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430Y1 - 기관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430Y1
KR840001430Y1 KR2019840006077U KR840006077U KR840001430Y1 KR 840001430 Y1 KR840001430 Y1 KR 840001430Y1 KR 2019840006077 U KR2019840006077 U KR 2019840006077U KR 840006077 U KR840006077 U KR 840006077U KR 840001430 Y1 KR840001430 Y1 KR 840001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unit
signal
housing
ign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오오니시
요시가쯔 하루다
도시유끼 사꾸라이
시게끼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신도우 사다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3184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515A/ko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신도우 사다까즈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 the ignition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관점화장치
제1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2도는 신호유니트 및 점화유니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배전로우터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신호유니트와 점화유니트의 사시도.
제6도는 신호유니트의 요부평면도.
본원 고안은 점화기능을 갖는 반도체증폭회로를 단일의 점화유니트로서 구성하고, 이 점화유니트를 배전기하우징내에 내장하는 기관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예로서는 가동판에 형성된 잘라낸 구멍에 착화위치검출용 전자회로를 설치고정하는 것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고 소44(서기 1969)-30818호로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은 본원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점화회로 기능을 갖는 반도체증폭회로를 가동판에 고정하려고 하는 것은 장착스페이스가 극히 작은것과, 방열효과가 극히 나쁜것 등에 의해서 곤란하다.
또, 하우징내에 점화증폭기를 내장하는 것이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소 45(서기 1970)-26527호로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에 있어서도 점화증폭기를 구성하는 파워트랜지스터등을 개별적으로 장착하고, 또한 하우징의 저부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장착작업이 매우 곤란해지며, 더구나 이것이 이루어지는 것은 조속기 진각장치(調速器 進角裝置)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이종전기술에 의한 기관점화장치가 지닌 불편한 점을 해소한 기관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유니트와 상기 점화신호를 증폭하는 점화유니트를 별개로 구성하고, 이들을 배전기하우징에 붙이거나 뗄 수 있게 내장한 기관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개로 구성된 신호 유니트와 점화유니트와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기관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 유니트를 배전기하우징에 대해서 용이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점화유니트를 붙이거나 떼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관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원 고안의 기관점화장치는 신호 유니트에 대해서 점화유니트를 자유자재로 끼워맞추고 장착하고, 동일하우징내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점화유니트를 붙이거나 떼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신호 유니트의 경(徑)방향단부에 상대해서 붙이고 떼기가 가능토록 고정되는 점화유니트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경방향의 동일방향으로 뻗어서 형성하고, 점화유니트의 고정시에 입력단자를 신호 유니트의 점화신호도출력단자에 끼워맞추어 접속하였기 때문에 점화유니트가 하우징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동시에 점화유니트와 신호 유니트와의 전기접속이 각 단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에 의하면, 신호 유니트에 형성된 하우징부에 점화코일에 접속된 코넥터단자를 수납유지하고, 이 코넥터단자에 점화유니트의 출력단자를 끼워맞추어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새로 코넥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행할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코넥터단자 및 출력단자의 지지부가 불필요하게 되며, 신호 유니트에 의해 겸용할 수 있고 장착스페이스상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해진다.
