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011Y1 -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011Y1
KR840002011Y1 KR2019830002226U KR830002226U KR840002011Y1 KR 840002011 Y1 KR840002011 Y1 KR 840002011Y1 KR 2019830002226 U KR2019830002226 U KR 2019830002226U KR 830002226 U KR830002226 U KR 830002226U KR 840002011 Y1 KR840002011 Y1 KR 840002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ircuit
output
sig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히고 미네기시
쇼오기지 사또
도시가즈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고오덴 세이사구쇼
사또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701189A external-priority patent/KR820000217B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고오덴 세이사구쇼, 사또 시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고오덴 세이사구쇼
Priority to KR201983000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6Display arrangements
    • G01S7/62Cathode-ray tub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를 간단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 A 내지 제2도 E는 각각 제1도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의 구체적 실시예를 분할하여 표시한 블록도.
제6도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7도는 어선과 네트모니터와의 관계 표시도.
제8도는 동기선출회로의 구체적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9도는 선택회로의 구체적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10도는 선택독출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11도는 주메모리에 대한 게이트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12도는 칼라메트릭스회로에 있어서의 변환 예시도.
제13도는 네트모니터의 수신신호의 예를 표시하는 파형도.
제14 및 제15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의한 표시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6도는 네트모니터로부터의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17도는 칼라선택회로의 예시도.
본 고안은 초음파를 수중에 방사하고, 그 반사파를 음극선관에 표시하여 어군(魚群)을 탐지하도록 한 어군 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록지에 대하여, 초음파의 방사와, 기록지의 폭방향으로 기록 펜을 동시에 이동함과 동시에, 수신반사파를 그 기록펜에 공급하여, 그 수사반사파의 레벨에 따라 서기록지를 변색시켜, 그 농담상(濃淡像)으로 기록하고 있었다.
기록지에 있어서는 그 농담의 차는 세밀하게 나타나지 않고, 그만큼 표시하는 정보량은 적었으며, 또한 플랑크톤중의 어군과 같이 그 반사파의 레벨차가 크지 않은 경우는 구별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록상에서 어종의 핀단까지는 할 수가 없었다.
또 해저에 밀착한 어군의 구별도 종래의 기록지에 의한 기록상(記錄像)에 의해서는 곤란했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어군탐지기에 있어서는 수신반사파정보와 비교해서 기록지에 기록된 상의 정보량은 현저히 적게되어 있었다. 또 기록의 일부를 확대하고, 그 확대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그 일부의 확대도 해저선을 기준으로 하여 확대하는 경우도 있고, 또 네트모니터로 부터의 정보를 정렬하여 기록하면 그 정보의 해석을 한층 정확히 파악할수가 있지만, 이와같이 각종의 기록을 정렬하여 기록하는 것은 비교적 곤란하고, 그리고 그경우, 이들 각종의 기록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고 그 1개만을 기록지의 전폭에 기록하거나, 복수의 기록을 장렬로 기록한다든지 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것은 곤란했었다.
또 그 복수의 병렬기록의 상호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상호 관련한 상태를 판정하기 곤란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정보를 병렬로 표시하고 이 것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 이것들 사이의 상호의 관련이 판정하기 용이한 상태로 할수가 있는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확대표시, 고속표시를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는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확대표시, 보통표시, 네토모니터의 표시등 각종의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가 있으며, 더우기 이것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가 있는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는 수중에 방사되는 초음파펄스의 반복주기는 기준발진기의 출력주파수를 분주(分周)하여 얻어지고, 디지털변환된 반사수신신호는 먼저 보통 표시용 데이터 취입() 메모리에 기입되며, 그 메모리에 기입되는 용량은 늘 표시기의 1본의 표시선의 화소수(畵素數)로 선정되고, 따라서 표시하려고 하는 탐지범위를 선택하는 레인지스위치의 설정에 응하여 상기 데이터취입메모리에 기입하는 속도가 변경된다. 또 레인지스위치로 설정된 분주펄스가 계수되고, 그 계수치가 디코오드되고, 소정시간 순차변환된 펄스가 얻어진다.
그 펄스의 어느 것인가를 시프트(shift) 스위치에서 선택하고, 그 시프트스위치의 설정한 출력에서 상기 레인지스위치의 설정분주펄스에 의하여 보통 표시용 데이터취입메모리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이른바 시프트절환이 행해진다. 예컨대 레인지스위치를 0내지 1000m로 설정하고, 시 프트스위치를 0에 설정하면 0 내지 1000m의 수신신호가 메모리에 기입되고, 시프트스위치를 1에 설정하면, 100 내지 1100m의 수신신호가 시프트스위치를 2에 설정하면 200 내지 1200m의 사이의 수신신호가 메모리에 기입된다.
탐지범위중 일부를 확대표시하기 위하여, 탐지범위의 수신신호범위를 분할하고, 그 임의의 부분의 처음 위치를 확대위치선택스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선택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상기 데이터취입메모리에 기입속도보다 적어도 수배 빠른 속도로 상기 디지탈신호가 확대표시용 데이터취입메모리에 기입된다.
이 확대표시용 데이터취입메모리의 내용을 주메모리에 표시면상 1본의 표시선을 형성하도록 전송함으로서 부분확대표시가 행하여진다. 확대표시용 데이터취입메모리에 대한 기입펄스도 상기 기준발진기의 출력을 분주하여 얻어지고, 그 분주비(分周比)를 확대 폭선택스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하여 표시면상에 확대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탈신호를 보통표시용 데이터 취입메모리에 대한 기입보다도 적어도 수배 빠른 속도로, 저부확대 표시용 데이터 취입메모리에 기입하고, 수신신호중에서 수저(水底)로 부터의 반사신호를 선출하고, 그 출력, 이른바 저부신호에 의해 저부확대표시용 데이터취입 메모리에 대한 기입을 정지한다. 이 메모리의 용량을 1본의 표시선분으로 하여두고, 고속도 기입에 수반하는 여분의 데이터는 오우버플로우시켜, 저신호(底信號)가 늘 정해진 위치에 기억된다.
이 메모리의 내용을 주메모리에 1본의 표시선의 정보로서 전송함으로서, 수저가 기준직선으로 되어 저부근(底附近)이 확대 표시된다. 이 확대율도 부분확대와 마찬가지로 스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어선의 바로밑부근의 상황이 어군탐지기에 의하여 탐지되고 동시에 그 어선에서 끌리는 어망의 개구부부근에 네트모니터가 부착되고, 네트모니터에서 그 상하 부근의 상황이 초음파의 방사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탐지되고, 이 수신신호는 어선으로 보내지고, 그 어선에서 어망의 개구부근을 감시하는 일이 행하여진다. 그 네트모니터에서의 수신신호도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네트모니터용 데이터취입메모리에 기입된다.
이 기입은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대한 데이터 취입 또는 주메모리에의 전송과 동기하여 행하여지고, 이 네트모니터용 데이터취입메모리의 내용을 1본의 표시선 정보로서 주메모리에 전송하고, 칼라음극선 관표시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각종의 데이터취입메모리를 선택하여 그 1개의 내용을 주메모리에 전송하여 표시기에 표시할 뿐아니라, 이들 각종의 데이터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를 위해서는 각 데이터 취입메모리에 대응하여 각기 선택읽기수단이 설치되고, 각 선택읽기수단은 각기 전(全) 폭표시, 1/2폭표시, 1/4폭표시등의 선택스위치가 있고, 그 선택스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전폭표시에 대하여 2배, 4배등의 속도의 독출펄스를 발생한다. 예컨대, 그 스위치를 1/2폭표시에 설정하고, 보통표시용 데이터취입메모리를 독출하고, 그 독출이 끝난후에 부분확대용 데이터취입때메모리를 독출하고, 이들 양 독출출력을, 상기 전폭표시에 설정되어 있는때의 독출펄스와 대략 동일속도로 바퍼메모리의 후반에 부분 확대용 데이터취입메모리의 내용이 각기 기입된다.
