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873B1 - 유 모 차 - Google Patents

유 모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873B1
KR840001873B1 KR1019800003941A KR800003941A KR840001873B1 KR 840001873 B1 KR840001873 B1 KR 840001873B1 KR 1019800003941 A KR1019800003941 A KR 1019800003941A KR 800003941 A KR800003941 A KR 800003941A KR 840001873 B1 KR840001873 B1 KR 84000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nection
press
olfactor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05A (ko
Inventor
겐조오 갓사이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오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오 갓사이 filed Critical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873B1/ko
Publication of KR83000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 모 차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펼쳐진 상태를 유모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유모차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한 지각 압간 연결간과 전각 및 전각 연결간의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5도 및 6도는 제4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적 선도.
제7도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한 후각 연결간 및 중앙 연결간의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8도 및 9도는 제7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시도로써 도시한 도해적 선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접힘 작동 연결간과 중앙 연결간 및 인장간 사이의 위치 관계를 측방향으로 부터 도시한 도해적 선도.
제11도는 제1도 및 2도의 압간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조작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 레버부근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조작레버의 일부 절단 사시도.
제13도는 제11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슬리이브 주위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도 및 2도의 압간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바와 그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Ⅵ-Ⅵ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Ⅶ-Ⅶ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5도의 Ⅷ-Ⅷ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9도는 제15도의 Ⅸ-Ⅸ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Ⅹ-Ⅹ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1도는 제15도의 조작비로부터 슬리이브까지 연장한 구성의 사시도.
제22도는 후각에 대한 후각 연결간의 축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의 축지 부분의 정면도.
제24도는 제1도 및 2도의 접힘 작동 연결간에 대한 중앙 연결간의 축지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25도는 제24도의 축지 부분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26도는 해먹의 눕힘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연결간을 도시한 사시도.
제27도는 제26도의 연결간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제28도는 제26도의 연결간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덮개의 사시도.
제29도는 제26도의 제1 및 제2연결간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제30도는 해먹의 등받침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등받침대 지지간이 세워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1도는 등받침대 지지간이 쓰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2도는 제30도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33도는 제31도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34도는 머리 보호대가 부가된 해먹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받침대 지지간이 세워올려진 상태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등받침대 지지간이 쓰러진 상태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36도는 제35도를 참조하여 요부의 설명을 보충하기 위해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37도는 제1도로부터 바구니에 관련된 구성을 추출하여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3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의 기본적인 구조에 좌석 연장 기능과 몸통 보호대가 부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제39도는 제38도의 유모차가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
제40도는 제38도의 유모차의 중앙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41도는 제38도의 유모차의 좌석 연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접힘작동 연결간 부근의 사시도.
제42도는 제38도의 유모차의 몸통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해 지각 압간 연결간의 전방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43도는 제42도에 도시한 요홈에 끼워지기 적합한 삽입체의 사시도.
제44도 및 45도는 몸통 보호대에 포함된 아아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평면도.
제46도는 몸통 보호대가 제거되었을 때 요홈속으로 삽입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유모차의 개량, 특히 의자형 구조로 된 유모차에서의 절첩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기본적인 구조로 된 유모차가 제안되고 또한 실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기본적인 구조의 유모차중에는 의자형의 기본적 구조를 가진 것도 제안되어 있다. 또, 그러한 의자형의 기본적인 구조로 된 유모차를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의자형 기본구조의 절첩식 유모차에는 아직 몇몇 개선해야 할 점들이 남아 있다. 특히, 종래의 그러한 형식의 것에서는 접힌 상태로 될때 여전히 부피가 컸다. 따라서, 접힌 상태에서는 높이도 폭도 전후 방향의 길이도 보다 작은 크기로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그러한 형식의 것에서는 접힌 상테에서 전륜 및 후륜의 네개의 바퀴가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지 않으므로서, 유모차를 접힌 상태 그대로 세울수가 없었다. 따라서, 유모차를 접힌 상태에서 그대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종래의 그러한 형식의 유모차는 절첩 조작이 그리 간단하지가 않았다. 따라서, 절첩 조작이 간단한, 예를들면 한손만으로 절첩조작을 할수 있는 유모차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힌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형상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이 접힌 상태에서의 운반 수단의 하나로서 사용자의 팔에 걸리는 경우에는 유모차의 높이가 충분히 감소되어 봉형태로 작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여 접힌 상태에서 유모차를 끌어 당기면서 걷게하는 것도 편리하다. 또한, 이러한 운반을 위해서는 부담이 되지 않도록 충분히 경량이어야 한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장치와 접힘 동작을 시작해 주는 장치와 접힘 동작을 작동적으로 연합하여 달성하기 위해 작동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와의 세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부분을 포함한다. 지지 장치는 각각 바퀴를 갖는 한쌍의 전각과, 각각 바퀴를 갖는 한쌍의 후각 및 이들 한쌍의 전각 및 후각들 사이의 가로방향 간격을 규정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접힘 동작을 시작해주는 장치는 한쌍의 후각에 그 각각의 한쪽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비교적 상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압간지지 앵글바와, 하방단이 상기 압간 지지 앵글바의 다른쪽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압간 몸체와를 포함한다. 작동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는 접힘 동작을 시작해주는 장치와 지지 장치 사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압간 지지 앵글바가 압간 몸체의 하향 변위로 인해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회전될때, 전각과 후각 및 연결부재를 작동시켜주므로서, 전각과 후각 및 압간몸체의 각 쌍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후각에 대하여 전각 및 압간 몸체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는 한쌍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연결간을 가지며, 이것은 그 비교적 전방부에서 한쌍의 전각과 후각과를 각각 선회가능하게 연결해주고 그 후방부에서 한쌍의 압간 몸체를 그 하방단으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지지해준다. 이러한 지각 압간 연결간 이외에, 한쌍의 전각 및 후각들 사이의 가로방향 간격을 규정하도록 설치되는 접힘가능 연결간이 포함된다. 또한, 작동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의 접힘 동작중에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 장치를 포함한다. 