용하는 경우 특히 이러한 화합물에 대한 제초적 효능은 만족스런 결과를 주지 못했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은 종종 재배식물만을 보호하는 보호제로서 바람직하게 선택되지 못했다. 공지된 프로피온산 유도체류의 상기와 같은 결정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분자의 에스테르부위에 적당한 작용기를 결합시키는 시도가 이미 이루어져 오고 있었다. 상기 시도중의 하나로 치환-페녹시-프로피온산 유도체 분자의 에스테르부위에 알콕시카르보닐(COO알킬)이나 또는 카르복실기(COOH)를 첨가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독일특허공보 제2,628,384호 참조).
본 발명은 제초 및 식물성장제절성을 갖는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류, 이들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활성물질로서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들 에스테르류나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과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식(I)의 활성물질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에스테르작용기를 첨가함으로써 에스테르부위가 치환된 종래의 공지된 화합물보다 훨씬 우수한 작용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활성물질은 수많은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효력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은 중요한 재배식물, 이를테면 밀, 콩, 면화 및 사탕무우에 선택적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활성물질은 0-[4-5'-할로겐오피리딜-2'-옥시)-페닐]락토산에스테르로서 하기식(I)의 구조를 갖고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Hal"은 할로겐원자이고,
X는 수소 또는 염소원자이며,
Y는 산소 또는 황원자이고,
Z는 메틸 시아노, 메틸카르보닐 또는 에톡시카르보닐기에 의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알킬렌기이며,
Q는 OH, C1-C2알콕시, NH2또는 NH2C2H5이다.
상기식(I)의 화합물은 공지된 화학합성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를테면, 하기 반응방식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제조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대응하는 치환체가 있는 4-(5'-할로겐오피리딘-2'-옥시)-페놀을 산결합제와 같은 염기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불활성용매의 존재하에서 2-할로겐오프로피온산의 적합한 유도체와 반응시킨다. 상기식에서 "Hal"은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불소이고, X, Y 및 Z는 상기식(I)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적당하게 치환된 2,5-디할로겐오피리딘류와 히드로퀴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반응시켜 상기 4-(5'-할로겐오피리딜-2'-옥시)-페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할로겐오프로피온산 유도체는 히드록시 카로복실산이나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유도체를 2-할로겐오프로피온산 할라이드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반응시켜 얻을수 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본 발명의 상기식(I)의 화합물은 종래의 기술(이를테면, 독일특허공보 제2,546,251호 또는 제2,732,846호 참조)에서 공지된 0-[4-(5'-할로겐오피리딜-2'-옥시 )-페닐]-락트산이나 티올산을 산결합제와 같은 염기존재하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할로겐오 카르복실산류의 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구조식 Hal-Z -C O-Q에 상응하는 에스테르의 보기로는 클로로아세트산, 브로모아세트산, α-보로모프로피온산, α-브로모부티르산, β-클로르 또는-브로모프로피온산, β-브로모부티르산, γ-브로모부티르산의 에스테르류, 티오에스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식에서 "Hal"은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불소이며, Q 및 Z는 상기식(I)에서의 정의와 같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 공정을 변형한 이 방법은 0-[4-(5'-할로겐오피리딜-2'-옥시 )-페닐]-락트산의 산할라이드를 공지된 방법으로 히드록시-또는 메르캅토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와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산의 보기로는 락트산, 글리콜산, β-히드록시프로피온산, β- 또는 γ-히드록시부티르산 및 또는 대응하는 티올산,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들은 반응물질에 불활성인 용매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용매로서는 아주 광범위한 여러가지 부류의 물질이 속하는 물질류, 즉 지방족 및 방향족, 임의적으로 연소처리된 탄화수소류(이를테면 염화에틸렌) 등과 또한 에스테르류, 케톤류, 아미드류, 안정한 에스테르류 등과 같은 극성유기용매(이를테면 메틸에틸케톤, 디메톡시에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이 있다.
