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45B1 -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45B1
KR840000845B1 KR7903624A KR790003624A KR840000845B1 KR 840000845 B1 KR840000845 B1 KR 840000845B1 KR 7903624 A KR7903624 A KR 7903624A KR 790003624 A KR790003624 A KR 790003624A KR 840000845 B1 KR840000845 B1 KR 84000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r
elevator
mai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121A (ko
Inventor
소오시로우 구즈누끼
사와 고따로오 히라
가즈 히로 사까다
겐지 요네다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90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45B1/ko
Publication of KR83000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제1도∼제13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도.
제3도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도.
제4도는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도.
제5도는 버스 절환 제어회로도.
제6도는 버스절환 제어회로의 동작설명을 타임 챠트.
제7도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설명용 총괄 흐름도.
제8도는 서브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설명용 총괄 흐름도.
제9도는 구출운전 처리용 프로그램의 상세 흐름도.
제10도는 구출운전 처리용 프로그램의 상세 흐름도.
제11도는 구출운전 제어처리에서 이용하는 카아호출의 입출력 테이블 구성도.
제12도는 구출운전 제어처리에서 이용하는 도어 및 안전관계의 입출력 테이블 구성도.
제13도는 구출운전 제어처리에서 이용하는 구출운전 관계의 입출력 테이블 구성도.
제14도 및 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4도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 챠트.
제15도는 서브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논리 제어부에 컴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종(縱)의 교통기관으로서 유일한 것이며 어린이로 부터 노인까지 일반인이 대부분이 이용한다. 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등에 이상이 발생하면 인사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특별한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여 즉시, 카아(car)를 정지시켜 먼저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신속하게 카아 내의 승객을 구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 릴레이회로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보수원이 수동으로 구출하는 것외에 제어장치내의 최소한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구출운전을 행하고 있었다(일본특허공보 제1978-47971호). 그래서 최근 고기능, 고신뢰성, 저가격, 소형의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크로 컴이라 약칭한다)가 출현하여 각종 산업기기의 마이크로 컴퓨터화가 진행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도 군관리(군管理) 제어장치를 중심으로 마이크로 컴을 응용한 제품이 발표되어 있다. 또 개개의 카아 운전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이하 호기제어장치라고 호칭한다)를 마이크로 컴화한 제품도 개발되는 상태에 있다.
그렇지만 마이크로 컴은 수개 또는 1개의 침(chip)의 고집적도(高集積度)의 반도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능이 집중해 있으며 사소한 내부의 고장에도 폭주하여 전체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새로운 연구가 있어야겠다.
그래서 상기의 군관리 제어부의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군관리 제어를 중지하면 좋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즉시 사고 또는 갇히게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컴퓨터의 이상은 주지의 위치도그 타이머(watchdog timer), 페리티 체크(patity check)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카아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있는 호기(號機) 제어용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즉각 정지하지 않으면 사고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카아가 중간층에 정지하여 승객이 갇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는 부분적으로 고장일 경우에도 전체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릴레이회로로 구성한 장치와 같이 최소한의 기능을 이용하여 구출운전을 할수 없어 문제였다.
본 발명의 첫째의 목적은 카아의 운전 제어부를 컴퓨터로 구성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의 카아 제어용 컴퓨터의 이상시에도 신속하게 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 구출운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두째의 목적은 카아의 운전제어를 복수대(馥數臺)의 컴퓨터로 기능을 분담처리 시키는 것에 의해 처리속도 및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어떠한 컴퓨터의 이상시에도 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첫째 특징은 카아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제1컴퓨터외에 최소한 해당 카아의 구출운전 제어기능을 가진 제2의 컴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컴퓨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상기 제2의 컴퓨터에 의해 카아를 정규의 착상(着床) 위치까지 구출운전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둘째 특징은 상기의 구출운전 제어기능을 가진 제2의 컴퓨터에 상기 제1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처리의 일부를 분담시키는 한편, 상기 제1의 컴퓨터에도 구출운전 제어기능을 내장시키는 것에 의해 일방의 컴퓨터의 이상으로 카아의 운전제어가 불가능해진 때 타방의 컴퓨터로 구출운전제어를 행하도록 한데에 있다.
