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335Y1 - 증폭회로 - Google Patents

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335Y1
KR840001335Y1 KR2019840005586U KR840005586U KR840001335Y1 KR 840001335 Y1 KR840001335 Y1 KR 840001335Y1 KR 2019840005586 U KR2019840005586 U KR 2019840005586U KR 840005586 U KR840005586 U KR 840005586U KR 840001335 Y1 KR840001335 Y1 KR 840001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urrent
output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기꾸찌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3882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716A/ko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5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74Mirr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폭회로
제1도는 종래의 증폭회로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의 전압분포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회로도.
본 고안은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이포울러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트랜지스터를 증폭소자로서 사용한 증폭기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간의 입출력 특성이 비직선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부귀환을 가하여서 이 비직선성에 의한 왜곡을 억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부귀환을 가하면 증폭도의 저감은 피할 수 없으며, 따라서 소망하는 증폭도를 얻는데는 많은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회로의 안전도가 나빠져서 발진을 나타내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부귀환을 가하는 일없이 트랜지스터의 비직선성에 의한 왜곡을 개선할 수가 있는 증폭기가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증폭기의 일예가 제1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증폭되여야 할 입력신호 VIN은 에미터플로워 구성의 PNP형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입력으로 되어 이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플로워 출력은 다음단계의 증폭용 NPN형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입력으로 된다.
트랜지스터 Q2의 에미터와 기준전위(접지)점과의 사이에는 에미터 저항R1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양 트랜지스터 Q1및 Q2에 일정비의 전류 I1,I2(I1/I2=1/α,α는 일정)을 공급하는 예를들면 전류밀러회로(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류밀러회로(1)는 도면과 같이 서로 베이스가 공통 접속된 PNP형 트랜지스터 Q3및 Q4를 갖추고 있다. 트랜지스터 Q4는 베이스와 콜렉터가 공통접속된 다이오우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 Q3및 Q4의 각 에미터 저항 R2및 R3을 적당히 선정하므로서 트랜지스터 Q1및 Q2에 대한 공급전류비 1/α를 선정할 수 있다.
또 전류밀러회로(1)에는 트랜지스터 Q3,Q4에 베이스가 공통 접속된 PNP형 트랜지스터 Q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는 저항 RL을 통하여 기준전위(접지)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저항 RL의 양단 사이에는 증폭출력 VOUT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Q5의 에미터 저항 R4의 값의 선정에 의해 트랜지스터 Q2와 저항 RL에 대한 공급전류 I2와 I3와의 비를 1/α'로 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1및 Q2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을 각각 VBE1및 VBEL2,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라인의 전압을 VA로 하고, 또 트랜지스터 Q1,Q2및 저항 RL을 흐르는 전류를 각각 I1,I2및 I3이라고 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VA=VIN+VBE1……………………………… (1)
I2=(VA-VBE2)/R1………………………… (2)
VOUT=I3.RL…………………………………(3)
여기서 I3=α'I2이기 때문에 (1)식 내지 (3)식에서 다음식이 얻어진다.
VOUT=(VIN+VBE1-VBE2)·α' ………………………… (4)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콜렉서전류 IC와 VBE와의 관계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IC=IS(exp-1) ………………………… (5)
여기서 q는 전자전하, k는 볼쯔만정수, T는 절대온도, IS는 베이스.에미터 간 역방향 포화전류이다.
(5)식을 변형하여 다음식을 얻는다.
………………………… (6)
따라서 (4)식중의 (VBE1-VBE2)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 (7)
여기서 T1,T2는 트랜지스터 Q1,Q2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 온도이다.
또 IS는 트랜지스터 고유의 정수이므로 IS2IS1(β는 일정)로 놀 수가 있으며 IS는 극히 작은 값으로서 콜렉터 전류를 충분히 흘려놓으면 IC/IS>1이 성힙하기 때문에 다음식이 얻어진다.
………………………… (8)
따라서 (8)식을 사용하므로써 (7)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 (9)
(9)식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접합부 온도 T를 일정하다고 하면
VBE1-VBE2=(β/α) ………………………… (10)
(10)식에서 (VBE1-VBE2)는 일정치로 되므로 이 치를 r로 하면 (4)식은 다음식이 된다.
