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898B1 -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898B1
KR840001898B1 KR1019800004441A KR800004441A KR840001898B1 KR 840001898 B1 KR840001898 B1 KR 840001898B1 KR 1019800004441 A KR1019800004441 A KR 1019800004441A KR 800004441 A KR800004441 A KR 800004441A KR 840001898 B1 KR840001898 B1 KR 84000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terial
absorbent
block
solven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894A (ko
Inventor
히로다께 오가사와라
요시하루 하다께야마
미쯔오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세이도
야마모도 기찌베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요시다 시게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세이도, 야마모도 기찌베,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요시다 시게요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83000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894A/ko
Priority to KR101984000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1실시예의 장치의 부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의해 화장물질로 채워진 화장품 케이스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2실시예의 장치의 부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정면도.
제6도는 화장물질로 채워진 금속 케이스가 삽입된 화장품 케이스의 단면도.
제7-10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그의 일련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링형 호울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15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5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그의 일련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얕은 컵안의 공간과 같은 속이 빈 공간에 화장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케이스에 화장물질을 채워넣는 종래의 한 방법에서는, 결합제와 혼합한 분말 화장물질을 금속컵에 넘치도록 담고, 다음에 그 컵내의 화장 물질을 고화 시키기 위해 컵의 상부에 압력을 가한다. 그런 다음에 금속컵을 화장품 케이스의 요홈부내에 넣고 그에 부착시킨다. 종래의 다른 방법에서는 결합제와 혼합되고 용제에 용해된 화장 물질을 전술한 형태의 금속컵에 붓거나 화장품 케이스의 요홈공간에 바로 부은 다음 화장물질을 고화시키기 위해 용제를 증발 건조시킨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서는, 압력이 가해질때 분말화장물체의 일부가 금속 컵으로부터 흘러 넘쳐 분산된다. 따라서 충전 작업장 주변이 더러워질뿐만 아니라 화장물질의 많은량이 손실된다. 또한 금속컵이 압력으로 변형되어 화장품 케이스에 들어맞지 않게될 수도 있다.
한편, 후자의 방법에서는 용제의 증발후에 고화된 화장물질 표면이 오목하게 되는 변형 고화된 화장물질의 균열성 및 고화된 화장물질의 수축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화장물질이 헐겁게 되어 금속컵이나 화장품 케이스의 요홈공간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서술한 종래 단점이 없이 속이빈 공간에 화장물질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물질과 섞인 용제를 빨리 증발시킴에 의해 속이빈 공간에 화장물질을 신속하게 채워넣을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분말 화장물질을 봉상(棒狀)으로 성형한 다음 원통형 케이스에 넣을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장물질을 속이빈 공간에 채워넣기 위한 방법은 분말화장물질을 결합제 및 용제와 혼합하여 유동성을 갖는 화장물질을 준비하고 이화장물질을 미리 정해진 압력하에 다공성흡수재로 밀폐한 속이빈 공간에 주입하고 이압력을 밀폐된 공간이 화장물질로 채워진 후에도 상기 압력을 일정 기간동안 유지하여 화장물질 내의 용제가 흡수재에 흡수되고 분말 화장물질이 밀폐된 공간내에서 고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공성 흡수재로부터 고화된 화장물질을 분리시킨 후, 그 흡수재내의 용제를 증발제거하기 위해 흡수재에 열풍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 대신에 흡수재내의 용제를 추출하기 위해 흡수재에 진공을 부여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장물질을 속이빈 공간에 주입시킬때, 속이빈 공간의 외부로부터 다공성 흡수재에 진공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폐쇄된 속이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다공의 흡수성 블록, 밀폐된 속이빈 공간에 분말화장 물질을 결합제 및 용제와 혼합하여 만들어진 화장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수단, 속이빈 공간내에서 고화된 화장물질로부터 흡수성 블록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 및 고화된 화장물질로부터 상기 블록을 분리시킨 후 그 블록으로부터 흡수된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의 이해증진을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의 구체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2도에 화장물질을 직접 화장품 케이스(2)의 속이빈 용기(1)에 채워넣기 위한 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1)은 중앙 격벽(4)에 의해 두개의 요홈부(3, 3)으로 분리된다. 각 요홈부(3)은 저부를 관통하는 구멍(5)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하여 다른 색깔의 화장물질이 후술되는 바와같이 요홈부내에 주입될 수 있다. 화장품 케이스(2)의 용기(1)은 지지블록(6)에 의해 지지된다. 즉, 용기(1)은 지지블록의 오목한 부분내에 꼭맞게 수용된다. 이 지지블록(6)은 용기(1)의 구멍(5, 5)와 통하는 관통 구멍(7, 7)을 저부에 가지고 있다. 지지블록(6)의 구멍(7, 7)에는, 상단부가 용기(1)의 구멍(5, 5)에 결합하는 한쌍의 노즐(8, 8)이 삽입된다.