즉, 압간 지지 앵글 바가 압간 몸체의 하향 변위로 인해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지각압간 연결간이 후각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도록 작동될 때, 전각을 후각쪽으로 끌어당겨주는 또한 전각 및 후각의 연결간의 접거나 구부리도록 작동하는 링크 장치가 있다. 상기 링크 장치는 전각의 각 중앙부에서 연합된 전각상에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간 회전부재와, 이 연결간 회전 부재 및 지각압간 연결간의 전방 단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봉 링크 및 전각으로부터 각각 내향으로 연장하는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아암을 포함한다. 또한, 링크 장치는 압간 지지 앵글바와 전각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접힘 작동 연결간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모차는 눕힐 수 있게 구성된 등받침대를 갖는 해먹(hammock)을 포함한다. 양호하게, 이 해먹에는 필요할 때만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등받침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머리 보호대가 제공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모차에는 유모차의 접힘 동작과 작동적으로 연합하여 접혀지도록 된 바구니가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접힌 상태에서의 부피가 최소로 되도록 높이도 폭도 전후 방향의 크기도 충분히 작아질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힌 상태에서 전륜 및 후륜의 네개의 바퀴들이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므로서 접힌 상태 그대로 세울 수가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첩 조작이 간단한, 예를 들면 한 손만으로 절첩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힌 상태에서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여 끌어당기면서 걸을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힌 상태에서의 운반을 위해 부담이 되지 않도록 중량이 감소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에 있어 편리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과 기타의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펼쳐진 상태의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그것의 우측면도이며, 제3도는 접혀진 상태의 유모차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모차는 기본적으로 한쌍의 지각압간 연결간(1)과, 그 비교적 전방부분이나 중간부에서 지각 축지핀(2)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전각(3) 및 한쌍의 후각(4)과, 하방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를 떨어진 지점에서 지각 압간 연결간(1)의 후방단부에 배치된 압간 축지핀(5)에 의해 선회가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압간 몸체(6)와, 상기 한쌍의 전각(3)을 연결하는 오직 하방으로만 (화살표 7로 표시)접힐 수 있는 전각 연결간(8)과, 상기 한쌍의 후각(4) 사이를 연결하는 오직 하방으로만 (화살표 P로 표시)접힐 수 있는 후각 연결간(10) 및 상기 한쌍의 압간 몸체(6) 사이를 연결하는 오직 전방으로만(화살표 11로 표시) 접힐 수 있는 압간 연결부재(12)로 이루어진다. 압간 몸체(6)와 압간연결 부재(12)에 의해 압간(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 압간몸체(6)의 하방단과 후각(4)이 축지핀(15,16)을 거쳐 압간지지 앵글바(14)에 의해서 함께 접힐 수 있게 연결되므로서,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후각(4)의 상반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회전되거나 (제1도 및 2도) 또는 후각(4)의 하반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화살표(17) 방향으로 회전되거나(제3도)하는 것에 의해, 압간 몸체(6)의 하방단부는 후각(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위치나 하방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압간 몸체(6)의 하방단의 후각(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지각압간 연결간(1)과 압간몸체(6)의 하방부 및 후각(4)의 상방부는 삼각형을 형성하여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를 설정해 준다. 압간 몸체(6)의 하방 단부가 후각(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관련부재의 형상 및 구조는 지각압간 연결간(1)과 압간몸체(6) 및 후각(4)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선택되므로서 유모차의 접힌 상태를 설정해 준다.
접힘 작동 연결간(18)은 압간 지지 앵글 바(14)와 전각(3) 사이에 설치되어 그 양단에서 각각 축지핀(15,19)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한쌍의 접힘 작동 연결관(18) 사이에는 전방으로만(화살표 20으로 표시) 접힐 수 있는 중앙 연결간(21)이 연결된다.
이와같이 하여, 절첩식 의자형 유모차의 기본적인 구조가 달성된다.
다음에, 여러 부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지각 압간 연결간(1)과 전각(3) 및 전각 연결관(8)의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5도 및 6도는 제4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적 선도이다. 제1도 내지 6도를 참조하면, 전각 연결간(8)의 단부는 축지핀(22)에 의해 연결간 회전 부재(2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연결간 회전 부재(23)는 전각 연결간(8)의 단부 부근을 상방으로부터 덮어주는 단면 역 U자형의 소켓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간 회전부재(23)는 전각(3)의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연결간 회전부재(23)와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전방단과의 사이에는 봉 링크(25)가 연결된다. L자형 아암(26)은 전각(3)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며 축지핀(26a)에 의해 전각(3)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각 연결간(8)은 이 아암(26)의 선단에서 전각 연결간(8)의 단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를 떨어진 위치에 있는 축지핀(27)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제4도 및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지각압간 연결간(1)이 축지핀(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28)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간 회전부재(23)는 봉 링크(25)에 의해 전각(3)상을 화살표(29) 방향으로 활주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아암(26)은 화살표(26b)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편 전각 연결간(8)은 축지핀(27)을 중심으로 축지핀(22)을 거쳐 화살표(7)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하방으로 접혀진다(제6도).
제6도의 전각 연결간(8)이 접혀진 상태로부터의 역동작은 지각 압간 연결간(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봉링크(25)가 연결간 회전부재(23)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이 힘에 의해서, 제6도의 상태로부터 전각 연결간(8)이 직선 형태로 펴지도록 회전하고 아암(26)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설정된다.
제5도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각 연결간(8)이 직선 형태로 펴진 상태, 즉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 지각 압간 연결간(1)상에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것은 예를 들어 지각 압간 연결간(1)에 부착된 해먹(hammock)상에 태워지는 아기의 체중에 의해서 발생되는 힘이다)이 가해질 때에는 봉 링크(25)가 하방으로(화살표 29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연결간 회전부재(23)에 힘을 가해주고, 이것이 연결간 회전부재(23)의 소켓부에 들어와 있는 전각 연결간(8)의 단부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므로서, 전각 연결간(8)은 상방으로 접히도록 힘을 받고 따라서 화살표(7)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강제로 금지된다. 즉, 적용되는 하중의 양이 크면 클수록,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는 더욱 단단하게 유지된다.
제7도는 후각 연결간(10) 및 중앙 연결간(21)의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8도 및 9도는 제7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시도로써 도시한 도해적 선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시도로써 도시한 도해적 선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접힘 작동 연결간(18)과 중앙 연결간(21) 및 인장간(30) 사이의 위치관계를 축방향으로부터 도시한 도해적 선도이다.
제1도 내지 3도 및 제7도 내지 10도를 참조하면, 중앙연결간(21)은 후각 연결간(10)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연결간(21)의 화살표(20) 방향으로의 접힘은 한쌍의 접힘 작동 연결간(18)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접혀지도록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한쌍의 접힘 작동 연결간(18)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약간 상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는 제3도와 9도 및 10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중앙 연결간(21)의 화살표(20) 방향으로의 접힘이 후각 연결간(10)의 화살표(9) 방향으로의 접힘과 작동적으로 관련되게 하기 위해서 한쌍의 인장간(30)이 제공된다. 인장간(30)은 후각 연결간(10)의 접힘부와 중앙 연결간(21)의 접힘부 양쪽으로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과의 사이에 연결된다. 중앙연결간(21)에는 축(31)둘레를 회전가능한 슬리이브(3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33)이 제공되므로서, 이 돌출편(33)에 인장간(30)의 한 단부가 접속된다.
