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14B1 -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14B1
KR840000814B1 KR1019830000497A KR830000497A KR840000814B1 KR 840000814 B1 KR840000814 B1 KR 840000814B1 KR 1019830000497 A KR1019830000497 A KR 1019830000497A KR 830000497 A KR830000497 A KR 830000497A KR 840000814 B1 KR840000814 B1 KR 84000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inding
sprocket
cam
bin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도시 사도미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쓰가 고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쓰가 고오이찌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속장치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나타낸 원판캠의 회전각에 대한 캠면의 축방향 위치(윤곽)를 보여주는 캠선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분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속장치 주요 부분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속장치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
본 발명은 테이프리일에서 끌어낸 테이프를 결속아암을 이르켜 세우거나 제치는 작동에 따라서 피결속체를 감아서 묶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오, 결속아암이 이르켜 세워진 위치, 즉 피결속체의 삽입을 대기하는 위치에 있을때는 테이프리일에 테이프를 되돌려 감는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피결속체를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테이프 지지단부가 벗겨지는 것의 방지와 단단하게 결속하는 힘의 향상과를 꾀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해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기대로서, 그 기대(1)의 일단부위에 지지체(2 )를 고정하였으며, 지지체(2)에 테이프리일 지지축(3)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그 지지축(3)에 테이프리일(4)을 장치하여 나사(5)로 고정하고 있다. 테이프리일(4)에는 결속용 테이프(T)가 장착되어 있다. 결속테이프(T)로서 첨착테이프, 비첨착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지지축(3)과 테이프리일(4) 사이에 양자(3), (4)를 마찰 결합시키는 마찰 클러치수단(도해 없음)을 마련하고, 이 마찰 클러치수단으로 양자(3), (4) 사이의 마찰 결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기대(1)의 중간부위에 지지체(6)를 고정하였으며, 지지체(6)에는 지축(7)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설되어 있으며, 지축(7)에는 결속아암(8)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결속아암(8)의 선단부에는 도해하지 않은 테이프 절단날, 테이프 압압체등의 결속 관계부품이 장치되었으며 결속아암(8)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기대(1)의 다른 단부 위에는 도해하지 않은 테이프 지집, 테이프 압착대등의 결속 관계부품이 장치되어 있다.
또 기대(1) 위에 지지체(6)와 테이프 압착대 사이에는 피결속체를 지짖하기 위한 대(table)(도해 없음)가 배설되어 있다.
이상까지의 구성에서, 테이프리일(4)에 장착된 결속테이프(T)의 끝은 결속아암 (3)에 잇따라 결속아암(8)의 선단부에 이르게 되었으며 다시금 결속아암(8)의 선단부에서 끌려나와서 그 끌려나온 단부가 기대(1) 위의 테이프 보지부에 협지된다. 그리고 이 장치로 피결속체를 결속할 때는 결속아암(8)을 이르켜 세운 상태로 하여 두어서 결속아암(8)의 선단부와 기대(1)의 테이프 지지부 사이로부터 테이프(T)를 밀어서 피결속체를 기대(1) 위의 대위에놓은 다음 결속아암(8)을 기대(1) 쪽에 제쳐서 테이프(T)를 피결속체에 감으며 그 감기는 단부를 테이프 압착대와 테이프 압압체로 압착하고, 그 압착부의 근방을 테이프 절단날로 절단한다. 그리고 결속아암(8)을 끌어올릴때에 테이프(T)의 새로운 단부를 테이프 지지부에 지지하게 하여 결속아암(8)을 끌어올린 다음 결속된 피결속체를 들어내어서 1사이클을 끝낸다. 이상과 같이 결속아암 (8)을 이르켜 세우거나 재치는 작동에 따라서 결속을 할 수 있다.
지지체(6)에는 축(9)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지축(7) 및 축(9)에는 각기 섹터기어(10) 및 기어(11)가 고정되었으며, 두 기어(10), (11)은 결속아암(8 )을 이르켜 세우거나 재치는 작동을 하였을때 축(9)이 360°이하의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중간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더우기 양축(7), (9)의 연결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기어수단 이외의 어떤 수단이 있어도 무방하다.
지지축(3)에는 제1의 동역전달용 회전체로서의 제1스프로킷(13)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었으며, 축(9)에는 제2의 동력전달용 회전체로서의 제2스프로킷(14)은 나사(15)로 고정하고 있다.
제1스프로킷(13)과 제2스프로킷(14)은 체인(16)으로 연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제1, 제2동력전달용 회전체로서는 상기한 이외의 활차, 기어등이라도 좋다.
