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74B1 -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74B1
KR840001574B1 KR7904087A KR790004087A KR840001574B1 KR 840001574 B1 KR840001574 B1 KR 840001574B1 KR 7904087 A KR7904087 A KR 7904087A KR 790004087 A KR790004087 A KR 790004087A KR 840001574 B1 KR840001574 B1 KR 84000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iron core
recording
motor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아사이
도시토요 오오다
구니오 시미즈
데쯔지 나까자와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790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제1도는 장치전체의 평면도.
제2도는 캡스턴 및 릴대구동부의 사시도.
제3도는 재생절환장치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재생 절환장치의 절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9도는 기록절환장치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기록절환장치의 절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13도는 조송, 되감기 절환 장치부분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 ⅩⅣ-ⅩⅣ 선을 철취한 확대단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조송, 되감기 절환동작을 설명하는 중요부의 평면도.
제17도는 구동회로도.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런져-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위상 텃치식의 것이다. 종래부터 위상 텃치식의 테이프 레코더 등에 있어서는 플런져-솔레노이드들 사용하여 각종의 절환을 행하고 있으나 종래는 대용량의 플런져-솔레노이드가 필요하고 그 소비전력은 대단히 크다. 따라서 종래는 전지사용의 테이프 레코더 등에 있어서는 위상 텃치화가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을 시정하고저 발명된 것이고 플런져-솔레노이드로 소망의 절환을 행하는데도 불구하고 이 플런져-솔레노이드에 기계적인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극력 방지하여 소비전력이 극히 적고 건전지로 동작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소형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한 실시 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소형 카셋트(마이크로 카셋트)용의 소형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이 소형 테이프 레코더는 건전지식의 위상텃치를 실현한 것이고 전원을 예를들면 단 3(V)의 건전지 두 개를 사용하는 최저 소비전류도 동작하는 것이다. 또 그 주요한 요인은 플런져-솔레노이드의 가동철심(鐵芯)을 고정 철심에 접촉시킨 상태로 사용하므로서 수 미리 암제어의 전류에 의하여 수백 그램의 기계적 홀드를 가능하게 한 데 있다.
다음에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소형 테이프 레코더의 전체 개략을 설명하면 (1)은 캡스턴, (2a)(2b)는 한쌍의 공급 및 권취용 릴대, (3)은 핀치로울러, (4)는 헤드기판, (5)는 기록재생 헤드, (6)은 소거헤드이고 이들은 메카기판(7) 위에 취부되어 있다(단 기록재생헤드(5)는 헤드기판(4) 위에 취부되어 있다). (9)는 카셋트이고, 캡스턴(1) 및 양 릴대(2a(2b)에 장착된 세개의 위치 결정핀(10)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헤드기판(4)은 후술하는 셋업 슬라이더(11)의 접동동작에 의하여 제1도로 후퇴 위치에서 점선의 전진위치로 전진되고 이에 의하여 핀치로울러(3), 기록재생헤드(5) 및 소거헤드(6)가 카셋트(9) 내에 삽입되면서 이들이 캡스턴에 압착되고 테이프(12)에 접촉된다.
한편 이러한 소형 테이프 레코더로는 기록재생용 모터(14)와, 조송 되감기용 모터(15)의 두 개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기록재생용 모터(14)는, 벨트(16)에 의하여 캡스턴 플라이휠(17)를 회동시키고 다른 쪽의 가송되감기용 모터(15)는 아이들러(idler) 구동기구(18)를 통하여 조송되감기 절환용 아이들러(19)를 회동시킨다. 또 권취릴대(2b)는 캡스턴(1)과 아이들러(20)에 의하여 회동되는 메인기어이다.
또 이소형 테이프 레코더로는 재생절환용 플런져-솔레노이드(24)와 기록절환용 플런져-솔레노이드(25)의 두 개의 플런져-솔레노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후 제3도 내지 제8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재생절환 장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재생절환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면 상기 플런져-솔레노이드(24)는 자성체로서 구성된 대략
Figure kpo00001
자형을 이루는 고정철심(27)과, 그 일부에 권회된 코일(28)과, 자성체로서 구성된 가동철심(2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철심(27)에 가동철심(29)을 압착시킨 상태로 코일(28)를 도통시키며, 코일(28)의 도통을 절단하므로서 가동철심(29)를 고정철심(27)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재생절환 장치의 구동원은 캡스턴(1)으로 구동되는 메인기어(21)이다. 이 메인기어(21)는 그에 일체로 설치된 피니언(31)에 의하여 셋업레버(32)에 의하여 상기의 셋업 슬라이더(11)가 셋트 위치에 접동된다. 이때 플런져-솔레노이드(24)가 도통되면 재생 슬라이더(34) 및 로크레버(35)에 의하여 피니언(31)에 대하여 랙(33)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동시에 셋업 슬라이더(11)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구동되면 슬라이더(36)에 의하여 상기 헤드기판(4)이 전진 위치로 전진되게 구성된다.