이 바퍼메모리의 내용은 주메모리의 1본의 표시선의 정보로서 전송된다. 따라서 표시기의 표시면에는 예컨대 상측에 보통 표시가 표시되고, 그 표시의 일부가 하측에 확대표시가 된다. 선택읽기수단에 각각 선택회로를 설치하고, 이들의 선택회로를 종속적으로 접속하고, 선택회로에서는 전단에서의 기동신호를 받아서, 그 선택독출수단의 독출펄스 발생회로를 기동하고, 독출이 종료하면 이것을 다음단에 기동신호로서 송출하고, 그 선택독출수단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단에서의 기동신호를 차단에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그 선택회로의 종속접속에 의해 우선회로가 구성되고, 그리고 1개의 데이터취입메모리로 부터의 독출이 행하여지면 다음의 선택한 것에 대한 데이터 취입메모리의 독출이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주메모리로서는 예컨대 시프트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고, 표시기의 1주사선의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취입 메모리 또는 바퍼메모리의 1개의 내용을 주메모리에 기입하고, 표시기의 1주사선에 의해 1본의 표시선을 표시할 수가 있고, 혹은 표시기의 각 선주사선의 동일화소위치의 배열로서 1본의 표시선을 표시할 수도 있다. 주메모리의 출력을 칼라음극선관 표시기에 공급할 경우에 그 디지털 신호치에 응한 색신호로 변환하는 칼라메트릭스회로에 주메모리출력을 공급하지만, 그에앞서 디지털신호중의 소정레벨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관찰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관측에 용이한 표시로 할 수가 있었다.
표시기 표시면에 나타내는 마이커나, 확대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위치마이커, 혹은 시간표시를 각기 삽입 표시할수가 있다. 네트모니터의 탐지신호와, 어군탐지기의 탐지신호와는 그 탐지위치가 변경되어 있지만 시간적으로 대략 동시에 수신된다. 이들 양신호를 나란히 표시하는 경우는 이들의 표시가 그 탐지위치의 거리에 따라서 떨어져서 표시되는 경우 그것이 오히려 표시를 독출하기가 용이하다.
이점에서 어군탐지기의 탐지신호에 대한 바퍼메모리와, 네트모니터의 탐지신호에 대한 바퍼메모리와를 별개로 설치하고, 전자의 바퍼메모리의 내용을 주메모리로 옮긴 경우, 어선이 어군탐지기의 송수파기와 네트모니터와의 사이의 거리를 주행하는 시간에 응한 자연시간뒤에 표시기이 선주사선과 동기하여 후자의 바퍼메모리의 내용을 주메모리에 옮긴다.
이경우 예컨대, 전자의 바퍼메모리에는 그 전반부에만 데이터를 넣어두고, 후자의 바퍼메모리에는 그 후단부에만 데이터를 넣어둔다. 이리하여 표시기의 표시면의 상부에 보통표시가, 하부에 네트모니터의 표시가, 그 위치를 시간축 방향으로 움직여서 표시된다. 하기에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군탐지기 탐지상표시장치의 송수신부(11)내의 송신부(1)에서 송수공용회로(2)를 통하여 일정주기로 송수파기(送受波器((23)가 여진된다. 그 결과 송수파기(23)에서의 초음파펄스가 해저(3)로 향하여 방사된다. 그 반사파는 송수파기(23)에서 수신되고, 송수공용회로(2)를 통하여 수신부(4)에 서수신된다.
이 수신신호는 제2도 A에 표시된 바와같이, 송신펄스(25), 어군(5)에서의 반사신호(26), 해저(3)에서의 반사신호(27)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수신신호는 A/D 변황기(28)에 있어서 예컨대, 4비트의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그 디지탈신호는 데이터취입메모리(34)에 기입된다.
데이터취입메모리(34)는 예컨대, 시프트레지스터이고, A/D 변환기(28)의 출력 병렬비트출력 수만큼의 디지탈신호를 동시에 기입할 수가 있다. 이 기입은 송신부(1)에 있는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신호로부터 기입펄스 발생회로(6)에 의해 발생된 기입펄스(제2도 B)가 OR회로(56)를 통하여 메모리(34)로 공급되어서 행하여진다.
한편 칼라음극선관표시기(82)가 설치되고, 이 표시기(82)의 표시면은 음극선관 제어회로(7)로 부터 선동기 신호나 면동기신호에 의하여 전자비임에 제어되어 표시면에 주사된다. 주메모리(81)에서의 독출신호가 칼라변환회로(177)를 통하여 표시기( 82)로 공급된다. 주 메모리(81)는 예컨대, 시프트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표시기(82) 표시면의 1화면정보를 기억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해하기 쉽게 표시기(82)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선주사선(1₁,1₂,…1n)과 대응하여 시프트레지스터(F₁, F₂,… Fn)가 있고, 이들 레지스터부는 순차 종속적으로 접속된다.
어떤 시점에 있어서 레지스터부(F₁,F₂,…Fn)내의 디지탈정보가 각기 주사선 (1₁,1₂,…1n)위에 표시된다. 시프트레지스터부(Fn)의 후단출력은 칼라변환회로(1 77)에 공급됨과 동시에 게이트회로(8)를 통하여 시프트레지스터부(F₁)의 초단으로 귀환되고, 이 일주기는 표시기(82)의 면주사주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그 이동속도가 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주메모리(81)의 내용이 표시기(82)에 정지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시프트레지스터부(F₁내지 Fn)의 각단은 각기 병렬 4비트의 디지털 신호를 기억할 수가 있다.
칼라변환회로(177)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응하여, 요컨대 신호의 레벨에 응하여 미리 결정된 색을 표시기(82)에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변환이 행하여지고, 그 출력에 의하여 칼라 음극선관표시기(82)의 적, 록, 청의 전자총이 제어된다.
송수신부(11)에 있어서 1송신펄스에 대한 수신신호가 데이터 취입메모리(34)에 취입되고, 이 메모리(34)내의 신호가 주메모리(81)에 1본의 표시선 정보로서 옮겨진다. 이 새로운 신호는 표시기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면에 있어서 제1선주사선(1₁)에 가장 새로운 신호가 표시된다. 데이터 취입 메모리(34)는 주메모리(81)의 각 스프트레지스터부(F₁내지 Fn)의 1개와 동일용량으로 된다. 메모리(34)에 대한 기입이 끝나면, 이것을 표시하는 신화 독출펄스발생회로(9)에 공급된다.
이 회로(9)에는 제어회로(7)에서 제2도C에 표시하는 면동기신호(Pv) 및 신동기신호(P1)가 공급된다. 상기 기입종료 다음의 면동기신호에서 독출펄스를 제2도 D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선동기신호주기의 사이에 발생한다. 이 독출펄스는 주메모리(81)의 시프트펄스와 동기하고, 기입펄스수와 동일수이다.
독출펄스 0R회로(56)를 통하여 취입메모리(34)를 독출하고, 그 출력은 게이트회로(8)를 통하여 시프트레지스터(F₁)의 초단으로 공급된다. 메모리(34)에서 주메모리(81)로 전송이 끝나면 주메모리(81)의 출력은 1선주사선분의 지연용의 시프트레지스터(124)를 통하여 초단 시프트레지스터부(F1)에 되돌려진다. 이 지연용 시프트레지스터(124)를 통하는 귀환은 제2도 E에 표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34)의 독취가 끝나고서 다음의 면동기신호까지의 기간이다.
이리하여 메모리(34)에서 주메모리(81)에 신호의 전송이 1회 행하여지고, 그 레지스터부(F1)에 입력되면, 그때까지 시프트레지스터부(Fn)에 있었던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지연용 시프트레지스터(124)에 옮겨지고, 시프트레지스터(124)에서 주메모리(81)에의 귀환시간은 1면 주사동기(TV)보다도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선주사기간 짧기 때문에, 상기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시프트레지스터(124)에 옮겨진채로 주메모리(81)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해서 데이터가 메모리(34)에서 주메모리(81)로 옮겨질때마다 그 가장 새로운 데이터는 선주사선(11)위에 표시되고,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주메모리(81)에서 제거되고, 표시면위에 있어서 표시선은 그 선과 직각방향으로 1분씩 오래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두 번째로 새로운 선주사선(12)위에 표시된다. 그 결과 발진펄스(25)와 대응한 발진선(155), 해저(3)와 대응된 표시(153), 어군(5)과 대응한 표시(154)가 각각 표시기(82)의 표시면 위에 나타난다. 요컨대, 종래의 어군탐지기의 기록지상의 기록과 같은 표시가 얻어진다.
