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36B1 -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36B1
KR840001136B1 KR1019800002535A KR800002535A KR840001136B1 KR 840001136 B1 KR840001136 B1 KR 840001136B1 KR 1019800002535 A KR1019800002535 A KR 1019800002535A KR 800002535 A KR800002535 A KR 800002535A KR 840001136 B1 KR840001136 B1 KR 84000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weight
unsubstituted
parts
azol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734A (ko
Inventor
제에 베른트
궤츠 노베르트
아메르만 에베르하르트
에른스트-하인리히포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팅겟셀샤후트
라에미쉬 · 하우프터
하우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팅겟셀샤후트, 라에미쉬 · 하우프터, 하우프터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팅겟셀샤후트
Priority to KR101980000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36B1/ko
Publication of KR83000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34A/ko
Priority to KR1019840002417A priority patent/KR840001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새로운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의 제법과 이러한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성장 조절제 및 이를 사용하여 유해한 균들을 제거하고 식물 성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1-(1',2',4'-트리아졸-1'-일)-부틸-1-에틸-에테르와 같은, 0-알킬기를 함유하는 N,0-아세탈(독일특허공개공보 DOS 2,640,823호의 실시예4)는 살균활성을 보여준다. 또한 예를 들어, 1-(2'-(2'',4''-디클로로페닐)-2'-(프로프-2''-에닐옥시) -에틸-1H-이미다졸(독일특허 공계공보 DOS 2,063,857호 1과 같은 기타 살균 에테르 들도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특히 녹병균과 노균병균에 대해서는 불충분한 활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작물에 유해한 균들을 제거하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I)의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와 작물에 허용되는 이들의 염들 및 금속 착물들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R2는 알킬 또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페닐, R3는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벤질, R4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 아릴알킬로서, n=1일 경우에는 또한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 아릴일 수 있으며, X는 CH 또는 N, 그리고 n은 0 또는 1이다.
일반식(I)에 있어서, R1은 좋기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터셔리-부틸과 같은 1-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분지되거나 분지되지 않은 알킬이다. R2는 좋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펜틸과 같은 분지되지 않은 1-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이거나, 이소프로필, tert-부틸 또는 3-메틸 -부-1-틸과 같은 분지된 3-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이다. 또는 R2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또는 염소와 같은 할로겐으로 단일 치환되거나 이중 치환된 페닐일 수 있다.
R3는 좋기로는 수소이거나,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또는 n-펜틸과 같은 1-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분지되지 않은 알킬, 이소프로필 또는 이소부틸과 같은 3-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분지된 알킬, 비닐, 에티닐, 프로-2-펜-1-일, 프로-2-핀-1-일 또는 3-메틸-부-2-텐-1-일과 같은 2-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케닐 또는 알키닐, 또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불소 또는 염소와 같은 할로겐에 의해서 단일 치환되거나 이중 치환된 벤질이다.
R4는 좋기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펜틸 또는 n-데실과 같은 분지되지 않았거나, 이소프로필, 2-메틸프로-1-필 또는 3,3-디메틸-n-부-1-틸과 같은 분지된 1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가진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알킬이며, 프로-2-펜-1-일, 프로-2-핀-1-일 또는 펜탈, 3-디엔-1-일과 같은 10개 까지의 탄소원자를 가진 분지되지 않았거나 분지된 알케닐 또는 알키닐, 시클로펜틸, 사이클로헥-2-센-1-일 또는 시클로헥실과 같은 5 또는 6개의 고리 탄소원자를 가진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 알케닐, 그리고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 아릴알킬이며, 여기서 알킬은 1 또는 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아릴은 6-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헤테로 알킬은 5 또는 6개의 고리 구성원자들로 되어 있으며 이중의 1-3개는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헤테로 원자들이다. 상기한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 아릴 알킬의 예를 들면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벤질, 페닐에틸, 나프틸메틸, 티에닐메틸과 이소옥사졸릴메틸이 있다.
n이 1인 경우, R4는 또한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이의 예를 들면 페닐, 나프틸, 그리고 예를 들어 퓨라닐, 티에닐, 피리딜과 이소옥사졸릴과 같은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5개 또는 6개의 구성원자들을 가진 헤테로 사이클 기들이 있다.