또(37)은 가동철심(29)을 고정철심(27)에 강제로 압착시키는 강제 슬라이더이며, 셋업 슬라이더(11)와 타이밍 슬라이더(38)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가동철심(29)은 재생 슬라이더(34)의 선단(34a)에 지축(支軸)(39)을 통하여 접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용수철(40)에 의하여 고정철심(27) 측으로 돌출되어 힘을 가하고 있다.
다음에 이 재생절환 장치치 절환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제4도와 같이 정지 상태로는 용수철(41)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강제 슬라이더(37)가 로크레버(35)의 지점축(42)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로크레버(35)에 힘을 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크레버(35)가 방향으로 회전되며, 재생 슬라이더(34)는 그의 안내 정지핀(112)에 의하여 안내되게 하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장공(44)내에 로울러(43)에 의하여 재생 슬라이더(34)의 용수철(45)에 저항하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 결과 가동철심(29)이 용수철(40)에 의하여 고정철심(27)으로 압착된다. 따라서 용수철(41),(45)의 힘에 있어서 용수철(41)의 힘이 용수철(45)의 힘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로크레버(35)의 선단(35a)은 셋업 레버(32)를 누르게 되고 이 힘이 지점축(46)을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셋업레버(32)의 택(33)이 피니언(31)과 서로 맞물리게 되고 또 그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점축(46)은 셋업 슬라이더(11)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다음 이러한 정지상태로 재생 버턴 스위치가 온되면 플런져-솔레노이드(24)의 코일(28)이 도통됨과 동시에 모터(14)가 구동되며, 동시에 코일(28)이 도통되므로서 고정철심(27)의 전자력(電磁力)에 의하여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7)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가동철심(29)은 고정철심(27)에 미리 압착되어 있어서 양자간에는 공극이 전혀 없기 때문에 대단히 약한 전자력에 의하여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7)에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28)에 흐르게 되는 전류는 극히 소량(수미리 암페어)으로서 충분하며, 재생 슬라이더(34), 로크레버(35)에 의하여 피니언(31)에 대하여 랙(33)이 서로 맞물림 상태로 보존된다.
한편 모터(14)에 의하여 캡스턴(플라이 횔(17)이 회전되고 캡스턴 기어(22)와 맞물린 메인 기어(21)가 화살표 f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 셋업 레버(32)에 의하여 셋업 슬라이더(11)가, 용수철(47)에 저항하여 화살표 g 방향으로 접동 개시된다.
이때 피니언(31)에 의하여 랙(33)이 구동될 때의 회전 모멘트로서 셋업 레버(32)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랙(33)이 피니언(31)에서 이탈하려고 하지만 로크레버(32)가 눌려져 있으므로 래크(33)가 피니언(31)에서 벗겨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셋업 슬라이더(11)가 화살표 g 방향으로 접동 개시되면 우선 제5도와 같이 셋업 슬라이더(11)의 선단(11a)에 형성한 경사면(49)이 강제 슬라이더(37)에 설치된 돌기(50)를 누르게 되고 이 경사면(49)에 의하여 돌기(50)가 안내되어 강제 슬라이더(37)가 용수철(41)에 저항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후퇴된다.
이때 강제 슬라이더(37)의 후퇴에 의하여 강제 슬라이더(37)의 선단(37a)은 로크레버(35)에서 떨어지고, 그 순간부터 셋업 레버(32)의 피니언(31)에 대한 이탈 방지는 플런져-솔레노이드(24)의 전기적인 지지력만으로 된다.