제1도에 있어서 기록지를 우로부터 좌로 이행시키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시가 우에서 좌로 이동한다. 또 제1도에 있어서 송수신기(11)에서의 수신데이터의 속도 및 음극선관표시기(82)의 주사속도가 적당히 선정되면, 데이터취입메모리(34)를 생략하고, A/D변환기(28)에서의 데이터를 직접 주메모리(81)에 기입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3도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래 1매의 도면으로서 표시해야할 개소를 분할한 것으로 각 리이드선의 단에 부착한 원의 기호는 동일한 것이 서로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송수신부(11)는 종래의 어군탐지기의 그것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즉, 기준발진기(12)에서의 기준신호는 레인지용 분주기(13)에 있어서 주파수분주되고, 그 분주비는 레인지스위치(14)의 선택에 의하여 변경된다. 탐지범위를, 예컨대 0 내지 100m,0 내지 200m,0 내지 400m,0 내지800m등의 어느 것으로 하는가에 의하여 분주기(13)의 분주비가 변경되고, 깊은 곳에까지 탐지할 수록 그 분주비가 크고 그 출력의 주파수는 낮게 된다.
이리하여 분주된 출력은 표시시간절환회로(15)에 있어서, 예컨대 3개의 분주비, 표준, 표준의 2배, 표준의 1/2의 어느 것인가에 선택된다. 이 회로는 이 음극선관을 사용한 어군탐지기특유의 것으로서 3점절환스위치(16)의 선택에 의하여 그 1개의 절환스위치에 있는 때에는 통상표시로하고, 다른 1개의 절환스위치에 있을 때에는 신속히 보내는 표시로 되고 출력주파수는 2배로 되고, 또다른 절환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송(遲送)표시로, 출력주파수는 통상표시의 1/2로 된다.
요컨대, 후기하는 음극선관표시기(82)에 대한 표시정보를 기억한 주메모리(8 1)내의 정보의 바꿔 쓰기 시간을 빠르게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절환스위치(16)에서 절환할 수가 있다. 표시시간절환회로(15)의 출력은 반복주기카운터(17)에 의하여 다시 분주되고, 이에 의하여 트리거발진주기가 만들어진다. 이 반복주기 카운터(17)의 출력은 예컨대, 제6도 A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 출력은 미분회로(18)에서 미분되고, 예컨대, 그 상승펄스(제6도 B)가 취출된다.
이 상승펄스는 홀수 보정회로(19)에 의하여 송수파기(23)가 부착된 수면으로부터 그 위치의 깊이까지 초음파펄스의 전파시간분 만큼의 시간, 예컨대,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제6도 C에 표시하는 시간(T1)의 펄스로 변환된다. 그 변환 출력은 송신트리거발생회로(21)에 공급되어서, 제6도 D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분펄스(제6도 B)에서 시간(T1)만큼 늦어진 트리거신호가 얻어진다.
이 트리거신호에 의하여 송신기(22)가 구동되고, 그 출력에 의하여 송수파기 (23)를 여진하고, 초음파펄스가 해저에 향하여 방사된다. 이 초음파펄스의 송신에 기하여 그 반사신호는 송수파기(23)에서 수파되고, 수선기(24)에서 수신되며, 예컨대 제6도 E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진펄스(25), 어군에서의 반사신호(26), 해전반사신호 (27)가 수신된다.
수신기(24)의 출력은 A/D변환기(28)에 의하여 예컨대, 병렬 4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서, 이것으로 부터 복수의 각 데이터취입부로 공급된다. 데이터 취입부로서는 보통표시데이터취입부(31), 부분 확대 표시데이터취입부(32), 해저확대표시데이터취입부(33)가 설치된 경우로 이들 데이터취입부(31)(32)(33)의 데이터 취입메모리(34)(35)(36)에 A/D변환기(28)의 출력이 각각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우기 망(網) 모니터의 정보도 표시할 수 있게한 것으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선(37)의 해저에 어군탐지기의 송수파기(23)가 부착되고, 이에 의하여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의 송신 및 수신이 행하여 진다.
이것과 함께 로우프(38)에 의하여 어망(39)이 끌리고, 이 어망의 개구부근의 상부에 망모니터(41)가 부착된다. 이 망모리터(41)의 상측 및 하측에 초음파의 송신이 행하여지고, 또 그 반사파의 수신이 행하여지며, 그 수신신호는 초음파를 반송파로서 어선(37)의 수신기(42)에서 수신된다.
즉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망모니터(41)로 부터의 신호는 수신기(42)의 수파기(受波器)(43)에서 수신된다. 그 수신신호중의 상측의 탐지신호부분 및 하측의 탐지신호부분은 데이터취입부(44,45)에서 각기 분리된다. 이들에 대한 데이터 취입 메모리(46,47)는 수신기(42)로 부터의 수신신호가 A/D변환기(48)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각각 공급된다.
보통표시 데이터 취입부(31)에 있어서는 미분회로(18)로 부터의 펄스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50)가 제6도 F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되어서 게이트신호가 발생하고, 이 게이트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시프트펄스카운터(49)에 의하여 레인지용 분주회로(13)의 출력펄스가 계수된다. 카운터(49)의 계수치는 디코오더(51)에서 해독되고, 그 디코오더의 적당한 간격의 출력단자를 시프트선택스위치(52)로 선택한다. 시프트 선택스위치(52)와 디코오더(51)측의 선택고정단자는 예컨대, 초음파탐지거리로 환산하여 50m만큼 순차로 위상이 변경된 펄스(Ps)가 제 6도 G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얻어지고, 그 펄스(Ps)와 1개가 시프트 선택스위치(52)에서 선택되어서 게이트신호발생회로(53)바 구동되고, 이로부터 제6도 H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신호가 발생한다.
예컨대. 레인지스위치(14)를 0 내지 100m로 설정한 상태로 두 번째의 펄스가 스위치(52)에 의하여 선택되면, 50m에서 150m사이의 수심범위를 탐지하는 경우로 된다. 시프트펄스카운터(49)가 소정수를 헤아리고, 카운터(49)가 풀 카운트(full count)로 되었을 시점에서 다음의 트리거펄스가 발생할 때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1시프트거리분, 이에 있어서는 100(m)분에 대응한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풀카운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50)에서의 게이트신호의 송출이 정지되고, 제6도 F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 출력이 저레벨로되어서 카운터(49)의 계수동작이 정지된다.
게이트신호 발생회로(50)는 예컨대 플립플롭회로이고 미분회로(18)의 출력에 의하여 세트되고, 카운터(49)의 출력에 의하여 리세트된다. 다른 게이트신호발생회로도 이 게이트신호 발생회로(5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게이트신호발생회로(53)의 출력이 고레벨로되면, 분주회로(54) 및 데이터취입카운터(55)가 동작상태로 되고, 분주회로(54)에 있어서 레인지용 분주회로(13)의 출력이 더욱 분주되어, 그 분주된 출력이 데이터 취입용 카운터(55)에서 계수된다. 또 분주회로(54)의 출력은 OR 회로(56)를 통하여 데이터 취입메모리(34)에 주어지고, 그 펄스마다 A/D변환기(28)의 출력이 OR회로(57)를 통해서 메모리(34)에 기입된다 이 카운터(55)는 표시기(82)에 있어서 1본의 표시선의 화소수 예컨대, 256으로 풀카운트로되고,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53)가 제어되어, 그출력이 저레벨로 된다. 따라서 분주회로(54), 카운터(55)의 동작이 정지된다. 요컨대, 분주회로(54)에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취입펄스가 발생하고, 데이터취입메모리(34)는 예를들면 시프트레지스터로서 데이터취입펄스의 256화소의 데이터가 취입된다. 부분확대표시데이터취입부(32)에 있어서는 카운터(55)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요컨대 보통표시데이터취입부(31)에 데이터가 취입되어 있는 사이에서 임의구간을 선택하여 확대표시하기 위하여, 카운터(55)의 계수내용은 디코오더(58)에 공급되고, 디코오더(58)의 각출력단자는 확대위치선택스위치(59)에 의하여 1개가 선택된다.
