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66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66B1
KR840001166B1 KR8204311A KR820004311A KR840001166B1 KR 840001166 B1 KR840001166 B1 KR 840001166B1 KR 8204311 A KR8204311 A KR 8204311A KR 820004311 A KR820004311 A KR 820004311A KR 840001166 B1 KR840001166 B1 KR 84000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air
writing
writing instrum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우 호리
Original Assignee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filed Critical 윤휘정
Priority to KR820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 기 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필기구에 잉크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의 종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Ⅱ-Ⅱ선 및 Ⅲ-Ⅲ선 횡단면도.
제4도는 필기구 본체 칸막이와 공기 액체교환통로의 구성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5도의 공기액체교환통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의 단면도.
제9도는 필기구 본체내에 잉크를 넣어 사용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10도는 필기시의 공기와 액체가 교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설명도.
제11도와 제10도는 공기와 액체교환상태의 통로부분의 확대 횡단면도로 나타낸 작용설명도.
제12도 및 제13도는 펜하향상태에서 내압상승과 내압 하강현상이 일어난 경우의 작용설명도.
제14도 및 제15도는 펜상향상태에서 내압상승과 내압하강현상이 일어난 경우의 작용설명도.
제16도 및 제17도는 펜이 수평으로 있을때 내압상승현상이 일어난 경우의 작용설명도.
제18도 및 제19도는 펜이 수평으로 있을때 내압하강현상이 일어난 경우의 작용설명도.
제20도는 본체 칸막이부에 잉크 되돌림통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제21도는 잉크 되돌림통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 본체 2 : 필기체부
3 : 밀폐마개 4 : 보울
5 : 보울호울더 6 : 잉크중계심지
7 : 잉크흡수저장체 8 : 구멍
9 : 칸막이부재 10 : 공간부
11 : 공기·액체교환통로 12 : 파이프
13 : 심봉(芯棒) 13′ : 외주절결평면부
14 : 잉크저장실 15 : 절결부
16 : 통기관 17 : 되돌림통로
18 : 공기유입통로 19 : 개구부
20 : 잉크흡수뚜껑체 W : 잉크
W′ : 저장잉크
본 발명은 수성잉크와 같은 점도가 낮은 저점질성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저점질성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는 필기체부와 잉크저장실을 구비하고, 양자를 잉크통로로 연결시켜 잉크저장실내의 잉크를 필기체부에 공급하며, 소비한 잉크량과 같은 량의 공기를 잉크저장실에 도입시킴으로써 잉크유출을 제어하도록 하였고 또 잉크저장실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압출되어지는 잉크를 저장부에다 저장시킨 다음 이 저장잉크를 필기로 소비함으로써 잉크가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 대표적인 일예로서는 일본국특허공보 소 42-716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만년필의 필기부 심체(芯體) 기구가 알려져 있기는 하나 그것은 잉크 저장부로 형성시킨 필기부심체의 공동부에 잉크저장실 내압의 상승으로 잉크가 압출되는 경우 그 공간부에 저장되어진 잉크가 필기에 의해 소비되어질 뿐으로, 필기구 하향 유지 상태에서 잉크저장실 내압이 하강해도 공기가 공기 유통홈을 통하여 잉크저장실로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저장잉크가 저장실 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그런데, 상기 공간부내의 저장잉크가 필기에 의해 소비되어지는 경우 1회의 필기사용으로 공간부내의 저장잉크 전부를 모두 사용하는 일은 드물고, 실제로는 상기 공간부내에 항상 잉크가 남아있는 일이 많다.