그리고 강제 슬라이더(37)는 제5도의 위치까지 후퇴되었을 때에 돌기(50)가 셋업 슬라이더(11)의 단연(51)위에 높이므로서 후퇴 위치에서 로크된다. 한편 타이밍 슬라이더(38)는 용수철(52)에 의하여 화살표 h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어서, 그의 일측에 설치된 팬(53)에 의하여 셋업 슬라이더(11)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돌기(54)와 접촉된다. 따라서 셋업 슬라이더(11)가 화살표 g 방향으로의 접동됨과 동시에 타이밍슬라이더(38)도 화살표 h 방향으로 접동되지만 먼저 타이밍 슬라이더의 선단(38a)이 강제 슬라이더(37)의 돌기(50)와 접촉되면서 화살표 h방향으로의 접동이 저지된다.
그 다음 강제 슬라이더(37)가 제5도의 위치까지 후퇴되었을 때 타이밍 슬라이더 선단(38a)이 돌기(50)에서 벗어난다.
그러면 그 순간에 타이밍 슬라이더(38)가 용수철(52)에 의하여 화살표 h방향으로 접동되며 제6도와 같이 타이밍 슬라이더 선단(38a)이 돌기(50)의 전방의 측면에 맞춰진 후 이 타이밍 슬라이더(38)는 강제 슬라이더(37)가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접동되지 않게하는 저지판이 된다.
그런데 제6도와 같이 셋업 레버(32)에 설치된 절결부(56)가 로크 레버(35)의 선단(35a)의 위치에 오게되며 그 순간에 셋업레버(32)가 그에 가하여진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크 레버(35)의 선단(35a)이 절결부(56) 내로 맞춰진다. 이 결과 로크 레버(35)에 의하여 셋업 레버(32)가 로크되고, 셋업 슬라이더(11)가 그의 셋트 위치로 로크된다.
한편 제7도는 셋업 슬라이더(11)가 화살표 g 방향으로의 접동 개시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헤드기판 슬라이더(36)가 용수철(57)에 의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 헤드기판(4)은 후퇴 위치로 후퇴되어있게 한다. 또 헤드기판(4)은 그와 헤드기판 슬라이더(36)와의 사이에 길게 놓여 있는 용수철(58)에 의하여 헤드기판 슬라이더(36)에 대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헤드기판 슬라이더(36)에 취부된 핀(59)에 접촉된다.
그리고 셋업 슬라이더(11)가 상술한 바와같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접동되면 제8도와 같이 셋업 슬라이더(11)의 한 부분에 형성한 경사면(60)이 헤드기판 슬라이더(36)의 중심에 부착된 로울러(61)를 누르게 되고 이 경사면(600)에 의하여 로울러(61)가 안내되어 헤드기판 슬라이더(36)가 용수철(57)에 저항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접동되며, 헤드기판 슬라이더(36)에 의하여 헤드기판(4)이 용수철(58)에 의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접동되는데 즉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한(바와같이 전진 위치로 전진된다. 또 셋업 슬라이더(11)가 셋트 위치에 도달하면 로울러(61)가 셋업 슬라이더(11)의 경사면(60)에서 단부(62)위로 놓여지고 그후 헤드기판 슬라이더(36)가 셋트 위치에서 로크된다. 또 헤드기판(4)은 용수철(58)의 힘에 의하여 정지구(63) 및 하나의 카셋트 위치 결정핀(10)에 연결되어 왕동위치에서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기판(4)의 전진에 의하여 그에 설치된 돌기(64)가 핀의 로울러 압착용수철(65)의 일단(65a)을 지지케하고 압착용수철 타단(65b)이 핀치로울러 레버(66)를 누름과 동시에 헤드기판(4)에 설치된 핀(113)에 의하여 위치 규제되고 있다. 이 결과 핀치로울러 레버(66)가 지점축(67)을 중심으로 화살표 j′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핀치로울러 레버(66)의 선단에 추착되어 있는 상기 핀치로울러(3)가 상기 카셋트(9) 내로 삽입되어 캡스턴(1)에 압착되나 이때에는 소거헤드(6)는 전진되지 않는다. 또 셋업 슬라이더(11)의 접동에 관련하여 이 셋업 슬라이더(11)에 직선부(68)를 형성하여, 이 직선부에 의하여 아이들러(20)를 비치고 있는 핀치로울러 레버(66)를 정합시키면 제8도와 같이 상기 아이들러(20)가 캡스턴플라이휠(17)과 권취릴대(2b) 사이에 압착되어 권취릴대(2b)가 회동된다.
이상에 의하여 이 소형 테이프 레코더가 재생 상태로 절환되고 카셋트(9)의 테이프(12)가 제1도의 화살표 K방향으로 정규속도로 주행되어 소망의 재생이 행해진다.
