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38Y1 - 화상 전자 현상기 - Google Patents

화상 전자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38Y1
KR840000638Y1 KR2019820003063U KR820003063U KR840000638Y1 KR 840000638 Y1 KR840000638 Y1 KR 840000638Y1 KR 2019820003063 U KR2019820003063 U KR 2019820003063U KR 820003063 U KR820003063 U KR 820003063U KR 840000638 Y1 KR840000638 Y1 KR 840000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latent image
charge
devel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262U (ko
Inventor
주찬희
Original Assignee
주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찬희 filed Critical 주찬희
Priority to KR2019820003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38Y1/ko
Publication of KR830004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variable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전자 현상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내부 구조도.
제3도는 로광과 전하와의 관계.
제4도는 화상과 정전잠상과의 관계.
제5도, 제6도, 제6a도, 제7도는 참고도면.
본 고안의 초상화상을 즉시로 현상하기 위하여 광학감광약품과 반도체의 정전잠상을 이용하여 초상화상을 현상하는 전자 현상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사진확대기(A)와 전자복사기(B)의 렌즈를 제거한 것을 연결한 복합기이다.
종래의 건식 복사기에서는 피사체에 반사광선을 투사시켜 복사하였는데, 점, 선, 면의 농담도, 즉 면의 보륨의 명암을 현상할 수 없었고 선으로만 표현되었었다.
사진술에 있어서 인화지에 화상을 현상할 때까지는 확대기의 조작과 감광약품 사용등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화가가 그리는 초상화는 정확한 화필의 기교가 숙련되어야 하고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고 즉석에서 초상화를 그리기에는 어려운 실정에 있다.
최근 콤퓨터로 초상화를 현상하는 기계가 선보이고 있지만 점, 선의 표현을 +로 표현되기 때문에 초상화로써 충분한 그림이라고 볼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을 사진확대기와 인화지 대신 복사기의 반도체 감광판에서 얻어지는 잠상정전을 이용하여 정확한 화상을 즉시로 현상할 수 있는 고안이다.
이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체화상을 촬영한 옴화필름을 양화필림(1)로 현상하고 필림삽입판(2)에 삽입하고 반도체감광판(3)에 렌즈(4)를 초점거리 위치에 놓고 반도체감광판(3)에 코로나 방전(제6-1도)을 하여 체전시키는데 이 과정은 현상될 때까지는 암상자속에서 빛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전압 100볼트에 60촉의 전구(5)로 4초간 로광하면 전구(5)→확대경(6)→양화필림(1)→렌즈(4)로 투사되어 반도체 감광판(3)에서 정전잠상(3')이 형성된다.
빛의 투사된 부분에서 전하는 발산되어 빛의 영향을 받지 않는 어두운 부분에서는 전하가 남게된다.
제3도에서 로광과 전하는 로광과잉에 관계하며 과다하게 발산되면 (b)의 잠상은 연한농도(b')로 로광부족(c)은 전하가 충분히 발산되지 않는 관계로 전하가 많이 잔류하게 되며, 진한농도(c')로 적정광량(a)은 잠상에 비례하여 전하(a')가 남게되어 잠상이 형성된다.
로광과 광사량은 전화와는 역수관계이고 전하는 잠상과 비례한다.
제5도에서 필림이나 화상면의 농담도의 보륨을 세분하면 점, 선, 면의 농담도 보륨으로 명암이 형성되어 있기에 적정로광과 전하, 전하와 잠상, 화상과 정전잠상은 화상의 보륨의 명암에 비례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에 반대전하를 지닌 수지색소 미분말로 현상하는데 제5도에서와 같이 정전잠상에 흑색 또는 단색수지 미분말 토너(a)를 접촉시키면 반도체 감광판(3)에 전하의 다소 유무에 관계하여 수지미분말이 흡착되는데, 이는 +, -전자가 전기흡착에 의하여 상의 농담도에 비례하여 상이 형성된다.
제6도는 전사과정인데 종이나 화포(6-2)를 현상된 농담도의 상위에 놓고 직류전원으로 체전시킨 후 반도체 감광판(3)에서 종이나 화포를 놓으면 현상된 수지분말미분말이 종이나 화포에 흡착된다.
이것을 제7도에서와 같이 벤졸액을 뿌린 헝겊(7-1)을 약 2.5cm 공간 간격 아래에 수초 놓으면 수지분말의 상은 완전히 융화되어 종이나 화포에 정착되어 현상된다.

Claims (1)

  1. 전구(5)와 확대경(6) 및 양화필림(1)을 삽입시키는 삽입판(2)으로 된 사진확대기(A)와 반도체 감광판(3)에 정전잠상(3')을 잔류하게하는 건식복사기(B) 사이에 초점거리 조정용렌즈(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자현상기.
KR2019820003063U 1982-04-20 1982-04-20 화상 전자 현상기 KR840000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063U KR840000638Y1 (ko) 1982-04-20 1982-04-20 화상 전자 현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063U KR840000638Y1 (ko) 1982-04-20 1982-04-20 화상 전자 현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262U KR830004262U (ko) 1983-12-30
KR840000638Y1 true KR840000638Y1 (ko) 1984-04-18

Family

ID=1922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063U KR840000638Y1 (ko) 1982-04-20 1982-04-20 화상 전자 현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262U (ko) 198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6858A (en) Electrostatic copying process with charging of the original
US3799666A (en) Apparatus for forming white frame in electrophotography
KR840000638Y1 (ko) 화상 전자 현상기
US3615392A (en)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of originals containing both multicolor and line areas
JPS5583070A (en) Non-impact print method
JPS5950067B2 (ja) 電子複写機における画像濃度制御装置
JPS60181773A (ja) 画像形成装置
SU859995A1 (ru) Способ микрофильмировани слабоконтрастных оригиналов
JPS5691248A (en) Picture forming apparatus
JPS55135860A (en) Selfmaster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its apparatus
JPS5860755A (ja) 電子写真方法
JPH06110284A (ja) 電子写真装置
JPH0354541A (ja) 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ー
JPS5476163A (en) Image forming device
JPS54133138A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S60169649U (ja) 静電画像形成装置
JPS5459150A (en) Dichromatic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54143139A (en) Copying method for dichroic zerography
JPS55124157A (en) Electrostatic copying method
JPS5476162A (en) Image forming device
JPS6123138A (ja) 複写機における原稿とじ部の焦点修正装置
JPS60117274A (ja) トナ−像転写型ハ−ドコピ−装置
JPS5931070B2 (ja) 電子写真法
JPS60184271A (ja) 電子写真装置
JPS5838969A (ja) 電子写真複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