제7도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의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또한 후각 연결간(10)의 화살표(9)방향(하향)으로의 접힘이 발생함과 동시에 다른 관련부재의 작용에 의해 한쌍의 접힘 작동 연결간(18)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서, 한쌍의 인장간(30)은 각각 화살표(34)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앙 연결간(21)을 화살표(30) 방향(전방)으로 접히게 해준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 및 인장간(30) 사이의 관련 동작이다. 즉,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인장간(30)의 버팀 작용에 의해 단순히 후각연결간(10) 및 중앙 연결간(21)이 외향으로 즉 화살표(9,20) 방향으로 각각 접힌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다른 주목해야할 동작이 일어난다. 즉, 중앙연결간(21)의 화살표(20) 방향으로의 접힘에 대응하여 한쌍의 축(31)과 슬리이브(32) 및 돌출편(33) 각각이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이것은 곧 인장간(30) 각각이 화살표(34) 방향으로 회전되게 해주며, 이러한 인장간(30)의 회전은 한쌍의 인장간(30)에 의해서 규정되는 단부간 거리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인장간(30)이 V자 형태로 배열되지 않고 서로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면,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은 서로를 향해 상대 운동량에 대응하는 정도로만 접혀질 수 있다. 그러나, 제7도 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장간(30)이 V자 형태로 배열되므로서,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은 서로를 향한 상대 운동량과 화살표(34)방향으로의 인장간(30)의 회전량을 합한 것에 대응하는 정도까지 접히게 된다. 따라서, 이 배열은 후각 연결간(10)과 중앙연결간(21)의 접힘 정도를 증가시켜주며, 이것은 절첩식 유모차의 폭을 그 접혀진 상태에서 보다 작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구가 극히 간단하다는 것이다.
역 동작도 마찬가지로 인장간(30)에 의해 설정되는 연동 관계로 실행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중앙 연결간(21)의 접힘 방향이 접힘 작동 연결간(18)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약간 상방을 향해 있도록 선택되어지는 구성의 의도는 후각 연결간(10) 및 중앙 연결간(21)의 접힘 동작 동안에 적어도 한 순간에 있어서 접힘 상태의 중앙 연결간(21)을 포함하는 평면과 한쌍의 인장간(30)을 포함하는 평면이 일치하거나 극히 작은 각도(A)(제10)로 교차하는 때가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두개의 평면의 일치는 인장간(30)의 작용 방향과 중앙 연결간(21)의 접힘 방향이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장간(30)의 힘을 중앙 연결간(21)에 효율적으로 전달해 줄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 연결간(21)이 최대로 접혀진 상태에 거의 근접한 상태일때 상술한 방향의 일치시기가 거의 실현된다. 즉, 상기 일치는 유모차의 접힘이 거의 완료되었을 때 일어난다. 이것은 후술될 유모차의 접힘 동작에 관련되는 것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유모차를 작동시키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그리고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유모차를 작동시키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보다 큰 힘을 가하는데 조작자가 어려움을 느끼거나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특히, 이 절첩식 유모차는 압간 지지 앵글 바(14)를 화살표(17)(제1도 및 2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압간(13)을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밀어주므로서 접혀질 수 있지만, 펼칠 때에는 압간(13)을 잡아올려 유모차의 하중을 이용하여 접힘 동작을 진행한다. 이 경우, 유모차의 하중에는 한계가 있고 오히려 경량으로 양호하게 구성되므로서, 그렇게 큰 힘을 접힘 동작에 적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제3도 및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변화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인장간(30)의 작용 방향이 중앙 연결간(21)의 접힘 방향과 거의 일치하면, 가벼운 힘으로 중앙 연결간(21)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변화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도, 제3도에 도시한 각 부재들이 적절한 배치상태에 도달하려면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매우 유리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1도 내지 14도는 압간(13)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조작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11도는 조작 레버부근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제12도는 조작레버의 일부절단 사시도이며 제13도는 제11도의 Ⅲ-Ⅲ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4도는 슬리이브 주위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압간 몸체(6)의 상단에는 안내 소켓(73)이 형성된다. 이 안내 소켓(73)에는 압간 연결부재(12)의 단부가 삽입된다. 압간 연결부재(12)는 원형파이프나 봉으로 형성되며, 안내 소켓(73)내에서는 그 축선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안내소켓(73)의 측면에는 압간 연결부재(12)에 고착된 안내핀(75)을 수용하기 위해 약 90°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안내구멍(74)이 형성된다. 또한, 안내소켓(73)에는 그 내부에 관통구멍(77)을 갖는 브래킷(76)가 형성된다. 조작레버(78)는 하나의 관통구멍(79)을 갖는다. 이 관통구멍(77,79)들이 서로 일렬로 정열된 상태에서 축(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구멍속에 삽입되므로서, 조작레버(78)는 안내소켓(7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레버(78)는 그 하방으로 표면내에 요홈(80)을 갖는다. 상기 요홈(80)이 형성된 부분에는 로드(81)의 상단이 부착되고 상기로드(81)의 하단은 슬리이브(44)에 부착된다.
슬리이브(44)는 압간 몸체(6)의 하부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진다. 슬리이브(44)에 인접한 압간 몸체(6)에는 길다란 구멍(45)이 형성되고, 이 구멍(45)을 관통하는 핀(46)이 슬리이브(44)에 고착된다. 이 길다란 구멍(45)과 핀(46)의 상호작용에 의해 슬리이브(44)의 활주운동 범위가 규정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형 압간몸체(6)의 내부에서 압간 축지판(5)과 핀(46)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47)에 의해 슬리이브(44)는 항상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려진다. 그 결과, 슬리이브(44)의 하단면이 압간 지지 앵글바(14)의 단부에 맞물려 밀어주게 되어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제1도 및 2도)를 확실하게 해준다.
조작레버(78)는 슬리이브(44)를 압간 지지 앵글바(14)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용과 압간 연결부재(12)를 압간 몸체(6)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유지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즉, 조작레버(78)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안내핀(75)이 요홈(80)내에 들어가므로서 (제12도 및 13도)압간 연결부재(12)가 안내소켓(73)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조작 레버(78)를 화살표(8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81)가 화살표(83) 방향으로 변위되어 슬리이브(44)를 압간 지지 앵글바(14)로부터 이탈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핀(75)이 요홈(80)으로부터 빠져나와 압간 연결부재(1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레버(78)는 사점을 넘어 상방으로 반전되어 안정된 상태로 된다.
