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93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93B1
KR900000493B1 KR1019870001221A KR870001221A KR900000493B1 KR 900000493 B1 KR900000493 B1 KR 900000493B1 KR 1019870001221 A KR1019870001221 A KR 1019870001221A KR 870001221 A KR870001221 A KR 870001221A KR 900000493 B1 KR900000493 B1 KR 90000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re
storage chamber
writing
pe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059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마고토 후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ublication of KR88000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6Tubular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중앙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심체와 중간심체의 절단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도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절단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중앙 종단면도.
제6a도 및 6b도는 제2실시예의 섬유심체와 중간심체의 절단단면도 및 그 일부확대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도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절단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 2 : 펜선단부
3 : 내통 4 : 섬유심체
5 : 중간심체 6 : 외통
7a : 펜촉 7b : 잉크유도심체
8 : 필기부 10 : 잉크저장실
11 : 나선홈 12 : 잉크계류부
13 : 돌기 14 : 공기유도홈
16, 17 : 연통구멍 20, 21, 22 : 환상홈
24 : 스톱퍼
본 발명은 잉크를 잉크저장실내에 넣어놓고서 필기할때 소비되는 잉크량만큼 공기와 잉크저장실내로 공급되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는 잉크를 공급하는 방식에 있어서 잉크저장실과 펜촉으로의 잉크유도심체 사이를 잉크유도홈으로 접속시켜주는 한편, 잉크저장실과 외부로부터의 공기공급홈 사이에 주름관체와 같은 잉크계류부를 설치하여 공기공급홈-잉크계류부-잉크저장실-잉크유도홈-잉크유도심체를 직렬로 접속시켜주고 있었다.
그리고 필기할 때 잉크저장실내에 넣어져 있는 점성이 낮은 잉크가 소비되면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내려가고 잉크소비량과 같은 양의 공기가 잉크저장실내로 공급되게 되는 한편, 주변온도가 올라가 공기가 팽창하여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잉크가 잉크저장실로부터 밀려나가 잉크계류부에 머물게 되고, 그후 상기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상기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공기공급홈-잉크계류부-잉크저장실-잉크유도홈-잉크유도심체가 직렬형상으로 접속되어져 있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잉크저장실의 내압이 낮아져도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잉크저장실로 충분히 되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잉크계류부로 밀려나간 잉크가 소비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다든지, 또는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결국 공기공급홈으로부터 외부로 흘러 넘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펜촉 및 잉크유도심체가 설치된 펜선단부를 잉크계류부 또는 잉크유도홈등이 설치된 내통의 선단부안에 눌러 끼워 넣기 때문에 모세관작용에 의해 잉크가 압입부로부터 스며나오게 되는 일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잉크저장실로부터 잉크계류부로 밀려나간 잉크가 상기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잉크계류부에 남아있게 되는 경우라도 필기할 때 반드시 소비되게 되면서 잉크가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고 순조롭게 흘러내리도록된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필기구는,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갈 때 밀려난 잉크를 잠시 계류시켜 놓았다가 상기 내부압력이 낮아질 때 잉크저장실로 되돌려 지지않는 잉크를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잉크계류부를 설치해 놓으면서 상기 잉크저장실-필기부-잉크계류부 사이가 섬유심체로 연통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인크계류부가 잉크저장실에 이상이 있어 밀려난 잉크를 잠시 계류시키다가 정상적인 상태로 된 잉크저장실로 되돌려 보내줌과 더불어, 되돌려 보내지지 않은 잉크는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 섬유심체는 잉크저장실-필기부-잉크계류부 사이에서 잉크를 미세하면서도 많은 양의 간극에 의해 발휘되는 모세관작용으로 유동시켜주게 되어, 필기할 때 잉크가 필기부에서 한꺼번에 쏟아질 염려가 없게됨과 동시에 모세관작용에 의해 필기부쪽으로 순조롭게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작용이외에도 섬유심체의 바깥둘레가 외피로 둘러쌓여 