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760Y1 -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 Google Patents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760Y1
KR840001760Y1 KR2019840002700U KR840002700U KR840001760Y1 KR 840001760 Y1 KR840001760 Y1 KR 840001760Y1 KR 2019840002700 U KR2019840002700 U KR 2019840002700U KR 840002700 U KR840002700 U KR 840002700U KR 840001760 Y1 KR840001760 Y1 KR 84000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housing
ink
passa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88U (ko
Inventor
휠립 클래딩-보엘 존
Original Assignee
웨이트 앤드 선 리미티드
휠립 클래딩-보엘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2268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065A/ko
Application filed by 웨이트 앤드 선 리미티드, 휠립 클래딩-보엘 존 filed Critical 웨이트 앤드 선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60Y1/ko
Publication of KR840005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8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43K7/105Feed bar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제1도는 필기구 팁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Ⅱ-Ⅱ선 및 Ⅲ-Ⅲ선에 따른 팁의 횡단면도.
제4도는 다른 필기구 팁의 축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에 따른 횡단면도.
본 고안은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tip)에 관한 것이다. 긴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 한쪽 끝의 소켓트(socket)에 파지(把持)되어 있는 볼(ball) 및 하우징 내실의 하단(下端)과 소켓트 사이에 형성된 홈이 파진 공급통로를 통하여 수성 잉크 공급원으로부터 볼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다른 한쪽끝으로부터 내실의 하단까지 뻗어 있는 수성 잉크 공급용 모세관을 갖는 섬유상 공급심(core)등으로 구성된 수성 잉크용 필기구팁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팁에 있어서, 심은 볼과 연결되는 홈이 파진 공급통로의 상단과 인접하도록 되어 있어서 홈이 파진 공급통로를 거쳐서 볼까지의 잉크 전달이 때때로 확실치 못했었다. 이는 주로 심의 하단으로부터 공급통로의 홈으로 잉크를 전달하는 작용이 빈약하기 때문인데, 이것은 예컨대 심의 하단과 홈이 파진 공급통로 사이에 생기는 축방향의 간격 때문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잉크용 심으로부터 홈이 파진 공급통로로 보다 확실하게 공급하는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긴 하우징, 하우징 하단의 소켓트에 파지된 볼 및 하우징 내실의 하단과 소켓트 사이의 하우징에 홈이 파진 공급통로를 통하여 수성 잉크를 공급원으로부터 볼까지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하우징의 내실 안으로 뻗어 있는 수성 잉크 공급용 모세관을 갖는 섬유상 공급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이 제공되며, 여기서 공급심은 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홈이 파진 공급통로의 상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심 재료는 공급통로의 홈내에서 압축되지 않고 최소한 공급통로의 상단에 채워진다.
상술한 방법으로 홈이 파진 공급통로내로 심을 삽입함으로써 심과 홈이 파진 공급통로의 홈 사이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이들 사이로 잉크를 보다 원활하게 흐르게 한다.
후술하는 본 고안의 하나의 예로서 심 재료는 홈이 파진 공급통로 가까이에서나 통로내에서도 사실상 압축되지 않는다. 공급통로의 홈에 끼인 심재료는 심의 모세관 작용을 방해하는 압축을 받지 않아야만 하고, 공급통로내로 심을 삽입할때 심재료가 공급통로의 홈내로 심한 압축없이 이동되며, 홈이 파진 공급통로의 끝과 유리하게 인접하게 되도록 심과 하우징을 배열하는 일이 특히 중요하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성 잉크를 사용하기 위한, 도시된 필기구 팁(1)의 각각은 긴 하우징(2)과, 하우징의 한쪽끝(5)에서 소켓트(4)에 파지되어 있는 필기구 볼(3) 및 하우징 내실(7)과 소켓트(4) 사이에 홈이 파진 공급통로(9)를 통하여 필기구 팁의 잉크공급원(도시하지 않았음)으로 부터 볼(3)까지 잉크를 전달하기 위한, 필기구 팁의 다른 한쪽끝(8)에서 하우징 내실(7)로 뻗어 있는 공급심(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에는 또한 필기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환영(環形) 접합부(10)가 설비되어 있다.