R4에 있어서 치환체들의 특정한 실례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과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니트로 또는 시아노, 저급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킬티오와 할로알콕시, 또는 케토 그룹이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서 페나실기에서와 같이, 메틸, 프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메틸티오, 에틸, 메톡시, 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 n-프로필과 tert. 부틸과 같은 1-4개의 탄소원자와 1-9개의 할로겐 원자들로 되어 있다.
새로운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은 아세틸 탄소원자에 대칭 중심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R2와 R3가 서로 다르다면 카르비놀 탄소원자에 대칭 중심을 가지고 있다. R4의 특성에 따라서, 다른 대칭 중심들도 존재할 수 있다. 화합물들은 공지된 분리방법에 의해서 단일한 대장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들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실제로, 개별적인 대장이성질체들과 입체 이성질체들이나 또는 통상적으로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혼합들중 하나가 사용되며 후자가 더 좋다.
일반식(I)의 새로운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일반식(II)의 알코올 또는 이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제4급 암모늄 염을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R1,R2,R3와 X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며,
R4-(CO)n-L (Ⅲ)
(상기 식에서 R4와 n은 전술한 바와 같고, L은 친핵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이탈그룹이다)
위의 반응은 용매 또는 희석제 그리고 무기 또는 유기염기의 졸재 또는 부재하에, 또한 반응 가속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0-12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상기반응에 대한 개시물질로서 사용되는 일반식(II)의 알코올들은 예를 들어서 다음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1. 다음 일반식(VI)의 케톤을,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R1,R2와 X는 전술한 바와 같다)
용매의 존재하에서 그리고 반응 가속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0-100℃의 온도에서, 촉매적으로 또는 수소화합물과 함께 반응하여 환원한다. 화합물(VI)은 다음 일반식(VII)의 α-할로에테르와,
Figure kpo00004
다음 일반식(V)의 아졸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토 금속염과 반응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반응은 용매와 염기의 존재하에 0-100℃에서 일어난다.
Figure kpo00005
일반식(VII)의 α-할로에테르들은 공지된 방법(독일특허 DOS 2,201,063호와 B.Mylo의 Chem. Ber. 44(1911), 3212, 그리고 Weber와 Straus의 Ann. 498 (1932), 124)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2. 일반식(VI)의 케톤은 다음 일반식(VII)의 그리그나드 반응체와,
R3MgBr (VIII)
(상기식에서 R3는 전술한 바와 같다.)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0-80℃에서 반응한다.
3. 다음 일반식(IX)의 아세탈이,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R1,R2와 R3는 전술한 바와 같다.)
용매와 염기의 존재하에 0-100℃에서, 염화아세틸 또는 브롬화아세틸과 반응하고 이어 일반식(V)의 아졸과 반응한다.
일반식(III)의 화합물들은 공지되어 있다. 일반식(III)에 있어서, L은 예를 들어서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할로겐, 알킬-술페이트,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탈 술포닐옥시와 같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알킬술포닐옥시, 또는 토실 레이트와 같은 아릴술포닐옥시이다. 특히 일반식(III)의 반응성산유도체들에 대한 친핵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이탈 그룹들의 다른 실례를 들면, 산무수화물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미다졸릴 또는 트리아졸릴과 같은 아졸릴 그룹들 그리고 아실옥시 그룹들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산수용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들의 실례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수산화칼슘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들,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들, 수소와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소화물들, 나트륨 메틸레이트, 마그네슘 메틸레이트 그리고 나트륨 이소프로필레이트와 같은 알칼리금속 알코올레이트와 알칼리토 금속 알코올레이트들, 그리고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 시클로헥실아민, N-메틸-디페리딘 및 피리딘과 같은 터셔리 아민들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래의 염기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수소화물, 또는 부틸-리튬과 같은 리튬알킬, 또는 나트륨 메틸레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알코올레이트나 알칼리토금속 알코올레이트등의 적합한 염기들에 의해 일반식(II)의 알코올들을 알코올레이트염들로 먼저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에 이것들은 반응에 염들로서 채택된다.
