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13B1 - 교류아크 용접기 - Google Patents

교류아크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13B1
KR840000813B1 KR8203463A KR820003463A KR840000813B1 KR 840000813 B1 KR840000813 B1 KR 840000813B1 KR 8203463 A KR8203463 A KR 8203463A KR 820003463 A KR820003463 A KR 820003463A KR 840000813 B1 KR840000813 B1 KR 84000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welding machine
voltage
scr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54A (ko
Inventor
노청윤
Original Assignee
이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식 filed Critical 이정식
Priority to KR820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13B1/ko
Priority to JP58024906A priority patent/JPS5924576A/ja
Publication of KR8400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아크 용접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간략한 회로 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상세한 회로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본 발명은 교류아크 용접기의 트랜스에 아크유도회로를 병열로 연결하므로서 아크유도전압을 유도시켜 용접기 트랜스의 2차측에 인가하여 보다 낮은 전원전압으로 용접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하여 역률를 재고 개선하여 전력소비를 절약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교류아크 용접기의 역률은 대략 전원전압(무부하전압)과 아크전압의 비로서 결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무부하전압을 될수록 낮게하여 아크전압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하면 역률은 반비례하여 높아지는 관계로 되지만 교류아크의 발생은 무부하전압, 즉 전원전압과 아크 전압의 차를 크게하여야 아크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관계에 있고, 실제로 무부하 전압을 낮추어 아크전압과의 차이를 작게하면 아크의 발생진행이 순조롭지 않고 용접기 사용에 무리가 온다.
따라서 보통 소용량 아크용접기에서는 부무하전압을 약 70V, 아크전압을 약 30V정도로 하고 있어 기존 교류아크 용접기의 역률은 45% 정도의 낮고 따라서 전력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인은 교류아크 용접기의 역률의 향상을 기하고저 연구실험한 결과 역률이 약 90%이상으로 되는 획기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 용접기를 개발하게 된 것으로 이하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교류아크 용접기의 메인트랜스 MT에 병열로 본 발명에 관한 아크유도회로를 접속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며의 아크유도회로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교류아크 용접기의 메인트랜스 MT와 병열로 게이트신호용 트랜스 T1의 일차측을 입력측(IN PUT)에 쵸크코일 L1을 통하여 접속하고, 이차측코일을 2중으로 하여 내측단자의 일단을 각각 다이오드 CR5, CR6을 통하여 사이리스터 SCR1, SCR2의 게이트에 접속한다.
또 용접기의 메인트랜스 MT의 일차측에 병열로 권선된 일차유도 코일 N1, N2의 일단을 각각 사이리스터 N1, N2에는 각각 콘덴서 C1, C2및 저항 R3, R4를 병렬로 연결하여서 된 아크유도 회로를 용접기의 메인트랜스 MT에 병열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이리스터 SCC1, SCR2의 게이트 신호용 트랜스 T1에 의하여 사이리스터 SCR1, SCR2의 게이트에 가하여지는 신호전압은 항상 사이리스터 SCR1, SCR2에 대하여 번가라인가되도록 구성되고, 즉 다이오드 CR1에 의하여 충전된 직류 전압을 사이리스터 SCR1이 콘덴서 C1의 충전전압을 유도코일 N1에 방전하는 동안은 콘덴서 C2는 반대로 다이오드 CR2에 의하여 충전되는 상태에서 사이리스터 SCR2는 카소드측에 가하여지는 역전압에 의하여 OFF상태로 되어, 사이리스터 SCR1과 SCR2는 콘덴서 C1과 C2의 전압을 게이트신호용 트랜스 T1이 지시하는 게이트 신호에 의하여 교대로 ON, OFF된다.
따라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유도전압 E1의 극대점 P1을 용접기의 전원전압(무부하전압) E0의 매사이클의 극대점 P0, 즉 아크발생점 P와 워상(점호각)을 일치하도록 저항 R1, R2로서 조정하므로서 무부하전압 E0+유도전압 E1의 최대치전압이 아크발생시의 아크기동전압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유도전압 E1을 큰값으로 하고 무부하전압 E0를 될 수 있는 한 낮은 아크발생전압 E에 가까운(단 E1〉E)값으로 하여도 아크기동전압(E0+E1)이 충분히 높은 값으로 되어 아크발생은 순조롭고 용이하게 된다.
이때 아크유도회로에 유도되는 전력은 극히 소전류로 소비전력은 무시할 수 있고 결국 본 발명 교류아크용접기는 무부하전압 E0을 아크 발생전압 E에 가까운 값으로 하므로서 역률
Figure kpo00001
이 극히 향상되고 소비전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실제 사용예로서, 유도전압 E1=100V, 무부하전압 E0=35V 아크전압 E=32V이었고 이경우 아크 기동전압은 E0+E1∥35+00=135V이고 아크전압 E와의 전위차는 103V이고, 종래의 무부하 전압 약 70V, 아크발생전압 약 30V정도 이어서 전위차가 40V정도인데 비하여 본 발명 아크용접기는 아크발생이 순조롭고 용이하며 역률도 본 발명은
Figure kpo00002
에 대하여 종래는
Figure kpo00003
이어서 전력소비가 종래보다 반감하는 획기적 이익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 교류아크 용접기의 성능을 종래의 것과 대비하여 제1표에 표시한다.
[제 1 표]
Figure kpo00004
또 본 발명 고류아크 용접기는 아크의 안정성이 좋아 용접작업이 순조롭고 초보자일지라도 양호한 용접을 할 수 있는 이 점이 있으며 실제로 본 발명 교류아크 용접기로 ASTM E8 서브사이즈 시험편 A-1∼A3와 비교를 목적으로 같은 방법의 시험편 B1-B3를 각기 제조하여 한국과학기술원 재료 시험실에서 인장속도 2mm/mn 표점거리 25mm의 조건하에 물리적시험을 행한 결과를 제2표에 종합기재한다.
제2표에 의하면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과 종래 용접기에 의한 용접강도가 거의 동일하나 연신율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용접재가 우수함을 알수 있다.
[제 2 표]
Figure kpo00005
또 본 발명 용접기는 역률이 90%이상으로 항상 할수있어 종래 교류아크 종접기에 있어서와 같이 별도의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또 3.5-5KVA정도의 소용량의 것은 수용전력이 작은 가내공업, 수리업등에서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교류아크 용접기에 있어서, 게이트신호용트랜스 T1의 일차측을 입력측에 쵸크코일 L1을 통하여 접속되고, 2차측 코일을 2중으로 하여 내측단자의 일단을 각각 다이오드 CR5, CR6을 통하여 사이리스터 SCR1, SCR2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또 용접기의 메인트랜스 MT의 일차측에 병열로 권선된 일차유도코일 N1, N2의 일단을 각각 전기 사이리스터 SCR1, SCR2의 아노드에 타단을 각각 다이오드 C1, C2를 통하여 교류입력측에 연결하고, 일차유도 코일 N1, N2에는 각각 콘덴서 C1, C2및 저항 R3, R4를 병렬 연결하여서 된 아크유도회로를 메인트랜스 MT에 병열로 연결하므로서 유도코일N1, N2에 번가라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메인트랜스 MT의 출력단에 인가함에 의하여 아크발생이 순조롭고 역률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 교류아크 용접기.
KR8203463A 1982-08-02 1982-08-02 교류아크 용접기 KR84000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463A KR840000813B1 (ko) 1982-08-02 1982-08-02 교류아크 용접기
JP58024906A JPS5924576A (ja) 1982-08-02 1983-02-18 ア−ク誘導回路を有する交流ア−ク溶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463A KR840000813B1 (ko) 1982-08-02 1982-08-02 교류아크 용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54A KR840001054A (ko) 1984-03-28
KR840000813B1 true KR840000813B1 (ko) 1984-06-15

