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10Y1 -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10Y1
KR840002110Y1 KR2019830008270U KR830008270U KR840002110Y1 KR 840002110 Y1 KR840002110 Y1 KR 840002110Y1 KR 2019830008270 U KR2019830008270 U KR 2019830008270U KR 830008270 U KR830008270 U KR 830008270U KR 840002110 Y1 KR840002110 Y1 KR 840002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tch
cargo
metal plates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99U (ko
Inventor
마르가드 군나
Original Assignee
칼스타드스 한델스 앤드 콘설트 에이비
닐스 더블유 라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스타드스 한델스 앤드 콘설트 에이비, 닐스 더블유 라르슨 filed Critical 칼스타드스 한델스 앤드 콘설트 에이비
Priority to KR2019830008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10Y1/ko
Publication of KR840005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9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선박의 측면도.
제2도는 선박의 평면도.
제3도는 상승 및 회전장치가 다른 두 위치들에 배치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본 고안은 특히 일반화물선 및 산적화물선과 같은 선박에 액체화물을 적재할 때 그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은 톤수의 일반화물 및 산적화물선은 일반화물 및 산적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가 대개 되어있다. 그리고 선박은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액체화물을 운반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선박에 대한 선창의 수평면적이 커서 그 단면적에 해당하는 액체표면이 선박을 불안정하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위 OB(오일 및 산적화물) 타입의 큰 톤수의 선박은, 선창에 긴 격벽과 프레임이 설치되어 액체표면이 선창의 수평단면적보다 더 작도록한다. 작은 톤수의 선박 선창이 상응하는 방식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적재 및 반출작업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며 선창용량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체외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창을 가진 일반화물 및 산적화물 선박에 오일과 같은 액체를 선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일반화물 및 산적화물 선박상에 액체를 선적할 때 그 액체화물의 액체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선창햇치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나이상의 여러 유니트들로 구성되며, 그 유니트들은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평행한 차폐물 또는 다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상호 연결된 평행한 직립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각 유니트는 전체햇치 또는 햇치일부에, 설치되도록 하기위한 칫수를 가지며 또한, 각 유니트는 금속판이 수직 직립 위치에 배치된채 햇치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금속판의 하연부가 액체화물의 상부표면 아래 위치되고 금속판의 상연부는 액체표면에 또는 그 표면위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및 2도에, 3개의 선창(2,3,4)와 선창위 햇치에 부착된 6개의 햇치-커버(5,6,7,8,9,10)을 가진 일반화물 또는 산적화물 선박(1)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 햇치는 두개의 햇치-커버에 의해 덮혀있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햇치-커버(5-10)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다수의 상호 연결된 평행한 직립 금속판(11,1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금속판(11,12)는 예를들어 1-2cm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두께는 액체화물의 출렁거림에 의해 야기된 힘에 견디는데 필요한 두께이다. 금속판(11,12)는 제2도의 두개의 좌측 햇치-커버(5,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격실 또는 다수의 평행한 차폐물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금속판(11,12)는 바둑판식 격실들을 형성하나, 마름모꼴 격실 또는 다른 적당한 격실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금속판(11,12)는 다수의 장방형 격실을 형성하며 그 격실의 내측폭×길이는 2.4×6m(8×20피이트) 또는 2.4×12m(8×40피이트)와 동일하며, 또는 소위 국제표준 용기의 다른 해당 칫수와 동일하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구조는 하나의 유니트로 설계되어있고, 그 유니트는 다수의 금속판(11,12)으로 이루어져 있고 햇치의 일부분을 덮도록된 것이다. 물론, 그 유니트들은 전체 햇치를 덮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사용시, 금속판(11,12)는 수직으로 직립하여 배치되어 그들의 하연부(13)이 액체화물의 상부표면(제1도에 수준 C로 나타냄)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연부(14)는 액체표면에 또는 그 표면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호연결된 금속판(11,12)로 이루어진 그 유니트들은 각 햇치 주위에 연장하는 프레임(15)로 부터 매달려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하여 햇치-커버(5)는 프레임(15)위의 상기 유니트상에 배치되어 선창(2-4)를 밀폐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 유니트는 햇치-커버(5-10)의 일측부에 강직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그위에 배치되어 있고, 금속판(11,12)는 햇치-커버의 일측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여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가 제3,4 및 5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측부(16)에 금속판(11,12)를 가진 햇치-커버(5,10)은 반대측에 평활한 측부(17)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햇치-커버(5-10)은 회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것은 선박의 선창에 일반화물 또는 산적화물을 적재할 때는, 금속판(11,12)가 햇치 커버(5-10)의 상향측부에 있도록 햇치-커버를 회전시키고 액체화물의 적재시에는 햇치-커버(5-10)은 판(11,12)가 햇치 커버의 하향측 부상에 있도록 회동될 수 있는 큰잇점을 제공한다.