상기한 바 외에 이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욱 수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나 그러나 목적 및 특징에 관해서는 실시예중에서 그때마다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제1도∼제5도, 제7도∼제13도에 나타낸 1 실시예 및 제6도의 타임챠트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2대(臺)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방을 메인 마이크로컵, 타방의 서브 마이크로컴이라고 가칭한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반드시 일방이 메인, 타방이 서브의 관계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2대의 마이크로 컴을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가칭할 뿐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1 실시예를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전체의 블럭 구성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ELI1은 호올(hall) 및 카아 내의 호출보턴, 리미트 스위치, 릴레이 접저므 카아위치 검출기 등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소자 블럭, DI1은 입력정보를 마이크로 컴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 MC1은 엘리베이터 카아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메인 마이크로컵, MCR은 카아내의 승객을 구출하는 운전제어를 행하는 서브 마이크로 컴, DO1은 마이크로컴(MC1)(MCR)의 출력을 증폭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Figure kpo00001
은 램프, 릴레이 등으로 형성된 축력소자 블럭, CHANG1은 마이크로컴(MC1)과 (MCR)과의 절환을 행하는 버스절환제어회로, BSW1은 데이터 버스의 절환을 행하는 버스 스위치이다. 그리고 출력소자(블럭
Figure kpo00002
은 메인 마이크로 컴(MC1) 및 서브 마이크로 컴(MCR)에 의해 처리된 제어신호에 다라 엘리베이터 카아 및 램프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이다. 그러나 이
Figure kpo00003
부분은 주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다음에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카아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호올 및 카아내의 호출보터군 (B11∼BIN), 상하단에 있는 업(up) 리미트 스위치나 다운(down), 리미트 스위치 등의 리미트 스위치군(LMT11∼LMTIN),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또는 강전(强電)을 절환하기 위한 각종 릴레이 접점군(RY11∼RTIN), 카아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P)등에서 출력되는 정보(D)는 입력인터 페이스회로(DI1)로서 접점의 체터링에 근거하는 잡음이나 제거나 전압변환을 해하여 메일 마이크로컴(MC1) 및 서브 마이크로컴(MCR)에 입력데이터(D12),(D13)로서 입력시킨다. 데이터(D13)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제어를 행하는 정보 및 구출운전 제어를 행하는 정보로서 이용된다. 이들 데이터 (D12),(D13)는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페리페럴·인터페이스·어뎁터(PIA11),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PIAR1을 거쳐 각각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 서브 마이크로 컴(MCR)의 이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마이크로컴(MCR)의 이상검출회로(WDTR)의 출력신호(FSR)를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PIA11에 입력시키고 있다. 또 메인 마이크로컴 (MC1)의 이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이상검출회로(WDT1)의 출력신호(FS1)를 서브 마이크로 컴(MCR)의 PIAR1에 입력하고 있다.
데이터버스(D18)는 양 마이크로 컴(MC1),(MCR)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바 마이크로컴(MC1)에서 연산한 결과는 PIA12를 거쳐 데이터 (D14),(D15)로서 출력된다. 데이터(D14)는 구출운전 제어에 관계하지 않는 데이터로서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04
)에 직업 입력시키고 있다. 데이터(D15)는 구출운전 제어에 관계하는 데이터로서, 버스 스위치(BSW1)의 단자(1),(3)사이가 닫혀져 있을 때 데이터(D16)로서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05
)에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는 데이터(D16)는 데이터 (D15)로 된다.