에를들어 1㏄ 전후의 용량인 잉크저장실을 가진 만년필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면, 1㏄의 잉크를 전부 소비하려면 500m-1,000m의 필기거리가 되기 때문에 만약 30℃의 온도변화에서 약 10% 즉, 0.1㏄의 잉크가 상기 공간부내에 한번에 저장되었다고 한다면 이것은 필기에 의해 소비하기 위해서는 50m-100m을 필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만년필을 한번 꺼집어내어 필기하는 길이는 통상 1m에도 미치지 못하는가 많으므로 상기 공간부내에는 항상 잉크가 남아있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류잉크를 필기사용에 의해 모두 소모한 다음에 내압상승에 대비한다고 하는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는 종래의 만년필에서는 필기부심체 공간부에 저장잉크가 남아있는채로 다음번의 내압상승에 의해 다시 잉크가 압출되어지는 사태가 발생하며, 그것이 온도변화에 따라서 몇번이고 되풀이하여 발생하게 되면 저장잉크의 량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서 잉크가 넘쳐져 이른바 잉크적하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자동작화기(作畵機)라든가 레코더용 필기구로서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항상 펜끝이 하향상태로 유지되지게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적하현상은 치명적인 결함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첫번째 목적은 잉크저장실의 내압상승으로 압출된 저장잉크를 상기 잉크저장실의 내압하강에 의해 빨아올려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도록 한 필기구 하향상태에서 잉크적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으며, 두번째 목적은 필기구가 유지상태 혹은 방해 상태가 어떠한 방향으로 되어 있더라도 상기 저장잉크가 잉크저장실의 내압하강에 의해 확실하게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도록 하므로서 필기구가 어떤 방향으로 되어 있더라도 잉크가 넘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저점질성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는 필기구 본체의 필기구 본체 설치부 위 안쪽에다 모세관력이 강한 잉크 흡수 저장체를 상기 필기구 본체에 잉크가 유통되도록 접속되게 설치하고 이 잉크 흡수 저장체와 좀 떨어져진 안쪽에는 필기구 본체 내부를 소용량의 공간부와 대용량의 잉크저장실로 구획한 칸막이를 설치하며 또 잉크흡수저장체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잉크 저장실과 잉크흡수저장체 사이에 잉크 유통이 가능하도록 접속한 공기·액체 교환통로(이 교환통로는 평소에는 잉크에 의해 막혀져 필기시의 잉크흡출에 의해 공기가 잉크저장실로 들어가도록 개구하는 모세관작용이 강약 2가지로 작용되는 통로로서 형성된다)를 설치하고, 공기·액체 교환통로의 선단부에는 그 통로와 상기 공간부가 잉크흡수저장체 부근에서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연통시킨 절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필기구 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공간부로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통기관이 통기관개구 내측단부가 상기 공간부에 압출되어진 저장잉크로 막혀지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둘째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첫번째 목적달성을 위한 필기구의 구조에다 칸막이와 본체 내벽면과의 사이에 보통때는 잉크로 막혀지게 되어 공간부의 공기가 잉크저장실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과 본체 잉크저장실의 내압상승으로 공간부에 압출되어진 저장잉크를 잉크저장실의 내압하강사의 필기구 상향상태 및 필기구 수평상태에서 잉크저장실쪽으로 되돌리는 작용을 하는 모세관 작용이 강한 1개 또는 여러개의 저장잉크 되돌림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손으로 쓰는 필기구에다 적용한 실시예로서, 저점질성잉크가 넣어져 있지 않은 사용전의 상태를 도시한 중앙종단면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Ⅱ-Ⅱ선 및 Ⅲ-Ⅲ선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필기구본체(1)는 원형단면의 가늘고 긴 축통(軸筒)으로서 형성시키고 그 선단부에는 필기체부(2)를 설치시킴과 더불어 필기구본체(1)후단개구부에는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밀페마개(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필기체부(2)선단내부에 끼운 보울(4)을 자유롭게 회전되게 보유지지하면서 필기구본체(1)의 선단공에 결합시킨 보울호울더(5)와 이 보울호울더(5)의 보울(4) 보유지지부에 연통하는 중심공에 결합되어 상기 보울호울더(5) 후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섬유집속체로된 잉크중계심지(6)로 구성되어지는데, 이와같은 필기부축 형식이 필기체부(2) 이외에 강한 모세관작용으로 잉크를 필기체부(2) 끝으로 인출시키는 섬유제필기체부 다공플라스틱제 필기체부, 파이프필기체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잉크흡수저장체(7)를 상기 필기구본체(1) 필기체부(2) 설치부위의 내측구멍(8)에 넣고 상기 필기체부(2)의 중심공에 잉크중계심지(6)를 끼워 잉크가 스며나가도록 하였으며, 잉크흡수저장체(7)가 잉크를 포화상태까지 흡수하면 모세관작용, 흡착력, 부착력등의 작용으로 잉크적하현상을 저지할 수 있는 모세관력이 강한(단, 전기 잉크 중계심지(6)의 모세관력보다 조금 약하다) 중면(中綿)이라 칭하는 잉금흡수저장체(7)가 사용되어진다.