심(6)은 사용시에, 심의 끝부분(11)에 뻗어나오는 필기구내의 잉크 공급원[예컨대 트랜솔베(transorbe)즉, 잉크통]으로부터 홈이 파진 통로(9)까지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수성 잉크 공급모세관을 형성하도록 수지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 세로로 뻗어있는 인조섬유 봉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어 있는 홈이 파진 통로(9)는 잉크의 모세관적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원주상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는 여러개의 홈(12)를 갖는다.
심(6)과 통로(9)사이에 잉크를 잘 전달하기 위하여 심(6)은 볼(3)로부터 떨어져 있는 통로(9)의 상단913)에 삽입되어 있다. 심의 재료는 공급통로(9)의 홈(12)내에서 압축되지 않고 최소한 상단홈이 파진 공급통로(9)의 상단에서 공급통로의 횡단면을 차지한다. (제2도 및 제4도 참조)
따라서, 심고 통로의 홈(12)사이의 양호한 접촉은 심의 모세관 작용을 방해하는 심 재료의 상단 압축없이 달성된다. 도신된 팁의 경우에, 통로(9)로 심을 삽입할때, 심의 재료가 공급통로(9)의 홈(12)속으로 심한 압축없이 이동되도록 심과 하우징을 적절히 배열함으로서 양호한 접촉이 달성된다.
제1도와 제2,3도에 도시된 필기구 팁에서 심 재료는 홈이파진 공급통로(9)(필기구 팁의 홈(12)가 아니라)내에서 압축되지 않고 또한 홈이 파진 공급통로(9)에 인접하여 있다.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분사주형되며, 통로(9)의 상단(13)은 다수의 돌출부(14)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볼(3)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심 재료가 통로(9)에 삽입되어 앞으로 밀릴때 심 재료의 일부를 전단하여 통로상단(13)주위의 하우징내실 하단지역(15)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만약 이와같이 하지 않으면 심재료 전부가 통로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통로안에서 심 재료가 압축된다).
통로상단(13)은 사실상 절두원추면(切頭圓錐面)의 형상을 취하고 그 절두원추면은 통로 홈들(12)에 의하여 분할되며, 절단된 심재료의 일부분을 하우징내실지역(15)으로 안내하는 돌출부(14)의 외면을 제공한다. 홈(12)는 압축없이 심 재료를 앞으로 밀려나 아가게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나이프이지(knife-adges)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하우징내실(1)에는 세로로 일직선으로 뻗어있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어 내실안에 들어있는 심을 축방향으로 잡아준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이트 에이지되고 심을 잘라 파고들은 리브(17)는 심이통(9)로 내로 삽입될때 중심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며 그 다음 내실(7)내의 심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한다. 심의 주변은 통로(9)속에 심을 삽입하기 전에 리브(17)의 나이프 에이지로 전단됨으로서 차후의 돌출부분(14)에 의한 심의 전단이 용이하게 된다. 리브(17)사이에 홈(18)에 형성되어 있어 절단된 심재료의 일부가 하우징 내실의 하단지역(15)에 쉽게 들어설 수 있게 함으로써 이 물질이 심하게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심을 심의 방사상 내부로 압축시키지 않아도 되어 심의 모세관 작용을 방해하지 않게된다.
제1도-제3도에 도시된 필기구 팁에서 삽입에 앞서 통로(9)에 삽입된 심의 끝부분은 내실(7)안에 있는 심의 주부분과 동일한 직경이며, 편평한 횡단면이다. 그러나, 이 끝부분은 단면을 축소시키거나 또는 가늘게 할 수도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필기구 팁에는 통로(9)에 삽입된 심(6)의 끝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이는 심이 들어갈때 중심을 맞춰주는 작용을 하고, 홈(12)내로 전위될 심 재료가 적기 때문에 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준다.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필기구 팁내의 하우징(2)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리브(17)와 상술한 하우징의 하우징 돌출부(14)를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팁에서는 심 물질이 최소한 통로의 홈(12)내에서 압축되지는 않는다.
