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86Y1 -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 Google Patents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86Y1
KR840000786Y1 KR2019820008571U KR820008571U KR840000786Y1 KR 840000786 Y1 KR840000786 Y1 KR 840000786Y1 KR 2019820008571 U KR2019820008571 U KR 2019820008571U KR 820008571 U KR820008571 U KR 820008571U KR 840000786 Y1 KR840000786 Y1 KR 840000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combustion chamber
preheater
air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억중
Original Assignee
김억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억중 filed Critical 김억중
Priority to KR2019820008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8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liqu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소각로중 원형 소각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소각로중 사각형 소각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구 2 : 1차 연소실
3 : 버어너 4 : 2차 연소실
4', 5' : 로스톨 5 : 3차 연소실
6, 6' : 회출구 7 : 내화벽돌
8 : 기초콘크리트 9 : 공기주입관
10 : 압송관 11 : 다공판
12 : 통기도 13 : 연도
14, 15 : 예열기
본 고안은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분뇨오물같은 다습악취성 오물을 역연소 소각방식에 의해 고열을 지속유지시켜 폐기물과 함께 악취가스까지 완전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분뇨오물 소각기는 건조와 예비연소 및 연소과정에 있어서 분뇨오물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량을 집중 이용하도록 되어있지 않아서 소각기의 규모에 비해 처리량이 적고 시설비 빛 유지비가 높게 들뿐만 아니라 탈취시설을 필요로 하며 다량의 오물을 연속적으로 소각처리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직립역 연소방식으로 열손실을 줄이고 일반용광로와 같이 고열화하고,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기를 거쳐 분료오물과 고온으로 접촉시킨다. 1차 연소실 상부측방에 다공판을 설치하여 다습의 악취가스를 송출하여 연소시킨다. 또한 건조된 폐기물은 하방으로 낙하하여 버어너에 의해 1차, 2차 및 3차 연소실에서 연소시킨다. 연소시에 필요한 공기는 또한 예열기를 거쳐 고온화하여 공급되므로써 열손실을 극소화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량의 다습악취성 오물의 연속적인 연소를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1차 연소실(2)의 상부의 투입구(1)에 다습악취성 오물을 압송기관(10)을 통하여 송풍기(16)으로부터 예결기(14)에 의해 예열된 가열압력공기와 접촉시켜 건조시키며 1차 연소실(2)에 공급된다. 1차 연소실(2)의 상부에는 연도(13)로 통하는 다공판(11)과 통기도(12)를 설치하며 그 하부에는 버어너(3)을 설치한다. 버어너(3)에 의해 더욱 건조되고 연소되는 폐기물은 로스톨(2')를 통해 제 2 연소실(4)로 들어가 연소되며 위에서 발생된 습한가스는 다공판(11)과 통기도(12)를 통해 연도로 배출되어 연도의 고온에 의해 완전연소된 후 대기로 배출된다.
또한 1차 연소실(2)의 하단부를 적당히 경사지게 하여 내화벽돌(7)을 쌓아놓으므로써 폐기물이 일반적인 용광로처럼 중심부로 모여지도록 되어 2차 연소실(4)로 들어간다. 로스톨(2')와 로스톨(4')사이에 2차 연소실(4)를 형성하여 그 외단에 1차 연소실과 통하는 하향통기도(17)를 설치하여 1차 연소실의 기류를 원활히한다. 또한 공기주입관(9)가 그 중심부에 연장되어 예열기(15)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폐기물의 연소를 원활히 한다.
3차 연소실(5)는 또한 로스톨(4, 5')사이에 형성되고 연도와 하단이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 회출구(6)을 형성하였다. 또한 연도의 하단에 회출구(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직립역 연소방식과 함께 공급공기를 각 예열기(14, 15)를 통해 고온화시키므로써 열효율을 증가시키며 또한 폐기물을 로의 중심부에 집중 고열화시켜 완전연소가 가능한다. 이때 연도의 하부온도가 700℃ 내지 800℃ 가까이 되므로써 악성유기질 가스가 재차 연소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탈취장치나 집진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닥의 기초콘크리트부(8)에 집적되는 재는 외부로 수시로 끌어내면서 소각처리하면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적은 장소에서 용이하게 설치하여 보다 적은 연료사용으로 능률적으로 소각 가능하다.
제2도는 제1도의 상부를 일부 절개하고 원형의 소각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하향통기도(17)는 다만 도시하기 위해 제1도와는 다른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와 비슷한 평면도로 원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소각로를 형성하였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투입구(1)에 수송되는 오물은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고 또한 연도(13)안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연의 상부를 감싸는 격실을 통해 이송되도록 설치한다. 이때에는 오물의 함수율을 어느정도 감소시키고 그때 발생되는 수분을 함유한 악취기체를 다른 송풍장치에 의해 1차 연소실(2)안으로 흡입되어진다.

Claims (1)

  1. (정정)
    다수의 연소실을 형성하고, 로의 중심부에 공기주입관을 설치하여 예열기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주입하여 고온을 유지하면 완전 연소되도록 구성된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에 있어서, 역연소 소각구소로써 수직상방으로부터 1차 및 2차, 3차 연소실(2, 4, 5)을 형성하고, 예열기(14)를 통해 예열된 공기를 소각로 상방에 설치된 소각로 투입구(1)의 출구로 송출하고, 건조 및 연소를 원활히 하도록 1차 연소실(2)상부에 다공판(11)과 통기로(12)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하향통기관(17)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KR2019820008571U 1982-10-28 1982-10-28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KR840000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571U KR840000786Y1 (ko) 1982-10-28 1982-10-28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571U KR840000786Y1 (ko) 1982-10-28 1982-10-28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86Y1 true KR840000786Y1 (ko) 1984-05-15

Family

ID=1922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571U KR840000786Y1 (ko) 1982-10-28 1982-10-28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4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xygen lancing in a multiple hearth furnace
EP0124945A2 (en) Heat generator
JP2652717B2 (ja) 焼却炉
KR840000786Y1 (ko) 다습악취성 오물소각로
US4976209A (en) Furnace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KR0140806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JP4010773B2 (ja) 焼却炉
JPH0578727B2 (ko)
KR100231976B1 (ko) 폐기물의 건류 소각시스템이 구비된 연소장치
KR810002051B1 (ko) 분뇨 오물 소각장치
JP2643720B2 (ja) 煙道ガス中の放出汚染物質を減少する方法と装置
JP3019542U (ja) 焼却炉装置
CN106642142A (zh) 降低未燃烧物排放量的方法、装置及垃圾焚烧处理系统
JPS62200105A (ja) 焼却炉
KR200182382Y1 (ko) 장보충상식(長保衝上式)폐기물 완전 연소로 장치
GB1484188A (en) Sludge incinerating plant
KR0116867Y1 (ko) 다단계 분뇨 오물 소각기
US2070520A (en) Incinerator
GB2196099A (en) Furnace
KR930007576Y1 (ko) 향류형 로타리 킬른을 주체로한 쓰레기 소각장치
KR960009433Y1 (ko) 폐기물 소각기
CN2411423Y (zh) 一种两用烧化炉
JPS5823072Y2 (ja) 塵芥焼却炉
KR840000787Y1 (ko) 악취기체 소각로
JP2003286489A (ja) 炭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