이들 노즐(8, 8)은 공기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 장치같은 압력 유체 공급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되어, 결합제 및 용제와 섞인 분말화장물질(9)가 충전 공정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일정압력하에 공급된다.
지지블록(6)위에는, 화장물질속의 용제를 흡수하기 위해 장치(10)이 제공되어 있다. 그 장치(10)은 압지블록이나 고분자 분말물질의 소결된 블록과 같은 다공물질의 흡수성 블록(11)을 포함한다. 흡수성 블록(11)은 그의 상부 중앙부에 오목한 공간(12)를 가지며, 이 공간은 수직의 주위벽으로 둘러싸이고 위에는 호울더판(13)이 부착되어 공간(12)를 폐쇄한다. 호울더(13)은 각이진 통로(14)를 통하여 흡수성 블록(11)에 있는 오목한 공간(12)는 외부 가열기 및 팬(도시안됨)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흡수성 블록(11)내용제를 건조시키고 저할 때 열풍이 통로(14)를 통하여 가열기 및 팬으로부터 오목한 공간(12)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호울더판(13)은 그 판(13)과 흡수성블록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공기 실린더(15)에 연결된다. 흡수성블록(11)의 저부 표면은 요철부(16)을 갖는 것이 좋으며, 그 요철부의 기능은 뒤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흡수성 블록(11)과 지지블록(6) 사이에는 시이트 네트(net) (17)이 제공되며, 이 네트는 한쌍의 로울러(18)과 와인더(19)사이에 연장하여 있고 간헐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장치에 따른 방법에서 먼저 화장품 케이스(2)의 용기(1)은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지지블록(6)이 시이트네트(17) 및 흡수성 블록(1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안 지지블록(6)의 오목한 부분내에 배치된다. 다음에 공기실린더(15)의 작용에 의해 그 실린더에 연결된 호울더판(13)과 흡수성블록(1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1)이 네트(17)을 사이에 두고 지지블록(6)상에 압박되게 한다. 이렇게 해서, 용기(1)의 속이빈 공간(3, 3)은 시이트 네트(17)과 흡수성 블록(11)로 완전히 덮인다. 그리하여, 블록(11)과 용기(1) 사이에 주형 공동부(mold cavity)를 갖는 주형 구조물이 형성된다. 다음, 표면 활성제, 오일 또는 지방과 같은 결합제와 에틸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또는 이소파라핀과 같은 용제 25-65%중량%를 분말화장물질과 혼합하여 만들어진 화장물질이 지지블록(6)의 구멍(7, 7)에 삽입되고 용기의 저부구멍(5, 5)에 압력하에 결합되는 노즐(8, 8)에 의해 저부구멍(5, 5)를 통해서 용기(1)의 밀폐된 속이빈 공간 즉, 요홈부(3, 3)내에 주입된다. 각기 다른 색의 화장물질은 두개의 노즐(8, 8)을 통해 각각의 속이빈 공간(3, 3)에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압력은 4-6kg/㎠정도가 적절하며, 이 이상의 압력은 용기(1)과 네트(17)과 흡수성 블록(11)사이의 경계면으로부터의 주입화장물질의 바람직하지 못한 누출을 야기한다.