좋은 용매들과 희석제들은,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과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탄화수소들, 사이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벤젠, 톨루엔과 크실엔과 같은 지방성 및 방허성 탄화수소들,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들,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니트릴들, 디메틸술폭사이드와 같은 술폭사이드들, 아세톤 및 메틸에틸 케톤과 같은 케톤들, 디에틸 에테르, 테르라 하이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들,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한다.
좋은 반응 가속제들로는 요오드와 칼륨과 같은 금속 할로겐화물들, 크라운 에테르들, 요오드화 테트라부틸암모늄과 같은 제4급암모늄 화합물들 그리고 이들 반응 가속제들의 조합물들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물들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이거나 회분식으로, 대기압 또는 고압하에서, 1-60시간동안, 0-15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공지된 방법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생성물들은 더 이상의 정제가 필요하지 않으나, 이와 같은 정제가 요구될 경우에는 재결정화, 추출, 증류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I)의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작물에 허용되는 이들의 염들 또는 금속 착물들로 전환된다.
적합한 염화제들의 예를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아세트산과 도데실벤젠술폰산이 있다. 염들의 활성은 양이온에 달려있으며, 이로써 어떠한 음이온도 선택될 수 있다.
금속 착물들은 새로운 화합물들과 금속 염들의 음이온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서 형성된다. 특히 적합한 금속 염들은 염화 제2구리, 황산 제2구리, 질산 제2구리, 염화 제2아연, 염화 제3철, 염화 제2마그네슘 그리고 브롬화 제2니켈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물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다.
개시물질의제조
(a) 방법 1
36.8g의 브롬화 아세틸을 교반하여 한 방울씩 48g의 1,1-디메톡시-3,3-디메틸부탄-2-온(J.B.Wright의 J.Am. Chem. Soc. 77(1955), 4883)에 첨가한다. 첨가 도중에 농도는 53℃로 상승된다. 용액이 한 시간동안 교반된 후에 41.4g의 티아졸을 10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킨 용액에 한방울씩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한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흡수하고 이용액을 50ml씩 3번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은 분리제거되고 건조하여 농축한다. 잔류하는 오일은 증류관을 통해 증류된다. 44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3,3-디메틸-부탄-2-온이 84-86℃/0.1m에서 증류되어 얻어진다.
4.5g의 수소화붕소 나트륨을 10-20℃에서, 80ml의 메탄올 내에서, 위에서 얻어진 39.4g의 화합물에 조금씩 첨가한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1시간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80ml의 물속에 교반 혼합하며 100ml식 3번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분리제거 하고, 건조하여 농축한다. 잔류하는 오일은 석유 에테르로 부터 결정화한다. 이로써 34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3,3-디메틸부탄-2-올이 얻어지며, 이의 용융점은 62-64℃이다.
계산치 C 54.3 H 8.6 N 21.1
실험치 54.5 8.4 21.2
(b)방법 2
100ml의 에테르에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아세톤을 용해시킨 용액이 150ml의 에테르에(4.9g의 마그네슘과 38.3g의 4-브로모클로로벤젠으로부터 제조된) 0.2몰의 4-클로로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용해시킨 용액에 한방울씩 첨가된다. 그 다음 반응혼합물은 환류하에서 5시간동안 교반되고, 냉각된다. 50g의 얼음이 첨가되고, 그 다음 상이 명확하게 분리될 때까지 25%농도의 염화 암모늄 수용액이 한방울씩 첨가된다. 유기층은 분리 제거되고 수용액층은 100ml의 에테르로 2번 추출된다. 결합된 에테르층은 물로 세척하여 중성화하고, 건조농축한다. 잔류물은 석유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 되며, 이로서 80-82℃의 용융점을 가진 23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2-(4'-클로로페닐)-프로판-2-올 결정이 얻어진다.