제2스프로킷(14)의 보스부(14A)의 외주에 잇따라서 원호상의 원판캠(17)이 설치되어 있다. 이원판캠(17)은 양단부가 핀(18), (19)으로 제2스프로킷(14)의 단면 (14B)에 고정되어 있다. 제3도는 캠(17)의 회전에 따라 필요오 하는 운동을 나중에 설명하는 레버로 실행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캠의 윤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판캠(17)은 제3도에서도 보는바와 같이 제1캠면(17A)과 그 제1캠면(17A)에 대하여 축의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제2캠면(17B)과, 양 캠면( 17A)(17B)사이를 잇는 경사 캠면(17C)을 지니고 있다. (20)은 원판캠(17)과 연동하여 결속아암(8)이 경도동작에 들어갔을때 지지축(3)과 제1스프로킷(13)을 상대회전을 할 수 없도록 결합시켜서 테이프리일(4)에 되돌려 감는 회전을 하게 하는 회전 전달 단속부재로 그 회전전달 단속부재(20)은 여기에서는 지지축(3)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된 접동체(21)와 일단(22A)이 접동체(21)에 걸리고, 타단(22B)이 원판캠(17)에 걸리는 레버(22)를 지니고 있다.
레버(22)는 지지체(2)에 고정된 지지아암(26)에 축(27)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링(28)으로 제2도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더우기 여기에서는 지지축(3)과 접동체(21) 사이에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수단(29)을 마련하고, 그 일방회전클러치수단(29)을 개재하여 접동체(21)를 지지축(3)에서 그 축(3)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있도록 장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결속장치에서 결속아암(8)이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르켜 세운 위치에 있을 때는 레버(22)의 단부(22B)는 원판캠(17)의 제1캠면(17A)에 접촉하고 있으며, 이때 접동체(21)는 레버(22)에 따라서 제1스프로킷(13)에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되고 돌기수요부(21A)와 돌기(23)는 이탈하여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런 상태일 때는 제1스프로킷(13)과 지지축(3)은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유지된다. 이런 상태일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아암(8)의 선단부와 기대(1)의 테이프 보지체 사이로부터 테이프(T)를 압압하여 피결속체를 삽입하게 되는 것이지만 피결속체로 테이프( T)를 압압하면 테이프리일(4)은 지지축(3)과 함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있기 때문에 테이프리일(4)이 회전하여 테이프(T)가 풀려나간다. 이 때문에 테이프(T)가 테이프 지지부에서 벗겨지는 것과 같은 지장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피결속체를 테이블 위에 놓은 다음, 결속아암(8)을 작동할 때는 감고 남은 테이프(T)를 테이프리일(4)에 되돌려 감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으서는 결속아암(8)을 재치기 시작하면 제2스프로킷(4)과 함께 원판캠(17)이 제1도에 있어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레버(22)는 스프링(28)으로 제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레버(22)의 단부(22B)는 제1캠면(17A)에서 경사 캠면(17C)을 거쳐 제2캠면(17B)에로 점차 상대변위하고, 이에 따라서 레버(22)는 축(27)을 받침점(支點)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그 레버(22)에 의하여 접동체(21)가 제1스프로킷(13)쪽으로 움직여서 제1스프로킷(13)의 돌기(23)와 접동체(21)의 돌기수요부(21A)가 서로 맞물린다.
이 때문에 제1스프로킷(13)과 접동체(21)는 상대회전을 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그 위에 일방회전 클러치수단(29)은 접동체(21)가 제1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접동체(21)와 지지축(3)을 고정하는 작용을 하기때문에 지지축(3) 및 테이프리일(4)은 재1스프로킷(13)과 함게 제1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리일(4)은 여분으로 풀려나온 테이프(T)를 되돌려 감는다.
더우기 지지축(3)과 테이프리일(4) 사이에 마찰 클러치수단을 마련하였을 경우, 그 마찰 클러치수단의 마찰 결합력을 세게하면 테이프(T)를 세게죄는 힘은 세어지며, 마찰 결합력을 약하게 하면 테이프(T)를 세게 죄는 힘이 약해져서 피결속체를 단단히 결속할 수 있다. 더우기 제4도 및 제5도는 결속아암(8) 기대(1)쪽으로 재쳐져서 테이프(T)의 감는 단부를 테이프 압압체와 테이프 압착제와 압착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결속이 끝나고 결속아암(8)을 위쪽으로 회동복귀하게되면 원판캠(17)은 제4도에서 보여주는 상태로부터 제2스프로킷(14)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스프로킷(13) 및 접동체(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접동체(21)와 지지축(3)은 일방회전 클로치수단(29)에 따라서 연결이 단절되기 때문에 지지축(3) 및 테이프리일(4)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테이프(T)를 풀어내는 조작을 할 수 없다. 이렇게하여 레버(22)의 단부(22B)가 원판캠(17)의 제2캠면(17B) 위에서 제1캠면(1 7A) 상으로 바꿔타므로 인하여 접동체(21)가 제1스프로킷(13)으로부터 끌어당겨 떨어져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것은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된다.