화장물질의 상기와 같은 주입에 의해, 그 물질내의 용제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다공의 흡수성 블록(11)내로 흡수된다. 이때, 주입압력은 4-6kg/㎠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흡수성 블록(11)에서의 모세관 작용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화장물질의 용제가 흡수성 블록(11)에 거의 다 흡수된다 할지라도 용기(1)내의 화장물질의 체적은 노즐(8, 8)로부터 연속적으로 화장물질이 충전되기 때문에 변화가 없다. 실험에서 화장물질내의 용제의 60-70%가 5-10초안에 흡수성블록(11)에 흡수되고 용기내 주입된 화장물질이 상기 시간안에 거의 완전히 고화됨을 알 수 있다.
흡수성 블록에 흡수되지 않고 주입된 화장물질에 남아있는 소량의 용제(약 7.5-14%중량)는 자연적인 시간 경과에 따라 대기중으로 증발한다.
이렇게해서, 종래의 방법에서 필요로 하던 건조공정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용기(1)에서 주입된 화장물질이 고체화되는 일정시간이 지난후에, 호울더판(13)과 흡수성 블록(11)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시이트 네트(17)위의 높이까지 공기실린더(15)의 작용에 의해 올려진다. 다음 외부 가열기와 팬(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으로부터 각이진 통로(14)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흡수성 블록의 오목한 공간(12)에 열풍을 공급한다. 오목한 공간(12)내에 주입된 열풍은 다공의 흡수성 블록(11)을 통과하여 흡수성 블록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수성 블록(11)에 흡수된 용제는 열풍과 함께 흡수성 블록의 외부로 빠져나가 즉시 증발되어 흡수성 블록(11)은 완전히 건조된다. 다음에 시이트 네이트을 일정길이 만큼 와인더로 감아서 흡수성 블록(17)과 지지블록(6) 사이에 사용하지 않은 시이트 네트(11)이 오도록 한다.
용기(1)의 오목한 부분(3, 3)에 화장물질(9)를 충전시킨 것이 제3도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화장물질상에 네트 무늬(17a)가 형성되어 화장물질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그 요철무늬는 장식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이트 네트(17)뿐만 아니라 흡수성 블록(11)상의 요철부(16)을 제거하거나 생략하는 것이 어떤 문제점이 없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열풍은 흡수성 블록에 흡수된 용제를 증발시키기 위해 공급된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성 블록의 오목한 공간에 열풍대신 진공이 부여된다. 즉, 호울더판(13)안의 각이진 통로(14)는 외부 진공원(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다. 작동시 흡수성 블록(11)을 건조시키기 위해 진공원으로부터 흡수성블록안의 오목한 공간(12)에 진공이 부여된다. 따라서, 흡수성 블록(11)내의 용제는 제4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오목한 공간층(12)의 내부로 빨아들여져 증기로서 외부로 방출된다. 제2실시예의 다른 구조와 작동은 대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따라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제 5 도에 나타난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의 참조번호는 제1실시예의 같은 부분과는 같게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호울더판(13)내의 각이진 통로(14)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수성 블록의 오목공간내에 진공을 부여하기 위해 외부 진공원(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과 연결된다.