(C) 방법 3
12.3g의 브롬화 아세틸을 교반하에 14.8g의 1,1-(디메톡시)-2-메틸부탄-2-올에 한방울씩 첨가되며 도중. 온도는 60℃로 상승된다. 반응 혼합물을 한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3.8g의 트리아졸을 1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용액에 한방울씩 첨가된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며, 농축하고 염화메틸렌에 흡수하며, 그 용액은 50ml씩 3번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건조 농축한다. 잔류하는 오일을 증류한다. 6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2-메틸부탄-2-올이 95-110℃/0.4m bar에서 증류되어 얻어진다.
구조식(II)에 모든 알코올은 (a),(b) 및 (c)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는 최종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방법 a)]
3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3.9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3,3-디메틸부탄-2-올을 용해시킨 용액이 80ml의 테트라하이드로 퓨란에 2g의 수소화나트륨을 용해시킨 용액에 실온에서 한방울씩 첨가된다. 혼합물은 3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 다음 12g의 브롬화벤질이 한방울씩 첨가된다. 본 반응물은 하룻밤 동안 교반되고, 100ml의 물이 첨가되며, 유기층은 분리제거되고 수용액층은 디에틸 에테르로 2번 추출된다. 결합된 에테르 층은 건조 농축된다. 잔류하는 오일은 증류된다. 9.7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3,3-디메틸부트-2-일 벤질 에테르가 132-135℃/0.007m bar에서 증류되어 얻어진다.
계산치 C 66.4 H 8.0 N 14.5
실험치 66.6 8.2 15.0
[실시예 2(방법a)]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7.9g의 1-(1',2',4'-트리아졸-1'-일-1-메톡시 -프로판-2-올을 용해시킨 용액이 1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44g의 수소화나트륨을 용해시킨 현탁액에 한 방울씩 첨가된다.
그 다음 혼합물은 2시간동안 환류된다. 이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었을 때, 6.4ml의 염화벤조일이 한방울씩 첨가되며, 도중에 온도는 50℃로 상승한다. 2시간 후에, 150ml의 물이 첨가되며, 혼합물은 150ml씩 3번 에테르로 추출된다. 결합된 에테르층은 물로 세척되어 중성화되고, 건조농축된다. 잔류하는 오일은 석유 에테르로부터 결정화된다. 용융점이 76-78℃인 8g의 1-(1',2',4'-트리아졸-1'-일)-메톡시프로프-2-일 벤조산염이 얻어진다.
계산치 C 59.8 H 5.8 N 16.1
실험치 59.8 5.8 16.1
식(I)의 다음과 같은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염과 작물들은 우수한 식물처리제이다. 예를 들어서, 이들은 광범위한 식물 병원균, 특히 아스코마이세트(Ascomycetes)와 바시디오마이세트(Basidiomycetes)종에 기인한 병원균에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화합물들 중 약간은 조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잎이나 토양 살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씨앗 소독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제들은 또한 보호물질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화합물은 특히 밀, 호밀, 보리, 귀리, 쌀, 옥수수, 면화, 콩, 커피, 사탕수수, 원예작물에 있어서의 과일 및 장식화초, 오이, 강낭콩 및 호박과 같은 책소들과 같은 여러 가지 작물들 또는 이들의 씨앗에 있어서 수 많은 균들을 죽이는데 특별히 유용하다.