조작 레버(78)의 화살표(82) 방향으로의 회전은 후술될 유모차의 접힘 동작에 발단이 되는 것이다. 조작레버(78)의 하향 회전(스프링(47)에 의해 최종적으로 밀려지는)은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할때 이루어진다.
제15도 내지 21도는 압간(13)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15도는 조작비와 그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Ⅵ-Ⅵ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Ⅶ-Ⅶ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5도의 Ⅷ-Ⅷ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9도는 제15도의 Ⅸ-Ⅸ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Ⅹ-Ⅹ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1도는 조작비로부터 슬리이브까지 연장한 구성의 사시도이다. 제15도 내지 21도를 참조하면, 압간몸체(6)의 상단에는 안내소켓(35)이 형성된다. 압간 몸체(6)는 사각파이프나 봉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이 안내소켓(35)의 사각형 슬리이브부분(36)속으로 삽입된다. 안내소켓(35)의 상부는 압간 연결부재(12)의 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부(37)를 형성한다. 이 원통부(37)에 삽입되는 부분은 압간 몸체(6)와 동일 축선상에 정열되는 부분이다. 압간 연결부재(12)는 압간 몸체(6)와 마찬가지로 사각 파이프나 봉으로 형성되지만, 원통부(37)에 수용되었을 때 그 축선 둘레를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원통부(37)의 측면에는 압간 연결부재(12)의 측부로부터 돌출하여 고착된 안내핀(39)을 수용하기 위해 약 90
Figure kpo00001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안내구멍(3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압간 연결부재(12)는 길다란 안내 구멍(38)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안내소켓(35)의 상부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홈(40)이 형성된다.
사각 구멍이 뚫린 조작바(41)는 압간 몸체(6)와 동축으로 안내소켓(3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바(41)에는 사각형 관통 구멍(42)이 형성되고 여기에 압간 연결부재(12)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바(41)는 압간 연결부재(12)에 대해 회전금지된 상태로 압간 연결부재(12)상을 축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사각 구멍이 뚫린 조작바(41)에는 압간 연결부재(12)를 따라 활주할 때 홈(40)내에 끼워지기 접합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짐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압간몸체(6)에 대한 압간 연결부재(12)의 회전이 금지된다. 이것은 제1도의 화살표(11)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금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작바(41)와 슬리이브(44)(제11도 및 14도)사이의 연동관계를 설정해주기 위해, 양자 사이에 와이어(48)가 설치된다. 이 와이어(48)를 통한 연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1도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다. 사각구멍이 뚫린 조작바(41)를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49) 방향으로 끌어올리면, 슬리이브(44)는 와이어(48)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슬리이브(44)의 하단면이 압간 지지 앵글바(14)의 단부로부터 이탈하고, 이 유모차의 접힘 동작을 야기시키는 화살표(17) 방향으로의 압간 지지앵글바(14)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된다. 그래서 조작바(41)와 안내소켓(35)과의 위치관계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기(43)가 홈(40)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예를 들면, 안내소켓(35)의 상단면에 돌기(43)의 하단면이 놓이도록 조작바(41)를 약간 화살표(50)방향으로 비틀어주는 것에 의해 유지하면서, 이번에는 조작바(41)를 압간 몸체(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 조작에 따라서, 압간연결부재(12)가 안내소켓(35)에 대해 회전되어 제1도의 화살표(11) 방향으로의 접힘이 일어난다. 이 동작도 또한 유모차의 접힘을 야기시킨다.
조작바(41)를 역으로 작동시키면, 스프링(47)에 의해 부세되는 슬리이브(44) 때문에 조작바(41)가 와이어(48)를 통해 하방으로 밀려지므로서, 돌기(43)와 홈(40)이 일렬로 정열될 때, 그들 사이의 결합은 자동적으로 달성되고 또한 슬리이브(44)의 하단면과 압간 지지 앵글바(14)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22도는 후각(4)에 대한 후각 연결간(10)의 축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23도는 상기 부분의 정면도이다. 후각 연결간(10)은 후각(4)에 고착된 U자형 연결구(51)에 의해서 축지핀(52)을 거쳐 후각(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각 연결간(10)의 단부에는 후각 연결간(10)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회전 정지기(53)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서 이미 기술된 바와같이 후각 연결간(10)은 화살표(9)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4도는 접힘 작동 연결간(18)에 대한 중앙 연결간(21)의 축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25도는 상기 부분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축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22도 및 23도에 도시한 축지 부분과 동일한 작동원리를 갖고 있다. 즉, 중앙연결간(21)은 접힘 작동연결간(18)에 고착된 연결구(54)에 의해서 축지핀(55)을 거쳐 선회가능하게 접힘 작동 연결간(18)에 연결되고, 중앙 연결간(21)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 정지기(56)에 의해 화살표(20)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된다.
지금까지, 접힘 동작에 직접 관련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구조가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다음에, 이 유모차의 접힘 조작 또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2도를 참조하면, 펼쳐진 상태에서는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후각(4)의 상반부에 부합하도록 회전되므로써, 압간 몸체(6)의 하부 잔여부분이 후각(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지각 압간 연결간(1)과 압간 몸체(6)의 하부 및 후각(4)의 상부에 의해 삼각형이 규정되므로서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가 설정된다.
다음에, 제1도 및 2도의 상태로부터 제3도의 상태로 진행하는 유모차의 접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져 조작레버(78)를 상방으로 역전된 상태가 될때까지 화살표(82) (제12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78)는 사점을 넘어지나갔기 때문에 스프링(47)에 의해 부세된다 할지라도 그 위치에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안내핀(75)은 요홈(80)으로부터 빠져나와 압간 연결부재(1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리이브(44)와 압간 지지 앵글바(14)사이의 압력 결합 상태가 풀어진 상태로 된다. 여기까지 기술된 조작은 한손으로 두개의 조작레버(78)를 연속하여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가 있다. 다음에, 압간 연결부재(12)의 중앙 접힘 부분중 어느 한쪽을 손으로 잡고, 화살표(11)방향으로 비틀림력을 가하면서 압간(13)을 전방으로 약간 기울여,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화살표(17)방향으로 약간 회전되도록 한 후에 압간 연결부재(12)를 잡고 있는 손에 의해 압간(13)을 하방을 밀어준다. 이 밀어주는 동작이 수행될 때는 적어도 후륜(72)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다.