그러나, 제3실시예에서의 진공은 제5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시이트 네트(17)을 사이에 두고 지지블록(6)에 대해 흡수성 블록(11)이 압축되는 동안 부여된다. 이러한 진공부여에 의해, 흡수성블록(11)내의 용제의 흡수가 상당히 촉진되고, 용기(1)의 오목부분(3, 3)안의 화학물질의 고화가 매우 신속하게 일어난다. 흡수성블록(11)에 흡수된 용제의 증발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수성블록(11)의 오목한 공간(12)에 열풍을 압력하에 가하거나 또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진공을 부여하는 것이 지지블록으로부터 상방으로 흡수성블록(11)을 분리시킨 후에도 가능하다. 제3실시예의 다른 구조와 작동은 대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설명과 같고 따라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3실시예에서 화장품 케이스(2)의 용기(1)은 직접 저부구멍(5, 5)를 통하여 화학물질(9)로 채워진다. 그러나 화장품 케이스의 용기(1)대신에 그 용기의 오목부분(3, 3) 및 저부구멍(5, 5)와 같은 오목부분(3a, 3a) 그와 저부구멍(5a, 5a)를 가지는 얕은 금속컵이 지지블록(6)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 그 금속컵은 상기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학물질로 채워지고 그후 제6도와 도시된 금속컵(20)이 화장품 케이스(2)의 용기(1)의 요홈부내에 꼭맞게 삽입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다른 개선점으로, 밀폐된 속이빈 공간에 화학물질을 주입하기 위해 저부구멍(5, 5)와 (5a, 5a)대신에 용기 또는 금속컵의 측벽을 관통하는 구멍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화학물질은 상부 개구단부를 가진 U자형 단면의 속이빈 공간내에 채워넣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공간의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분말화학 물질을 봉상(棒狀)으로 형성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제7도-11도의 제4실시예는 분말화장 물질을 원통형의 빈공간에 주입시킴에 의해 그 화장물질을 봉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방법과 장치를 나타낸다.
제7도-11도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흡수성 원판(22)에 의해 상단부에서 폐쇄된 속이빈 원통형의 흡수성 블록(21)을 포함한다. 흡수성 블록(21)과 원판(22)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다공 재료로 만들어진다. 흡수성 원판(22)는 속이빈 원통형 흡수성블록(21)의 내부 직경과 사실상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고 있고, 블록(21)의 축방향의 속이빈 공간(23)내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흡수성원판(22)는 공기노즐(24)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이 공기노즐은 공기 실린더(25)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공기 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흡수성원판(22)는 축방향의 속이빈 공간(2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공기노즐(24)의 하단부는 흡수성 원판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흡수성 블록(21)의 하부내측단부는 환상의 요홈부를 제공하도록 환상으로 절삭되어 있고, 이 환상요홈부내에, 얕은 컵 모양의 호울더(26)형태의 케이싱 구조물이 꼭맞게 설치된다.
이 호울더(26)은 그의 저부에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안에 주입노즐(27)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컵모양의 호울더(26)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주벽을 관통하는 다수의 창문구멍(26a, 26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블록(21)과 원판(22)의 주위에, 거꾸로된 컵 모양의 프레임(28)이 설치된다. 이 프레임(28)은 그의 하단부를 제외하고는 블록(21)과 원판(22)로부터 떨어져 있어 이들 사이에 밀폐된 공간(29)를 형성한다. 프레임(28)은 그의 대향측벽을 관통하는 한쌍의 공기구멍(30, 30)을 가지고 있다. 이들 공기구멍(30, 30)과 공기노즐(24)는 전환밸브(도시안됨)를 통해서 진공원과 열풍공급원(도시안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먼저 얕은 컵모양 호울더(26)이 원통형의 흡수성 블록(21)의 하단부에 있는 환상 요홈부내에 결합된다. 다음 주입노즐(27)의 상단부 역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컵모양의 호울더(26)의 저부구멍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블록(21), 원판(22) 및 호울더(26)이 그들 사이에 주형 공동부를 가지는 주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그후, 결합제 및 용제와 혼합된 분말 화장물질(31)을 노즐(27)로부터 흡수성블록(21)과 원판에 의해 밀폐되는 속이빈 공간(22)에 주입시킨다. 속이빈 공간(23)이 화장물질로 채워진후에도 노즐(23)의 (27) 주입 압력은 잠시동안 유지된다. 화장물질(31)의 주입과 동시에 공기구멍(30, 30)을 통해 흡수성 원판(29)에 제8도의 화살표로도 나타낸 바와같이 진공을 부여한다. 이렇게해서, 흡수성블록(21)과 원판(22)의 기공들을 통해, 주입된 화장물질(31)에 진공흡인이 부여되고, 따라서 화장물질(31) 속이 용제는 흡수성블록(21)과 원판(22)내로 흡인되고 공기노즐(24)와 공기구멍(30, 30)을 통해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화장물질의 고화는 진공을 부여함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실행된다.