또한 새로운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은 병들을 구제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곡물류에 있어서의 에리시프 그라미니스(Erysiphe graminis), 호박에 있어서의 에리시프 시코리아세아룸(Erysiphe cichoriacearum), 사과에 있어서의 포도스페라 류우코트리카 (Podospharea leucotricha), 포도에 있어서의 운시눌라 네카로르(uncinula necator), 강남콩에 있어서의 에리시프 폴리고니(Erysiphe polygoni), 장미에 있어서의 스페로 테카파노사(Sphaerotheca pannosa), 곡물류에 있어서의 푸시니아 종들(Puccinia specie -s), 면화에 있어서의 리조크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곡물류에 있어서의 헬민토스포리움 종들(Helminthosporium species), 곡물류 및 사탕수수에 있어서의 유스틸라고 종들(Ustilago species), 곡물류에 있어서의 린코스포리움 세칼 (Rhynchospo -rium secale) 그리고 사과에 있어서의 벤튜리아 인에퀼리스(Venturia inaequalis), 화합물들은 활성 성분을 식물에 분무시키거나 산포시킴으로서, 또는 활성성분으로 씨앗을 처리함으로써 적용된다. 화합물들은 식물이나 씨앗이 균에 의해서 감염되기 전이나 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들은 예를 들어, 용액, 유제, 현탁액, 가루, 분말, 페이스트 및 과립과 같은 종래의 제제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적용형태는 제제가 사용되는 목적에 전적으로 달려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활성성분이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제제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서 활성 성분을 용매 또는 매개체로 희석시키고, 유화제 및 분산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안호, 물이 희석제로 사용될 경우, 유기 보조용매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는다. 적합한 보호제로서는, 본질적으로 용매인 경우는 크실렌 및 벤젠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들, 클로로 벤젠과 같은 염화 방향족 화합물들, 석유분류물과 같은 파리핀들, 메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들, 에탄올 아민 및 디메틸포름 아미드와 같은 아민들, 그리고 물이 있으며, 매개체인 경우에는 카올리인, 알루미나, 탈크 및 쵸오크와 같은 천염 암석분말들, 그리고, 고도로 분산된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와 같은 합성암석 분말들이 있고, 유화제인 경우에는 폴리 옥시에틸렌 지방알코올 에테르, 알킬술폰산염 및 아릴술폰산염과 같은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유화제들이 있고, 분산제인 경우에는 리그닌, 술파이트 페액 및 매틸셀룰로오스가 있다.
살균 제제들을 0.1-95중량%, 좋기로는 0.5-9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적용량은 원하는 훈과에 달려있으며, 1헥타아르당 0.1-3 또는 그 이상의 활성 성분을 적용한다. 새로운 화합물은 또한 보호물질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코니포타푸테아네아(Coniphora puteanea) 및 폴리스티코투스 베르시콜로(Polystictus versicolor)와 같은 목재파괴균을 파괴하는데 적합하다. 페인트 및 연질 PVC에 대한 살균제와 같이, 활성성분이 보호물질로서 사용될 경우, 적용량은 보존되는 페인트 또는 미생물적으로 처리되는의 전체무게에 기준해서 0.05-5중량%의 활성 성분을 적용한다. 새로운 활성 성분들은 또한 변색 균들에 대해서 목재를 보호하기 위한 유질의 목재 방부제의 살균효과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제들은 예를 들어서 이들을 목재에 스며들게 하거나 겉에 칠함으로써 적용된다.
용액, 유제, 현탁액, 분말, 가루, 페이스트 또는 과립등과 같은 제제들은 예를 들어 분무, 살포, 가루산포, 씨앗처리, 또는 삽수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제제들의 조제에 대한 실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I. 실시예 1의 90중량부의 화합물은 10중량부의 N-메틸-α-피롤리돈과 혼합된다. 적용하기에 적합한 경우 미세한드롭 형태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II. 실시예 2의 20중량부의 화합물은 80중량부의 코실렌, 8-10몰의 산화에틸렌과 1몰의 올레산-N-모노에탄올 아미드와의 10중량부의 내전물, 5중량부의 도데실벤젠 술폰산의 칼슘염, 그리고 40몰의 산화에틸렌과 1몰의 피마자유와의 5중량부의 내전율로 구성된 혼합물에 용해된다. 이 용액을 100,000중량부의 물에 넣고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0.02중량%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분산 수용액이 얻어진다.
