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50B1 -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50B1
KR840000950B1 KR1019810002175A KR810002175A KR840000950B1 KR 840000950 B1 KR840000950 B1 KR 840000950B1 KR 1019810002175 A KR1019810002175 A KR 1019810002175A KR 810002175 A KR810002175 A KR 810002175A KR 840000950 B1 KR840000950 B1 KR 84000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products
zeolite
product
dr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435A (ko
Inventor
한민수
Original Assignee
한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수 filed Critical 한민수
Priority to KR101981000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50B1/ko
Publication of KR83000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ertilizer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당밀이나 포도당을 주원료로하여 글루타민산, 타이신 등의 아미노산을 발효한 후 이를 회수할때 얻어지는 부산액(이하 발효 부산액이라 한다)을 용이하게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료나 비료로 제조하는 발효 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발효부산액은 점조성이 높아 화학적, 생물학적 폐수처리를 하거나 부형제를 첨가하여 입상 유기질 비료를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당밀을 주원료로 하는 발효부산액은 원료 및 배지 조제시 첨가한 당분, 유기물, 무기물, 균체, 단백질, 아미노산등 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유기물과 미량원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적절한 가공 및 처리를 한다면 사료나 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자원 경제면에서 볼때 이들 발효부산액의 가공이나 처리가 요청되고 있다.
종래의 분만제품의 건조 방법에 관한 특허나 문헌에 많이 발표(한국특허 66-517, 74-4288, 75-1766, 76-1910, 분체공학 1, 129-134(1964), 미국특허 2801, 2867, 535(1957), 3033, 684(1960) 되었으며, 아이스크림, 된장, 고추장, 분유, 미역등 식품을 건조하는 것은 원료의 조성이 양호하여 건조 촉진제의 첨가없이도 비교적 건조가 잘 된다.
그러나 당밀을 주원료료 한 발효부산액은 액상으로서 밀도 및 점도가 높아 수송이나 저장은 물론 취급이 극히 곤란하여, 사료로 직접 급여시에 상당한 불편이 따르고 농축액으로 배합사료에 첨가시에도 배합율의 증가에 제한을 받게되며 비료로서 시비시에도 작물생육에 따른 시비시기 및 시비량의 제한, 시비노농력의 과다등 큰 불편이 뒤따르게 되어 이의 유효이용은 극히 일부에만 국한되어 온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발효부산액만을 분무건조할 때는 건조 기벽내에 발효부산액이 점착되어 건조분말의 회수가 30%정도 밖에 되지않고 스케일이 형성되어 건조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며 또한 회수된 건조분말도 수분 함유량에 높고, 흡습히 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발효부산액의 점조성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건조촉진제로서어떠한 공지의 물질을 첨가하면 건조속도가 빠르고 회수율이 좋으며, 흡습속도가 느린 건조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렇게 제조된 건조분말은 배합사료에 첨가시 임의로 배합율을 조절할수 있어 원하는 규격의 비료와 특수 비료등의 비료의 종류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서 각종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비료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발효부산액의 사용시 큰 단점인 포장 및 수송에 따른 취급상의 문제와 저장 시설상의 문제, 그리고 별도의 폐수 처리가 필요없으며, 수질 오염방지와 응집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자원 경제면에서 볼때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 부산액에 지오라이트 및 /또는 칼슘화합물을 첨가 혼합한 다음 분무시킴으로서 용이하게 분말상의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발효 부산액의 고형분 농도는 높을수록 열효울은 좋아지나 점도가 증가하여 분무가 잘 되지않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고형분 40-60% 정도에서 건조제인 지오라이트 및 / 또는 칼슘화합물을 각각 적당량을 첨가후 혼합하여 발효부산액의 점도를 낮추고 분무가 잘 되도록 60-70℃로 약 1시간동안 가열 교반후 분무기의 회전판을 20,000-30,000rpm으로 회전시켜 건조제의 혼합된 발효 부산액을 공급하면 회전판에 의해 분류된다. 이때 200-250℃ 열풍을 송풍하면 분무 건조된 분말은 건조실의 하부에 부착된 용기에 건조분말로 되어 쌓이게되며 배출공기와 함께 수행(隨行)한 미분말은 싸이크론에서 포집한다.
본 발명의 건조제(지오라이트 및/또는 칼슘화합물을 적당량혼합)를 첨가하면 건조기 벽내에 발효부산액의 점착도 거의 없고 건조분말의 회수율이 높으며 수분함유량이 낮고 흡습도 잘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건조제로 지오라이트나 칼슘화합물을 단독으로 첨가할 때보다 더욱 그 분말화 효과가 좋고 그 회수율도 99%이상이다.
또한 지오라이트와 칼슘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하면 지오라이트를 단독으로 첨가했을때보다 지오라이트를 소량만 첨가하여도 건조효과, 회수율등이 월등히 좋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발효 부산액의 농도, 첨가제의 종류, 첨가제의 사용량 등이 중요한 사항으로 다음과 같다.
* 건조제의 첨가량에 따른 건조분말의 회수량 및 잔존 수분함량
Figure kpo00001
* 상기 건조제의 입자로는 각각 80 메쉬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발효 부산액의 공지의 건조제(지오라이트 및 / 또는 칼슘화합물)를 첨가할때 지오라이트와 칼슘화합물을 각각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첨가하여 건조하면 소량만을 첨가하여도 높은 회수율과 건조효과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1]
고형분 40%의 주성인 글루타민산 발효분산액 20kg에 고형분에 대하여 건조제 3.0%(수분 7%의 지오라이트 2/3과 수분 5%의 석고 1/3을 혼합)를 첨가하고 70℃로 1시간 가열 교반한 후 분무건조기의 회전판(rpm25,000)을 통하여 분무하는데 이때 200℃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한 후 거조분말 8.5kg을 얻었다.
건조분말의 수분함량은 4.2%이고 회수율은 99.0%였다.
[실시예 2]
고형분 60%의 중성인 라이신 발효부산액 25kg에 고형분에 대하여 건조 제 3.0%(수분 7%의 지오라이트 2/3과 수분 10%의 소석회 1/3을 혼합)를 첨가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건조분말 15.9kg을 얻었다. 건조분말의 수분함량은 3.8%이고, 회수율은 99.2%였다.
[실시예 3]
고형분 50%의 글루타민산 발효부산액 20kg에 고형분에 대하여 건조제 3%(수분 7%의 지오라이트 2/3과 수분 6%의 석회석 1/3)를 첨가하고 실시예 1과 같이하여 건조분말 10.5kg을 얻었다. 건조분말의 수분함량은 3.3%, 회수율은 99.1%였다.