화장물질이 고화된 후, 진공 부여를 중지시키고 주입노즐(27)을 컵모양의 호울더(26)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전진 및 후퇴될 수 있는 내부 케이스를 가지며 립스틱에 사용되는 통상의 형태의 원통형 케이싱(32)가 컵모양의 호울더(26) 아래에 직접 결합된다. 다음에 공기실린더(25)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를 아래로 신장시켜 공기노즐(24)에 연결된 흡수성 원판(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컵모양의 호울더(26)이 원통형 케이싱(32)안으로 들어갈때까지 고화된 봉형 화장물질을 아래로 압압한다. 이렇게해서, 성형되고 고화된 화장물질이 외부데기에 노출됨이 없이 케이싱(32)내에 수용된다.
봉형의 화장물질이 케이싱(32)에 수용된 후, 공기실린더(25)를 작동시켜 흡수성 원판(22)를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수성블록(21)과 원판(22)내로 공기노즐(24)와 공기구멍(30, 30)을 통해 열풍을 공급하여 그들내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원통형 흡수성 블록(21)의 저부구멍으로부터 용제를 방출시킨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화장물질(31)은 얕은 컵 모양의 호울더(26)에서 봉형으로 성형되고 다음, 흡수성원판(22)를 하강시킴에 의해 원통형 케이싱(32)내에 꼭맞게 압입된다. 그러나, 제12-15도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서 특수한 원통형 케이싱(34)를 사용함에 의해 제4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흡수성 원판(22)를 하강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제5실시예에 속이빈 흡수성 블록(33)은 거꾸로된 깊은 컵 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제4실시예의 공기노즐(24)와 공기실린더(25)대신에, 공기구멍(30a)를 제5실시예의 프레임(28)의 상부벽을 관통 설치할 수도 있다.
제5실시예의 원통형 케이싱(34)는 흡수성 블록(33)의 하부환상 요홈부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속이빈 외부케이스(35), 외부케이스(35)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하단부 캡(36)과, 그 단부캡(36)의 양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외부 케이스(35)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단부캡(36)에 연결되는 내부 호울더컵(37)로 구성된다. 단부캡(36)과 호울더컵(37)은 각각 중앙부에 수직의 속이빈 공간을 가지며, 이 안에 주입노즐(38)이 삽입된다. 그리하여, 다공 블록(33)과 컵(37)이 그들사이에 주형공동부를 가지는 주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작동에 있어서, 내부 호울더컵(37)이 최상부 위치까지 올려지는 동안 화장물질(31)을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입노즐을 통해 흡수성 블록(33)의 밀폐된 속이빈 공간내에 주입시킨다. 이때 공기구멍(30, 30)과 (30a)를 통해 흡수성블록(33)과 프레임(28)사이의 밀폐된 공간내에 진공을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제4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화장물질내의 용제를 흡수시키고 따라서 주입된 화장물질이 신속하게 고화된다. 화장물질이 봉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 호울더컵(37)상에 고화된때 주입노즐(38)을 제거한후 고화된 화장물질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캡(36)의 회전에 의해 원통형 케이싱(34)내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싱(34)에 봉형상의 화장물질을 완전히 넣고 흡수성 블록 아래로부터 그들을 제거시킨 후, 블록(21)안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하부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용제를 추방시키기 위해 흡수성블록(33)과 프레임(28) 사이의 밀폐된 공간(29) 내에 열풍을 공급한다(제15도 참조). 제5실시예의 다른 구조와 작동은 제 4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대체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요구되는 케이싱에 화장 물질을 빨리 채워넣는 것이 본 발명에서 가능하게 된다. 화장물질의 충전은 화장물질이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물질이 위생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화장물을 콤팩트 케이스, 원통형케이스 등과 같은 화장품 케이스에 자동적으로 채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많은 개량과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서 분말 화장물질은 압축된 분말, 마스카라, 아이라이너(eye liner), 아이샤도우, 볼연지, 립스틱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1)