Family

ID=1922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463A KR840000813B1 (ko) 1982-08-02 1982-08-02 교류아크 용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4576A (ko)
KR (1) KR840000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156A (en) * 1984-05-30 1987-03-17 Fuji Koki Manufacturing Co., Ltd. Sealed type motor-operated flow control valve
JP6078259B2 (ja) * 2012-08-09 2017-02-08 株式会社ダイヘン 交流パルスアーク溶接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5454A (ko) * 1972-02-18 1973-11-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24576A (ja) 1984-02-08
KR840001054A (ko) 198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61137B (sv) Svetsapparat med en stroemkaella innefattande vaexelriktarorgan
HU199324B (en) Device for breaking the arc discharge of spark machining equipments
CN1148861C (zh) 变换器电路
KR840000813B1 (ko) 교류아크 용접기
KR810001421B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EP0477587A1 (en) Power apparatus
US3473040A (en) Multi-purpose power supply apparatus for providing alternating or direct current
US4191993A (en) Inverter comprising at least two controllable load thyristors
JPS5858911B2 (ja) 高周波インバ−タ
US4196468A (en) Series-type independent inverter
SU14008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сварки
SU597995A1 (ru) Генератор дл возбужден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SU707745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дл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SU760335A1 (ru) }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в переменный 1
SU9440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тиристорным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м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281352A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й и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ов
JPH06237577A (ja) コンデンサ充電電源装置
KR890002952Y1 (ko) 점화장치
SU1107973A2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варочной дуги
SU788307A1 (ru) Автономный инвертор
SU636783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SU944851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дл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RU2074068C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электроискрового легирования металлов
KR800000194B1 (ko) 직류 용접기
SU1447590A1 (ru) Регул тор свароч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