VOUT=(VIN+γ)··α' ………………………… (11)
(11)식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 VOUT는 각 트랜지스터 VBE에 관계없게 되어서 VBE에 기인하는 왜곡의 발생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부귀환을 가하는 일없이 트랜지스터의 비직선성에 의한 왜곡을 개선할 수가 있다. 여기서 R1=R2=R3=R4로 선정하면 (11)식에 있어서 γ=0,α'=1로 되어 회로의 이득 G는 RL/R4로 된다. 지금 G=RL/R4≒2로 하면 출력저항 RL, 트랜지스터 Q5및 저항 R4의 직렬회로의 각 전압분포는 사인상 입력신호에 대하여 제2도와 같이된다. 도에 있어서 VR4는 저항 R2의 양단전압, VCE는 트랜지스터 Q5의 에미터. 콜렉터간 전압 및 VRL은 출력저항 RL의 양단전압(VOUT)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입력단의 트랜지스터 Q1및 Q2의 에미터와 베이스의 각점에 있어서의 진폭은 거의 VR4와 같게 되어서 이득 G가 대로 선정되는 경우에는 제2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출력단위 진폭 VRL(=VOUT)이 극히 크게 되어서 각 트랜지스터 Q1,Q2의 에미터나 베이스에 있어서의 진폭은 작아진다.
따라서 필요한 이득 G을 얻기 위하여 회로전원+B1을 대로 설정하면 트랜지스터, Q1,Q2에는 헛된 전압이 걸려서 전력낭비가 크게 될뿐만 아니라, 내압이 큰 것 또는 PC가 큰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서 불합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로이득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력소비가 적은 왜곡이 없는 증폭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증폭회로는 베이스에 입력신호가 인가된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베이스 입력으로하여 이 제1트랜지스터와 역도전형의 제2트랜지스터를 설치하고 양 트랜지스터에 일정비의 전류를 공급하여 양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을 없애도록 하고 다시 이를 양 트랜지스터의 어느 쪽이든가 한쪽에 흐르는 전류와 일정비의 관계에 있는 전류를 발생 출력하도록 전류출력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류공급수단의 동작전압원과 전류출력수단의 동작전압원을 별개로 설치하여 후자의 전압의 절대치를 전자의 그것보다 크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다.
다음에 도면에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회로도이며, 제1도와 동등부분은 동일부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의 전류밀러회로(1)의 트랜지스터 Q5는 제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 Q3,Q4로 이루어진 전류밀러회로(1')가 설치되어서 양 트랜지스터 Q1,Q2에 일정비의 전류 I1및 I2가 각각 공급된다.
그리하여 트랜지스터 Q1에 흐르는 전류 I1를 입력으로 하고 이것과 일정비의 관계에 있는 전류 I4를 출력하는 전류밀러회로(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2)는 다이오우드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 Q6과,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공통베이스를 가진 NPN 트랜지스터 Q7과, 에미터 저항 R5및 R9으로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 Q7에 의한 출력전류 I4가 부하저항 RL에 공급되어서 이 양단에서 출력 VOUT가 얻어지게된다. 그리하여 이 전류밀러회로(2)의 동작전압원으로서,전류밀러회로 1'의 동작전압원+B1와는 다른 전압원 -B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류밀러회로의 각 에미터 저항을 적당히 설정하여 전류 I1과 I4과의 비를 1/β로 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1),(2)식이 성립하며, 출력 VOUT는 다음식으로 된다.
VOUT=-I4·RL………………………… (12)
그리하여 I4=βI1,I2=αI1이므로 (1),(2)식 및 (12)식에서 다음식이 얻어진다.