또한, 상술한 압간 연결부재(12)상에 작용하는 화살표(12) 방향의 비틀림력과 압간 지지 앵글바(11)상에 작용하는 화살표(14) 방향의 회전 기동력은 유모차의 중량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압간 연결부재(17)의 중앙 접힘 부분중 어느 한쪽을 손으로 잡고, 후륜(12)을 지면에 접촉한 채로 전륜(72)이 공중에 뜨도록 유모차 전체를 후방으로 기울이면, 유모차의 중량은 압간 연결부재(12)의 다른쪽이 중앙접힘 부분을 통해 처지도록 작용한다. 이렇게하여, 압간 연결부재(12)상에 작용하는 화살표(11)방향으로의 비틀림력이 생긴다. 또한, 압간 지지 앵글바(14)와 압간몸체(6)는 중력에 따라 하방을 접혀지므로서, 압간 지지 앵글바(14)상에 작용하는 화살표(17)방향으로 회전 기둥력이 생긴다. 이들 두 형태의 힘이 작용하여 압간 연결부재(12)의 접힘동작과 압간 지지 앵글바(14)의 회전이 어느 정도 달성된 후에, 유모차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압간 연결부재(12)를 잡은 손에 의해 압간(13)을 하방으로 눌러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동작이 연속하여 달성된다.
즉, 압간 지지 앵글바(14)는 후각(4)의 하반부를 따라 연장할 때까지 더욱 화살표(17)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지각 압간 연결간(1)이 지각 축지핀(2)을 거의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28) 방향으로 회전되어, 봉링크(25)를 거쳐 연결간 회전부재(23)가 화살표(29) 방향으로 활주한다. 그 결과, 전각 연결간(8)이 화살표(7)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 전각 연결간(8)이 접힘과 전술한 압간 연결부재(12)의 화살표(11) 방향으로의 접힘과에 의해서 유모차의 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과 동시에, 후각 연결간(10)은 화살표(9)방향으로 접혀지고, 인장간(30)을 거쳐서 중앙 연결간(21)이 화살표(20)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압간 지지 앵글바(14)의 화살표(17)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접힘 작동 연결간(18)이 전각(3)을 후각(4)쪽으로 끌어당겨준다. 이들 접힘 동작은 압간 지지 앵글바(14)과 후각(4)의 하반부를 따라 연장하는 위치에 놓여질 때까지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 이때, 전각(3)과 후각(4)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병렬된 위치에 모여지고, 지각 압간 연결간(1)이 화살표(28)방향으로 회전되어 지각 압간 연결간(1)의 내부 공간에 후각(4)이 수용되는 상태로 되므로서, 지각 압간연결간(1)과 후각(4)도 실질적으로 평향한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전각 연결간(8)과 후각 연결간(10)과 압간 연결부재(12) 및 중앙 연결간(21)이 충분히 접혀지고, 각각 쌍을 이루는 지각 압간 연결간(1)과 전각(3)과 후각(4)과 압간 몸체(6)와 압간 연결부재(12) 및 접힘작동 연결간(18)이 상호 접근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서, 유모차의 폭방향에서도 수축된 접힘 상태가 얻어진다. 이 접힘 상태에서는 두개의 전륜(71)과 두개의 후륜(72)이 모두 동일한 높이에 놓여지게 되므로, 유모차가 자립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제3도에 도시한 접힘 상태로부터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 변경시키려면,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조작을 역으로 진행하므로서 얻어질 수 있으므로, 그것에 따라 역동작이 취해진다. 즉 간단히 설명하면, 압간 연결부재(12)를 한손으로 잡고, 압간 몸체(6)를 거쳐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제3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모차를 공중에 뜨게하기 위해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후각(4)의 상반부를 따라 연장하게 되고 지각 압간 연결간(1)이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봉링크(25) 및 연결간 회전부재(23)를 거쳐 전각 연결간(8)이 직선 상태로 놓여짐과 동시에 접힘 작동 연결간(18)에 의해서 전각(3)이 후각(4)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제까지 일어난 폭방향 크기의 증가때문에, 후각 연결간(10)과 중앙 연결간(21)은 인장간(30)의 작용에 의해 연동하여 직선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제1도 및 2도의 상태에 놓여졌을 때, 조작 레버(78)를 하방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레버(78)의 요홈(80)에 안내핀(75)이 수용되어져 압간 연결부재(12)의 접힘이 금지된 상태로 됨과 동시에 슬리이브(44)가 압간지지 앵글바(14)에 결합되어 압간 지지 앵글바(14)와 압간(13)의 접힘이 저지된 상태로 되므로서,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가 확실하게 설정된다.
유모차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제1도 내지 3도중, 제2도에만 해먹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해먹은 지지간(106)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등받침대(150)와, 접힘작동 연결간(18) 및 중앙 연결간(21)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상에 형성된 좌석(151)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각 압간연결간(1)은 팔받침대로서 작용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등받침대(150)의 양측에는 측면판(flank plate, 15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침대(150)는 제2도에 명확히 나타나지 않았다. 이 해먹에는 눕힘기구(reclining mechanism)가 연합되어 있으므로, 등받침대(150)의 경사각도를 변화시켜줄 수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이하에 기술한다.
제26도 내지 33도는 해먹의 눕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26도는 제1 및 제2연결간을 도시한 사시도, 제27도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제28도는 덮개의 사시도, 제29도는 제1 및 제2연결간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제30도는 해먹의 등받침대(도시하지 않음)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지지간이 세워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1도는 등받침대 지지간이 쓰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2도는 제30도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6도를 참조하면, 제1연결간(101)과 제2연결간(102)은 축지핀(103)에 의해 함께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므로서 서로에 대해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의 각 단부에는 관통구멍(104,105)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은 압간 몸체(6)와 등받침대 지지간(106)사이에 연결된다.
등받침대 지지간(106)은 압간 몸체(6)의 하단부에 고정된 단면 U자형의 연결구(107)의 대향면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축지핀(108)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같이 연결구(107)의 대향면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간(106)을 보유지지해주므로서, 지지간(106)의 회전에 있어서 횡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유리하게 방지된다.
제26도에 도시된 관통구멍(104,105)은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을 압간 몸체(6)와 지지간(106) 사이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간은 관통구멍(104,105)에 삽입되는 축지핀(109,110)에 의해서 각각 지지간(106) 및 압간 몸체(6)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연결간(101)에는 관통구멍(112)을 가진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간(102)은 전체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결합부(113,1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113)는 제1연결간(102)의 단순한 외형상에 지나지 않지만, 실제로 이것은 후술될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로서의 작용을 한다. 제2결합부(114)는 노치로서 규정된다.
제27도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15)는 전체로써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양단부에는 관통구멍(116,117)이 제공되어 있다.
제28도를 침조하면, 덮개(118)는 전체로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118)의 측면에는 약 180
Figure kpo00002
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연장하는 길다란 구멍(119)이 형성된다. 덮개(118)의 바닥면에는 계단식으로 단이진 요홈(120)이 형성되며, 이 요홈(120)내에서 한쪽으로 편향된 위치에 관통구멍(121)이 형성된다.