또한 칸막이부재(9)는 상기필기구본체(1)의 내부를 소용량의 공간부(10)와 대용량의 잉크저장실(14)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기구본체(1)내의 잉크흡수저장체(7)와 약간 떨어져 있는 안쪽에 위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어진 원판모양의 합성수지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액체 교환통로(11)는 칸막이부재(9)를 관통하여 상기 잉크저장실(14)과 잉크흡수저장체(7) 사이에 잉크가 유통되어지도록 접촉되게하며 상기 공기·액체교환통로(11)는 상기 칸막이부재(9)에서 일체로 돌설되어 선단개구부가 잉크흡 수저장체(7)에 접하는 작은 직경의 파이프(12)내로 심봉(芯棒)(13)을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심봉(13)의 외주절결평면부(13′)와 상기 파이프(12)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인 대체로 D형단면을 갖는 구멍으로 제5도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형성시킨다.
또한 공기·액체 교환통로(11)는 타원형의 심봉(13)과 파이프(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형성시킨 제7도와 같이 대체로 초생달모양의 단면을 한 구멍으로 하여도 좋고, 또 제8도와 같은 홈모양(溝形) 단면으로 하여도 좋으나, 어떤 경우도 통상시에는 잉크에 의해 구멍전체가 막혀지고, 필기시는 잉크흡출에 의해서 모세관 작용이 약한 부분(제5도, 제7도의 경우는 구멍의 중앙부분, 제8도의 경우는 홈폭이 넓어진 부분)이 공기통로로 열려지게 되어있는 모세관 작용이 강약 2가지로 작용하는 통로공으로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파이프(12)의 선단부에는 절결부(15)를 형성시켜서 공기·액체 교환통로(11)와 상기 공간부(10)가 잉크흡수저장체(7) 가까이에서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연통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필기구분체(1)의 선단부는 외부공기유입용 통기관(16)이 설치되는데 이는 잉크흡수저장체(7)의 외주면부위를 관통해서 상기 공간부(10) 안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돌출내측부분은 제1도와 같이 굽혀지고 개구단이 공간부(10)에 압출되어져 있는 저장잉크를 막혀지지 않도록 공간부(1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한 중앙부 위치에 개구되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칸막이부재(9)와 필기구본체(1) 내벽면 사이에는 모세관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1개 또는 여러개(도면에서는 3개)의 미세간격을 갖는 개구부로된 저장잉크를 되돌리기 위한 칸막이부재(9)에 되돌림통로(17)를 형성시킨 것이 제3도와 제6도에 나타나 있다. 한편, 이렇게 절결부로 형성시킨 되돌림통로(17)는 강한 모세관력을 갖는 잉크로 막혀져 있어서 상기 공간부(10)의 공기가 이 되돌림통로(17)를 통해 잉크저장실(14)로 들어가는 것을 지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제15도와 같은 필기구 상향상태 및 제18도, 제19도와 같이 필기구수평 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하강했을 때에는 공간부(10)의 잔류잉크가 통기관(16)으로 들어온 공기에 이해 내압이 상승하여 되돌림통로(17)를 통해 잉크저장실(14)쪽으로 되돌려진다.