VOUT=-(VIN+VBE1-VBE2) ………………………… (13)
또 VBE1-VBE2는 식(10)에서 일정치 γ이므로
VOUT=-(VIN+γ) ………………………… (14)
로 된다. (14)식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 VOUT는 트랜지스터 VBE에 관계없게 되어 VBE에 기인하는 왜곡의 발생이 없다. 또한 α=1, β-1(R1=R2=R3=R5=R6)라고 하면 γ=0으로 되어 출력 VOUT는 -·VIN로 되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조건 즉 α=1, β=1인 조건에서, 출력 VOUT의 최대 진폭을 28볼트로하여 회로의 이득 G을 20dB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면 저항 RL의 양단진폭은 VOUT그자체로 되고, 그때의 저항 R6의 양단진폭은 2.8볼트로 된다. 따라서 전원 -B2의 전압은 30볼트 이상의 값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의 저항 R1,R2,R3의 각 양단의 진폭은 초대 2.8볼트로 되어 있으므로 회로전원 +의 최소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서 산출 가능해 진다.
+B1(min)=2.8+VCE+2.8+VBE4
여기서 VCE는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 에미터간 전압 VBE4는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다.
VBE4=VCE=0.6볼트로 하면 +B(min)는 약 7볼트로 되고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설계하더라도 기껏 10볼트의 회로전원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1,Q2등의 PC나 내압을 낮은 값의 것으로 하면 되고, 또 전력의 소비도 방지할 수가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며, 제1도, 제3도와 동등 부분은 동일부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제1도의 전류밀러회로(1)의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 출력전위 I3을 제3도에 표시한 전류밀러회로(2)의 트랜지스터 Q6에 공급하도록 하여서 제3도와 똑같은 작요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본예에 있어서도 R1=R2=R3=R4=R5=R6으로 선정하면 회로이득 G는 RL/R6으로 되어서, 제3도와 마찬가지로 각 전원 +B1및 -B2를 각각 10볼트 및 30볼트로 설정하여 G=20dB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력소모가 작아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왜곡이 없는 출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회로의 헛된 소비전력을 극력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류공급 및 출력전류 발생을 위하여 함께 전류밀러회로를 사용하였으나 이것과 동등 기능을 가지는 회로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베이스에 입력신호가 인가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출력이 베이스에 인가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역도전형의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의 일정비의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수단과, 상기 전류공급수단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압원과 상기 제1 또는 제2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와 일정비의 전류를 발생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제1전압원의 전압의 절대치 보다 큰 절대치의 전압을 상기 출력수단의 동작전압으로써 공급하는 제2전압원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수단의 출력전류를 사용하여 증폭신호를 얻도록한 증폭회로.
KR2019840005586U 1980-10-10 1984-06-14 증폭회로 KR840001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586U KR840001335Y1 (ko) 1980-10-10 1984-06-14 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882A KR830004716A (ko) 1980-10-10 1980-10-10 증 폭 회 로
KR2019840005586U KR840001335Y1 (ko) 1980-10-10 1984-06-14 증폭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882A Division KR830004716A (ko) 1980-10-10 1980-10-10 증 폭 회 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35Y1 true KR840001335Y1 (ko) 1984-07-30

Family

ID=2662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586U KR840001335Y1 (ko) 1980-10-10 1984-06-14 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3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904A (en) Current source with modified temperature coefficient
US4456887A (en) Differential amplifier
US4951003A (en) Differential transconductance circuit
EP0355918A1 (en) Voltage-to-current converter
JPS6014512A (ja) 低電圧ic電流源
CA1205150A (en) Current-source arrangement
US4103248A (en) Voltage follower circuit
KR920009548B1 (ko) 전류원 장치
JP2877315B2 (ja) 低周波増幅器のための集積可能なab級出力段
KR840001335Y1 (ko) 증폭회로
US5130567A (en) Bipolar transistor arrangement with distortion compensation
JPH0680486B2 (ja) 定電圧回路
JP2533201B2 (ja) Am検波回路
US4345215A (en) Au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US4420725A (en) Wide-bandwidth low-distortion amplifier
US4573019A (en) Current mirror circuit
US4356455A (en) Amplifier
JPS6130447B2 (ko)
US4916408A (en) Power stage with increased output dynamics
KR830001483Y1 (ko) 증폭기
JPS6130767B2 (ko)
JPH0610443Y2 (ja) 対数変換回路
KR830001699B1 (ko) 증폭기
KR830000469Y1 (ko) 신호변환 회로
KR830001616B1 (ko)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