예컨대, 선택게이트 신호발생회로(53)의 출력게이트 신호의 구간을 5등분하고, 그 5등분의 각 1에 대응하여 순차위상이 바꿔진 펄스가 선택스위치(59)의 5개의 고정단자에 제6도 J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얻어지고, 그 펄스의 1개가 스위치(59)에서 선택된다. 이 선택된 펄스에 의하여 게이트 신호발생회로(61)의 출력이 제6도 K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레벨로 되고, 이 출력에 의하여 분주회로(62) 및 데이터취입카운터(63)가 동작상태로 된다. 분주회로(62)에는 기준발진기(12)로 부터의 출력펄스가 공급되고, 이 분주회로(62)는 확대폭 선택스위치(64)에 의하여 분주비가 변경되고, 확대폭을 크게하고, 요컨대 확대율을 크게 할 경우에 있어서는 분주비는 작고, 높은 주파수의 출력이 얻어지도록 된다.
이 펄스는 데이터취입카운터(63)에서 계수됨과 동시에 OR회로(65)를 통해서 데이터 취입메모리(35)가 구동되고, A/D변환기(28)의 출력은 OR게이트(67)를 통하여 메모리(35)에 취입된다. 카운터(63)는 카운터(55)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256비트로 풀카운트로 되고, 그 풀카운트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 발생회로(61)가 제어되고, 그 출력이 저레벨로되고, 분주회로(62), 카운터(63)가 함께 부동작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해서 게이트 신호발생회로(61)의 출력(제6도 K)이 고레벨의 사이에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A/D변환된출력이 256개의 샘플정보로서, 요컨대, 1본의 표시선분의 화소정보로서 메모리(35)에 취입된다. 저확대표시 데이터취입부(33)(제4도 A)에 있어서는 미분회로(18)로 부터의 제6도 B에 표시한 미분 펄스에 의하여 게이트 신호발생회로 (68)가 구동되고, 이 출력신호(제6도 L)에 의하여 분주회로(69)가 동작상태로 된다. 분주회로(69)는 발진기(12)로 부터의 기준신호를 분주하고, 그 분주비는 확대폭선택스위치(71)에서 설정된 확대률에 응하여 변경된다. 분주회로(62)와 마찬가지로 대폭으로 확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분주비가 작고 고속도의 펄스가 출력된다.
분주회로(69)의 출력은 OR회로(72)를 통하여 데이터 취입메모리(36)를 구동하고, 변환기(28)의 출력이 그 펄스마다 취입된다. 이 메모리(36)의 용량은 메모리(34 )(35)와 동일 용량으로 하고, 따라서 256개의 펄스로 가득히 되지만 이것으로부터 또 데이터가 기입되면, 새로운 데이터가 기입될 때마다 가장 오래된 데이터로 부터 순차로 소실하게 된다.
한편, 수신기(24)의 출력은 저신호검출회로(73)에도 공급되고, 이 회로(73)는 종래부터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고, 예컨대, 발진펄스의 송출에서 다음의 발진펄스의 송출까지에 있어서의 소정레벨이상의 높은 신호를 저신호로서 검출한다. 이 저신호는 제6도 M에 표시한 바와 같은 펄스이고, 이에 의하여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68)가 제어되어서 그 출력이 저레벨로되고, 분주회로(69)의 동작이 정지하고, 따라서 데이터 취입메모리(36)의 데이터 취입동작도 정지된다. 이때 취입된 데이터는 해저의 반사신호가 가장 새로운 것으로 된다.
늘 이와 같은 데이터의 취입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선상에 있어서 해저는 늘 일정위치로 되고, 해저선이 직선으로서 표시되고, 해저에서 상측의 부분이 분주기(69)의 분주비에 따라서 확대표시된다. 망모니터에 대한 데이터 취입부(44)(45)의 데이터의 취입동작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후기하지만, 상기와 같이하여 데이터 취입부의 데이터취입메모리(34)(35)(36)(46)(47)에 취입된 데이터는 이들과 대응하여 설치된 선택판독수단(74 내지 78)에 있어서의 선택상태에 응하여 공통의 바퍼메모리(79)(제5도 A)에 데이터가 취입된다. 이 바퍼메모리(79)에 취입된 데이터는 메모리(81)에 옮겨지고, 주메모리(81)는 반복 읽혀서 음극선관표시기(82)에 공급되고 화상으로 표시된다.
음극선관표시기(82)에 대한 제어는 다음과 같이해서 행하여진다. 발진기(83)에서의 출력신호가 분주회로(84)에서 음극선관표시기(82)의 선(수평)주사주기까지 분주되고, 그 출력은 선동기신호발생회로(85)에 공급되고, 이 출력이 표시기(82)에 공급된다. 또 분주기(84)의 출력은 면(수직) 동기신호발생기(86)에 공급되고, 이것에 의하여 분주되어서 면동기신호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표시기(82)에 공급된다.
이 표시기(82)의 1본의 표시선에 대응하는 정보가 바퍼 메모리(79)에 축적되고 1본의 표시선분의 정보가 상기한 바와 같이 주메모리(81)에 옮겨진다. 데이터 취입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바퍼메모리(79)에 옮기려면 표시기(82)의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데이터 취입카운터(55)의 출력 및 면동기신호 발생회로(86)의 출력펄스가 동기선출회로(87)에 공급된다. 이 면동기펄스신호는 즉 제6도 N의 게이트신호의 후연의 다음의 면동기펄스가 제6도 H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출된다. 동기 선출회로 (87)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JK플립플롭이고, 카운터(55)로 부터의 기입종료신호가 JK플립플롭(FF1)의 J단자에 공급되고, 플립플롭(FF1)의 Q단자는 고레벨로되고, 이것이 JK플립플롭(FF2)의 클리어단자(CL)에 공급되고, 이 플립플롭(FF2)은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플립플롭(FF2)의 JK단자에 면동기신호발생회로(86)로 부터의 면동기펄스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입종료펄스의 다음의 면동기펄스에 의하여 플립플롭 (FF2)은 세트되어서 Q단자의 출력이 고레벨로 되고, 그출력이 플립플롭(FF3)의 클리어단자(CL)에 공급되어서 이 플립플롭이 동작가능하게 된다. 플립플롭(FF3)의 J단자에 면동기펄스의 반전펄스가 부여되고 있으며, 그상승, 요컨대, 면동기펄스의 후연으로 플립플롭(FF3)이 세트되고, 그 출력에 의하여 플립플롭(FF1)(FF2)이 리세트되고, 이것에 의하여 플립플롭의 단자가 저레벨로되고, 플립플롭(FF2)의 Q단자가 저레벨로되고, 이 Q단자에서 기입종료신호의 직후의 면동기펄스의 후연위치의 펄스가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이 선출된 면동기펄스에 의하여 게이트신호 발생회로(88)가 구동되고, 이회로(88)에서 제6도 P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호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하여 분주회로(89) 및 데이터독출카운터(91)가 동작상태로 된다. 분주회로(89)에는 분주회로 (84)로 부터의 선동기 신호가 공급되고, 이 분주회로(89)의 분주비는 표시폭 선택 스위치(92)의 선택에 의하여 변경된다.
이 스위치(92)의 고정단자는 예컨대 a-d의 4개가 있고, 그 a에 접속되어 있는 때에는 분주회로(89)의 분주비는 1/8로 되고, b에 접속되는 경우는 분주비 1/4, c에 접속되는 경우는 1/2로 되고, d에 접속되는 경우는 분주회로(89)에 접속되지 않고, 이 선택독출수단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이다.
고정단자(a-c)의 각 NOT 출력은 OR회로(93)에 공급되고,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가 클리어되고, 회로(88)의 출력은 저레벨로 유지된다
표시폭 선택스위치(92)에 있어서 단자 a를 선택 하였을 때에는 선택한 1개의 데 이터가 표시기(82)의 1본 표시선으로서 표시되고, 요컨대 전폭에 걸쳐서 표시되고, 단자 b를 선택한 경우는 1/2의 폭으로, 단자 c를 선택한 경우는 1/4의 폭에 각기 표시되도록 동작한다.