할로겐화합물과의 반응에 있어서, 염기성산 수용체로서는 KOH 및 NaOH와 같은 알칼리 금속수산화물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염기성물질류, 이를테면 탄산염류(K2CO3, NaHCO3), 알콕시드류(NaOCH3와 포타슘 3차 부틸레이트)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반응방식(b)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유리프로피온티올산(Y=S)과 또한 이에 상응하는 프로피온산할라이드를 염기성산 수용체 존재하에 황화수소, Na2S 또는 NaHS와 반응시키는 것이 본 특허출원의 주내용이다. 이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질을 결정화시키면 융점이 85-87℃이고, 굴절률 nD 21=1.5787인 유상의α-[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온디올산이 얻어진다.
하기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식(I)의 활성물질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할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상기식(I)의 구조를 갖는 최종물질에 대해서도 하기 표에 명시하였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8
130ml의 톨루엔에 용해된 17.3g(0.05몰)의 0-[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 )-페닐] 락트산클로라이드에 5.8g(0.055몰)의 티오글리콜산 메틸에스테트 및 5.5g(0.055몰)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다. 발열반응이 중지된 다음,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상기 반응을 냉각시킨 후, 염을 여과하고, 증발에 의해 여액을 농축시켜 클로로포름에서 실리카겔칼럼을 통하여 다시 여과한다.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면, 굴절률(nD 25)이 1.5580인 유상의 본 표제의 생성물이 13.5g(이론치의 64.8%) 산출된다. 에테르/석유에테르에서 재결정화하는 경우 이 생성물의 융점은 65℃가 된다.
출발물질로 필요로 하는 산클로라이드(산염화물)는 하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26.8g(0.082몰)의 0-[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닐]-락트산에 30ml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가스의 발생이 중지된 후, 혼합물을 50℃로 가열한다. 2시간후, 반응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킨다. 100ml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증발에 의해 다시 농축시킨다. 결정화를 천천히 행하면 암갈색오일의 0-[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닐]-락트산클로라이드가 25.9g(이론치의 86.7%)산출된다(융점 : 45℃).
[실시예 2]
Figure kpo00009
50ml의 메틸에틸케톤에 12.0g(0.035몰)의 0-[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닐]-티오락트산을 용해하고, 여기에 5.5g(0.04몰)의 탄산칼륨을 실온에서 다시 첨가한다. 가스가 발생할 때 온도를 32℃로 상승시킨다. 10분의 경과한 후, 4.25ml(0.038몰)의 2-브로모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를 첨가한다. 이때, 이 반응은 발열반응이기 때문에 온도는 45℃로 상승한다. 10분 후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증발에 의해 농축시킨 후 55℃의 진공하에서 건조시키면, 굴절률(nD 22)이 1.5779인 본 표제의 순수한 생성물이 13.8g(이론치의 91.4%) 산출된다.
출발물질로서 요구되는 프로피온티올산은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17.2g(0.0496몰)의 0-[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닐] 락트산클로라이드를 4.9ml의 물에 용해된 8.9g의 KOH와 75ml의 디메톡시에탄의 혼합물에 적가하면서 이를 격렬하게 교반하면 10-15℃에서 H2S에 의해 포화된다. 적가가 진행되는 동안 얼음배스를 사용하여 온도를 10℃로 유지시킨다.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30분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키고 이것을 150ml의 얼음물에 붓는다.
탁갈색용액의 pH를 진한염산을 사용하여 1로 조정하면, 갈색유상의 침전물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염화메틸렌으로 처리시킨다. 유기상을 직접 작은 실리카겔칼럼에 주입하고 염화에틸렌으로 세척한다. 다음, 담황색용액을 증발농축시키면 선명한 오렌지색상의 오일이 산출된다. 산출물을 석유에테르로 결정화하여, 융점이 85-87℃인 황색 결정상인 α-[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온티올산 16.8g을 얻는다.