Claims (1)

  1. 글루민산, 라이신 및 기타 발효부산액에 지오라이트 및/ 또는 칼슘화합물을 혼합 첨가하고 분무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KR1019810002175A 1981-06-15 1981-06-15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KR84000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175A KR840000950B1 (ko) 1981-06-15 1981-06-15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175A KR840000950B1 (ko) 1981-06-15 1981-06-15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35A KR830006435A (ko) 1983-09-24
KR840000950B1 true KR840000950B1 (ko) 1984-07-01

Family

ID=1922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175A KR840000950B1 (ko) 1981-06-15 1981-06-15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9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35A (ko) 198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5420A (zh) 一种肥料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CN102060341B (zh) 酵母废水处理方法及由该方法所获得的饲料添加剂和饲料产品
CN106866269A (zh) 聚谷氨酸复合肥、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001872A (zh) 一种以磷石膏为原料的土壤调理剂的制备方法
CN104446677A (zh) 一种颗粒硫酸镁肥料及其制备方法
US20090133456A1 (en) Process and mechanism to produce granulated organic-mineral fertilizer based on concentrated vinasse
CN103896659B (zh) 一种利用糖厂、酒精厂、味精厂、酵母厂废弃物的腐植酸型流体或固体有机肥组合物
KR840000950B1 (ko) 발효부산액의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CN107857621A (zh) 一种颗粒硫酸镁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427696B1 (ko) 코코피트를 혼합하여 액상 cms을 분말화하는 방법
RU233790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жного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органического удобр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го минераль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CN1371952A (zh) 糖系复混肥粘结剂
CN102603427A (zh) 利用甘氨酸废水与阿维菌素药渣生产复混肥的方法
CN104803731A (zh) 一种固态发酵制备海洋复合肽生物肥的方法
CN1074205A (zh) 树脂肥及其制备方法
WO2002055452A1 (en) Method for powdering liquefied cms by mixing with coco-peat
US20110056261A1 (en) Agronomic Nutrient Production
CN106336314A (zh) 一种生物复合缓释化肥的制备方法
JP2670695B2 (ja) ペーパースラッジ造粒物及びその製造法
CN106008007A (zh) 一种烟茎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JP2002193696A (ja) 無機質肥料
RU2026271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KR0154320B1 (ko) 오니, 채종유박 및 고토석회를 이용한 과립형 유기질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860000141B1 (ko) 옥수수 전분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KR20010044340A (ko) 게르마늄 광물질을 첨가한 입상 복합토양개량제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