제9도는 필기구본체(1)의 잉크저장실(14)에 저잠질성잉크(W)를 수용한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설명도로서, 이상태에서는 잉크저장실(14)의 잉크(W) 일부가 잉크 흡수저장체(7)의 필기체부(2)쪽에 모세관 작용으로 인출되어져 공기·액체 코환통로(11)의 미세간격 되돌림통로(7)로 도입되어진 잉크로 막혀짐과 더불어 잉크흡수저장체(7)는 포화상태까지 잉크를 흡수하여 그 모세관작용, 흡착력, 부착력등의 작용으로 잉크의 적하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즉, 잉크흡수저장체(7)가 모세관 작용으로 잉크(W)를 포화상태까지 흡수하면 잉크중량과 내압이 균형을 이루어 안정되는데 이때 잉크의 흐러넘침에 관계하는 액체의 압력수두는 공간부(10)가 비었을 경우에는 최소가 되고 제12도와 같이 공간부(10)내에 저장잉크(W′)가 들어가게 했을때 액체의 압력수도가 최대가 되며 필기체부(2) 및 잉크흡수저장체(7)의 구조나 재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필기체부(2)가 도면과 같은 볼펜형식이고 잉크흡수저장체(7)가 아크릴섬유다발체인 경우에는 상기 액체수두의 최대허용치는 25㎜Hg 정도까지 허용되는데 이것은 최대 액체압력수두의 압력차에 따라 잉크저장실(14)의 용량과 공간부(19)의 용량을 예를 들어 10:2 정도의 비율로 설정하면 잉크가 필기체부(2)로부터 낙하되어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잉크흡수저장체(7)에 포화상태까지 흡수되어 있는 잉크를 필기체부(2)로 필기소비하여 버리면, 잉크흡수 저장체(7)에는 잉크를 빨아들일 여력이 생겨 공기·액체 코환통로(11)에의 잉크를 빨아들이므로 이로 말미암아 공기·액체 코환통로(11)의 모세관 작응이 약한 부분의 잉크가 흡수되어져 통로 중심부에는 제11도와 같이 공기유입통로(18)를 형성시키며, 이 공기유입통로(18)를 통해 공간부(10)의 공기가 잉크저장실(14)로 들어가 잉크와 공기가 교환되는 것이 제10도에 나타나 있고, 이어 상기 잉크흡수저장체(7)가 흡수잉크로 다시 포화상태가 되면 제11도와 같이 개방된 공기·액체 교환통로(11)와 공기유입통로(18)는 잉크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져 잉크저장실(14)로의 공기침입과 잉크흡수저장체(7)로의 잉크공급이 정지된다.
제12도는 필기구 하향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상승했을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때는 잉크저장실(14)내의 잉크(W)가 공기·액체 교환통로(7)와 되돌림통로(17)를 통하여 공간부(10)로 압출되어져서 이 분출저장잉크(W′)량과 같은 량의 공기가 공간부(10)내로부터 통기관(11)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잉크흡수저장체(7)는 포화상태로 잉크를 흡수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저장실(14)의 내압상승으로 압출된 잉크를 필기체부(2)쪽으로 압력작용되어지지 않도록 칸막이부재(9)로 차단하여 공간부(10)내로 도입시키므로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상승에 의한 필기체부(2)로부터의 잉크적하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되어진다.
그리고 제13도의 공간부(10)에 있어서는 제12도와 같이 저장된 잉크(W′)를 잉크저장실(14)의 내압하강에 의해 필기구 하향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쪽으로 되돌려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경우는 온도 강하에 의해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저하되면 공간부(10)의 저장잉크(W′)가 공기·액체 교환통로(11)를 통해 잉크저장실(14)내로 빨아올려지고, 이것과 교체되어 외부공기가 통기관(16)을 통해 공간부(10)로 유입된다.