분주회로(89)의 분주출력은 독출카운터(91)에서 계수되고, 이 카운터(91)는 데이터취입카운터(55)등과 마찬가지로 256펄스로 풀카운트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표시폭선택스위치(92)는 선택독출수단을 선택하는지 또는 않는지의 스위치도 겸한 것으로, 스위치(92)가 단자 d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이 선택독출 수단은 선택되지 않는 경우로, 게이트신호 발생회로(88)의 출력은 고레벨로 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택독출수단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92)는 단자(a-c)의 어느것인가에 접속되고 분주회로(89)에서 분주출력이 얻어지고, 이 출력펄스를 카운터(91)가 계수할 뿐 아니라, 그 선택독출수단(74)과 대응하는 데이터취입메모리(34)가 구동되고, 이것으로부터 데이터가 읽어지고, 그 읽어진 데이터는 OR게이트(94)를 통하여 바퍼메모리(79)에 공급된다.
바퍼메모리(79)에 대한 기입은 분주회로(89)의 출력펄스중의 가장 느린 펄스와 등기하여 행하여 진다. 즉 분주회로(84)로 부터의 펄스는 분주회로(95)에서 1/8로 분주되고, 그 분주출력은 OR회로(96)를 통하여 바퍼메모리(79)에 공급되고, 그 제어에 의하여 OR회로(94)로부터 데이터가 바퍼메모리(79)에 기입된다.
이 기입은 제어하기 위하여 동기검출회로(87)의 출력은 게이트신호발생회로 (97)에도 공급되고, 이것에 의하여 제6도 Q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호가 발생하고, 이 게이트신호의 출력에 의하여 분주회로(95) 및 카운터(98)가 동작상태로되고, 카운터 (98)는 분주회로(95)의 출력을 계수하고 이것이 소정수, 이 예에서는 256을 계수하면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97)가 제어되어서 그 출력이 저레벨로 된다.
선택독출수단(76)(76)(77)(78)은 선택독출수단(74)과 대략 동일구성을 취하고, 따라서 각기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 분주회로(89), 독출카운터(91), 표시폭 선택스위치(92), OR회로(93)를 가지며, 더우기 이들은 같은 접속관계로 되어 있다.
다만, 동기검출회로(87)대신에 선택회로(99)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선택독출수단(75 내지 78)의 각 선택회로(99)는 순차 접속적으로 접속되고, 그 전단에 동기검출회로(87)가 접속된다.
또 OR회로(93)의 출력은 인버터(101)를 통하여 차단의 선택회로(99)에 공급되고, 또 독출이 끝난 것을 표시하는 카운터(91)의 출력 및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의 출력도 차단의 선택회로(99)에 공급된다.
선택회로(99)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단의 인버터(101)의 출력이 저레벨일 때, 즉 전단에 있어서의 표시폭 선택스위치(92)가 단자(a-c)의 어느것인가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게이트(102)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전단의 선택독출수단의 동기검출회로(87) 또는 선택회로(99)의 출력은 게이트(102)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표시폭 선택스위치가 단자(d)에 선택되고, 즉 선택독출수단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그 선택 독출수단의 인버터(101)출력은 고레벨로되고, 게이트 (102)는 열려서 전단의 선택회로(99) 또는 선택해독수단(75)의 경우에 있어서는 동기검출회로(87)로부터의 기동신호는 게이트(102)를 통하여, 또한 OR게이트(103)를 통하여 선택회로(99)의 출력으로 된다.
한편, 표시폭 선택스위치(92)가 단자(a-c)의 어느것인가에 선택되는 경우에 있어서 게이트(10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닫히고 전단의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의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104)가 열린다. 독출카운트끝(91)의 출력펄스는 게이트(104)를 통하여, 또한 OR게이트(103)를 통하여 출력으로 된다.
요컨대, 선택독출수단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단으로부터의 기동신호는 게이트(102)(103)를 통하여 차단의 기동신호로서 송출되고, 표시폭선택스위치 (92)가 단자(a-c)의 어느것인가에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독출카운터(91)의 풀카운터 출력이 기동신호로서 차단에 공급된다.
예컨대, 기동신호는 제10도A와 같이 주어지고, 이것에 의하여 게이트신호 발생회로(88)의 출력이 제10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레벨로되고 선택스위치(92)가 단자(a)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분주회로(89)의 분주비가 가장 크고, 독출카운터(91)가 풀카운터 되어서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로부터의 게이트신호가 제10도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났다고 한다면, 표시선택 스위치(92)를 단자(b)에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는 분주회로(89)의 분주비는 1/4로 되기 때문에, 그 출력주파수는 스위치 (92)가 단자(a)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2배로 되고, 따라서 2배의 속도로 카운터(91)의 출력이 풀카운터로되고,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의 출력폭은 제10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0도B의 1/2로 된다.
지금 선택독출수단(74)에 있어서 스위치(92)는 단자(B)에 설정되고, 선택독출수단(75)에 있어서 선택스위치(92)는 단자(c)에 접속되어 있다고 한다면, 선택독출수단(75)의 선택회로(99)의 게이트(104)를 전단의 독출카운터(91)의 풀카운트 출력이 통과하여 그 게이트신호발생회로(88)의 출력은 제10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고,분주회로(89)의 분주비는 1/2로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이때의 선택독출수단(74)의 독출카운터(91)의 계수속도의 2배의 속도로 카운터(91)가 풀카운트로되고, 제10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회로(88)의 출력신호는 저레벨로 된다.
이 신호의 끝에 있어서 선택독출수단(76)이 구동되고, 그 표시폭선택스위치 (92)가 단자(c)에 설정되어 있으면, 그 게이트신호 발생회로(88)는 마찬가지로 하여 제10도E에 표시한 바와같이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분주회로(95)는 분주회로(98)에 있어서의 분주비가 가장 큰 경우와 동일하게 선택되고, 그리고 카운트(89)의 풀카운트는 카운터(91)의 그것과 동일하게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바퍼메모리(79)에 대한 기입시간은 제10도B에 표시한 선택스위치(92)가 전폭(全幅)단자(a)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게이트 신호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선택독출수단(74)(75)(76)의 표시폭선택 스위치(92)가 각 단자(b)( c)(c)에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선택독출수단(74)(75)(76)의 각 게이트신호발생회로 (88)에서 제10도C,D,E,에 표시하는 출력이 발생하고, 이들의 기간에 있어서 대응하는 데이터취입메모리(34)(35)(36)의 데이터가 각기 모두 읽혀져서 바퍼메모리(79)에 기입된다.
바퍼메모리(79)에는 메모리(34)의 내용이 제10도F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1/2의 부분에 105로서 기입되고, 메모리(35)(35)의 각 내용은 각기 1/4의 부분(106)(1 07)으로서 기입된다.
실제로는 메모리(34 내지 36)(79)의 각 용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바퍼메모리( 79)에 기입할 경우 압축률에 응하여 데이터가 띠엄 띠엄 빠져서 바퍼메모리(79)에 기입되게 된다.
이리하여 바퍼메모리(79)에 옮겨진 표시기(82)의 1본의 표시선분의 정보는 주메모리(81)에 옮겨진다.
주메모리(81)는 음극선관표시기(82)의 일화면분의 용량을 가진 예컨대 시프트레지스터이다.
발진기(83)의 출력이 클록발생기(111)에 주어지고, 이것으로 부터의 클록에 의하여 주메모리(81)는 시프트되고, 그 출력은 음극선 관표시기(82)에 공급됨과 동시에 게이트(112), 더우기 OR게이트(113)를 통하여 주메모리(81)에 귀환된다. 이에는 음극선관표시기(82)의 1선주사선분을 1본의 표시선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로 데이터 취입부로부터의 데이터를 바퍼메모리(79)에 옮기는 것이 끝나면 카운터(98)가 풀카운트되고, 그 출력(제11도A)이 게이트신호발생기(114)에도 부여되고, 이것으로부터 제11도에 표시할 바와 같이 게이트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에 의하여 게이트(115)가 열리고, 바퍼메모리(79)의 출력이 게이트(115)(113)를 통하여 주메모리(8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신호신호발생회로(114)에서 게이트신호에 의하여 분주회로(116) 및 카운터(117)가 동작상태로되고, 분주회로(116)에서 발진기(83)의 출력이 분주되어서 클록발생기(111)의 클록신호와 동일속도의 클록신호가 얻어진다. 이 클록신호는 OR회로(96)를 통하여 바퍼메모리(79)의 독출클록으로서 주어진다. 따라서 이 바퍼메모리( 70)로부터의 독출클록과 메모리(81)의 기입클록과는 동기한 상태로 된다.