또, 버스 스위치(BSW1)의 단자(1),(3) 사이가 닫혀지는 것은 메인 마이크로컴 (MC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이며, 메인 마이크로컴(MC1)이 고장난 경우는 버스 절환 제어회로(CHANG1)에서의 버스 절환신호(CHS1)에 의해 단자(2),(3) 사이가 닫혀진다. 이 경우는 서브 마이크로 컵(MCR)에서의 데이터(DR2)가 데이터(D16)로 된다. 즉 메인 마이크로컴(MC1)이 고장이 나면 버스 스위치(BSW1)가 단자(1)에서 단자(2)로 절환되어 서브 마이크로컴(MCR)에 으해 구출운전 제어가 행해진다.
버스 절환제어회로(CHANG1)는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이상 검출회로(WD T1)의 출력신호(FS1)와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이상검출회로(WDTR)의 출력신호 (FSR)를 입력하고 있으며 버스 절환신호(CHS1)를 출력한다. 또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고장시 및 고장 회복시에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Figure kpo00006
)의 출력을 소정시간 금지하기 위한 신호(CUT1)도 출력한다.
메인 또는 서브 마이크로컴(MC1),(MCR)이 연산한 결과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07
)를 거쳐 출력소자 블럭(
Figure kpo00008
)에 전달되어 응답램프 (L11∼LIN), 릴레이(R11∼RIN) 및 경보용 버져(BZ1)등을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카아를 구동한다.
그리고 서브 마이크로 컴(MCR)의 이상검출회로(WDTR)의 출력신호(FSR)를 마이크로컴(MC1)에 취입하고 있는 이유는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고장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 메인 마이크로컴(MC1)이 정상동작이고, 서브 마이크로컴 (MCR)이 고장이 나 있다고 한다면 메인 마이크로컴(MC1)에서 엘리베이터의 주제어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만,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고장이 나있기 때문에 구출운전 제어하기 위한 백업(back up) 기능이 없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이때 메인 마이크로컴 (MC1)이 고장이 나면 엘리베어터를 비상 정지한 후 구출운전을 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한 빠른 시기에 메인 마이크로 컴(MC1)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대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상태로 된 때에는 등록호을 호출 또는 신규 호올호출의 서비스를 금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하나의 카아 호출만을 서비스 하고, 그후는 가장 가까운 층에 대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1표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인, 서브 마이크로 컴(MC1),(MCR)에 고장상태에 있어서의 처리 내용을 종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kpo00009
제1표에 있어서 메인 및 서브 마이크로 컴(MC1),(MCR)이 동시에 고장났을 때 승객이 카아내에 갇혀지게 되기 때문에 문제이지만 실제로 이와 같은 상태로 확율은 극히 적다.
다음에 제1도의 주요부분의 구체적인 회로에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D11)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 회로는 유접점(유접점) 정보의 채터링제거와 전압 레벨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유접점의 정보(D11)는 예컨데 저항(R11),(R12)에 의해 전압분할되고, 그리고 저항(R11),(R12)과 콘덴서(C1)로 형성된 일시지연 요소에 의해 유접점 정보의 채터링이 흡수된후 파형정형회로(파형정형회로)(E1)에 의해 파형정형되어 데이터(D12), (D13)가 된다.
그리고 같은 회로가 n개 설치되어 있어 이중에서 구출운전 제어에 관계하는 것은 데이터(D13)가 되고, 관계하지 않은 것은 데이터(D12)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D12)와 데이터(D13)로 구분한 것은 마이크로 컴(MCR)의 PL AR1에로의 입력점수를 적게하기 위함이다.