또한 되돌림통로(17)는 강한 모세관작용에 의한 잉크의 보유로 막혀져 있으므로 공간부(10)내의 공기가 상기 되돌림통로(17)를 통해 잉크저장실(14)로 들어가는 일이 없게 되고, 이 때문에 저장잉크(W′)를 효율적으로 잉크저장실(14)로 빨아올릴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제14도는 필기구상향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상승했을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때는 공기·액체 교환통로(11)내에 있는 잉크가 공간부(10)로 압출되어져 공기·액체 교환통로(7)가 공기 유통공이 되도록 통과되어지는데, 즉, 공기공→공간부(10)→통기관(16)의 경로를 따라 내압이 밖으로 빠져나가므로 필기체부(2)로부터의 잉크가 넘쳐지는 문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제15도는 공간부(10)에 저장된 잉크(W′)(제12도와 같은 필기구 하향 상태에서 유입된 잉크 또는 제16도, 제17도와 같은 필기구 수평상태하서 유입된 잉크)가 필기구상향상태에서의 잉크저장실(14) 내압하강으로 잉크저장실(14)쪽으로 되돌려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때는 칸막이부재(9)의 낮은쪽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W)가 되돌림통로(17)를 통해 잉크저장실(14)내에 흡입됨과 동시에 이것과 교체되는 외부공기가 통기관(16)을 통해 공간부(10)로 유입된다.
제16도 및 제17도는 필기구수평상태에서 잉크저장실(16)의 내압이 상승되어 있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제16도의 상태에서는 잉크저장실(14)의 내압상승으로 공기·액체 교환통로(11)내의 잉크가 공간부(10)로 압출되어 공기·액체 교환통로(11)는 공기유통이 되게 개통되고, 이 공기 유통공(개통된 공기·액체 교환통로(11)→공간부(10)→통기관(16)의 경로를 따라 내압이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필기체부(2)로부터 잉크가 넘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제17도의 상태는 한개의 잉크되돌림통로(17)가 위쪽에 있고, 다른 되돌림통로(17)와 공기·액체 교환통로(11)가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잉크저장실(14)의 압상승에 의해 필기구본체(1) 잉크저장실(14)의 일부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잉크되돌림통로(17)와 공기·교환통로(11)를 통하여 공간부(10)로 압출되어지게 한다.
이때 위쪽에 위치하는 되돌림통로(17)는 잉크로 막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공간부(10)내의 공기는 통기관(16)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이 필기구를 횡방향으로 했을때도 내압상승에 의한 분출잉크는 공간부(10)에 저장되므로 필기체부(2) 또는 통기관(16)으로부터 넘쳐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제18도, 제19도는 공간부(10)에 저장되어진 잉크(W)(제12도와 같이 필기구하향상태에서 유입된 잉크 또는 제16도, 제17도와 같이 필기구를 횡방향상태에서 유입한 잉크)가 필기구의 수평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 내압의 하강에 따라 잉크저장실(14)쪽으로 되돌려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제18도의 상태는 공기·액체 교환통로(11)가 위쪽에 있고 잉크되돌림통로(17) 1개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필기구의 수평상태로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하강하면 공간부(10)의 저장잉크(W′)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되돌림통로(17)로부터 잉크저장실(14)로 되돌려진다(이 되돌림작용은 내압하강에 의한 흡인력으로 행해진다).
상기의 경우에는 공기·액체 교환통로(11)를 통하여 소량의 공기가 잉크저장실(14)로 들어가는 수가 있다.
제19도의 상태는 제18도의 상태에 있어 필기구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 수평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잉크저장실(14)의 내압이 하강하면 공간부(10)에 저장된 잉크(W′)가 공기·액체 교환통로(11) 및 아래쪽에 위치하는 잉크되돌림 통로(17)를 통하여 잉크저장실(14)쪽으로 흡입됨과 동시에 잉크되돌림 작용에 따라 외부공기가 통기관(16)을 통하여 공간부(10)안으로 되어진다.
제20도는 상기 칸막이부재(9)에 잉크되돌림통로(1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것은 필기구 끝이 하향상태로 되어져 사용되는 자동작화기나 레코더용 동과 같은 필기구에 적용되어지는 것이다.