통로의 끝(13)에는 전자 하우징의 하우징표면(16)과는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오목한 절두-원추형표면(16)이 설비되어 있다. 따라서 양자 하우징에 있어서는 통로상단(13)은, 심의 하단부분과 통로상단 사이의 접합을 필요로하는 공지의 팁에서 제공되어 있는 바와같이, 평면의 횡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만약 통로(9)에 끝부분(13)이 평면의 횡단면 이라면 통로내로 심이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며 필연적으로 통로의 홈(12)내에 심의 압축을 야기시키는바, 압축은 심(6)의 모세관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Claims (1)

  1. 긴하우징, 하우징의 하단에서 소켓트에 파지된 볼, 하기하는 잉크공급심하단과 볼소켓트 사이에 마련된 홈이 파진 잉크공급통로 및 잉크공급원으로부터 하우징 상단을 거쳐 하우징 내실안으로 뻗어있는 모세관을 가진 섬유상의 잉크공급심으로 구성된 수성잉크용 필기구 팁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심(6)의 하단은 홈(12)이 파진 잉크공급통로(9)의 상단(13)에 삽입되며, 상기 공급통로(9)의 상단(13)은 그안으로 삽입되는 공급심(6)하단의 외주부분이 전단되어 공급통로(9)밖으로 밀려나가도록 다수의 돌출부(14)를 가진 절두원추면(切頭圓錐面)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공급통로(9) 및 그홈(12)안으로 삽입되는 잉크공급심(6) 하단의 중심부분은 거의 압축되지 않고 공급통로(9) 및 그 홈(12)의 횡단면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성잉크용 필기구 팁.
KR2019840002700U 1978-07-11 1984-03-27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KR8400017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9444/78 1978-07-11
GB7829444 1978-07-11
GB36371/78 1978-09-11
GB7836371 1978-09-11
KR1019790002268A KR830001065A (ko) 1978-07-11 1979-07-10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760Y1 true KR840001760Y1 (ko) 1984-09-18
KR840005988U KR840005988U (ko) 1984-11-10

Family

ID=6984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700U KR840001760Y1 (ko) 1978-07-11 1984-03-27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7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88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0222A (en) Aqueous ink writing tip
KR860007555A (ko) 광코넥터
US3520629A (en) Writing instruments
US3945733A (en) Mechanical pencil
PL186812B1 (pl) Przyrząd do pisania
US4065215A (en) Writing instrument
KR840001760Y1 (ko) 수성 잉크용 필기구 팁
JPS63262216A (ja) 射出ノズルの構造
US3678565A (en) Method of making a ball point pen or a refill therefor
EP1442899A1 (de) Verschlusskappe mit Nachfüllfunktion
KR960037243A (ko) 볼 이음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177448B2 (en) Writing implement having a capillary writing tip
DE3302963A1 (de) Schreibgeraet fuer fluessige schreibmedien
US6676319B2 (en) Glue stick
US2390541A (en) Writing implement
EP0091516B1 (de) Tintenschreiber
KR200165009Y1 (ko) 봉상물조출용기
KR880010887A (ko) 합성수지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840002385Y1 (ko) 샤프 펜슬
KR100241649B1 (ko) 공급부를 구비한 필기구
DE3301571C2 (ko)
GB2098135A (en) A nib replaceable writing instrument
KR920004690Y1 (ko) 복합필기구의 지우개 송출장치
US3064625A (en) Fountain pen
EP3031613A1 (en) Felt tipped feeding assembly and writing instrument fed from a standard disposable cartridge of aqueous 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