제3도는 제1도인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로서, 메인 마이크로 컴(MC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PU1) 프로그램을 기억하여 두는 리드·온리·메모리(
Figure kpo00010
),, 데이터를 기억하여 드는 렌덤·액세스 메모리(RAM1),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DI1),
Figure kpo00011
)와 인터페이스 하는 페리페럴 인터페이스 어뎁터(PIA11), (PIA12), 그리고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이상 검출을 행하는 이상 검출회로(워치도그 타이머 : WDT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버스(DB), 어드레스 버스(AB), 컨트롤 버스 (C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메인 마이크로컴(MC1)에 의한 개개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도어제어, 방향제어, 호출제어 및 가감속 제어의 연산은 프로그램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구조는 메인 마이크로 컴(MC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컴퓨터라고 하는 것은 최소한도 메모리에 스토어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좋으며 상기한 실시예로써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도는 제1도의 출력 인터베이스 회로(
Figure kpo00012
)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이다. 이 회로는 응답램프(L11~L1n)나 릴레이(R11~R1n) 등의 출력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마이크로 컴(MC1), (MCR)의 출력을 증폭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MC1), (MCR)에서의 불필요한 데이터 출력을 금지하는 작용을 한다. 즉, 출력금지신호(CUT1)가 “1”이 되면 부정회로(***)에 의해 데이터가 반전하여“0”이 되고, 이 마이크로 컴(MC1), (MCR)에서의 데이터(D14), (D16)는 앤드회로(ANDD1~ANDDn)에 의해 제지되므로 싸이리스터(SCR1~ SCRn)의 게이트는 “0”이 된다. 따라서 릴레이 등의 출력소자는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출력금지신호(CUT1)가 “0”이 되면 상기의 반대동작이 되어 마이크로 컴(MC1), (MCR)에서의 출력데이터(D14), (D16)는 그대로 싸이리스터(SCR1~SCRn)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제어가 행해진다.
제5도는 제1도의 버스 절환제어회로(CHANG1)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이다. 이 회로는 버스 스위치(BSW1)에로의 절환신호(CHS1)와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13
)에로의 출력금지신호(CUT1)를 출력한다. 버스 절환의 발생 타이밍은 제1표로서 알 수 있듯이 서브 마이크로 컴(MCR)이 정상이고, 메인 마이크로 컴(MC1)이 고장난 때이다. 따라서 지금 이상 검출회로(WDT1), (WDTR)의 출력(FS1), (FSR)이 “1”에서 고장, “0”에서 정상이라고 한다면 앤드회로(ANDC2)는 FS1=“1”(메인 마이크로컴 MC1이 고장상태), FSR=“0”(서브 마이크로컴 MCR이 정상상태)에서 논리가 취해지므로 버스 절환선호(CHS1)는 “1”이 되고 제1의 버스 스위치(BSW1)의 단자를 1에서 2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출력금지신호(CUT1)는 마이크로 컴(WC1), (MCR)중 어느 일방이 고장일 때 즉, FS1=“1”, FSR=“1”일 때, 앤드회로(ANDC1)는 논리가 취해져 출력이 “1”이 되고 그 데이타가 오어회로(
Figure kpo00014
)를 거쳐 출력금지신호(CUT1)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이때 출력금지신호(CUT1)는“1”이 된다.
또 버스 절환신호(CHS1)가 변화한 때 즉, 버스 절환신호(CHS1)가 “0”→“1”,“1”→“0”이 된 때는 일정시간만큼 출력금지신호(CUT1)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버스 절환시에 출력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15
)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에 이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비상정지)하여 절환에 의한 혼란을 없애기 위함이다. 그 때문에 베타 논리함회로
Figure kpo00016
, 저항(RT), 콘덴서(CT)로서 구성되어 일정시간의 펄스를 출력하는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시간 설정은 저항(RT)과 콘덴서(CT)에 의해 행하고, 이 시간은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에 요하는 시간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베타 논리합회로(EOR1~EOR3)에는 CMOS의 IC를 이용하고 있다.
제6도는 제5도의 버스 절환제어회로(CHANG1)의 타임 챠트이다. 제6도에 있어서 ⓐ의 타이밍은 메인 마이크로 컴(MC1)이 고장난 때, ⓑ의 타이밍은 메인 마이크로컴 (MC1)의 고장이 회복한 때의 타이밍이다.