카운터(117)가 1주사선분의 화소(畵素), 또 에예에 있어서는 256을 계수하면, 풀카운트로되어서 게이트신호발생회로(114)가 제어되어서, 그 출력이 저레벨로되고, 분주회로(116) 및 카운터(117)의 동작이 정지한타.
카운터(98)의 출력은 게이트신호발생회로(118)에도 공급되고, 이 출력은 제1 1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레벨로되고, 이 출력에 의하여 카운터(119)가 동작상태로 되어서 분주회로로(84)부터의 선주사주파수의 신호가 이 카운터(119)에서 계수된다. 카운터(119)는 표시기(82)의 1화면에 있어서의 선주사선분의 수를 계수하면 풀카운트로 되고,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118)의 출력이 저레벨로되고, 카운터 (119)의 동작도 정지한다.
따라서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18)에서 제11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1화면분의 길이의 고레벨출력이 얻어진다. 이것과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14)의 제11도B에 표시한 출력은 인버터(121)에서 반전한 것과의 논리적인 회로(122)에서 포착되고 이것에 의하여 제11도D에 표시하는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에 의하여 게이트(123)가 열리고, 제메모리(81)의 출력은 1선 주사선분의 지연회로(124)를 통하여, 또한 게이트(1 23) 및 게이트(113)를 통하여 주메모리(81)에 귀환된다.
이와 같이하여 주메모리(81)에 바퍼메모리(79)보다 새로운 정보가 입력되면, 그 때까지의 주메모리(81)중의 가장 새로운 정보는 지연회로(124)에 의하여 1선주사선분만큼 늦어진 주메모리(81)에 되돌아가게 된다. 게이트회로(123)는 게이트회로(1 15)가 열리고서, 즉 바퍼메모리(79)에서 주메모리에 대하여 정보의 전송이 행하여지기 시작된 후 1화소 주사기간후에 닫힌다.
따라서 바퍼메모리(79)의 정보를 주메모리(18)에 옮길 때 가장 오래된 1본의 표시선의 정보는 지연회로(124)에 옮겨져 버리고, 주메모리(81)에서 소거되게 된다. 게이트회로(112)에 대해서는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18)의 출력을 인버터(125)에서 반전힌 제11도E에 표시하는 신호가 부여되고, 바퍼메모리(79)에서 주메모리(81)로 정보 전송을 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게이트(112)만이 열려져 있다. 또 클록발생기 (111)에 면동기신호 및 선동기신호가 공급되고, 표시기(82)의 전자비임 귀선구간은 클록신호의 발생이 정지되게 된다.
음극선관표시기(82)는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칼라표시기로서, 주메모리(81)의 출력은 칼라매트릭스회로(127)에서 이것이 입력된 디지털 정보의 레벨에 응한 색신호를 내는 것으로, 표시기(82)의 적색을 제어하는 전자총을 제어하기 위한 진폭(강도)1의 단자(R1), 진폭 2의 단자(R2), 또 녹색을 제어하는 진폭 1의 단자(G1), 진폭 2의 단자(G2), 또 청색을 제어하는 진폭 1의 단자(B1), 진폭 2의 단자(G2), (B2)를 가지며, 주메모리(81)에서의 입력의 디지탈정보에 응하여 이들 6개의 단자내의 어느 1개 또는 2개의 출력이 발생한다.
또 색의 종류를 증가하기 위하여 동일색의 경우에 있어서도 밝은 경와어 두운경우와의 제어를 행한다. 즉, 입력되는 디지털정보의 최하위비트가 표시기(82)의 휘도제어단자에 공급된다. 주메모리(81)의 출력 4비트정보(B₄,B₃,B₂,B₁)와 칼라매트릭스회로(127)의 출력단자와의 관계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관계로 된다.
이와 같은 칼라매트릭스회로(127)는 주메모리에서의 디지탈입력을 제12도의 관계의 출력이 발생하도록, 예컨대, 다이오드매트릭스회로를 짜 맞춤으로서 용이하게 달성된다. 최하위비트(B1)가 0일때는 어둡고, 1의 경우에는 밝게 음극선관을 휘도 변조한다.
그 결과 이 예에서는 해저에 있어서와 같은 강한 레벨의 반사신호 1111은 적색으로, 무반사의 상태 0000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어군에 있어서와 같이 중간레벨의 반사신호 1010은 황색으로 표시되고, 비교적 눈에 띄는 표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반사신호를 그 레벨에 응한 다른 색으로서 표시기에 표시함으로서 작은 레벨차도 판별될 수 있지만, 표시기(82)의 표시를 보고 불필요한 성분의 색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표시화상의 해석을 한층 정확히 행할 수 있게할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예컨대,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메모리(81)와 칼라매트릭스회로(177)와의 사이에 색선택회로(205)가 삽입되고, 주메모리(81)의 출력, 예컨대 4비트의 2진 디지털신호는 디코오더(206)에서 그 크기에 응하여 출력단자(t1 내지 t16)의 1개의 출력이 얻어지도록 디코오드 된다. 색선택회로(205)내의 게이트회로(GF1 내지 GF16)에 단자(t1 내지 t16)의 출력이 각기 공급됨과 동시에 게이트회로(GF1 내지 GF16)의 다른 쪽의 입력은 각 스위치(S1 내지 S16)를 통하여 접지된다. 게이트회로 (GF1 내지 GF16)의 각 출력은 엔코오더(207)에 공급되고, 다시 4비트의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서 칼라매트릭스회로(177)에 공급된다.
예컨대, 초기상태에서는 스위치(S1 내지 S16)를 모두 오프로하여, 게이트회로 (GF1 내지 GF16)는 모두 통과 가능하게하고, 요컨대 주메모리(81)의 출력이 그대로 칼라 매트릭스회로(177)에 공급되는 경우와 동일상태로서 표시기(82)위의 표시를 관찰하고, 스위치(S1 내지 S16)의 1개 내지 복수를 선택적으로 온으로 하여 수신신호중의 플랑크톤에 대응하는 레벨을 제거함으로써 플랑크톤중의 어군을 명확히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조작에 익숙해지면 처음부터 스위치(S1 내지 S16)중의 반사수신신호중의 불용레벨성분에 대한 것을 온으로 하여 정확한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표시가 즉시 얻어질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표시기(82)에 있어서의 표시면을 양단이 다스크에 의하여 숨겨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각 선택독출수단에 있어서의 스위치(92)를 전폭위치(a)에 설정했을 때에 분주회로(89)의 출력의 펄스를 분주회로(95)의 출력펄스보다도 약간 고속도로하여 예컨대, 데이터 취입메모리(34)를 모두 바퍼메모리(78)에 기입했을 때에 바퍼메모리(79)에는 90%정도밖에 충족되지 않도록할 수가 있다. 혹은 상하, 좌우방향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표시가 숨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클록발생기(111)에 있어서의 클록의 정지기간을 약간씩 짙게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서는 주메모리(81)로서 시프트레지스터부(F1 내지 Fn)를 직렬로 접속하고, 그 직렬 접속내에서 데이터를 순환시켰으나, 각 시프트레지스터 (F1 내지 Fn)내에 있어서 각기 순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것에 있어서는 표시기(82)에 있어서 그 1본의 표시선을 1본의 선주사선으로 표시하였지만 선주사선과 직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망모니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취입에 대하여 기술한다. 망모니터에 대해서는 제7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망(引網)(39)의 개구부 부분에 있어서 망모니터 (41)의 상측과 하측에 대한 탐지가 시분할적으로 행하여 진다. 예컨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탐지구간(Tu)과 하측탐지구간(Tl)과가 교호로 나타나고 이들의 구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측단자구간(Tl)의 쪽이 길게 선택되어 있다.
이 망모니터에서의 정보는 그 송신트리거를 나타내는 상기 펄스(Psu)(Psl)가 부(負)의 펄스로서 주어지고 이에 대하여 어군등의 반사신호(128)나 해저로부터의 반사신호(129)등은 정(正)의 펄스로서 주어진다.