[실시예 3]
Figure kpo00010
50ml의 메틸에틸케톤에 12.8g(0.05몰)의 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 페놀 및 8.3g (0.06몰)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1시간동안 비점에서 가열한다. 다음에 50℃에서 13.2g (0.052몰)의 0-(2'-브로모프로피오닐)-락트산에틸에스테르를 첨가하고, 반응혼합물을 55℃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에 갈색의 현탁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회전증발기에서 농축시킨다. 형성된 갈색오일을 작은 실리카겔칼럼을 통해 석유에테르로 크로마토그래피화하여, 굴절률(nD 22)이 1.5424인 본 표제의 생성물 10.9g(이론치의 52.7%)을 산출시킨다.
중간생성물로 사용되는 하기구조식을 갖는 0-(2'-브로모프로피오닐)-락트산에틸에스테르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Figure kpo00011
10-15℃에서 250ml의 톨루엔에 용해된 110g(0.51몰)의 2-브로모프로피온산브로마이드의 용액에 60.2g(0.51몰)의 락트산에틸에스테르 및 51.5g(0.51몰)의 트리에틸아민의 혼합물을 적가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생성된 백색현탁액을 15분후에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농축시킨다. 잔사를 진공에서 증류하여 78℃/0.6mm에서 투명한 유상의 에스테르 93.6g(이론치의 72.5%)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하여 제조되는 에스테르류가 하기표에 명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식(I)을 갖는 신규의 활성물질은 통상의 유기용매류, 예를들면 알코올류, 에테르류, 케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등에 가용성인 안정한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초작용 및 식물성장조설작용을 가지며, 상기식(I)을 갖는 활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잡초에 대하여 선출아(先出芽) 및 후출아시키는 방법 및 단자업식물강 식물과 쌍자엽식물강식물, 특히 목초류, 곡초류 및 콩식물류와 담배식물류의 측가지 등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식(I)의 활성물질에 적망한 담체류를, 경우에 따라서는 활성물질류에 불활성인 분산제나 또는 용매류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 및 분쇄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된다. 활성물질은 하기형태로 얻어서 사용된다.
고체상제형 : 분진, 분산제, 과립(제피:裝被)과립, 함침과립 및 균질과립)
물분산성활성물질농축물 : 습윤성분말, 호제(湖劑) 및 유화제
액체상제형 : 용액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중 활성물질의 농도는 1에서 80중량%이고, 사용시에는 활성물질을 저농도로, 예를들면 약 0.05에서 1중량%로서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기타 살균력을 지니는 물질류나 또는 조성물류를 첨가시킬 수가 있다. 이들의 작용영역을 넓히기 위해서 상술한 상기식(I)의 화합물류 이외에도 예를들면, 살충제, 진균제, 살균제, 제균제(制菌劑), 정균제(停菌劑), 선층박멸제나 또는 제초제류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고체상 및 액체상제형의 보기를 몇가지 하기에 서술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습윤성분말]
하기성분들을 사용하여 a) 50% 습윤성분말, b) 25% 습윤성분말 및 c) 10% 습윤성분말을 제제한다.
a) 50부의 활성물질,
5부의 소디움디부틸-나프틸설포네이트
3부의 나프탈렌설폰산/페놀설폰산/포름알데히드농축물(3:2:1)
20부의 카올린,
22부의 삼페인 쵸오크
b) 25부의 활성물질,
5부의 올레일메틸타우리드(tauride)의 나트륨염,
2.5부의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 농축물,
0.5부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5부의 중성포타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62부의 카올린
c) 10부의 활성물질,
3부의 포화지방알코올류와 나트륨염류의 혼합물,
5부의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농축물,
82부의 카올린
서술한 활성물질을 적당한 담체(카올린과 쵸코)에 흡수시킨 다음, 이 물질을 나머지 성분류와 함께 혼합시킨후 분쇄한다. 이렇게 하여 우수한 습윤성 및 현탁성을 지니는 습윤성분말이 산출된다. 이러한 종류의 습윤성분말을 물에 희석시킴으로서 재배식물류의 농작물중 잡초를 제거하는데 적합한 활성물질 농도를 지니는 현탁제를 얻을 수 있다.
[페이스트]
하기물질들을 사용하여 45% 페이스트를 제제한다.