다음에 이 재생 상태에서 정지버턴 스위치가 온으로 되면 코일(28)의 도통이 절단됨과 동시에 모터(14)가 정지된다.
이에 따라 코일(28)의 도통이 절단되므로서 플런져-솔레노이드(24)의 전기적인 지지력이 상실되고 제6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 슬라이더(34)가 용수철(45)에 의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복귀된다. 이때 핀(48)이 셋업레버(32)의 정지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결과 로크레버(35)의 선단(35a)이 셋업레버(32)의 절결부(16)에서 벗겨지고, 이 셋업 레버(32)의 로크가 해제된다. 동시에 셋업 슬라이더(11)가 용수철(47)에 의하여 화살표 g′ 방향으로 되돌려져서 제4도의 후퇴 위치로 후퇴된다.
이때 셋업 슬라이더(11)가 후퇴되므로서 그의 단연(51) 위에 놓인 강제 슬라이더(37)는 일시적으로 타이밍 슬라이더(38)의 선단(38a) 위로 놓이게 되며, 셋업 슬라이더(11)가 제4도의 복동 위치로 후퇴되기 직전에 돌기(54)가 핀(53)에 접촉되고 이 타이밍 슬라이더(38)가 용수철(52)에 저항하면서 제4도의 후퇴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결과 타이밍 슬라이더(38) 선단(38a)이 강제 슬라이더(37)의 돌기(50)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이 순간에는 지금까지 제5도의 위치까지 후퇴되어 있던 강제 슬라이더(37)가 용수철(41)에 의하여 다시금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전진된다. 그리고 강제 슬라이더(37)의 선단(37a)이 로크레버(35)를 누르게 되며 이 로크레버(35)가 다시금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재생 슬라이더(34)가 용수철(45)에 저항하여 다시금 화살표 C방향으로 전진되며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7)에 압착되게 한다. 또 로크레버(35)의 선단(35a)이 다시금 셋업 레버(32)를 누르게 되고 이 셋업 레버(32)가 다시금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되어 랙(33)이 피니언(31)에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로 유지된다.
동시에 셋업 슬라이더(11)가 후퇴되면 헤드기판 슬라이더(36)가 용수철(57)에 의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되돌아 오게 되어 제7도의 후퇴 위치로 후퇴되면서 핀(59)에 의하여 헤드기판(4)이 압압하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되어 제7도의 후퇴 위치로 후퇴된다. 이때 헤드기판(4)에 설치된 핀(113)에 지지되는 핀의 로울러의 압착 용수철(65)에 의하여 핀의 로울러 레버(66)가 화살표 j방향으로 회전되며, 핀의 로울러(3)가 캡스턴(1)에서 분리되고, 한편 셋업 슬라이더(11)의 복동에 관련하여 아이들러(20)가 캡스턴 플라이휠(17)과 권취릴대(26) 사이에서 분리된다.
이상에 의하여 이 소형 테이프 레코더가 재생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절환된다.
그 다음 제9도 내지 제12도에 의하여 기록절환 장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 기록절환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면 플런져-솔레노이드(25)는 상기 플런져-솔레노이드(20)와 같이 고정철심(71)과 코일(72) 및 가동철심(73)으로 구성되고 또 같이 동작을 한다.
한편 이 기록절환 장치로는 슬라이더 스위치로 구성된 기록재생 스위치(7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기록재생 스위치(75)는 정지상태로는 기록측으로 절환되어 있어서 기록상태로, 절환시에는 플런져-솔레노이드(25)의 전기적인 지지력으로 지지되는 기록유지 슬라이더(76),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에 의하여 기록측에 그대로 유지된다. 또 상술한 재생상태로 절환할때는 상기 헤드기판(4)의 전부진에 따라 동작하는 기록재생 절환 레버(78)에 의하여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가 재생측으로 절환된다. 또한 상기 소거헤드(6)는 마그네트 소거헤드로 구성되며, 소거헤드 슬라이더(79)에 취부되어 있어, 기록상태로, 절환시에는 전진되면서 상기 카셋트(9)내에 삽입된다. 또 가동철심(73)은 기록유지 슬라이더(76)의 선단부(76a)에 지축(80)을 통하여 접동이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으며 또 용수철(81)에 의하여 고정철심(71)측으로 돌출되어 힘을 가한다.