또한 본원 고안은 신호유니트를 그 위치 결정부를 하우징의 위치 결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위치를 유지했으므로, 신호 유니트에 끼워 맞추어지는 점화유니트의 붙이거나 뗄때에 신호 유니트의 위치가 이동하는 일이 없어지며, 붙이거나 떼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점화유니트 및 신호 유니트의 자동조립도 가능해지는 실용상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본원 고안에 의한 기관점화장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방열용하우징, 이 하우징내의 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작용에 의해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코일을 갖는 신호 유니트 및 하우징내에 상기 신호 유니트에 상대해서 장착되고, 상기 점화신호를 받아서 점화코일의 통전전류를 제어하느 반도체증폭회를 갖는 점화유니트를 갖추고, 상기 또한 점화유니트에 대한 상대부분에 상기 또한 점화유니트에 대한 상대부분에 상기 점화코일 또는 상기 신호코일과 접촉되는 한쪽의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신호 유니트에 대한 상기 점화유니트의 상대부분에 상기 반도체증폭회로이 출력 또는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한쪽의 단자에 접속 가능한 다른쪽의 단자가 설치됨으로써, 전체를 콤팩트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점화유니트의 붙이고 제거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다음에 제1도내지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1)은 배전기의 하우징이며, 방열성이 양호한 알루미늄등에 의해서 성형되고, 제4도에 나타나 있듯이 그 안쪽의 떨어진 2개소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며, 하우징(1)의 개구까지 뻗는 개구수좌(開口受座)(1a)와, 거의 대칭인 2개소에는 축방향으로 뻗으며, 간격을 갖는 한쌍의 돌부(1b)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각 개구수좌(1a)의 정위치에는 나사공(1c)이 형성되어 있다. (2)는 이 하우징(1)내에 베어링 (3)을 통해서 지지된 회전축이며, 도시생략의 기관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4)는 이 회전축(2)에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동체(동體)이며, 원통형을 이루고 자성재에 의해 형성된다. (5)는 이 통체(4)에 끼워붙이고, 자성재에 의해서 형성된 링상(Ring 狀)의 시그널로우터이며, 그 외주부에는 기관기통수(본 실시예는 4기통이기 때문에 4개)만큼의 돌기(자기 변조부)(5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6)는 하우징(1)에 대해서 회전축(1)의 주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가동플레이트이며, 그 1개소에 연결핀(7)이 장착하고, 연결핀(7)에 진공진각장치(8)의 링크(9)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10)은 이 가동플레이트(6)위에 영구자석(11)을 통해서 고정된 자성재로 이루어진 스테이터이며, 시그널로우터(5)의 각 돌기(5)가 소정의 공극(空隙)을 통해서 접근 대향하여 이격(離隔)할 수 있는 돌기(10a)가 시그널로우터 (5) 돌기 (5a)의 수보다는 하나 적은 3개 축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12)는 하우징(1)에 고정되는 신호 유니트이며, 이것은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빈부(Bobbin 部) (12a)와, 장착공(12b)을 가지며 평행배치된 한쌍의 지지부(12c)와, 이들 지지부 (12c)에서 같은 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코넥터하우징부(12d)와 또한 이들 하우징부 (12d)에서 직교(直交)하여 뻗고 각 돌부(1b)에 결합할 수 있는 한쌍의 위치결정부 (12e)와 커버부(12f)를 갖는다. (13)은 신호 유니트(12)의 지지부(12c)의 상하에 협지된 금속커버이다.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상술한 신호 유니트(12)의 각 보빈부 (12a), 장착공(12b), 지지부(12c), 코넥터하우징부(12d), 위치결정부(12e)는 합성수지등에 의해 모올드 성형된다. 이와 동시에 금속커버(13)도 일부매설된다. (14)(15)는 신호 유니트(12)의 보빈부(12a)의 상부에 고정된 시권용(始券用) 및 종권용(終卷用)코넥터단자, (16)은 신호 유니트(12)의 보빈부(12a)에 감겨진 신호 코일이며, 이시권용 코넥터단자(14)에, 또 종권은 종권용 코넥터단자(15)에 각기 전기 접속되어 있다. (17)은 점화회로기능을 갖는 반도 체증폭정치(예를들면 집적회로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가 내장되어서 이루어지는 점화유니트로서, 장착공(17a)을 가지며, 상술한 신호유니트(12)의 한쌍의 지지부(12c)와 평행배치된 한쌍의 장착부(17b)가 형성된다.