45부의 상기식(I)을 갖는 활성물질,
5부의 소디움알루미늄 실리케이트,
14부의 산화에틸렌 8몰을 함유하는 세틸폴리글리콜에테르,
1부의 산화에틸렌 5몰을 함유하는 올레일폴리글리콜에테르,
2부의 스핀들유,
10부의 폴리에틸렌글리콜,
23부의 몰
활성물질을 용도에 적합한 장치내에서 첨가제와 충분히 혼합 분쇄하여 페이스트를 얻은 다음 이 페이스트를 물에 희석시킴으로서 원하는 농도를 갖는 현탁제를 제조할 수 있다.
[유탁농축액]
하기성분들을 함께 혼합하여 25%의 유탁농축액으로 제제할 수 있다.
25부의 상기식(I)을 갖는 활성물질,
5부의 노닐페놀폴리옥시에틸렌과 칼슘도데실벤젠설페이트 혼합물,
15부의 시클로헥산,
55부의 크실렌
이 농축액을 물과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를 갖는, 이를테면 0.1에서 10%의 유탁액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탁액은 재배식물의 농작물중의 잡초를 제거하는데에 적합하다.
활성물질로서 상기식(I)의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이상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재배식물류, 이를테면 콩, 면화, 사탕무우, 밀 및 여러가지 곡초류의 농작물에 대하여 선출아처리 및 특히후출아처리에 이용함으로서, 야생의 단자엽식물강목초류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하기 테스트로 상기식(I)을 갖는 활성물질이 제초제(선출아 및 후출아)로서의 적합성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공지의 활성물질보다 우수하다는 우월성을 입증할 수 있다.
[선출아제초작용(발아억제)]
온실내에서 종자분(盆) 안에 테스트식물을 파종한 직후, 25% 유탁농축액과 용해성이 부적합하여 유탁농축액으로 제제할 수 없는 활성물질로 구성되는 25%의 습윤성 분말로 제제되는 활성물질의 분산수용액으로 토양의 표면을 처리한다. 헥타아르당 4,2,1 및 0.5kg의 활성물질에 상당하는 서로 농도가 다른 일련의 4개의 종자분을 22-25℃의 온도 및 50-70% 상대습도로 유지되는 온실내에 방치한다. 3주후에 테스트결과를 측정하여 하기 평가등급에 따라서 결과치를 측정한다.
1=발아하지 않은 식물이거나 또는 아주 죽음
2-3=극히 강한작용
4-6=보통의 작용
7-8=약한작용
c=작용무(처리하지 않은 대조식물과 같음).
본 테스트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0-(피리딜옥시-페녹시)-락토산에스테르는 독일특허공보 제2,628,384호의 실시예 3에 공지된 0-[4-(2',4'-디클로로페녹시)-페닐]-티오-락트산(메텍시카르보닐메틸) 에스테르(하기식 A)와 독일특허공보 제2,628,384호의 실시예 23에 공지된 0-[4-(2',4'-디클로로페녹시)-페닐]-락트산(에톡시카르보닐에틸)에스테르(하기식B)의 화합물과 비교된다.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테스트한 식물은 보리, 면화, Avenafatua, Allopecurus myo-Suroides, Rottboellia exaltata 및 Digitaria Samguinalis이며 결과치는 하기표에 요약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후발아제초작용(접촉성제초제)]
상당히 많은(7개 이상) 잡초와 2개의 단자엽강식물 및 쌍자엽강식물 재배식물에 대하여 출아후(4-6개 잎이 돋아났을 때), 활성물질의 1,1/2,1/4 및 1/8 kg/ha 양을 활성물질 분산수용액으로 제제하여 살포한 다음, 이를 24-26℃ 온도와 45-60% 상대습도로 유지시킨다. 처리후 15일이 결과한 후, 선출아 테스트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평가등급에 따라서 결과치들을 측정한다.