즉 ⓐ에서 입력(FS1)이“1”이 되어 이 시점에서 버스 절환신호(CHS1)가 “1”이 되고, 또 그후 일정시간(T)의 사이 출력금지신호(CUT1)가 “1”이 된다. 또 ⓑ에서 입력(FS1)이 “0”으로 절환됨과 동시에 버스 절환신호(CHS1)가 “0”으로 절환된 후 일정시간(T)의 사이 출력금지신호(CUT1)가 “1”이 된다.
다음에 제7도, 제8도를 참조하여 메인 및 서브 마이크로컴(MC1), (MCR)의 프로그램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프로그램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수십미리 세컨드(milli second)마다 동기하여 기동된다.
먼저,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고장신호(FSR)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110) 만약, “NO”라면 경보용 버저신호(BZ1)를 OFF한다(스텝 120). 한편, 스텝 (110)에 있어서 “YES”라면 경보용 버저신호(BZ2)를 ON으로 하고(스텝 130), 다음에 호올호출의 서비스를 모두 금지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140). 이상의 처리가 완료되면 스텝(150)에 있어서 데이터(D12), (D13)의 입력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스텝(160)에서 도어제어, 방향제어, 가감속제어 등의 개개의 엘리베이터 카아의 운전 제어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운전제어처리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스텝(170)에서 데이터(D14), (D15)의 출력처리를 행하고, 최후에 스텝(180)에서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인 이상 검출회로(WDT1)에 펄스를 출력한다. 이 회로(WDT1)는 일정주기마다 펄스가 입력되지 않으면 메인 마이크로컴(MC1)이 고장이라고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제 8도는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프로그램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십미리 세컨드마다 동기하여 기동한다.
먼저, 구출운전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D13)의 입력처리를 행하고(스텝 210), 다음에 상기의 처리로 취입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구출운전 제어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220).
다음에 스텝(230)에서 그 연산결과를 데이터(DR2)로서 외부에 출력한다. 최후에 스텝(240)에서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출력은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17
)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메인 마이크로 컴(MC1)이 고장이 나면 버스 스위치(BSW1)가 단자(2)측으로 절환되므로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출력이 출력 인터페이스회로(
Figure kpo00018
)에 도달하여 구출 운전이 행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구출운전 제어처리(제8도의 스텝 220)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9도는 구출운전 제어처리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 챠트, 제10~제13도는 제9도의 플로우 챠트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보의 입출력 테이블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0도~제13도에 나타낸 부호를 인용하여 제9도의 플로우챠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동작상태를 판정하여 정상시에는 구출운전 지령신호(DD), (DU)의 소거(消去)(스텝 220T)나 브레이크신호(BK)를 나타내는(스텝 220U) 등을 행하여 서브 마이크로 컴(MCR)은 구출운전 제어를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메인 마이크로 컴(MC1) 고장나면 엘리베이터를 움직이기 위한 확인 신호인 안전신호(SAFE)를 체크(스텝 220B)하여 안전신호가 있으면 이하의 구출운전 제어처리를 행한다. 즉, 엘리베이터가 착상레벨에 있는지의 여부를 정지신호(
Figure kpo00019
)를 체크(스텝 22C)하여 중간층에 있으면 가장 가까운 층에 주행시키기 위하여 가장 가까운 층에 호출을 하고(스텝 220D),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그 호출에 의해 방향선택처리를 행하여(스텝 220E) 구출운전 지령신호(DD), (DU)를 보낸다(스텝 220F). 그리고 브레이크신호(BK)의 소거를 행하여 주행가능 상태로 한다(스텝 220G). 예컨대, 하강 방향으로 구출 운전할 때 구출운전 하강지령신호(DD)를 “1”로 하고, 구출운전 상승 지령신호(DU)을 “0”으로 한다.