있으므로 이 섬유심체를 중간심체 안쪽에다 조립해 넣을 때 이 섬유심체가 흩어지지 않아 필기구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 필기구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이 필기구(1)는 합성수지등으로 성형시켜 놓은 펜선단부(2)와, 내통(3), 섬유심체(4), 중심심체(5) 및 외통(6)이 갖춰지고, 이 펜선단부(2) 중심 앞쪽에 펜촉(7a)이 설치되며, 이 펜촉(7a)과 반대쪽에는 합성섬유다발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펜촉(7a)으로 잉크를 유도해 주게되는 잉크유도심체(7b)가 끼워져 있는 한편, 상기 펜촉(7a)과 잉크유도심체(7b) 및 보호파이프(7c)가 필기부(8)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내통(3)은 펜선단부(2)의 펜촉(7a)과 반대되는 쪽이 일체로 성형된 바, 이 내통(3)내에 상기 섬유심체(4)와 중간심체(5)가 동심형상으로 내외 2중으로 끼워지고, 상기 내통(3) 바깥에 동심형상으로 끼워진 외통(6)은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을 밀폐시켜주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통(6) 내부 뒷끝쪽인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점성이 낮은 잉크가 담겨지는 잉크저장실(10)이 설치되는 한편, 중간심체(5)의 바깥둘레에는 나선홈(11)으로 구성된 잉크계류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는 섬유심체(4)가 긴 합성섬유다발로 이루어진 바, 이 섬유심체(4)의 펜선단부(2)쪽에는 상기 섬유심체(4)의 중심에 형성된 끼움구멍(15)에 의해 잉크유도심체(7b)의 잉크저장실(10)쪽 선단부가 끼워 넣어지게 되고, 또 이 섬유심체(4)의 잉크저장실(10)쪽 선단부는 중간심체(5)의 중심에 형성된 연통구멍(17)에 의해 잉크저장실(10)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저장실(10)과 잉크계류부(12)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공기유도홈(14)의 펜선단부(2)쪽은 중간심체(5)의 펜선단부(2)쪽 끝부위에 형성된 연통구멍(16)에 의해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과 연통되고, 이 공기유도홈(14)의 잉크저장실(10)쪽 선단부는 섬유심체(4)의 잉크저장실(10)쪽 선단부 및 연통구멍(17)을 매개로 상기 잉크저장실(10)에 연통되어져 있다.
또, 상기 외통(6)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공기공급홈(18)이 상기 내.외통(3,6)사이에 배치되어 있는바, 이 공기공급홈(18)의 한쪽끝이 펜선단부(2)에 형성된 공기공급구멍(19)과 연통되는 한편, 다른쪽 끝이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연통되어있고, 이 공기공급홈(18)의 양끝은 상기 공기공급구멍(19)에 연통된 상태에서 펜선단부(2)에 형성된 환상홈(20) 및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형성된 환상홈(21)에 각각 이어져 있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홈(18)과 공기공급구멍(19)이 내통(3)의 앞끝쪽에 형성된 환상홈(20)에 의해 연통되기 때문에 내통(3)이 삽입장착되는 위치가 한정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연통되어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 부분에는 나선홈(11)에 연속되어 여러줄의 환상홈(22)이 형성되고, 이들 환상홈(22)사이가 여러개의 슬릿(23)으로 연통된 한편, 상기 중간심체(5)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턱지게 형성된 스톱퍼(24)에 의해 중간심체(5)와 섬유심체(4)의 위치가 결정되게 되고, 중간심체(5)와 외통(6)은 공기공급홈(18)과 환상홈(21)의 연통상태가 막히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나선홈(11)에 연속되어 형성된 여러줄의 상기 환상홈(22)과 이들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여러개의 슬릿(23)은 공기공급로를 확보해 주면서 상기 잉크계류부(12)의 나선홈(11)내에 계류되어 있는 잉크에 대해 충분한 밀폐작용을 발휘하여 잉크계류부(12)로부터 공기공급홈(18)쪽으로 잉크가 넘쳐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 주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1)가 이상과 같이 구성됨에 따라 잉크저장실(10)내에 점성이 낮은 잉크를 넣고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동작을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 설명한다.
본 발명 필기구(1)는 점성이 낮은 잉크를 잉크저장실(10)내에다 넣어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필기할 때에는 잉크저장실(10)내의 잉크가 모세관작용에 의해 연통구멍(17)-섬유심체(4)-잉크유도심체(7b)를 통해 펜촉(7a)으로 유도되어 나가게 되고, 잉크가 필기에 의해 소비되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떨어지게 됨에따라 소비된 잉크량만큼의 공기가 공기공급홈(18)-잉크계류부(12)-연통구멍(16)-공기유도홈(14)-연통구멍(17)을 거쳐 잉크저장실(10)내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온도가 올라가 공기가 팽창하게 되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어 잉크가 잉크저장실(10)로부터 밀려나가 연통구멍(17)-섬유심체(4) 및 공기유도홈(14)-연통구멍(16)을 통해 잉크계류부(12)의 나선홈(11) 등의 내부 펜선단부(2)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계류되게 된다.