그 다음 기록절환 장치의 절환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제10도의 정지 상태로는 헤드기판(4)이 기록재생 절환레버(78)의 일단에 부착된 로울러(83)를 화살표 j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으며, 그 타단이 장공(87)에 정합된 로울러(86)에 의하여 기록유지 슬라이더(76)를 화살표 m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 결과 가동철심(73)이 용수철(81)에 의하여 고정철심(71)에 압착되면 헤드기판(4)의 일부에 설치된 돌기(88)가 소거헤드 슬라이더(79)의 선단(79a)의 일부에 설치된 돌기(89)와 접동되면서 용수철(90)에 저항하여 화살표 m′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또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는 기록재생 절환레버(78)의 지점축(84)과 로울러(86) 사이의 중심에 고정된 로울러(91)가 장공(92)과 협동하도록 정합되어 있어서 화살표 m′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는 그 일부에 설치된 절결부(93)에 의하여 기록재생 스위치(75)의 접동자(75a)에 정합되고 이 접동자(75a)를 기록측으로 절환하고 있다.
그 다음 이 정지상태에서 재생상태로 절환이 되면, 제11도와 같이 헤드기판(4)이 화살표i′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 기록 재생 절환레버(78)가 용수철(86)에 의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회전되고, 기록유지 슬라이더(76) 및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가 같이 화살표 m′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이 결과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에 의하여 기록재생 스위치(75)의 접동자(75a)가 재빨리 재생축으로 절환된다.
이때 지점축(84)과 로울러(91)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는 저울 대의 원리로 비교적 강하게 화살표 m′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기록재생 스위치(75)의 접동자(75a)가 확실하게 절환된다.
이와 동시에 기록유지 슬라이더(76)의 일부에 설치된 돌기(95)가 소거헤드 슬라이더(79)의 선단(79a)에 접촉되면서 용수철(90)에 저항하여 화살표 m′ 방향으로 소거헤드 슬라이더(79)를 재빨리 밀어 소거헤드(6)가 카셋트(9) 내에 삽입되지 않게 멈춘다.
또 다시 정지상태로 절환되어 헤드기판(1)이 화살표 i 방향으로 후퇴하면 기록재생 절환레버(78)는 화살표 l 방향에 밀려서 되돌아오고 기록유지 슬라이더(76) 및 기록재생 절환 슬라이더(77)가 화살표 m 방향으로 밀려서 되돌아 오며, 다시금 기록재생 스위치(75)가 기록측으로 절환됨과 동시에 가동철심(73)이 고정철심(71)에 압착된다.
그런데 상기 정지상태로 기록버턴 스위치가 온되면, 기록상태로 절환이 될 때에는 플런져-솔레노이드(25)의 코일(72)이 도통된 상태로 전술한 재생상태 절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코일(72)이 도통되므로서 고정철심(71)의 전자력에 의하여 가동철심(73)이 고정철심(71)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플런져-솔레노이드(25)의 전기적인 지지력에 의하여 제12도와 같이 기록유지 슬라이더(76)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잡아당겨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기록 유지 슬라이더(16)에 의하여 기록재생 절환레버(78)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기록 재생절환 슬라이더(77)가 기록 재생 스위치(75)를 기록측에 그대로 유지되게 한다.
한편 헤드기판(4)의 돌기(88)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전진하므로서 소거헤드 슬라이더(79)의 돌기(89)도 용수철(90)에 의하여 화살표 m 방향으로 전진되어 소거헤드(6)가 카셋트(9) 내에 삽입되어 테이프(12)와 접촉된다.
이상에 의하여 이 소형 테이프 레코더는 기록상태로 절환되어 소망의 기록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지상태로 절환될 때는 헤드기판(4)이 화살표 i 방향으로 후퇴되므로서 제10도와 같이 소거헤드 슬라이더(79)가 화살표 m′ 방향으로 밀려지므로 소거헤드(6)가 카셋트(9)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에 제13도 내지 제16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조송-되감기 절환 장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조송-되감기 절환장치에 사용될 상기 모터(15)는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러(19)는 요동 레버(97)의 일단에 설치될 아이들러축(98)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아이들러축(98)의 상단에는 로울러(99)가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메카기판(7) 위에 설치된 중간축(100)에 통축(筒軸)(101)이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고 그 통축(101)의 상단에는 중간 도르래(102)가 고정되며, 이 중간 도르래(102)의 하면에 설치된 구동기어(103)에 아이들러(19)의 외주에 설치된 기어(104)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있고 요동레버(97)의 하단은 통축(101)의 하단축에 삽입되어 통축(101)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이 자재롭게 구성되어 있다. 조송되감기용 모터(15)는 벨트(105)를 통하여 중간 도르레(102)를 회동시킨다.