III. 실시예 4의 중량부의 화합물은 25중량부의 시클로헥사놀, 210℃와 280℃사이의 비등점을 가진 65중량부의 광물유 분류물, 그리고 40몰의 산화에틸렌과 1몰의 피마자유와의 10중량부의 내전물로 구성된 혼합물에 용해된다. 이 용액을 100,000중량부의 물에 넣고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0.02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산 수용액이 얻어진다.
IV. 실시예 5의 20중량부의 화합물은 3중량부의 디이소부틸-나르탈렌-술폰산의 나트륨염, 17중량부의 술파이트페액으로부터 얻어진 리그닌-술폰산의 나트륨염, 그리고 60중량부의 분말 실라카겔과 잘 혼합되며 해머 분쇄기에서 분쇄된다. 이 혼합물을 20,000중량부의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0.1중량%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분무액체가 얻어진다.
V. 실시에 1의 중량부의 화합물은 97중량부의 입자 카올리인과 밀접하게 혼합된다. 3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가루가 얻어진다.
VI. 실시에 2의 30중량부의 화합물은 92중량부의 분말 실리카겔과 이러한 실리카겔의 표면상에 분무된 8중량부의 파라핀유와 밀접하게 혼합된다.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 활성 성분의 제제화합물이 얻어진다.
VII. 실시에 3의 20중량부의 화합물은 2중량부의 도데실벤젠 술폰 산의 칼슘염, 8중량부의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롤 에테르, 2중량부의 페놀술폰산-요소-포름알데히드 용축물의 나트륨염 그리고 68중량부의 피라핀 광물유와 밀접하게 혼합된다. 안정된 유질의 분산액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들은 예를 들어 제초제, 제충제, 성장 조절제 및 기타 삽균제들과 같은 다른 활성 성분들과 혼합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비료와 함께 혼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살균 제들과의 혼합물은 삽균활성의 범위를 넓혀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과 결합될 수 있는 살균제들의 실태를 들면 다음과 같다. 황, 예를들어 철(III)디메틸디티오 카르바메이트,아연 디메틸디티오 카르바메이트, 마그네슘 N,N-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마그네슘 아연 N,N-에틸렌 디아민-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아연 N,N-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아연 N,N-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아연 N,N'-프로필렌 -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의 암모니아 착물, 그리고 아연 N,N-프로필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N,N-폴리트로필렌-비스-(디오카르바모일)-디설파이드의 암모니아 착물과 같은 디티오카르바메이트와 이의 유도체들, 니트로 유도체들로서, 예를 들어 디니트로-(1-메틸헵틸)-페닐 코로로네이트, 2-세컨더리-부틸-4,6-디니트로페닐-3,3-디메틸아코릴레이트와 2-세컨더리-부틸-4,6-디니트로페닐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헤테로 고리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N-(1,1,2,2-테트라클로로 에틸티오)-테트라하이드로프탈아미드, N-트리클로로 메틸티오테트 라하이드로 프탈이미드,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프탈아미드, 2-헵타데실-2-이미다졸린 아세테이트, 2,4-디클로로-6-(0-클로로아닐리노)-S-트리아진, 0,0-디에틸 프탈이미도포스포노티오에이트, 5-아미노-1-(비스-(디메틸 아미노)-포스피닐)-3-페닐-1,2,4-트리아졸, 5-에톡시-3-트리클로로메틸-1,2,4-티아디아졸, 2,3-디시아노-1,4-디티아안트 라퀴논, 2-티오-1,3-디티오-(4,5-b)-퀴녹살린, 메틸 1-(부틸카르바모일) -2-벤지이미다졸-카르바메이트, 