이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 공기공급홈(18)으로부터 공기가 순조롭게 공급되기 때문에,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계류되어져 있던 잉크가 연통구멍(16)-섬유심체(4) 및 공기유도홈(14)-연통구멍(17)을 통해 잉크저장실(10)내로 신속히 되돌려지게 되고, 이때 만일 잉크가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남아있게 되더라도 공기공급홈(18)-잉크계류부(12)-연통구멍(16)-공기유도홈(14)-연통구멍(17)-잉조저장실(10)로의 공기공급통로가 확보됨에 따라 모세관작용에 의해 잉크계류부(12)내의 펜선단부(2)쪽의 잉크가 잉크저장실(10)로 되돌려지지않고 그대로 직접 연통구멍(16)-섬유심체(4)-잉크유도심체(7b)를 통해 펜촉(7a)으로 유도되어 완전히 소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 필기구(1)의 섬유심체(4)는, 잉크저장실(10)-필기부(8)-잉크계류부(12)사이에 미세하면서도 다량으로 존재하는 간극에서 잉크를 발휘시켜주는 모세관작용에 의해 흘러내려 주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필기할 때 펜촉(7a)으로 잉크가 과잉 유출되거나 잉크가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고, 펜촉(7a)으로 순조롭게 흘러나가게 된다.
다음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 필기구(1)의 공기유도홈(14)를 변형시켜 놓은 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그중 제3도는 중간심체(5)의 내주면(5a)에, 예컨대 2줄의 리브형상의 돌기(13)를 그 중간심체(5)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시켜 이들 돌기(13)들 사이 및 양쪽을 따라 형성된 간극이 공기유도홈(14)이 되도록 해 놓은 것인 바, 상기 돌기(13)는 여러줄의 작은 돌기를 중간심체(5)의 축선방향을 따라 간극을 두고 나열시켜 준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4도는 섬유심체(4)자체에다 형성시켜놓은 슬릿이 공기유도홈(14)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유효하게 변형시켜줄 수도 있는바, 예컨대 잉크계류부(12)가 나선홈(11)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스폰지등과 같은 잉크흡수재를 충전시켜 놓은 것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잉크저장실(10)로부터 밀려난 잉크가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부터 순차적으로 계류되기 때문에,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잉크계류부(12)에 계류된 잉크가 펜선단부(2)쪽으로부터 잉크저장실(10)로 신속히 되돌려지게 되고, 만일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잉크가 남게 되어도 잉크저장실(10)쪽의 공기공급로가 확보됨과 동시에 모세관작용에 의해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계류된 잉크가 잉크저장실(10)로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 직접 펜촉(7)으로 유도되어 완전히 소비되게 된다. 따라서 잉크저장실(10)내에 넣어져 있는 잉크를 마지막까지 소비시켜줄 뿐만 아니라 공기공급홈으로부터 잉크가 넘쳐 흘러 나오는 일도 없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 의하면, 펜선단부(2)와 내통(3)이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들의 상호 눌러끼워지는 부위로부터 잉크가 스며나오는 일도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4도와의 동일부분에 대해서 동일부호로 표시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섬유심체(4)의 바깥둘레부분이 예컨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튜부로 구성된 외피(25)로 씌워진바,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유도홈(14)이 외피(25)의 내주면(25a)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중간심체(5)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턱지게 형성된 스톱퍼(24)에 의해 중간심체(5)와 섬유심체(4) 및 외피(25)의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중간심체(5)와 외통(6)은 공기공급홈(18)과 환상홈(21)의 연통상태가 막히지 않도록 밀봉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도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바, 이 제2실시예에서는 섬유심체(4)의 바깥둘레가 외피(25)로 둘러쌓여 있기때문에 섬유심체(4)의 가 갈갈이 분해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됨으로써, 필기구(1)를 조립할 때 상기 섬유심체(4)를 중간심체(5)내에 쉽게 끼워 넣을 수가 있어, 필기구(1)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진다.
다음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 필기구(1)의 공기유도홈(14)의 변형예로서, 그중 제7도는 상기 외피(25)의 내주면(25a)에, 예컨대 2줄의 리브형상으로 된 돌기(25b)를 그 외피(25)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시키고, 이들 돌기(25b)들 사이 및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간극이 공기유도홈(14)이 되도록 한 것인바, 상기 돌기(25b)는 여러줄의 작은돌기를 중간심체(5)의 축선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열시켜도 좋다.