제21도, 제22도는 상기 되돌림 통로(17)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칸막이부재(9)의 외주면부위에 설치한 여러개의 큰절결개구부(19)와 각 절결개구부가 막혀지도록 칸막이부재(9)의 공간부(10) 측면에다 고정되게 결합한 잉크 흡수뚜껑체(20)와 되돌림통로(17)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잉크흡수뚜껑체(20)는 강한 모세관 작용으로 잉크(W)를 흡수하여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저장실(14)의 잉크(W)가 공간부(10)에 낙하하거나 공간부(10) 안의 공기가 잉크저장실(1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 제13도, 제15도 및 제18도, 제19도와 같이 잉크저장(14)의 내압이 하강했을 때에는 공간부에 저장된 잉크(W′)를 잉크저장실(10)쪽으로 돌되리는 작용이 일어난다.
본 발명 필기구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이므로 잉크실의 내압상승으로 압출된 잉크를 본체 잉크실과 분할된 공간부에 일시 저장하여, 이 저장된 잉크를 내압상승 다음에 발생하는 내압하강에 의해 잉크저장실(14)로 전부 되돌릴 수가 있으므로, 필기체부(2)쪽으로부터의 잉크의 넘침현상을 확실하게 해소시킬 수가 있다.
특히, 두번째 목적에 관한 필기구의 경우에는 필기구 상향상태, 뉘어짐 상태등과 같은 어떠한 방향으로 되어지거나 놓여지더라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손으로 필기하는 필기구로서 뛰어난 실용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저점질성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큰용량의 잉크저장실(14)과 적은 용량의 공간부(10)를 구획하는 칸막이부재(9)를 필기구본체(1) 내부로 설치하고, 필기구본체(1) 선단부로는 잉크중계심지(6)를 갖춘 필기체부(2)를 잉크 흡수저장체(7)와 연결되게 설치시키며, 잉크흡수저장체(7)와 칸막이부재(9) 사이로는 통상시 잉크로 막혀 지나 필기시 잉크흡출에 따라 열려지도록 강약 2가지의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공기·액체 교환통로(11)를 설치하되 상기 공기·액체 교환통로(11)의 선단부에는 공기·액체 교환통로(11)와 공간부(10)를 연통시키는 절결부(15)를 형성시키고, 필기체부(2) 아래쪽의 필기구본체(1)선단부에는 공간부(10)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기관(16)을 공간부(10)내에 압출되어 있는 저장잉크에 의해 막혀지지 않도록 한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칸막이부재(9)와 질기구본체(1) 내벽면간에 모세관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개 또는 여러개의 되돌림 통로를 형성시킨 특징이 있는 필기구.
KR8204311A 1982-09-24 1982-09-24 필기구 KR84000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311A KR840001166B1 (ko) 1982-09-24 1982-09-24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311A KR840001166B1 (ko) 1982-09-24 1982-09-24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66B1 true KR840001166B1 (ko) 1984-08-16

Family

ID=1922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311A KR840001166B1 (ko) 1982-09-24 1982-09-24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6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707A (en) Writing utensil with a container for receiving freely a writing liquid
US6095643A (en) Refillable disposable inkjet cartridge with foam-filled and free ink reservoirs
US6416242B1 (en) Efficient fluid dispensing utensil
JP2001315483A (ja) 筆記具
US4509876A (en) Writing instrument with overflow chamber and return to supply
WO2003101760A1 (fr) Applicateur
US3397939A (en) Marking instrument
JP2001219693A (ja) 両頭式直液筆記具
KR840001166B1 (ko) 필기구
JP2001171285A (ja) 直液式筆記具
KR840001167B1 (ko) 필기구
JP3524832B2 (ja) 直液式筆記具
JPS6139198B2 (ko)
US3900268A (en) Pen with ink injection system
US6588963B2 (en) Collector type writing instrument
JP4321118B2 (ja) 塗布具
EP1238820A1 (en) Collector type writing implement
JPS6228450Y2 (ko)
JP7161578B2 (ja) 筆記具
JP6042005B1 (ja)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900000493B1 (ko) 필기구
JP2003226091A (ja) 塗布具
JP3179589B2 (ja) 筆記具
WO2000032417A1 (fr) Instrument d'ecritu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05103863A (ja) 塗布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