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펜지이미다졸,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즈티아졸, 4-(2-클로로페닐하이드라조노)-3-메틸-5-이소옥사졸론, 피리딘-2-티오-1-옥사이드, 8-하이드록시 퀴놀린 및 이의 구리염들, 2,3-디하이드로-5-카르복스 아닐리도-6-메틸-1,4-옥사리인-4,4-디옥사이드, 2,3-디하이드로-5-카르복스아닐리도-6-메틸-1,4-옥사티인, 2-푸르-2-일-벤지이미다졸, 피페라진-1,4-디일-비스-(1-(2,2,2-트리클로로에틸)-포름아미드), 2-티아졸-4-일-벤지이미다졸, 5-부틸-2-디메틸아미노-4-하이드록시-6-메틸-피리미딘, 비스-(p-클로로페닐 )-3-피리딘메탄올, 1,2-비스-(3-에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젤, 1,2-비스-(3-메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젠, 그리고 여러 가지 살균제들로서, 예를들어 도데구아니딘 아세테이트, 3-(2-(3,5-디메틸-2-하이드록시클로로헥실)-2-하이드록시에틸)-글루타르이미드, 헥사클로로벤젠, N-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티오-N',N'-디메팅-N-페닐-황산디아미드, 2,5-디메틸-퓨란-3-카르복실산 아닐리드, 2,5-디메팅 퓨란-3-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실아미드, 2-시아노-N-(에틸아미노카르보닐)-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 2-메틸벤조산 아닐리드, 2-아이오드 -벤조산, 아닐리드, 1-(3,4-디클로로 아닐리노)-1-포르밀아미노-2,2,2-트리클로로에탄, 2,6-디메틸-N-트리데실-모르폴린 및 이의 염들, 2,6-디메틸-N-사이클로로도데실-모르폴린 및 이의 염들, DL-메팅-N-(2,6-디메틸-페닐)-퓨로일(2)-알라니네이트 DL-N-(2,6-디메틸-페닐)-N-(2'-메톡시아세틸)-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디이소프로필 5-니트로 이소프탈레이트, 1-(1',2',4'-트리아졸릴-1')-1-(4'-클로로페녹시)-3,3-디메틸-부탄-2-온, 1-(1',2',4'-트리아졸릴-1')-1-(4'-클로로페녹시)-3,3-디메틸부탄-2-올, N-(2,6-디메틸페닐)-N-클로로아세틸-D,L-아미노부티롤락톤, 그리고 N-(n-프로필)-N-(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N'-이미다졸릴요소.
다음의 실시에 A는 새로운 활성 성분의 미생물학적 활성을 보여준다. 독일특허 DE-OS 2,063,857호에 설명된 1-(2'-(2'',4''-디클로로페닐)-2'-(2"-프로페닐옥시)-에틸-1H-이미다졸이 비교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화분에서 자란 "쥬빌라(Jubilar)" 변종의 밑묘목의 잎들은 80중량%의 활성 성분과 20%의 유화제로 제조된 수성 유제로 분무되고, 분무층의 건조된 후에는 밀 노균병균 (Erysiphe graminis var tritici)의 포자로 산포된다. 그 다음 식물들은 20°-22°와 75%-80%의 상대 습도로 조정된 온실에 옮겨진다. 균들의 만연된 정도는 10일 후에 평가된다.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0=균의 감염이 없는 것이며, 숫자가 커질수록 감염정도가 심하고 5=전체가 균으로 감염된 것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또한 식물성장에 영향을 주는 제제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활성은 종전의 성장조절제들의 활성보다 더 우수하다. 화합문들은 밀, 보리, 귀리, 호밀, 쌀 및 옥수수와 같은 곡물들은 단자엽 식물들(monocotyledons)에 뿐만 아니라, 해바라기, 토마토, 콩, 포도, 면화 및 평지와 같은 복자염 식문들(dicotyledon), 그리고 키산테멈(chysanthemums), 포인세티어스(poinsettias) 및 히비스커스(hibis -cus)와 같은 여러 가지 장식화초들에 효과적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식문 성장 조절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B]
화합물들의 성장 조절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테스트식물들은 직경이 약 12.5cm인 플라스틱 용기내에서 충분한 영양물이 공급된 기질내에서 성장되었다.