제4도의 상측동기검출회로(130)에 의하여 상측동기펄스(Psu)가 검출되고, 하측동기검출회로(131)에서 하측동기펄스(Psl)가 검출된다. 망모니터에 있어서는 탐지거리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각 송신트리거주기도 짧으므로 어군탐지기 측에 대한 데이터의 취입이 종료한 뒤에, 이 망모니터에 대한 데이터취입을 행하면 이에 대한 데이터의 취입을 주메모리(81)에 대하여 행하기전에 망모니터에 대한 데이터취입메모리의 내용이 도중의 상태로 바뀌어서 쓰이어지는 일이 생길 염려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바퍼메모리(79)에 옮긴 것이 끝난 것을 나타내는 카운터(98)의 출력이 얻어지면, 그 직후의 동기펄스(Psu)(Psl)를 검출하여 이것에 계속되는 데이터를 각기 데이터취입메모리(46)(47)에 취입한다.
즉, 상기 데이터취입부(44)에 있어서는 동기검출회로(132)에 의하여 카운터 (98)의 출력펄스의 직후의 상측동기 펄스(Psu)를 검출하고,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33)의 출력이 고레벨로 된다. 그 출력에 의하면 분주회로(134) 및 카운터(135)는 동작상태로 된다.
분주회로(134)는 기입폭 설정스위치(136)에 의하여 그 분주비가 변경되고, 발진기(12)로부터의 신호를 카운터(135)에 공급한다. 카운터(135)는 1본의 표시선분의 화소수, 256개를 계수하면,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33)의 출력을 저레벨로 제어하고, 분주회로(134) 및 카운터(135)의 동작을 정지한다.
분주회로(134)의 출력은 업다운카운터(up-down counter)(137)에 공급되어서 업다운카운터되고 그 업다운카운터(137)의 내용을 어드레스(address)로하여 망모니터에 대한 수신기(42)의 출력을 디지털 A/D변환하는 변환기(48)의 출력이 데이터 취입메모리(46)에 기입된다. 이 데이터취입메모리(46)는 소위렌덤악세스메모리 (ran dom access memory : RAM)이다.
이 메모리(46)에서 데이터를 취출할 경우, 요컨대 선택독출수단(76)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그 분주회로(89)의 출력을 업다운카운터(135)에서 다운카운트하고, 그 내용에 의하여 메모리(46)의 출력을 읽는다. 요컨대, 이와 같이 해서 기입된 데이터중의 가장 새로운 데이터에서 읽고, 요컨대 데이터의 순이 역전된다.
이것은 망모니터의 상측에 대한 탐지신호는 발진트리거보다 느린 수신정보일수록 해면에 가까운 것으로 부터의 반사신호이기 때문에, 이것에 맞도록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마찬가지로 망모니터의 하측탐지데이터취입수단(45)에 대해서도 상측의 동기펄스(Psu)에 계속되는 정보를 메모리(46)에 기입했을 때의 상측동기펄스(Psu)의 직후의 하측동기펄스(Psl)를 동기검출회로(138)에서 검출하고, 그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신호발생회로(139)의 출력을 고레벨로서 분주회로(141) 및 카운터(142)를 동작상태로 하고, 이 분주회로(141)에서 발진기(12)로부터의 신호를 분주하여 카운터(149)에 공급한다.
그 분주비는 스위치(143)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되고, 또 분주출력은 OR회로(144)를 통하여 데이터취입메모리(47)를 구동하고, A/D변환기(48)의 출력이 이것이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측의 탐지정보가 메모리(47)에 기입되고, 카운터(142)는 1표시선분의 화소수를 헤아리면 풀카운트로 되어서 게이트신호 발생회로(139)를 제어하고, 그 출력을 저레벨로하여 동작이 정지된다. 이 데이터취입메모리(47)의 데이터는 선택독출수단(78)에 의하여 독취된다. 이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표시면의 상반부에 어군탐지기에서의 정보의 표시를 행하고, 하반부에 네트모니터의 표시를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군탐지기의 송수피기(23)와 네트모니터 (41)와는 거리(L1)만큼 떨어져 있지만,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구성에 의한 표시를 행하면 표시면상에 있어서는 동일 위치에 표시되게 된다. 표시면상에 이 거리(L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경시켜서 표시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6도에 그 요부만을 표시한 바와 같이 네트모니터의 상측데이터취입메모리(46) 및 하측데이터취입메모리(47)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의 OR회로 (44)와는 다른 OR회로(181)를 통하여 바퍼메모리(182)에 공급된다. 이 메모리(182 )에 기입은 제5도의 바퍼메모리(79)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분주회로(95)의 기입펄스가 OR회로(183)를 통하여 메모리(182)를 구동함으로써 행하여 진다.
앞에서의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독취수단(74 내지78)의 선택상태에 의하여 메모리(46)(47)의 정보가 바퍼메모리(182)에 전송된다.
한편 제5도에 있어서 바퍼메모리(79)에 대한 기입종료를 나타내는 펄스(제11도 A)가 카운터(98)에서 얻어지고, 이 펄스는 가변지연회로(184)에도 공급되어서 시간(D1) 만큼 지연된다. 이시간(D1)은 제7도에 있어서 네트모니터(41)와 송수파기 (23)와의 사이의 거리(L1)를 어선(3)이 항해하는데 필요로하는 시간으로 선정되고, 어선(37)의 항행속도나 로우프(38)의 길이를 변경함에 따라서 지연량(D1)을 변경할 수가 있도록 지연회로(184)는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지연된 제11도 F에 표시하는 펄스의 직후의 선동기펄스(제11도 G)를 제11도 H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기선택회로(185)에서 선택한다.
그 펄스에서 게이트 신호발생회로(186)를 구동하여 제11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선주사주기폭의 게이트신호를 만들고 이 게이트신호는 게이트회로(187)에 공급된다.
게이트회로(187)에는 바퍼메모리(182)의 출력, 게이트 신호발생회로(186)의 출력 및 단자(188)에서 네트모니터의 정보를 선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다.
이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는 제4도에 있어서의 선택독출수단(77)(78)의 각스위치(92)의 설정위치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한편, 클록발생회로(111)에서의 펄스가 OR 회로(187)를 통하여 바퍼메모리(182)에 독출펄스로서 주어지고, 그 메모리 (182)내의 정보는 순환유지되어있다. 게이트회로(187)가 제11도 I에서의 게이트신호에 의하여 열리게되면 바퍼메모리(182)의 출력이 게이트(187)를 통하고, 또 게이트(113)를 통하여 주메모리(84)에 전송된다.
이 경우 바퍼메모리(182)에는 선택독출수단(74 내지 78)에 대한, 앞에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약절반은 무신호이고, 뒤절반은 네트모니터로부터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모니터로부터 정보는 바퍼메모리(79)로부터의 정보에 대하여 시간(D1)만큼 늦어져 주메모리(81)로 전송되고, 따라서 표시면 위에 있어서 송수파기 (25)로 부터의 정보와 네트모니터(41)로부터의 정보가 거리(L1)에 대응한 분량만큼 움직여서 표시되고, 이들의 양정보 관계의 해석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의한 각종의 표시상태를 제14도 및 제15도를 참조하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14도에 있어서 표시기(82)의 선주사방향은 상하방향으로서, 가장 우측의 위치(151)가 가장 새로운 정보의 표시위치이고, 가장 오래된 정보의 표시는 가장 좌측의 위치(152)로 되도록 표시한 예이다.
이 표시화면의 가장 오른쪽의 표시에 대하여, 가장 왼쪽의 오래된 표시는 30분전의 정보로서, 이 30분전에 있어서는 레인지스위치(14)를 800m로 설정하고, 선택독출수단은 독출수단(74)만을 선택할 경우로, 이경우 해저의 표시(153), 어군의 표시(1 54), 또 발진선(155)이 나타나 있다. 심도(深度) 눈금(156)이 도면에 있어서 100m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화면의 최하부에 있어서 시간눈금(157)이, 예컨대 2분마다 점(dot)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시간눈금(157)에 대해서는 표시기(82)의 동작과 동기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발진기(83)의 출력이 시간 눈금발생기(159)에서 분주되고, 예컨대, 시간이 2분 경과할때마다 백색표시로되는 디지털신호가 OR 회로(94)를 통하여 바퍼메모리(79)에 표시선상의 가장 하측에 대응한 위치로 되도록 주어진다.
제14도의 표시에서 현재보다 19분전에 있어서 0내지 800m 범위의 탐지정보의 표시와, 그중의 400 내지 500m의 부분의 확대표시와를 병렬표시한 경우이다.