테스트한 식물은 밀, 콩, 사탕무우, Avenafatua, Lodium perenne, Allopecurus myosuroides 및 Setariaitalico이며, 결과치들이 하기표에 요약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Claims (1)

  1. 하기식 (Ⅱ)의 4-(5-할로겐오피리딜-2-옥시 )페놀을 하기식 (Ⅲ)의 α-할로겐오프로피온산에스테르와 산수용체로서 동량의 염기가 존재하는 불활성 유기용매, 0℃ 내지 반응성혼합물의 끓는점의 온도 및 정상압력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식(I)의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Hal은 할로겐원자이며,
    X는 수소 또는 염소원자이며,
    Y는 산소 또는 황원자이며,
    Z는 메틸, 시아노, 메틸카르보닐 또는 에톡시카르보닐에 의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2-알킬렌기이며,
    Q는 OH, C1-C2-알콕시, NH2또는 NHC2H5이다.
KR7902204A 1978-07-03 1979-07-03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840002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242 1978-07-03
CH724278 1978-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18A KR830001218A (ko) 1983-04-29
KR840002123B1 true KR840002123B1 (ko) 1984-11-19

Family

ID=432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204A KR840002123B1 (ko) 1978-07-03 1979-07-03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0008624B1 (ko)
JP (1) JPS559093A (ko)
KR (1) KR840002123B1 (ko)
AR (1) AR225613A1 (ko)
AT (1) ATE721T1 (ko)
AU (1) AU535738B2 (ko)
BR (1) BR7904168A (ko)
CA (1) CA1114382A (ko)
CS (1) CS204960B2 (ko)
DD (1) DD151037A5 (ko)
DE (1) DE2962189D1 (ko)
ES (1) ES482110A1 (ko)
HU (1) HU182939B (ko)
IL (1) IL57709A (ko)
MX (1) MX5681E (ko)
NZ (1) NZ190896A (ko)
PH (1) PH15718A (ko)
TR (1) TR20632A (ko)
ZA (1) ZA793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4845A1 (de) * 1980-09-16 1982-05-06 Hoechst Ag, 6000 Frankfurt Erhoehung der kohlehydrat-einlagerung in pflanzen mittels substituierten phenoxyalkansaeurederivaten
US4505743A (en) * 1981-12-31 1985-03-19 Ciba-Geigy Corporation α-[4-(3-Fluoro-5'-halopyridyl-2'-oxy)-phenoxy]-propionic acid derivatives having herbicidal activity
US4518416A (en) * 1982-06-04 1985-05-21 Bayer Aktiengesellschaft Certain trimethyl silyl-lower-alkyl esters of pyridyloxy-phenoxy-lower alkanoic acid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herbicidal method of use
DE3678485D1 (de) * 1985-04-01 1991-05-08 Ciba Geigy Ag 3-fluorpyridyl-2-oxy-phenoxy-derivate mit herbizider wirkung.
JPS61249954A (ja) * 1985-04-26 1986-11-07 Aguro Kanesho Kk プロピオン酸誘導体
JPS62273954A (ja) * 1986-05-21 1987-11-28 Aguro Kanesho Kk ヒドロキシ酢酸アミド誘導体
KR940005924B1 (ko) 1989-01-12 1994-06-24 가네보가부시끼가이샤 복합 필라멘트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용 방사노즐
WO1991004969A1 (de) * 1989-10-05 1991-04-18 Hoechst Aktiengesellschaft Herbizide hetrocyclisch substituierte phenoxyalkancarbonsäure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836978B2 (ja) * 1990-01-18 1998-12-14 鐘紡 株式会社 複合弾性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4074C (da) * 1974-10-17 1989-02-27 Ishihara Sangyo Kaisha Alfa-(4-(5 eller 3,5 substitueret pyridyl-2-oxy)-phenoxy)-alkan-carboxylsyrer eller derivater deraf til anvendelse som herbicider, herbicidt middel samt fremgangsmaader til bekaempelse af ukrudt
CH620339A5 (ko) * 1976-03-05 1980-11-28 Ciba Geigy Ag
JPS52131540A (en) * 1976-04-14 1977-11-04 Ishihara Sangyo Kaisha Ltd Phenoxyvaleric acid derivatives and herbicides therefrom
DE2628384C2 (de) * 1976-06-24 1984-09-27 Hoechst Ag, 6230 Frankfurt 2-(4-Phenoxyphenoxy)- bzw. 2-(4-Benzylphenoxy)-propi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Pflanzenbehandlungsmittel