제1도에서 좌측선창(2)의 커버(5,6)은 상기 첫번째 언급한 방식으로 회동되며 나머지 선창(3,4)의 커버(7-10)은 두번째 방식으로 회동된다. 제3도에서, 번호(27)은 본 고안에 따른 햇치-커버(5-10)을 상승 및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제3도는 하나의 햇치-커버(5)만을 나타낸다.
그 회전장치는 2쌍의 아암(18)을 가지고 있고 그 아암들은 햇치-커버의 각 측부에 하나씩 연장하여 있으며 일단부(19)가 선체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조인트(20)에 의해 햇치-커버(5)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햇치-커버는 돌출아암(25)에 장착된 휘일(21,22)를 4구석의 각각에 구비하고 있다. 그 휘일은 고정축으로 대치되어도 좋다. 휘일(21,22)는 프레임(15)의 홈내에서 구동한다. 각 아암(18)은 아암(18)과 선체(24)사이에 배치된 유압 실린더(23)에 의해 작동된다.
햇치 커버(5)가 전체 햇치 또는 그의 일부를 덮을 때, 아암의 회전중심에 위치된 2개의 휘일(21)의 축은 아암(18)의 회전축(27)과 일치한다. 제1쌍의 휘일(21)의 각 휘일아래, 휘일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수단은 유압실린더(29)로 구성되어 있다.
그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상에 휘일(21)을 고정 및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휘일 고정수단은 또한 제1도의 우측으로 휘일(2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는 정지수단으로도 작용한다. 두개의 휘일(22)의 수직운동을 제한하도록 제한부재(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두 휘일 즉, 제2쌍의 휘일(22)는 햇치 커버가 후술되는 바와같이 회동될 때 아암(18)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다.
승강 및 회전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이 설명은 제3도에 따른 햇치 커버(5)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상기 회전중심의 휘일(21)은 유압실린더 및 고정수단(29,30)에서 이탈되고, 실린더(23)에 의한 아암(18)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며, 아암(18)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멀리있는 휘일(22)는 제한 부재(31) 아래에서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후, 실린더(23)은 아암(18)을 상승시킨다. 햇치-커버중량은, 제3도의 조인트(20)의 우측에 위치된 부분이 좌측에 위치된 부분보다 약간 무겁도록되어 커버(5)가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32)를 거쳐 제3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33)으로 상향회동 된다.
그후, 고정수단(30)은 휘일(22)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는 그러한 위치로 실린더(29)에 의해 이동되고, 실린더(23)이 하방으로 아암(18)을 이동시켜 제3도의 최상부 휘일(21')가 제3도의 휘일(22)를 위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화살표(35)의 방향으로 원호(3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커버(5)를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아암(18)이 상승되고 실린더 및 고정수단(29,30)은 아암(18)의 회전중심의 휘일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 조인트(20)의 우측에 위치한 커버(5)의 부분은 좌측에 위치된 커버 부분보다 가벼운 중량을 갖기 때문에 커버가 점선위치(33)으로 상승된다. 그후, 수단(30)은 실린더(29)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점에 위치된 휘일이 하향 경사면(58)을 따라 아래로 주행하고 동시에 아암(18)이 하강된다. 그리하여 커버가 위치(32)를 거쳐 작동위치로 하강된다.
물론, 동일방향으로 매번 커버(5)를 번갈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커버는 아암(18)과 커버(5)사이 조인트(20)에서 평형으로 되어야 한다. 커버가 평형으로 되는 것이 어려울때, 그 커버의 운동은 고정위치로 커버가 이동되는 것을 돕기위해 조절와이어 또는 그와 같은 것은 연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아암(18)상의 조인트(20)을 중심으로 한 커버(5)의 회동은, 수단(31,22,29,30,21) 대신 유압장치 또는 아암(18)과 커버(5)사이에서 작동하는 다른 상응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제4도에서, 제1도의 커버(5,6)과 같은 두개의 햇치-커버는 그의 금속판(11,12)가 하향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것에 상응하는 휘일들은 좌측커버(5)에 대해 제3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었고, 우측 커버의 휘일은(35,36)으로 나타내었다. 명확히하기 위해 제4 및 5도의 휘일은 유사한 직경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커버(5,6)은 금속판(11,12)가 상향하여 도시되었다. 커버(5,6)의 회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제1,4,5도에서 번호(37,38)은 프레임(15)의 벽들을 나타내고, (39)는 그 벽의 상연부를 나타낸다. 제4 및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버는 두개의 대각적으로 배치된 구석에 시일(seal) 부재(40,41,42,43)을 구비하고 있고, 각 시일부재는 프레임(39)상의 금속 스트립(44,45)에 대해 밀봉하도록 배치된다.
커버들중 하나의 커버(5)에는 그의 2개의 긴 수직축부(48,49)의 각각에 시일부재(46,47)이 설치되어 있고, 그 시일부재들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커버(6)으로 부터 돌출하는 2개의 플렌지(50,51)들중 하나에 접한다. 그리하여, 밀폐된 조인트가 상기 시일부재(46,47)들중 하나와 상기 돌출 플렌지(50 및 51)들중 하나에 의해 커버들 사이에 형성된다. 즉, 그 조인트는 커버(5,6)의 판(11,12)가 하방으로 향한 때 시일부재(47)과 플렌지(50)에 의해, 그리고 판(11,12)가 상방으로 향한때는 시일부재(46)과 플렌지(51)에 의해 형성된다.