제29도 내지 33도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상술한 제1 및 제2연결간(101,102)과 고정부재(115)와 덮개(118)와의 조립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연결간(101)의 관통구멍(112)과 고정부재(115)의 관통구멍(116,117) 및 덮개(118)의 관통구멍(12)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이 배치상태에 있어서, 제26도에 도시한 제1연결간(101) 및 제27도에 도시한 고정부재(115)에 대하여, 제28도에 도시한 덮개(118)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뒤집혀져 있다. 이 배치 상태에 있어서, 축지핀(122)이 관통구멍(112,116,117,121)속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115)의 한쪽 측면이 덮개(118)의 요홈(120)에 끼워지므로서, 고정부재(115)와 덮개(118)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은 덮개(118)의 구멍(119)을 통해 외부로 인도된다.
제30도 및 32도와 제31도 및 33도와를 비교하여, 이 눕힘 기구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0도 및 32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은 고정부재(115)가 제1결합부(113)에 결합되므로서 최대로 접혀지게 되는 제 1접힘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부재(115)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 받침대 지지간(106)은 압간 몸체(6)에 거의 평행한 상태, 즉 해먹의 등받침대(150)가 세워 올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해먹의 등받침대(150)를 쓰러진 상태로 되게 하려면, 고정부재(11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결합부(113)와의 결합을 풀어준다. 이 조작은 덮개(11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115)가 덮개(118)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기 때문에 덮개(118)를 노브(knob)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고정부재(115)가 풀려진 상태에서, 등받침대 지지간(106)을 쓰러뜨리면, 제1연결간(101)과 제2연결간(102)이 가장 펼쳐진 상태의 제2접힘 상태가 설정된다. 이때, 덮개(118)로부터 손을 뗄지라도, 고정부재(115)는 제2결합부(114)에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왜냐하면, 이것은 덮개(118) 및 고정부재(115)가 편위된 축지핀(122)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므로서 이들의 중력에 의해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고정부재(115)와 제2결합결(114)사이의 부합상태는 제31도 및 3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해먹의 등받침대(150)는 쓰러진 상태에 있다. 다시, 해먹의 등받침대(150)를 세워올려진 상태로 되게 하려면, 노브로서 작용하는 덮개(11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재(115)와 제2결합부(114)사이의 결합을 풀어주고, 등받침대 지지간(106)이 상승되도록 회전시켜 준다. 이 상승동작의 최종 단계에서는, 제31도 및 33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115)와 덮개(118)의 중력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일으켜 고정부재(115)가 자동적으로 제1결합부(113)에 결합하도록 해준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은 중력을 이용하는 대신에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덮개(118)는 조작용 노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연결간(101,102)의 연결부분을 덮어주므로써 그 자체가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술한 눕힘 기구가 연합된 해먹에 있어서 등받침대(150)가 크게 눕혀질때, 유모차의 운반중에 있어 차도로부터 보도로 걸려 올라가는 경우등과 같이 전륜(71)이 들어 올려지고 유모차 전체가 뒤로 경사지게 되면, 해먹에 타고 있는 아기가 해먹밖으로 곤두박질할 위험성이 있다. 이 때문에, 등받침대(150)의 상단에 아기의 머리를 덮도록 머리 보호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머리 보호대는 등받침대(150)가 세워 올려진 상태에서는 불필요하며 또한 아기에게 오히려 압박감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스럽지 않다. 그래서, 등받침대(150)의 눕힘 동작에 따라, 이 등받침대(150)가 크게 경사질때만 머리 보호대가 등받침대의 상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되는 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구는 상술한 해먹의 눕힘 기구에 간단한 수정을 가하거나 또는 간단한 부재를 부가시키므로서 얻어질 수 잇다. 이러한 머리 보호대가 부가된 기구에 대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제34도 내지 36도는 머리 보호대가 부가된 해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34도는 등받침대 지지간이 세워올려진 상태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35도는 등받침대 지지간이 쓰러진 상태의 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36도는 제35도를 참조하여 요부의 설명을 보충하기 위해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측면도이다.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은 축지핀(131)에 의해서 등받침대 지지간(106)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상태가 제36도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다.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은 측면도로 도시한 제34도 내지 36도에는 나타내지 못했지만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이며, 그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부분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접힘 가능한 부분이 형성되고, 중앙부의 접힘가능한 부분은 제1도의 화살표(1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접힘 가능한 구성은 전술한 유모차의 절첩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연결간(101)은 축지핀(131)과 고정핀(133)에 의해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4도 내지 36도에는 머리 보호대가 도시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머리보호대 지지간(13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에 보유지지되는 머리 보호대는 등받침대(150)의 연장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그 형상도 특수한 것이 아니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제 34도와 35도를 참조하여, 등받침대 지지간(106)의 경사 동작과 관련하여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34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은 제1연결간(101)의 경사 상태에 의해서 등받침대 지지간(106)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정렬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에 보유 지지되는 머리 보호대는 등받침대와 동일면상으로 연장하고 아기의 머리를 덮지 않게 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등받침대 지지간(106)이 쓰러지면, 제35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때, 제1연결간(101)은 경사진 상태에 있게 된다. 제1연결간(101)의 경사 상태에 따라서, 머리 보대 지지간(130)은 등받침대 지지간(106)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 된다. 그래서, 머리 보호대 지지간(130)에 보유지지된 머리 보호대는 쓰러진 등받침대상에 있는 아기가 밖으로 곤두박질치는 것을 방지해주는 머리 보호대로서의 고유의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제1도 내지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모차의 등받침대 아래에는 수하물들을 담기 위한 바구니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3도에는 바구니의 프레임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37도는 제1도로부터 바구니에 관련된 구성을 추출하여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3도 및 제37도르 참조하여, 바구니의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바구니의 프레임은 예를들어 적당한 직경을 가진 금속봉을 적절히 구부려서 구성한다. 후각(4)의 하방단으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축지점(201)에 한쌍의 L자형측간(202)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L자형측간(202)은 축지점(201)으로부터 먼저 후방으로 연장한 다음에 상방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L자형측간(202)의 상부단에는 축지점(203)을 거쳐 상부간(204)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간(20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전방단이 축지점(205)에서 압간 몸체(6)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축지점(201,205)은 L자형측간(202) 및 상부간(204)의 각 한쪽단을 구부려주는 것에 의해 축지축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간(204)의 후방단은 서로에 관해 떨어진 상태에서 내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것은 전술한 유모차 몸체의 절첩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구니(206)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L자형측간(202) 및 상부간(204)에 부착된다. 