US4133675A (en) * 1976-07-23 1979-01-09 Ciba-Geigy Corporation Pyridyloxy-phenoxy-alka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which are effective as herbicides and as agents regulating plant growth
TR19824A (tr) * 1977-07-21 1980-01-24 Ishihara Sangyo Kaisha Trilorometilpiridoksifenoksipropionik as tuerevleri ve bunlari ihtiva eden herbisidler
CA1247625A (en) * 1977-07-22 1988-12-28 Howard Johnston Trifluoromethyl pyridinyloxyphenoxy propanoic acids and propanol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methods of herbicidal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59093A (en) 1980-01-22
KR830001218A (ko) 1983-04-29
CS204960B2 (en) 1981-04-30
AU535738B2 (en) 1984-04-05
HU182939B (en) 1984-03-28
AU4858379A (en) 1980-01-10
PH15718A (en) 1983-03-18
EP0008624B1 (de) 1982-02-24
IL57709A (en) 1982-07-30
CA1114382A (en) 1981-12-15
EP0008624A1 (de) 1980-03-19
ZA793282B (en) 1980-08-27
BR7904168A (pt) 1980-03-25
AR225613A1 (es) 1982-04-15
NZ190896A (en) 1982-03-09
MX5681E (es) 1983-12-08
TR20632A (tr) 1982-03-12
ATE721T1 (de) 1982-03-15
JPH0122266B2 (ko) 1989-04-25
DE2962189D1 (en) 1982-03-25
ES482110A1 (es) 1980-04-01
DD151037A5 (de) 198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1834B1 (ko) 피리딜옥시-페녹시-a프로피온산 아미노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US4270948A (en) Herbicidal compou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134751A (en) Herbicidal compou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thereof
CA1101867A (en) Phenoxy-alka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EP0000351A1 (de) Phenoxy-phenylthio-alkancarb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als Pflanzenwachstumsregulierungsmittel
JPH04103574A (ja) 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除草剤
US4979982A (en) Herbicidal cinnamic ester uracils
JPS6134419B2 (ko)
KR840002123B1 (ko) 0-(피리딜옥시-페닐)-락트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EP0003295B1 (de) Neue Phenoxy-phenoxy-alkancarbonsäurederivate mit herbizider Wirkung, deren Herstellung, sie enthaltende Mittel und deren Verwendung
US4945113A (en) herbicidal sulfonamide derivatives
US4964897A (en) Alditol ester derivatives of triclopyr, their preparation and herbicidal use thereof
CA1187081A (en) 2-[4-(6-haloquinoxalinyl-2-oxy)phenoxy]propionic acid esters,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US4298375A (en) 2-Substituted-5-phenyl-4-thiazolecarboxyl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as safening agents
KR820001281B1 (ko) 펜옥시알킬옥사졸린의 제조방법
US4126440A (en) Hydroxamic acid derivatives for regulating plant growth
JPH049797B2 (ko)
US4199346A (en) Herbicides based on 2-dibenzofuranyloxyalka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5235092A (en) Phenoxyacetic acid derivatives and plant growth regulating agents containing them as active ingredients
JPH0655705B2 (ja) アシルアミノバレロニトリ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EP0130041B1 (en) Novel herbicidal substituted pyridyl phenyl and diphenyl ethers,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for combating weeds
KR820000115B1 (ko) α-(4-펜옥시펜옥시) 프로피온산 알콕시알킬 아미드의 제조방법
JPH0678276B2 (ja) アルコキシメチル安息香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30740A (ja) 2(1h)−テトラヒドロピリミジノン誘導体、およびこ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H03240777A (ja) 脂肪酸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除草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