화합물들은 수성 제제화물 내에 배합되었으며, 식물들에 분무되었다. 관찰된 성장조절 작용은 성장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실험의 말기에 확정되었다. 그 다음 이러한 수치들은 화합물 처리되지 않은 식무들의 수치와 비교되었다. 비교할 목적으로 사용된 화합물 CCC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3
성장높이가 감소하면 잎들의 착색정도가 심하게 되었다. 클로로필(엽록소)의 합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광합성 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가리키며, 따라서 더 높은 수율이 예상될 수 있다.
개별적인 수치들은 다음의 표에 주어져 있다.
콩, SRF 450변종
후출현 처리 : 실험기간 :27일
Figure kpo00014

Claims (1)

  1. 다음 일반식(1)의 알코올을, 0-120℃의 온도에서 다음 일반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1)의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와 이들의 염들 및 금속착물들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1은 알킬, R2는 알킬 또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페닐, R3는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벤질, R4는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로서 n=1일 경우 치환되지 않았거나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 아릴이며, X는 CH 또는 N,n은 0또는 1이고 L은 친핵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이탈그룹이다.
KR1019800002535A 1980-06-27 1980-06-27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KR84000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535A KR840001136B1 (ko) 1980-06-27 1980-06-27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40002417A KR840001108B1 (ko) 1980-06-27 1984-05-03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535A KR840001136B1 (ko) 1980-06-27 1980-06-27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417A Division KR840001108B1 (ko) 1980-06-27 1984-05-03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34A KR830002734A (ko) 1983-05-30
KR840001136B1 true KR840001136B1 (ko) 1984-08-09

Family

ID=192169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535A KR840001136B1 (ko) 1980-06-27 1980-06-27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40002417A KR840001108B1 (ko) 1980-06-27 1984-05-03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417A KR840001108B1 (ko) 1980-06-27 1984-05-03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11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34A (ko) 1983-05-30
KR840001108B1 (ko) 198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419B1 (ko) 아졸릴메틸옥시란의 제조방법
US4380546A (en) Azole compounds, their preparation, their use for crop treatment, and agents for this purpose
US4411687A (en) α-Azolyl-glycol derivatives, as fung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CA1092130A (en) Azolyl-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US4360526A (en) Azolyl-acetophenone-oxime ethers
CS221276B2 (en) Fungicide means
KR880002228B1 (ko) 피리딘카비놀의 제조방법
KR900008815B1 (ko) 1-아졸릴-3-피라졸릴-2-프로판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54842A (en) Fungicidally and bactericidally active 1-azolyl-4-hydroxy-1-phenoxy-butane derivatives
GB1580389A (en) azolyl keton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CS214842B2 (en) Fungicide means
CS212719B2 (en) Fungicide
NZ201131A (en) Azole derivatives and fungicidal compositions
US4532234A (en) Neopentyl-phenethyltriazoles, their preparation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se compounds
KR840001136B1 (ko) α-아졸릴-글리콜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JPH0472831B2 (ko)
US4330535A (en) Fungicidal azolyl-silyl-glycol ethers, their use for combating fungi, and agents therefor
US4659705A (en) Fungicidal alpha-azolylglycols
US4496738A (en) Process for preparing 1,2,4-triazole derivatives
CS214752B2 (en) Fungicide means and method of making the active component
JPH0688975B2 (ja) 0−置換3−オキシピリジニウム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殺菌剤
CA1098121A (en) Phenylazophenyloxytriazolyl compounds
US5081142A (en) Derivatives of 1-hydroxy-1,2,4-triazole and fungicides and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them
HU194702B (en) Fung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ethyl-azol derivatives as active compon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hydroxy-ethyl-azol derivatives
JPH0379358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