확대범위 400 내지 500m의 선택은 디코오더(58)의 출력을 확대치 선택스위치 (59)에서 선택하고, 또 그 확대폭, 즉 100m는 스위치(64)에 의하여 선택된다.
선택읽기수단(74)(75)을 선택하고, 이들의 표시가 각기 표시면의 상측절반과 하측절반에 표시되도록, 선택독출수단(74)(75)에서 표시폭 선택스위치(92)는 단자(b )에 설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취입메모리(34(에는 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 내지 800m의 정보가 1본의 표시선분으로서 취입되고 메모리(35)에는 그중의 400 내지 500m의 부분이 1본의 표시선분으로서 취입된다.
선택독출수단(74)에 의하여 메모리(34)의 내용이 압축되어서 바퍼메모리(79)의 앞절반의 부분, 제14도에 있어서 우측의 절반이 기입되고, 메모리(35)의 내용은 그 후반 부분에 압축하여 취입된다. 따라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저가 표시(161)로서, 또 어군이표시(162)로서 나타나고, 또 그 확대된 것이 해저(163), 어군(164)으로서 확대표시된다.
또, 이예에 있어서는 현재보다 11분전에 있어서 보통표시는 그대로하여 확대스위치(64)를 선택하고, 또한 확대율을 크게하고, 50m폭을 확대하여 확대위치선택스위치(59)를 선택하여 550m 내지 600m의 사이를 확대표시하도록 선택한 경우이다.
표시예로서 제15도에 표시된 것은 현재에서 20분전의 0내지 600m의 보통표시를 선택스위치(14)에 의하여 선택하고 그후 500 내지 600m 부분을 확대위치 선택스위치(59)에 의하여 선택하고, 그것을 선택독출수단(74)(75)을 선택하여 표시한 경우이고, 해저표시(161), 어군표시(162)의 확대표시가 해저표시(163), 어군표시(164)로서 각기 표시되어 있다.
선택독출수단(74)과 해저확대에 대한 선택독출수단(76), 또 망모니터정보에 대한 선택독출수단(77)(78)을 선택하여 이것들에 있어서 각기의 표시독선택스위치 (92)를 단자(c)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한 동작에 의하여 바퍼메모리(79)에는 메모리(34)와 메모리(36)(46)(47)의 각각의 정보가 1/4씩 압출되어서 기입된다. 따라서 표시화면 위에는 위의 1/4의 부분에 보통 표시가 행하여지고, 해저표시(171)가 표시되고, 해저확대 데이터 취업부로부터의 표시가 다음의 1/4의 부분에 있어서 그 해저를 표시하는 표시선(173)이 직선으로서 표시되고, 그위에 어군표시(172)와 대응한 표시(174)가 나타난다.
또 표시화면의 하반부의 상반부분에 있어서는 망모니터의 상측에 표시가 나타나고 그 망모니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175))와 그위에 어군(76)이 표시되고, 또 아래 부분에는 망모니터의 하측정보에 의하여 해저표시(171), 어군표시(178)가 표시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어군탐지기의 탐지상표시장치에 의하면 보통표시와 그 일부의 확대표시와를 나란히 하여 표시할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어군탐지기의 표시와, 네트모니터의 표시와를 나란히 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택독출수단(74 내지77)을 선택함으로서 각종의 표시므우드로 표시할 수 있지만, 그 경우, 선택독출수단의 선택회로(99)를 종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붙여지고, 그 우선도가 높은 것에 응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정해지며, 예컨대, 제3내지 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선택독출수단을 모두 선택상태로해도, 그 제1의 선택독출수단(74)의 설정 상태에 의하여 그 후단의 선택독출수단에 의한 독출표시할 수 있는가 어떤가가 결정되고, 요컨대, 그 스위치(92)가 전폭표시단자(a)에 설정되어 있으면 다른 선택독출수단으로부터의 정보는 선택되어 있는가 어떠한가에 관계없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 선택독출수단(74)에 있어서, 그것이 절반의 폭단자(b)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선택독출수단(75 내지 78)중의 선택상태에 응하여 그것들의 어느 것인가, 또는 그들의 조합된 정보가 선택표시된다.
이 우선순위의 결정은 상기예에 한하지 않고 임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해야할 데이터로 이것보다 많이 할 수도 있고 적게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주기적으로 초음파펄스를 수중에 방사하고 그 반사파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1)와, 그 송수신부(11)에 접속되고 반사수신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28)와, 상기 디지탈신호가 공급되고 1화면분의 기억용량을 가지며 반복 읽어지는 주메모리(81)와, 그 주메모리(81)의 출력이 공급되고 그 디지탈신호치에 용한 색신호로 변환하는 칼라변환회로(177)와, 그 색 신호가 공급되는 칼라를 곡선관표시기(82)와, 상기 A/D변환기(28)로 부터의 디지탈신호를 버퍼메모리(79)를 통하여 상기 주메모리 (81)에 전송하며 이 신호를 상기 표시기(82)의 표시면의 그 정해진 위치의 1본의 표시선으로서 표시하고 그때가지의 표시선이 순차 묵은 쪽으로 변경되어서 가장 묵은 표시선이 소거되도록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11)는 기준발전기(12), 상기 기준발진기의 발진출력을 분주하는 분주기(13), 채택된 탐지범위에 따라서 분주기의 분주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레인지 스위치(14) 및 상기 분주기의 출력으로부터 송신 펄스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15,16 ,17,18,19,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AD변환기(28)와 상기 버퍼메모리(79) 사이에 설치된 동일용량의 복수개의 데이터 취입메모리(34,35,36)에 대해 상기 AD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출력을 기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데이타취입부(28)(31,3 2,33)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취입메모리(34,35,36)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며 종속적으로 접속된 선택회로(99)가 선택된 경우에는 클록을 분주하는 분주회로(89)가 동작함과 동시에 기동신호에 의해 소정수의 클록신호를 발생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취입메모리를 판독하고 그 판독종료신호를 다음단의 선택회로(99)에 기동신호로서 송출하고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동신호를 다음단의 선택회로(99)에 통과시키는 선택판독수단 (74,75,76), 이들 선택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취입메모리로부터 꺼내진 판독데이터의 논리화를 취하는 OR회로(94), 및 상기 선택판독수단에서 판독 클록 신호중의 가장 늦은것과 거의 같은 속도로 상기 OR회로의 출력을 상기 바퍼메모리에 기입하도록 제어하는 바퍼메모리 기입제어 수단(95,96,97,98)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데이터 취입메모리 선택수에 따라 표시선 방향으로 분할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군탐지기의 탐지상 표시장치.
KR2019830002226U 1977-05-19 1983-03-14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KR840002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226U KR840002011Y1 (ko) 1977-05-19 1983-03-14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189A KR820000217B1 (ko) 1977-05-19 1977-05-19 어군 탐지기(魚群探知機)
KR2019830002226U KR840002011Y1 (ko) 1977-05-19 1983-03-14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189A Division KR820000217B1 (ko) 1977-05-19 1977-05-19 어군 탐지기(魚群探知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11Y1 true KR840002011Y1 (ko) 1984-10-06

Family

ID=2662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226U KR840002011Y1 (ko) 1977-05-19 1983-03-14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0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4609A (en) Fish-finder
EP04013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high speed data
JPS582628B2 (ja) 映像表示装置
US4024490A (en) Multibeam sidelooking sonar display system
KR840002011Y1 (ko)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의 탐지상 표시장치
KR890016834A (ko) 전자적으로 화상을 확대하여 촬영이 가능한 촬상 장치
US4553144A (en) Ground surveillance Doppler radar
JPS582627B2 (ja) 画像表示装置
KR820000217B1 (ko) 어군 탐지기(魚群探知機)
GB2047040A (en) Scan converter for a television display
JPS6134627B2 (ko)
JPH04308Y2 (ko)
JPS6333178Y2 (ko)
JPS6170482A (ja) 超音波探知表示方法
JPS61116679A (ja) 超音波探知表示方法
WO1980000275A1 (en) Search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S586153B2 (ja) 超音波探知表示装置
JPS643084Y2 (ko)
JPS634672B2 (ko)
JPS586152B2 (ja) 超音波探知表示装置
JP3231531B2 (ja) 探知表示装置
JPS62240885A (ja) 記憶後相関型超音波探知表示装置
JPS643083Y2 (ko)
JPS6255632B2 (ko)
SU14695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