(18)은 각 장착부(17b)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반도체증폭장치를 점화코일 또는 전원에 전기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출력단자, (19)는 점화유니트(17의 본체중앙부에 결설하고 상기 한쌍의 출력단자(18)와 같은 방향(5)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한쌍의 입력단자이며, 신호 유니트(12)의 시권용 및 증권용 코넥터단자 (14) (15)에 끼워맞추어 전기접속된다. (20)은 점화유니트(17)의 하부에 일부 매설된 히이트싱크용 금속커버이며 이것은 반도체에 증폭장치의 파워(power)부에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1)을 통해서 방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장착공(17a), 장착부(17b) 각 입력단자 (18)(19) 및 금속커버(20)는 점화유니트(17)의 모울드성형시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 점화유니트(17)의 장착부(17b)는 신호 유니트(12)의 지지부(12c)에 결합되고, 이때 각 출력단자(18)는 코넥터 하우징부(12d)에 수납유지되며, 또 각 장착공 (12b)(17a)은 합치하며, 또한 각 입력단자(19)는 시권용 및 종권용 코넥터 단자(14) (15)에 끼워 맞추어 저서 전기접속된다 (21)은 점화유니트(17)와 신호 유니트(12)를 일체로해서 하우징(1)에 고정하는 한쌍의 체착(締着)나사이며, 각 장착공(12b)(12a)을 지나서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의 나사공(1c)에 나사맞춤된다. 또한 이때 점화유니트(17)의 하부 금속커버(20)는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에 확실하게 당접하고 있다. (22)는 점화유니트(17)의 각 출력단자(18)에 끼워맞추어 접속되는 코넥터단자 (23)가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한쌍의 리이드선이며, 하우징(1)에 고정된 그로매트 (24)를 통해서 하우징(1)밖으로 도출되고 리이드선(22)의 한쪽은 점화코일에 접속되며, 또 다른 출력 전원에 접속된다. 또한 각 코넥터단자(23)는 미리 신호유니트(12)의 코넥터하우징부(12d)내에 결합유지되어 있다. (25)는 통체(4)의 선단부에 장착된 캠식 거버너진각 장치이며, (26)은 그 거버너 베이스, (26a)는 이 거버너베이스(26)의 대칭인 2개소에 형성된 장착편이고, 나사공(26d)이 형성되어 있다. (27)은 거버너베이스(26)에 고정되어 모울드 성형된 반완구형상의 배전로우터이며, 개구부(27d)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27a)는 점화유니트(17)가 노정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28)은 거버너베이스(26)의 나사공(26)에 나사맞춤으로써 배전로우터(27)를 고정하는 한쌍의 체착나사, (29)는 배전로우터(27)의 상부에 고착된 로우터전극이며, 일단은 스프링 및 카아본브러시를 통해서 중심 전극(30)에 접점(摺接)하고, 타단은 각 주변전극 (31)에 순차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32)는 하우징(1)의 인로부(1d)에 끼워맞추어 고정되어 모울드 성형된 배전기캡이며, 각 중심 및 주변전극(30)(31)이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관에 의해 회전축(2)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거버너진각장치(25)를 통해서 통체(4)가 회전디어 시그널로우터(6)가 회전되기 때문에 그 4개의 돌기(5a)가 스테이터(10)의 3개의 돌기(10a)에 각각 접근대향 이간한다. 그러면 시그널로우터(5)의 돌기(5a)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영구자석(11)에 가동플레이트(6) 통체(4), 시그널로우터(5), 각 돌기(5a)(10a)및 스테이터(10)를 흘러지난다. 쇄교자속(鎖交磁束)에 변화가 생기고, 이 자속변화를 받아서 신호코일(16)에는 기관회전수에 대응한 신호전압을 일으킨다. 이 신호전압은 시권용 및 종권용단자(14)(15)에서 점화유니트(17)의 각 입력단자(19)에 입력되고, 그 때문에 점화유니트(17)내의 반도체증폭장치는 기관점화시기에 대응해서 리이드선(22)에서 코넥터단자(23), 출력단자(18)를 통해서 통전된 점화코일의 1차측 전류를 단속해서 그 2차측에 점화코일을 일으키게 하다. 이 점화전압은 고압코오드를 통해서 중심전극 (30)에 유도되고, 회전하고 있는 배전토우터(27)의 로우터전극(29)를 통해서 각주변 전극(31)에 순차적으로 배전된다.
그러면, 신호 유니트(12) 및 점화유니트(17)의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통상하우징(1)의 경(徑) 및 깊이 등은 그안에 장착되는 각 구성품의 경 및 축방향치수 및 배전기본체가 기관에 장착되었을 경우, 기관을 포함한 보조기계류에 방해가 되지않을 정도로 결정되어 있다. 다라서 커다란체적을 갖는 점화유니트(17)를 하우징(1)의 경 및 깊이를 크게함이 없이 현행의 하우징(1)내에 여하히 장착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일이되며, 더구나 점화유니트(17)를 붙이거나 떼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지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원 고안 실시예는 신호발생부와 거버너진각장치(25)와의 사이에 비교적 커다란 공간부가 존재하는것과, 스테이터(10)의 돌기(10a)를 4개에서 3개로 삭감해도 신호코일(16)의 발전에 거의 악영향을 주지않는 것을 확인하고, 이 공간부에 점화유니트(17)를 붙이거나 뗄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이다.