특히, 바구니(206)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로서의 형태를 유지할 목적으로 박스의 모서리를 따라 두꺼운 직물 조각이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각 표면은 그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바구니(206)는 유연성을 갖는다. 이것은 유모차의 절첩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바구니(206)자체의 절첩 동작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바구니(206)의 저면을 지지하고 바구니(206)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후각 연결간(10)으로부터 뒷쪽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207)가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207)는 특히 바구니(206)내에 비교적 무거운 하물이 들어 있을 때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제, 유모차의 절첩 동작과 관련하여 바구니(206)의 절첩 동작을 설명한다. 유모차가 접혀질때, 압간 지지앵글바(14)는 화살표(17)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각(4)의 하반부를 따라 연장하게 된다. 이 동작에 주의하면, 축지점(201)과 축지점(205)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2도와 3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상부간(204)은 축지점(20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L자형측간(202)을 압간 몸체(6)쪽으로 끌어 당겨준다. 이 상태는 제3도를 참조하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혀진 바구니가 거의 유모차의 접힘 상태에서의 점유 공간내에 있도록 된 상태이다. 또한, 유모차의 접힙 동작동안, 한쌍의 압간 몸체(6) 및 한쌍의 후각(4)이 각각 폭을 감소하면서 서로에 접근한다. 이 동작은 한쌍의 상부간(204)이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바구니(206)와 관련된 구조물에 의해 방해되지는 않는다. 또한, 지지부재(207)는 후각 연결간(10)과 함께 변위되어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이게 되고, 유모차의 접힘 상태에서의 점유공간내에 있게 된다. 게다가, 바구니(206)는 유연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L자형측간(202) 및 상부간(204)의 동작이나 변위에 유리하게 따르게 되어 변형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기본적인 구조의 유모차에는 상술한 바구니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부가할 수가 있으며, 그러한 수정의 한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3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의 기본적인 구조에 좌석 연장 기능과 몸통 보호대(401)가 부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제39도는 이 유모차가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제40도는 이 유모차의 중앙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도등에 도시한 기본적인 구조의 유모차에 좌석 연장 및 몸통 보호대를 부가할 수가 있다.
먼저, 좌석 연장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1도는 제38도의 유모차의 좌석 연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접힘 작동 연결간(18)부근의 사시도이다. 제38도 내지 41도를 참조하면, 접힘 작동 연결간(18)은 중공 파이프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접힘 작동 연결간(18)내에는 봉형태의 슬라이더(301)가 활주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더(301)가 전방단에는 조작자의 손가락과 걸려 슬라이더(301)를 끌어내거나 또는 손으로 밀어 슬라이더(301)를 그 수축된 위치로 다시 되돌리기 위한 조작부(302)가 형성된다. 또한, 접힘 작동 연결간(18)내를 슬라이더(301)가 활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접힘 작동 연결간(18)에는 브래킷(303)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303)을 통하여 상기축지핀(19)이 삽입된다. 좌우 슬라이더(301)의 전방단사이에는 보강용 벨트(304)가 걸려있다. 또한, 중앙 연결간(21)의 전방에 있는 좌우 접힘 작동 연결간(18)사이에도 보강용 벨트(305)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벨트(304,30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넓 은 벨트(306)가 벨트(304,305) 및 중앙 연결간(21)을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게다가, 슬라이더(301)가 밖으로 끌어내지지 않을 때, 넓은 벨트(306)에는 쌕(sag, 307)이 형성되고, 따라서 이 쌕(307)이 완전히 늘어난 상태에서 슬라이더(301)의 인출단부가 규정되도록 넓은 벨트(306)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술한 좌석(151)은 이들 벨트(304,305,306) 및 중앙 연결간(21)상에 형성된다. 제38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좌석(151)은 그 전방단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좌석 연장부(308)를 포함한다.
상술한 좌석 연장부(308)는 제38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해먹의 등받침대(150)가 침대 형태로 하강할 때에 활용된다. 즉 해먹이 침대 형태를 취할때 아기의 다리는 곧게 뻗는쪽이 한층 편안하다. 그러므로, 슬라이더(301)가 조작부(301)에 의해 끌어내리면, 좌석 연장부(308)는 벨트(304) 및 넓은 벨트(306)의 전방단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된다. 따라서, 아기의 다리를 좌석 연장부(308)상으로 똑바로 뻗게 할수가 있게 된다. 해먹의 등받침대(150)가 의자 형태로 세워 올려지면, 좌석 연장부(308)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더(301)를 조작부(302)에 의해 밀려주게 되면, 좌석 연장부(308)가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되므로서, 아기의 다리는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되거나 발받침대상에 놓여진 상태로 될 수 있다.
다음에, 몸통 보호대(4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2도는 몸통 보호대(401)를 설명하기 위해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전방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3도는 제42도의 요홈(404)에 끼워지기 적합한 삽입체(412)의 사시도이다. 제44도 및 45도는 몸통 보호대(401)에 포함된 아아버(40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제46도는 몸통 보호대(401)가 제거되었을 때 요홈(404)속으로 삽입체(412)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8도 내지 40도 및 제42도 내지 46도를 참조하면, 몸통 보호대(401)는 아아버(402)와 상기 아아버를 덮도록 아아버(402)상에 배치되는 완충부재(403)를 포함한다. 완충부재(403)는 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탄력성있고 접힘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아아버(402)는 한쌍의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전방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42도를 참조하면,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전방단의 전면중 일부로부터 그 내측면의 일부까지 연장하는 요홈(404)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404)은 그 개구의 일부가 예정된 크기를 갖는 벽(405)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전방단의 상부면에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요홈(4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요홈(406)의 저면벽에는 원형의 관통구멍(407)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407)과 동측으로 정열하여 요홈(404)의 하면벽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408)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 구멍(407,408)속으로 플랜지핀(409)의 축부(410)가 삽입된다. 이 관통 상태에서, 플랜지핀(409)의 플랜지부(411)는 요홈(406)내에 밀접하게 끼워진다. 그러므로, 플랜지핀(409)은 용이하게 미끄러져 빠지지 않고, 만약 이것을 빼내기를 원할 경우에는 축부(10)의 하단을 하방으로부터 해머 등으로 때려야만 한다. 또한 관통구멍(407,408)의 공통 축선이 향한 방향, 즉 축부(410)가 향하는 방향은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수평 상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부면에 대해 약간 경사져 있다.
제43도를 참조하면, 삽입체(412)는 상기 요홈(404)에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그 외부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벽(405)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치(413)가 제공된다. 이 노치(413)와 대칭적인 위치에 제2노치(414)가 형성된다. 이 제2노치(41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삽입체(412)는 그 네개의 측면중에 거의 두표면에 걸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거의 중공이다. 삽입체(412)의 상부 및 하부벽에는 그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된 원형의 관통구멍(415,416)이 제공된다. 삽입체(412)의 거의 두 표면에 걸쳐 연장하는 개구의 한 측부는 벽(417)에 의해 규정되고, 이 벽으로부터 삽입체의 내부로 연장하여 돌출벽(418)이 형성된다.