또 통축(101)의 하단에는 플런져판(10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레버(97)의 하단은 제한기(107)에 의하여 플런져판(106)과 마찰정합된다. 또 이 제한기(107)는 요동레버(97)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마찰되게 겹쳐지는 한쌍의 마찰판(108)과 이들을 플런져판(106) 측에 힘을 가하는 제한기 용수철(109)로서 구성되고 있다.
이후 이러한 조송 되감기 절환장치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조송할 때에는 모터(15)가 정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5도와 같이 구동기어(103)가 화살표 O 방향으로 회동되고 아이들러(19)가 화살표 P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하여 제한기(107)의 마찰회전력에 의하여 요동레버(97)가 화살표 Q 방향으로 요동되게 하면서, 아이들러(19)를 권취릴대(2b) 측으로 이동시켜 그 권취릴대(2b)의 의주에 설치된 기어(109)에 맞물리게 한다.
이 결과 권취릴대(2b)가 화살표 r 방향으로 고속회동되고 소망의 테이프 조송이 행해진다.
다음에 되감기를 할 때에는 모터(15)가 역회전으로 회동되며 제16도와 같이 구동기어(103)가 화살표 C′방향으로 역회전 구동되고 아이들러(19)가 화살표 P′ 방향으로 역회전된다.
그리하여 제한기(107)의 마찰회전력에 의하여 요동레버(97)가 화살표 Q′ 방향으로 요동되면서 아이들러(19)를 공급릴대(2a) 측으로 이동시켜 그 공급릴대(2a)의 외주에 설치된 기어(110)에 맞물리게 한다.
그 결과 공급릴대(2a)가 화살표 r′ 방향으로 고속회동되고 소망의 테이프의 되감기가 행해진다.
또 상술한 재생(또는 기록)시에는, 상기의 헤드기판 슬라이더(36)가 제13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셋트 위치로 전진되고 그 일부에 설치된 아이들러 셋트용 凹부(111)로 아이들러 축(98)의 로울러(99)를 보유한다. 이 결과 아이들러(19)가 양측릴대(2a),(2b)의 중간 위치로 지지되고 이 아이들러(19)가 양측릴대(2a)(2b)에 불규칙적으로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이 소형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회로를 제1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구동회로는 재생버턴 스위치(SW)가 온되면 제어회로의 출력단 Q1과 Q2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모터(14)가 구동됨과 동시에 플런져-솔레노이드(24)가 도통되어 상술한 재생 상태로 절환이 행해진다.
다음에 기록버턴 스위치(SW)가 온이되면 시스템 제어회로의 출력단 Q1, Q2및 Q3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모터(14)가 구동됨과 동시에 두 개의 플런져-솔레노이드(24),(25)가 동시에 도통되어 상술한 기록상태로 절환이 행해진다.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조송버턴 스위치(SW3)가 온되면 출력단 Q4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모터(15)가 정방향으로 회동되고 되감기 버턴 스위치(SW4)가 온되면 출력단 Q5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모터(15)가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정지버턴 스위치(SW5)가 온되면 모든 출력단 Q1내지 Q5의 제어신호가 절단된다. 또 정지버턴 스위치(SW6)는 소위 푸시풀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어 재생 또는 기록중에 있어서 이 정지버턴 스위치(SW6)가 온되었을 때에는 출력단 Q1의 제어신호가 절단되고 모터(14)가 정지된다. 또 재생중이면 플런져-솔레노이드(24)는 도통상태로 유지되고, 기록중이면 두 개의 플런져-솔레노이드(24),(25)가 같이 도통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소형 테이프 레코더는 다음과 같은 정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헤드기판(4)이 후퇴위치(복동위치)에 있을 때 또는 전진 도중에 있을 때에는 오프로 되어 있어서 헤드기판(4)이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온상태로 절환되는 정지절환 스위치(SW7)를 설치하여 이 정지절환 스위치(SW7)가 오프일 때에는 모터(14)를 회동 상태로 있게 하고 이 정지절환 스위치(SW7)가 온 상태로 절환되었을 때는 모터(14)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7도 및 제8도는 상기 헤드기판 슬라더(36)의 선단(36a)으로 정지 절환 스위치가 작동되게 한다.