선박의 길이를 따라 평행한 커버(5,6)의 측부들에 따른 시일부재는 커버와 갑판(39) 사이 시일부재(40,43,44,45)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시일부재(41,42,43,44,46,47)은 고무 또는 다른 탄성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및 5도의 화살표(52-57)은 커버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될때 커버(5,6)의 운동의 초기방향을 나타낸다. 커버(5,6)이 회전될때 그의 단부의 초기운동방향이 수평이도록 커버(5,6)이 배치될때, 커버(6)상의 상기 돌출플렌지(50)은 다른 커버(5)의 상응하는 시일부재(47)에 수평방향으로 접한다. 커버의 단부의 초기운동방향이 수직이도록 커버(5,6)이 배치될 때, 커버(5)상의 돌출플렌지(51)은 다른 커버(6)의 상응하는 시일부재(46)에 수직방향으로 접한다. 상술한 시일부재들은 선창과 대기 사이에 간단하고 효율적인 시일을 제공한다.
상술한 설비는 매우 큰 잇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일반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이 액체를 운송할 수 있도록 극히 간단히 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화물이 오일일 때,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박의 안정 모멘트는 화물이 일반화물일 때와 비교하여 크게 감소된다. 현존하는 일반화물 또는 산적화물 선박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설치해서만 액체와 일반화물을 운송할 수 있게된다.
물론,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유니트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에 지지되고, 커버에 강직하게 연결되는 대신 커버와 완전히 떨어져있도록 개조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11,12)의 형상 역시 변경될 수 있다.
금속판 유니트들과 함께 커버를 회전시키는 것과, 금속판 유니트 없이 커버를 회전시키는 것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외의 다른 회전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시일부재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 청구범위 내에서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

  1. 일반화물 및 산적화물선과 같은 선박에 액체화물을 선적할 때 그 화물의 액체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유니트로 구성되고 햇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유니트들이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상호 연결된 평행한 직립 금속판(11,12)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유니트는 햇치내에 설치되도록하는 칫수로 되어있고, 금속판(11,12)의 하연부(13)가 액체화물의 상부표면(C-C)아래 위치되도록 하고, 또 금속판(11,12)의 상연부(14)는 상기 표면(C-C)에 위치되도록 금속판(11,12)이 햇치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11,12)이 커버(5,6)의 일측부(1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KR2019830008270U 1979-04-28 1983-09-24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KR840002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270U KR840002110Y1 (ko) 1979-04-28 1983-09-24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54A KR830000613A (ko) 1979-04-28 1979-04-28 선박의 액체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KR2019830008270U KR840002110Y1 (ko) 1979-04-28 1983-09-24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54A Division KR830000613A (ko) 1979-04-28 1979-04-28 선박의 액체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10Y1 true KR840002110Y1 (ko) 1984-10-13
KR840005999U KR840005999U (ko) 1984-11-10

Family

ID=70165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54A KR830000613A (ko) 1979-04-28 1979-04-28 선박의 액체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KR2019830008270U KR840002110Y1 (ko) 1979-04-28 1983-09-24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54A KR830000613A (ko) 1979-04-28 1979-04-28 선박의 액체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061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99U (ko) 1984-11-10
KR830000613A (ko)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7581A (en) Pallet with adjustable height legs
US4043285A (en) Container ship
JPH0233598B2 (ko)
US3990383A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a vessel
KR840002110Y1 (ko) 선박내 액체화물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한 장치
US2555297A (en) Container ship having bridge mounted travel crane
US3038432A (en) New type general cargo carrying ship
NO770052L (no) Forbedret skrog for lasteskip.
US678949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hipping reels; tweendeck and tweendeck arrangement in cargo space of ship
US4784560A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emptying bulk material
CN1007336B (zh) 特别适用于装备集装箱运输船的具有改进密封装置的舱口板
US4331095A (en) Arrangement for dividing a ship's free liquid surface
GB2207418A (en) A container particularly for the transport of grain
JPS5855953B2 (ja) ハッチカバ−上の可動式コンテナ−積付け装置
JPS5825615B2 (ja) 積荷または貯蔵室におけるばら材料の整理および掻均し装置
US4755094A (en) Self-unloading barge and unloading apparatus therefor
JPH04358697A (ja) 重い対象物体を持上げかつ運搬するための装置
US3504650A (en) Cargo ships
SU1085889A1 (ru) Судно
JPH0416794Y2 (ko)
RU1744873C (ru) Люковая крышка
GB2228717A (en) A pontoon in the form of a floating container port
SU1495200A1 (ru) Люковое закрытие грузового трюма судна
SU1491788A1 (ru) Подъемник - кантователь дл загруженных солени ми емкостей
JPS6088692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