(1)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레버(22)와 원판캠(17)의 접촉점과 원판캠(17)의 접촉점과 축(9)의 중심을 지나는 반경방향(X)에 대하여 레버(22)의 길이방향선(Y)을 직각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본 예의 경우, 레버(22)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기때문에 레버(22)으 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또 동일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레버(22)의 타단부(22B)의 접촉부를 원호상으로 형성하면, 레버(22)와 원판캠(17)의 접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2) 제8도 및 제9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레버(22)를 1개의 신선재(伸線材)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신선재(22)의 시발점에 돌기(24)를 절곡하여 형성하고 신선재(22)의 중간부를 축(27)의 외주에 감은 다음 원판캠(17)쪽으로 연장하여 접촉부(22B)에서 U자상으로 절곡하여 다시 축(27) 위에 감아서 종단(終端)에서 돌기(25)를 절록 형성하여 레버를 구성하고 있다.
본 예의 구성에 의한 경우 레버의 구조를 간략하게 하였으므로 부품수도 적어진다.
(3) 원판캠(17)은 제2스프로킷(14)의 보스부에 일체가 되도록 장치하여도 좋으며 또 캠을 직접 축(9)에 장치하여도 좋다. 나아가서 원판캠 대신에 제3도에서 보는바와 같은 캠선도의 특성을 지닌 캠홈을 제2스프로킷(14)의 보스부외주에 형성하며 그 캠홈에 레버의 단부를 걸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4) 일방회전 클러치수단은 테이프리일과 지지축으 사이에설치하여도 좋다. 또 일방회전 클러치수단은 생략하여도 좋다.
(5) 제2동력전달용 회전체는 지축(7)에 직접 장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피결속에를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테이프 지지단부로 부터 벗어지는 이탈방지와 결속 테이프를 세게 죄는힘의 향상과를 꾀할 수 있다.
특히, 결속아암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으로 회전전달 단속수단을 동작시키므로 테이프리일의 테이프를 되돌리는 회전동작과 유리상태의 전환동작을 결속아암의 작동에 관력시켜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수 있도록 하며 결속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 위에 제1, 제2동력전달용 회전체는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회전전달성이 손실될 염려는 없다.

Claims (1)

  1. 회전이 자유로운 테이프리일(4)을 설치한 기대(1)에 경도동작에 따라 전기한 테이프리일(4)에서 끌려나온 테이프(T)를 피결속체에 감도록하며 또한 그 감기는 단부를 결속하는 결속아암(8)을 일으켜 세우거나 제칠수 있도록 고안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테이프리일(4)의 지지축(3)에는 제1동력전달용 회전체인 제1스프로킷(13)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그 제1동력전달용 회전체에는 결속아암(8)에 따라 제2동력전달용 회전체인 제2스프로킷(14)이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다음 제2동력전달용 회전체에 원판캠(17)을 설치하고 그 캠(17)과 연동하여 전기한 결속아암(8)이 경도동작으로 들어갔을때 전기한 지지축(3)과 제1동력전달용 회전체와 상대회전을 할 수 없도록 결합시켜 테이프리일(4)에 되돌려감는 회전을 하게하는 회전전달부 단속부재( 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KR1019830000497A 1979-07-12 1983-02-08 결속장치 KR84000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0497A KR840000814B1 (ko) 1979-07-12 1983-02-08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303A KR840002196B1 (ko) 1979-07-12 1979-07-12 결속(結束)장치
KR1019830000497A KR840000814B1 (ko) 1979-07-12 1983-02-08 결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303A Division KR840002196B1 (ko) 1979-07-12 1979-07-12 결속(結束)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14B1 true KR840000814B1 (ko) 1984-06-15

Family

ID=1921223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303A KR840002196B1 (ko) 1979-07-12 1979-07-12 결속(結束)장치
KR1019830000497A KR840000814B1 (ko) 1979-07-12 1983-02-08 결속장치
KR1019830000496A KR840000815B1 (ko) 1979-07-12 1983-02-08 결속기(結束機)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303A KR840002196B1 (ko) 1979-07-12 1979-07-12 결속(結束)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496A KR840000815B1 (ko) 1979-07-12 1983-02-08 결속기(結束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8400021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96B1 (ko) 1984-11-28
KR830001095A (ko) 1983-04-29
KR840000815B1 (ko) 198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990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840000814B1 (ko) 결속장치
US4854517A (en) Apparatus having means for unloosenly winding a tape to reels of a tape cassette
JPS6120936B2 (ko)
US3297272A (en) Means to wind a flexible strip
JPH0133452Y2 (ko)
JP3564438B2 (ja) 磁気テープ装置
KR100247295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US3648945A (en) Take-up reel
JPH0133453Y2 (ko)
JPS6042742A (ja) カメラのシヤツタチヤ−ジ機構
JP4081272B2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S596765B2 (ja) 結束装置
JP2911945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2503657Y2 (ja) トロイダルコイル巻線機
JPH0116729B2 (ko)
JPS6113486Y2 (ko)
JP2554231Y2 (ja) テープカッター
JPH0238434Y2 (ko)
JPH0570292B2 (ko)
JP3095840B2 (ja) 表面駆動巻取装置
JPS5850338Y2 (ja) パ−ホレイシヨンオユウスルフイルムノ ユドウソウチ
JPS6331382Y2 (ko)
JPS6128279Y2 (ko)
KR900002660B1 (ko) 카세트테이프 레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