이 정지 절환스위치(SW7)는 실제로는 증폭기의 전원 스위치를 겸용하고 있으나 제17도는 이 정지절환 스위치(SW7)가 상기 오프 상태일 때 그 가동접점 A가 고정 접점 B측으로 절환된 상태가 되므로 이때에는 모터(14)가 구동 가능한 상태로 놓여진다. 또 이 정지 절환스위치(SW7)가 상기온 상태일 때 그 가동접점 A가 고정접점 C측으로 절환되어 모터(14)의 서보 회로가 접지되어 모터(14)가 접지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정지 장치에 의하면 우선 정지버턴 스위치(SW6)를 온한 후, 기록버턴 스위치(SW2)를 온하면 모터(14)가 구동되어 기록정지 상태에의 셋팅이 개시되고 헤드기판(4)이 전진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정지 절환 스위치(SW7)가 오프로 되고 모터(14)가 정지되어 기록정지 상태에의 셋팅이 완료된다. 이때 셋업 슬라이더(11)의 경사면(68)에 계속하는 직선부(68′)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66)의 일단의 중심에 고정된 로울러(69)가 위치 규제되므로, 핀치 로울러(3)는 캡스턴(1)으로 압압되지 않고 이간된 위치에 있게 된다. 이후 정지 버턴 스위치(SW6)를 오프시키면 모터(14)가 다시금 구동되고 헤드기판(4)이 전진 위치로 잠깐동안 전진함과 동시에 셋업 슬라이더(11)의 상기 직선부에 의한 핀치 로울러(66)의 위치규제가 해제되므로 핀치 로울러(3)는 캡스턴(1)에 압착되면서 순간적으로 기록상태로 절환되어 기록 작동이 재빨리 개시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에 한정되지 않고 VTR 및 기타 여러 종류의 기록재생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으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그런데 플런져-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종래의 위상텃치식 테이프 레코더 등에 있어서는 플런져-솔레노이드를 기계적으로 트리거시키므로써 각종의 모드 절환기구를 기계적으로 전환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그 동작시에 플런져-솔레노이드에는 기계적인 큰 부하가 항상 가해진다.
따라서 플런져-솔레노이드로서 부하에 맞는 큰 힘이 필요하고 그 구동력에 요하는 소비전력은 최저라하여도 6내지 9볼트의 큰 전력이 필요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의 위상텃치식으로는 건전지로 구동하는 것이 곤란하였으므로 일반적으로 상응의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또 플런져-솔레노이드 자체도 비교적 대형의 것이 사용되는 관계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되지 않고 예를들면 포켓용 규격에는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그런데 본 고안은 고정철심(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한 고정철심(27)에 대하여 가동철심(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가동철심(29)을 압착 및 분리를 자유롭게 구성한 플런져-솔레노이드(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플런져-솔레노이드 24), 제1모터(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모터 14)로 구동되는 피니언(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피너언 31)에 대하여 맞물림 및 분리가 자유롭게 한 랙(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래크 33)과 이 랙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작절환수단(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셋업 슬라이더 11)과, 상기 가동 철심으로 구동되어 상기 래크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림이 되는 로크수단(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로크레버 35)과, 상기 가동철심을 상기 고정철심에 압착시키는 용수철(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용수철 41)과, 제2모터(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모터(15)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절환되고 또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요동되는 요동레버(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요동레버 97)에 취부된 아이들러(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아이들러 19)로 되고, 상기 가동철심을 상기 고정철심에 압착시킨 상태로 상기 플런져-솔레노이드에 통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제2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아이들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과 동시에 이아이들러를 공급릴대(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공급릴대 2b)와 권취릴대(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한 고권취릴대 2a)에 선택적으로 압착이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으로 래크를 구동시키므로써 소망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나 이때 우선 플런져-솔레노이드는 단지 래크를 피니언에 대하여 맞물리게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만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기계적인 트리거로서는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플런져-솔레노이드의 힘은 극히 약한 것으로 족하다. 더우기 가동철심을 고정철심에 압착시킨 상태로 도통하여 고정철심의 전자력에 의하여 가동철심을 고정철심에 고정시키는 전자적 지지력을 가지고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예를들면 7 내지 10미리 암페어의 전류에 의하여 예를들면 200그람(g) 정도의 큰 힘을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2모터의 회전방향 절환에 의하여 아이들러를 통하여 공급릴대와 권취릴대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들 한쌍의 릴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절환기구가 전혀 불필요하고 또 그 절환기구에 의한 부하가 플런져-솔레노이드에는 전혀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위상 텃치식이면서 소비전력이 극히 적고 건전지로 극히 확실하게 동작하는 것이 얻어진다.