또 제8도는 섬유심체(4)자체에 형성된 슬릿이 공기유도홈(14)이 되도록 한 것이고, 제9도는 외피(25)의 외부면(25a)에 그 축선방향을 따라 오목홈을 형성시켜 이 오목홈에 의해 중간심체(5)의 안쪽을 따라 공기유도홈(14)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될때 밀려난 잉크를 잉크계류부(12)에 잠시 계류시켜 놓았다가 내부압력이 내려가 평상압력이 되면 잉크를 잉크저장실(10)로 되돌려 보낼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잉크저장실(10)로 되돌려지지 않는 잉크는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하면, 잉크저장실(10)-필기부(8)-잉크계류부(12)사이를 섬유심체(4)로 연통시켜 이들 사이에서의 잉크가 모세관작용으로 순조롭게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필기할 때 잉크가 한꺼번에 쏟아져내릴 염려가 없게 되고, 또 필기할 때에는 필기부(8)로 부터 잉크가 순조롭게 흘러나가도록 할 수가 있어, 안전성이 높으면서 필기성도 우수해지게 되는 효과도 있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섬유심체의 바깥둘레를 외피(25)로 둘러싸줌으로서 흐트러지기 쉬운 섬유심체(4)를 사용하게 되는 필기구(1)라 하더라도 필기구(1)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잉크저장실(10)이 설치된 외통(6)과, 이 외통(6)내에 넣어지면서 그 앞끝쪽에 펜선단부(2)가 갖춰진 내통(3), 상기 펜선단부(2)에 부착된 필기부(8), 상기 내통(3)내에 넣어지면서 그 바깥둘레에 바깥대기쪽과 연통되는 잉크계류부(12)가 형성된 중간심체(5) 및, 이 중간심체(5)의 내부에 넣어지면서 상기 잉크계류부(12)와 필기부(8) 및 잉크저장실(10) 상호간을 연통시켜주는 섬유심체(4)와 공기유도홈(14)이 갖추어진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홈(14)이 중간심체(5)의 내주면 또는 섬유심체(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잉크저장실(10)이 설치된 외통(6)과, 이 외통(6)내에 넣어지면서 그 앞끝쪽에 펜선단부(2)가 갖춰진 내통(3), 상기 펜선단부(2)에 부착된 필기부(8), 상기 내통(3)내에 넣어지면서 그 바깥둘레에 바깥대기쪽과 연통되는 잉크계류부(12)가 형성된 중간심체(5), 이 중간심체(5)의 내부에 넣어지면서 상기 잉크계류부(12)와 필기부(8) 및 잉크저장실(10) 상호간을 연통시켜주는 섬유심체(4)와 공기유도홈(14) 및, 상기 섬유심체(4)의 바깥둘레를 덮어씌운 외피(25)가 갖추어진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홈(14)이 외피(25)의 내주면(25a) 또는 섬유심체(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19870001221A 1986-11-05 1987-02-14 필기구 KR900000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63477A JPS63116899A (ja) 1986-11-05 1986-11-05 筆記具
JP263477 1986-11-05
JP61-263477 1986-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59A KR880006059A (ko) 1988-07-21
KR900000493B1 true KR900000493B1 (ko) 1990-01-31

Family

ID=1739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221A KR900000493B1 (ko) 1986-11-05 1987-02-14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16899A (ko)
KR (1) KR900000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32Y2 (ja) * 1988-05-31 1996-02-21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JP2000343877A (ja) * 1999-06-09 2000-12-12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1271A (en) * 1972-02-02 1975-10-22 Courtaulds Ltd Knitting machine c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59A (ko) 1988-07-21
JPS63116899A (ja) 198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492B1 (ko) 필기구
US3463597A (en) Ink writing implement
JPH06510491A (ja) 筆記軸筒に自由に筆記液を保持する筆記具
JP6367561B2 (ja)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JPS60239299A (ja) 製図用ペン
JP2001315483A (ja) 筆記具
CN109334302B (zh) 直液式书写工具
JPS6144674B2 (ko)
KR900000493B1 (ko) 필기구
US3533708A (en) Ball point pen for water soluble ink
EP3854604A1 (en) Application tool
US6659671B1 (en) Ink introducing tube and writing instrument incorporated with the same
KR100580992B1 (ko) 액체용기
US6619871B2 (en) Collector type writing instrument
KR20090052982A (ko) 직액식 필기구
JPH0811483A (ja) 筆記具
KR0119941Y1 (ko) 잉크수용통을 갖춘 필기구
US11186114B2 (en) Direct liquid-type brush pen
KR840001166B1 (ko) 필기구
JP7161578B2 (ja) 筆記具
KR940007204Y1 (ko)
CN113212030A (zh) 直液式书写工具储墨组件
CN113212031A (zh) 直液式书写工具
JPH053342Y2 (ko)
KR840001167B1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