즉, 스테이터(10)의 4개의 돌기(10a)중, 반 링크(9)측의 1개의돌기를 삭감하고도그리고 이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우징(1)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뻗은 넓은 면적을 갖인 개구수좌(1a)를 형성하며, 또한 대칭인 2개소에 축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돌부(1b)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신호 유니트(12)를 하우징(1)의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그 각 지지부 (12c)를 각 개구수좌(1a)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각 위치 결정부(12e)를 한쌍의 돌부 (1b)사이에 결합시켜서 유지한다. 이때 점화코일 및 전원에 접속된 각 코넥터단자 (23)는 신호 유니트(12)의 각 코넥터 하우징부(12d)내에 꽂혀서 유지되고 있다. 이어서 점화유니트(17)를 하우징(1)의 개구로부터 신호 유니트(12)에 향해서 경방향으로 삽입하며, 이때 그 장착부(17b)를 신호유니트(12)의 각 지지부(12c)의 하부에 결합시키고, 점화유니트(17)의 금속커버(20)를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에 당접시켜서 유지한다. 이때, 점화유니트(17)의 각 입력단자(19)는 신호 유니트(12)의 각 코넥터단자 (14)(15)에 끼워맞추어 전기접속되고, 동시에 그 각 출력단자(18)는 각코넥터하우징부(12c)내의 각 코넥터단자(23)에 끼워 맞추어져서 전기접속된다. 그렇게 하면 신호유니트(12)의 지지부(12)와 점화유니트(17)의 장착부(17b)의 각 장착공(12b)(17a)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각 장착공(12b)(17a)으로부터 채착나사(21)를 삽입하고, 하우징(1)의 각 개구수좌(1a)의 나사공(1c)에 나사맞춤하면 신호 유니트(12)와 점화유니트(17)는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그런데 점화유니트(17)는 혹사당하기 때문에 고장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점화유니트(17)만을 신품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점화유니트(17)의 제거작업은 거버너진각장치(25) 및 배전로우터 (27)를 떼어내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이 커다란 특징이다.
즉, 먼저 배전기캡(32)을 하우징(1)에서 떼어내고, 배전로우터(27)를 인위적으로 회전시켜서 그 개구부(27a)로부터 체착나사(21)를 노출시켜, 드라이버로 풀어서 떼어낸다. 그리하여 점화유니트(17)를 인위적으로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뽑으면 점화유니트(17)의 장착부(17b)는 신호유니트(12)의 지지부(12c)에서 뽑히고 신호 유니트와는 분리되어서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에서 제거되게 된다. 이것은 점화유니트(17)가 하우징(1)의 개구부에 장착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신품의 점화유니트(17)를 장착하는데는 제거작업과는 역순서, 즉 점화유니트(17)를 화살표방향으로 삽입하고, 그 장착부(17b)를 신호 유니트(12)의 지지부(12c)의 하부에 결합하고, 점화유니트(17)와 신호 유니트(12)를 체착나사(21)에 의해서 하우징 (1)에 일체적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 점화유니트(17)의 장착 및 제거작업시에 신호 유니트(12)는 체착나사(21)를 풀어서 떼어내도 그 지지부(12c)의 위치결정부(12e)가 하우징내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돌출(1b)부사이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점화유니트(17)의 장착 및 제거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특징이 얻어진다. 즉,
첫째로 기관기통수와 동수만큼 형성되는 스테이터(10)의 4개의 돌기(10a) 중반(反) 링크(9)측에 위치하는 돌기를 삭제하고, 이 공간부에 점화유니트(17)를 장착했으므로 하우징(1)의 경 및 깊이를 크게함이 없이 점화유니트(17)를 하우징(1)에 내장할 수 있다.
둘째로, 하우징(1)에 커다란 표면적을 갖는 개구수좌(1a)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점화유니트(17)의 파워부의 히이트싱크로 될 수 있는 금속커버(20)를 개구수좌 (1a)에 밀착시키려고 점화유니트(17)를 하우징(1)내에 고정했으므로, 점화유니트 (17)의 발생열은 금속커버(20)에서 개구수좌(1a)를 통해서 하우징(1)으로 신속하게 전도되고, 하우징(1)의 전체표면에서 효율좋게 방열되며, 따라서 점화유니트(17)는 안정된 동작을 나타낸다.