또 플런져-솔레노이드 자체도 현저하게 소형화 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이상에 의하면 건전지식의 위상텃치로 더우기 포켓용 규격 등의 소형인 것이 실현된다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재생시에 캡스턴(1)과 권취용릴대(2b)를 회전구동하는 기록재생용 모터(14)와, 기록 및 재생시에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에 전진되는 헤드기판(4)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되는 조송되감기용 모터(15)와, 상기 조송되감기용 모터(15)의 회전방향에 따라 요동되는 요동레버(9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러(19)를 구비시키되, 상기 조송되감기용 모터(15)의 회전을 상기 아이들러(19)를 통해 상기 권취용릴대(2b) 또는 공급용릴대(2a)에 전달하여 조송 또는 되감기 상태가 얻어질 수 있게 구성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고정철심(27)에 압착 및 분리가 자유로운 가동철심(29)을 갖는 플런져 솔레노이드(24)와, 상기 가동철심(29)을 상기 고정철심에 압착시키는 용수철(40)과, 상기 가동철심(29)에 부착된 재생슬라이더(34)와, 상기 재생 슬라이더(34)에 의해 회동되는 로크레버(35)와, 상기 기록재생용 모터(1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31)과, 상기 피니언(31)에 대하여 분리된 위치와 맞물린 위치가 얻어질 수 있게끔 셋업 슬라이더(11)에 회동 가능케 지지된 랙(33)을 구비시키되, 재생조작에 의한 상기 플런져 솔레노이드(24)의 통전에 의해 상기 고정철심(27)에 대하여 상기 가동철심(29)이 압착지지 되게 해서 상기 재생 슬라이더(34)를 통해 상기 로크레버(35)로 상기 랙(33)이 상기 피니언(31)에 맞물린 상태로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용 모터(14)에 의해 상기 피니언(31)이 회전구동되게 하여 상기 셋업 슬라이더(11)가 이동되게 하고 이 이동이 따라 상기 헤드기판(4)이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에 전진되게 한 후에 상기 로크레버(35)로 상기 랙(33)을 로크시켜서 상기 헤드기판(4)인 상기 전진 위치에 지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 등의 동작절환장치.
KR7904087A 1979-11-21 1979-11-21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KR84000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087A KR840001574B1 (ko) 1979-11-21 1979-11-21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087A KR840001574B1 (ko) 1979-11-21 1979-11-21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74B1 true KR840001574B1 (ko) 1984-10-06

Family

ID=1921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087A KR840001574B1 (ko) 1979-11-21 1979-11-21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7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2742A (en) Magnetic tape recorder drive mechanism having a latching member with a pause mode and a stop mode
US4360846A (en) Operating mode change-over apparatus i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78991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rotary head type
US4935831A (en) Cassette tape drive apparatus
KR91000096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용 테이프 인출장치
KR840001574B1 (ko) 테이프 레코더 등의 동작 절환장치
KR840001566B1 (ko) 테이프 레코더등의 기록 재생 절환장치
KR840001573B1 (ko) 테이프 레코드등의 정지 절환장치
KR830000724B1 (ko) 테이프 레코오더 등의 자동 절환장치
US3449528A (en) Two speed tape transport with independent audio and video modes of operation
US3595584A (en) Transducer apparatus
JPS6021414B2 (ja) テ−プレコ−ダ等のモ−ド切換え装置
US4395743A (en) Pinch roller drive mechanism and control circuit in open reel type tape recorder
US4118743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memory controlled selective by-pass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355154Y2 (ko)
JPS6295757A (ja) モ−ド選択装置
KR900003130B1 (ko) 테이프 레코더
JPS5953617B2 (ja) テ−プレコ−ダ等の録再切換え装置
JPH0227399Y2 (ko)
JPH0441422B2 (ko)
JPH0229536Y2 (ko)
JPH0535462Y2 (ko)
JPS6040996Y2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626037B2 (ja) テ−プレコ−ダの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