  1. 결합제 및 용제와 분말화장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된 유동성의 화장물질을 속이빈 공간에 채워 넣어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공 흡수재(11)과 케이싱 구조물(2)에 의해 형성된 속이빈 공간에 소정의 압력하에서 상기 화장물질(9)을 주입하고, 이 상기 공간에 화장물질이 채워진후 일정기간 동안 상기 압력을 유지시키고 다음에 화장물질 내의 용제를 흡수재내로 흡수시켜 분말 화장물질을 속이빈 공간내에서 고화시키고 상기 다공 흡수재를 고화된 화장물질과 케이싱 구조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고화된 화장물질을 케이싱 구조물내에 보유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속이 빈 공간에 화장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KR1019800004441A 1980-02-18 1980-11-20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KR84000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5324A KR840001897B1 (ko) 1980-02-18 1984-08-30 속이 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93580A JPS56128107A (en) 1980-02-18 1980-02-18 Cosmetic filling and solidif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act produced therefrom
JP93276 1980-06-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324A Division KR840001897B1 (ko) 1980-02-18 1984-08-30 속이 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94A KR830003894A (ko) 1983-06-30
KR840001898B1 true KR840001898B1 (ko) 1984-10-24

Family

ID=1195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41A KR840001898B1 (ko) 1980-02-18 1980-11-20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6128107A (ko)
KR (1) KR840001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687B2 (ja) * 1984-02-16 1994-02-16 株式会社資生堂 多色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9209139A (ja) * 2008-02-07 2009-09-17 Shiseido Co Ltd 固形粉末化粧料
JPWO2011002002A1 (ja) * 2009-06-30 2012-12-13 株式会社 資生堂 固型粉末化粧料
JP5904629B2 (ja) 2011-03-22 2016-04-13 株式会社 資生堂 固型状化粧料
JP2014189505A (ja) * 2013-03-26 2014-10-06 Key Tranding Co Ltd 湿式固形化粧料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202764A1 (ja) 2019-04-05 2020-10-08 株式会社 資生堂 細胞賦活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94A (ko) 1983-06-30
JPS56128107A (en) 1981-10-07
JPS5760004B2 (ko) 198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4796A (en) Method for loading cosmetic material into hollow space
US46606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cosmetic material into a container and solidifying said cosmetic material
US4929108A (en) Applicator venting arrangement
US4817686A (en) Method for loading cosmetic material into a container and solidifying said cosmetic material
KR840001898B1 (ko) 속이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는 방법
KR101886141B1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JPS6154766B2 (ko)
KR20150002744U (ko) 화장품 용기
US4403932A (en) Apparatus for loading cosmetic material into a hollow space
KR101576880B1 (ko) 화장품용기 내의 담지체에 파운데이션을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840001897B1 (ko) 속이 빈 공간에 화장(化粧) 물질을 채워넣어 성형하기 위한 장치
JPH02142504A (ja) 複数色固形状化粧料の充填成形方法及び充填用容器
JP5650944B2 (ja) 湿式化粧料の製造方法および充填装置
JPH0662389B2 (ja) 凸型固型粉体化粧料の製造方法
JPH0442079Y2 (ko)
JPS63211211A (ja) 粉体化粧料の固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2605B2 (ja) 焼結用原形体の成形方法
KR101836177B1 (ko) 화장용 함침부재 성형방법
JPS63211212A (ja) 粉体化粧料の固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190113A (ja) 化粧料の充填固化方法及び装置
JPH0637769Y2 (ja) 粉末化粧料成形用容器
JPH01254613A (ja) 化粧料の充填固化方法
JP7498690B2 (ja) 固形充填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3206016A (ja) 二重ケース付化粧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2676A (ja) 固形粉末化粧料の成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