이상으로서 착상 레벨에 다다르면 즉, 스텝(220C)에서 정지신호(
Figure kpo00020
)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구출운전 지령신호(DD), (DU)를 소거(스텝 220H)하여 브레이크 신호(BK)를 보낸다(스텝 220I). 그리고 도어의 개폐상황을 체크한다(스텝 220J).
만약 도어가 닫혀져 있다면(CLS=1), 구출완료 신호(END)를 체크(스텝 220P)하고, 아직 구출완료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220R)으로 처리가 이동한다. 여기서 도어열림 지정신호(
Figure kpo00021
)를 부낸다. 다음에 도어 열림 15초후 자동적으로 도어를 닫기 위한 타이밍을 부여하기 때문에 15초 타이머의 스타아트신호(T15S)를 보낸다(스텝 220S). 여기서 스텝(220P)에서 구출완료 신호(END)가 있을 때로서 도어 열림 보턴(
Figure kpo00022
)이 압압되면 도어가 열린다.
한편, 스텝(220J)에 있어서 도어열림이 완료한 때 (
Figure kpo00023
=1), 15초 타이머의 타임 아우트 신호(T15F)를 체크(스텝 220K)하고, 아니면 구출완료신호(END)를 소거한다(스텝
Figure kpo00024
).
만약, 타임 아우트신호(T15F)가 있으면 구출이 완료 즉, 도어가 열린 후 15초 경과중에 승객을 카아에서 내릴 수 있다고 판단하여 도어닫힘의 동작을 시작한다(스텝 220L).
그리고 15초 타이머의 스타아트 신호(T15S)의 소거(스텝 220M)와 구출완료신호(END)를 보낸다(스텝 220N).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으로 카아를 가장 가까운 층의 정규적인 착상위치까지 운전하여 카아 내의 승객을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아 운전제어용의 컴퓨터가 고장이 나서 카아가 중간층에 정지한 경우에도 즉각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마이크로 컴(MCR)은 구출운전 제어처리만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입출력 정보량이 적고, 처리량도 적으므로 소규모의 마이크로 컴퓨터 예컨대, 1침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MC1)의 이상시 및 메인에서 서브 마이크로 컴퓨터(MCR)로 전환할 때 출력데이터를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한 데이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아가 위험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14도와 제15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의 변형에 즉, 메인 마이크로컴(MC1)과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처리내용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브 마이크로컴(MCR)은 메인 마이크로 컴(MC1)이 고장시에 구출운전 제어를 행하는 기능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메인 마이크로컴 (MC1)이 정상시에는 공백시간이 많다.
다른 실시예는 이점에 착안하여 서브 마이크로컴(MCR)에도 엘리베이터 카아 운전제어의 기능을 분담시켜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처리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 결과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이상시에도 카아의 운전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갇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메인 마이크로 컴(MCR)에도 구출운전 제어상태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의 기능 분담으로서 예컨대, 메인 마이크로 컴(MC1)에는 카아호출, 호올호출 등의 호출제어, 도어개폐제어, 엘리베이터 카아의 운전 지령제어 등의 처리를 분담시킨다.
한편, 서브 마이크로컴(MCR)에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가속, 감속 등의 속도제어처리(속도지령의 발생)를 분담시킨다. 여기서, 메인 마이크로 컴(MC1)과 서브 마이크로 컴(MCR)과의 데이터 통신은 제1도의 데이터비스(D18)를 이용한다.
이상의 기능으로 분담한 경우의 양 마이크로 컴(MC1), (MCR)의 처리 플로우 챠트를 제14도, 제15도에 나타낸다.
제14도는 메인 마이크로컴(MC1)의 처리 플로우챠트로서, 스텝(250), (310), (320)은 제7도의 스텝(150), (170), (180)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260)에 있어서 서브 마이크로 컴(MCR)의 동작을 체크하여 만약, 정상이라면 서브 마이크로 컴(MCR)에서 처리한 데이터 예컨대, 가감속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D18)에 의해 수신한다(스텝 270).