삽입체(412)는 제42도에 도시한 요홈(404)에 끼워진다. 이때, 요홈(404)에 형성된 벽(405)은 삽입체(412)가 요홈(404)을 벗어나 돌출하지 않도록 제1노치(413)에 수용된다. 그리고, 네개의 원형관통구멍(407,415,416,408)은 단일 축선상에 서로 일렬로 배열된다.
제44도 및 45도에 있어서, 삽입체(412)는 요홈(404)에 끼워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아아버(402)의 관련 단부가 삽입체(412)내에 삽입된다. 아아버(402)의 단부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4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419)이 상기 관통 구멍(417, 415,416,408)과 정렬된 상태에서 플랜지 핀(409)의 축부(410)가 관통되므로서, 이 축부(410)에 의해 아아버(402)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아버(403)는 두곳에 접힘 가능 부분(420)을 갖고 있다. 이 접힘 가능 부분의 구조는 제44도의 상태로부터 제45도의 상태로 접힐 수 있게만 되어 있다. 더우기, 접힘가능 부분(420)을 최대한 연장시킨 상태로 한다 하더라도, 아아버(402)는 약간 전방으로 휘어진 선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이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있어서, 유모차가 접혀질 때에는 한쌍의 지각 압간 연결간(1)이 서로에 접근한다. 이 동작에 따라, 아아버(402)는 접힘가능 부분(420)에서 접혀진다. 이 접힘 동작의 완료는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아버(402) 단부 부근의 측면이 벽(405)과 돌출벽(418)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아아버(402)가 접힌 상태일지라도, 완충부재(403)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아아버(402)의 형태를 따라 똑같이 구부러진다. 이 접힌 상태에서의 몸통 보호대(401)는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 압간 연결간(1)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접힌 상태의 유모차가 점유하는 공간내에 유리하게 수용된다. 이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핀(409)의 축부(410)가 향한 방향이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수평 상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것이 아니라고 그 상면에 대해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이 유모차가 펼쳐질때, 한쌍의 지각 압간 연결간(1)의 서로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동작에 따라, 아아버(402)는 제4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크게 연장된 상태로 된다. 이때, 아아버(402) 단부부근의 측면은 벽(417)에 접촉하여 이 동작의 완료를 규정해 준다.
또한 몸통 보호대(401)는 불필요하게 될때 제거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플랜지핀(409)을 빼어내고 몸통 보호대(401)의 아아버(402)를 지각 압간 연결간(1)로부터 분리시켜 주므로서 간단하게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아버(402)의 간단한 제거는 요홈(404)내에 개구를 남기게 되므로 외관상 바람직스럽지 않을 뿐 아니라 손가락의 물림을 일으키기 쉬워 안전상으로도 바람직스럽지 않다. 이 때문에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412)를 일단 요홈(404)으로부터 빼내어 원형 관통구멍(415,416)의 축선을 중심으로 180°회전시킨 다음 이것을 다시 요홈(404)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삽입체(412)의 측면벽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2노치(414)내에 수용되는 벽(405)과 함께 요홈(404)의 개구를 덮게 되므로서, 치밀하게 삽입된 상태가 설정된다. 이때, 플랜지핀(409)의 축부(410)를 삽입하면, 이 상태가 고정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되었다 할지라도, 그러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지각 압간 연결간(1)에는 그 비교적 전방부에 한쌍의 전각(3) 및 한쌍의 후각(4)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후방단부에 한쌍의 압간 몸체(6)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후방단부에 한쌍의 압간 몸체(6)가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각 압간 연결간(1)과 전후 각(3,4) 및 압간 몸체(6)로 구성되며 좌우의 각 측면사이가 서로 접근할 수 있게 폭방향 연결장치(8,10,12)에 의해서 연결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후각(4)의 중앙부와 한쌍의 압간 몸체(6)의 하방단 사이에 한쌍의 압간 지지 앵글바(14)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전각(3)과 한쌍의 압간 지지 앵글바(14)사이에 한쌍의 접힘 작동 연결간(18)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압간 지지 앵글바(14)는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후각(4)의 상반부를 따라 연장하나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후각(4)의 하반부를 따라 연장하는 상태로 되고, 이러한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되는 사이에 상기 지각 압간 연결간(1)의 후방단 및 상기 압간 몸체(6)는 하향으로 변위됨과 동시에 상기 전각(3)은 상기 접힘 작동 연결간(18)에 의해서 끌어 당겨져서 상기 후각(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므로서 전각(3)과 후각(4) 및 압간 몸체(6)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폭방향 연결장치(8,10,12)가 접혀져 좌우의 각 측면이 접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19800003941A 1980-10-13 1980-10-13 유 모 차 KR84000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41A KR840001873B1 (ko) 1980-10-13 1980-10-13 유 모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41A KR840001873B1 (ko) 1980-10-13 1980-10-13 유 모 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05A KR830004105A (ko) 1983-07-06
KR840001873B1 true KR840001873B1 (ko) 1984-10-24

Family

ID=1921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941A KR840001873B1 (ko) 1980-10-13 1980-10-13 유 모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3408A (zh) * 2018-07-02 2018-11-0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05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7581A (en) Baby carriage
US4499619A (en) Baby bed
US4386790A (en) Baby carriage
US4272100A (en) Collapsible baby carriage
US4045045A (en) Foldable child walker
JP3040496B2 (ja)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KR880003567Y1 (ko) 유모차
US4660850A (en) Baby stroller
US4763911A (en) Foldable baby carriage
GB2069939A (en) Baby carriage
ITMI20000362U1 (it) Passeggino comprendente almeno due coppie di gambe ciascuna dotata diuna ruota ad una estremita' la prima e seconda gamba di ciascuna coppi
USRE31760E (en) Baby carriage
JPS59106366A (ja) ベビ−カ
JPH03114970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KR20120100713A (ko) 절첩식 유모차
US4597116A (en) Bed for baby carriages
EP1842760B1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US6416076B1 (en) Collapsible stroller
CN108209318A (zh) 儿童游戏床的上折叠装置
JPS6234226B2 (ko)
KR840001873B1 (ko) 유 모 차
KR20010049661A (ko) 쇼핑 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노인차
JP2503312B2 (ja) 歩行補助器
GB1584110A (en) Folding push-chairs
EP1323614A1 (en) Collapsible infant s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