셋째로, 하우징(1)의 개구수좌(1a)에 점화유니트(17)를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거버너진각장치(25) 및 배전로우터(27)를 떼어내지 않고 점화유니트(17)를 경방향의 화살표방향에서 장착 및 떼어낼 수 있으며 붙이거나 떼는 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우기 배전로원터(27)의 개구부(27a)에서 채착나사(21) 및 코넥터단자(23)가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화유니트(17)의 붙이거나 떼는 작업시에 있어서의 고정 및 접속작업도 거버너진각장치(25) 및 배전로우터(27)를 떼어내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로, 점화유니트(17)와 신호 유니트(12)를 하우징(1)에 한쌍의 체착나사 (21)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좁은 하우징(1)내의 점화유니트(17)의 장착이 가능해지며, 또 점화유니트(17)와 신호유니트(12)를 개별적으로 장착할 경우와 비교해서 장착좌(座)나 채착나사등을 1/2로 삭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점화유니트(17)와 신호유니트(12)와의 전기접속은 일체적으로 고정시에 끼워 맞추어지는 시권용 및 종권용 코넥터단자(14)(15)와 입력단자에의해 행하므로 접속은 확실해지고, 또한 신뢰성이 부족한 리이드선을 폐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점화유니트(17)는점화기능이외에, 점화신호를 받아서 기관점화시기를 여러가지의 제어신호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진각 또는 지각(遲角)시키는 점화시기 제어기능을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하면, 거버너진각장치 (25)는 폐지할 수 있다. 또, 거버너진각장치(25)를 신호 유니트(12) 및 점화유니트 (17)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점화유니트(17)를 신호 유니트 (12)와 일체적으로 고정하지 않고 별개체(別個體)로 해도되며, 또 장착장소는 하우징 (1)의 개구수좌(1a)이외에 하우징(1)의 내측면이라도 좋다. 그리고 또, 스테이터(10)의 돌기(10a)의 수는 기통수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되고, 이때 삭제하는 돌기의 수는 점화신호의 정도(精度)가 저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또한 점화유니트(17)의 장착스페이스에 적합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Claims (1)

  1. 회전축을 갖는 방열용하우징과, 이 하우징(1)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적작용에 의해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코일을 갖는 신호유니트(12)와, 점화신호를 받아서 점화코일의 통전전류를 제어하는 점화유니트(17)를 구비한 기관점화장치에 있어서, 신호 유니트(12)의 형상을 외주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하고, 이 절결한 부분에 점화유니트(17)룰 상기 신호 유니트(12)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1)내에 배치하며, 또한 상기 신호 유니트(12)의 경방향단부에 점화신호도 출단자와 접속되는 입력단자와 점화코일에 접속되는 출력단자가 경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점화유니트(17)로 형성되어, 상기 신호 유니트(12)와 점화유니트(17)가 경방향으로 붙이거나 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점화장치.
KR2019840006077U 1979-09-15 1984-06-27 기관점화장치 KR840001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077U KR840001430Y1 (ko) 1979-09-15 1984-06-27 기관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84A KR830001515A (ko) 1979-09-15 1979-09-15 기관 점화장치
KR2019840006077U KR840001430Y1 (ko) 1979-09-15 1984-06-27 기관점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184A Division KR830001515A (ko) 1979-09-15 1979-09-15 기관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30Y1 true KR840001430Y1 (ko) 1984-08-13

Family

ID=2662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077U KR840001430Y1 (ko) 1979-09-15 1984-06-27 기관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4947Y2 (ja) エンジン点火装置
JPS60229645A (ja) 電動機を備えた手持ち工具
EP0077076A2 (en) AC generator directly coupled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36827A (en) Ignition coil-incorporated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840001430Y1 (ko) 기관점화장치
US5139003A (en) Distributo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4900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device
US431549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device
EP0368453B1 (en)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50000189Y1 (ko) 기관 점화장치
US4000729A (en) Ignition system bypass unit
JP4108920B2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のための電流測定モジュール
JPS6145336Y2 (ko)
JPS6145337Y2 (ko)
JPH0252117B2 (ko)
JPS627388B2 (ko)
JPH024786B2 (ko)
JPS6375356A (ja) 内燃機関用点火配電器
JPS627390B2 (ko)
JPH0479228B2 (ko)
JPH09126111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ES1013595U (es) Dispositivo electromagnetico para controlar la corriente de alimentacion al motor de arranque electrico de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JPH036871Y2 (ko)
JPH0626460B2 (ja) 回転電機
JPS6273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3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