그리고 메인 마이크로 컴(MC1)에 분담된 카아의 운전제어 처리를 행하여(스텝 250) 다음에 서브 마이크로컴(MCR)에로의 데이터 예컨대, 운전 개시신호, 감속개시신호 등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서브 마이크로 컴(MCR)이 고장시는 메인 마이크로 컴(MC1)에 내장된 제9도와 마찬가지의 구출운전 제어처리를 행한다(스텝 300).
제15도는 서브 마이크로컴(MCR)의 처리 플로우챠트로서, 스텝(330), (380), (390), (400)은 제8도의 스텝(210), (220), (230), (240)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스텝(340)에 있어서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정장이라면 서브 마이크로 컴(MCR)에 기능 분담된 속도 제어처리를 행한다(스텝 360). 속도 제어처리의 전후에는 메인 마이크로 컴(MC1)과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처리(스텝 350, 370)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메인 마이크로컴(MC1)이 고장이라면 제8도 및 제9도와 마찬가지의 구출운전 제어처리를 행한다.
이상의 다른 실시예는 메인 마이크로 컴(MC1)과 서브 마이크로 컴(MCR)이 엘리베이터 카아를 운전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마이크로 컴(MC1)의 처리량을 경감할 수 있고 처리속도 및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마이크로 컴(MCR)이 고장이 나서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어도 메인 마이크로컴 (MC1)에 의해 구출운전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잇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를 사용한 카아의 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이 컴퓨터가 고장이 난다고 하여도 카아내의 승객을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고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층상을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아로 부터 적어도 카아의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카아를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카아의 제어를 분산처리하며 각각 자체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 검출회로(WDT1), (WDTR)를 구비한 복수대의 컴퓨터 (MC1), (MCR)와, 상기 이상검출회로(WDT1), (WDTR)의 출력신호(FS1), (FSR)를 입력하여 상기 컴퓨터중의 어느 일방이 이상상태로 되었을 때 버스 절환신호(CHS1)를 출력하는 버스 절환제어 회로(CHANG1)와, 이 버스 절환제어 회로에서 버스절환신호 (CHS1)가 발생할 때 이상 상태로 되지 않은 컴퓨터측으로 그의 접속단자를 절환하여 구출 운전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스위치(BSW1)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 제어장치.
KR7903624A 1979-10-19 1979-10-19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KR84000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624A KR840000845B1 (ko) 1979-10-19 1979-10-19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624A KR840000845B1 (ko) 1979-10-19 1979-10-19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21A KR830001121A (ko) 1983-04-29
KR840000845B1 true KR840000845B1 (ko) 1984-06-19

Family

ID=1921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624A KR840000845B1 (ko) 1979-10-19 1979-10-19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21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660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cue operation of an elevator
US7252180B2 (en) Situation-dependent reaction in the case of a fault in the region of a door of an elevator system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100204102B1 (ko) 승객컨베이어의 제어장치
CA2457551C (en) Monitoring system
JP626355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EP2671836B1 (en) Safety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20090277724A1 (en) Elevator system
US20040173410A1 (en) Safety circuit for lift doors
JPS638034B2 (ko)
KR840000845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장치
CN107108156B (zh) 电梯安全控制装置及电梯安全控制方法
US5780788A (en)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JPS63347B2 (ko)
JPS6015380A (ja) エレベ−タの遠隔監視装置
JPH10250950A (ja) エレベータ救出運転制御装置
JPH0313499Y2 (ko)
CN218231431U (zh) 电梯门锁旁路系统
JPH0121072B2 (ko)
JPS5957869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850000650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200033584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18125255A (zh) 用于加装电梯的烟感与电梯联动装置及加装电梯
KR016720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S62126090A (ja) エレベ−タ−の端階減速監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