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49Y1 -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 Google Patents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49Y1
KR840000549Y1 KR2019820004409U KR820004409U KR840000549Y1 KR 840000549 Y1 KR840000549 Y1 KR 840000549Y1 KR 2019820004409 U KR2019820004409 U KR 2019820004409U KR 820004409 U KR820004409 U KR 820004409U KR 840000549 Y1 KR840000549 Y1 KR 840000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laten
shaft
lever
pr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349U (ko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2019820004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49Y1/ko
Publication of KR84000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02Type-lever actuating mechanisms
    • B41J7/24Construction of type-levers

Landscapes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한타 전환 레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한타 전환 레버를 당겨 세트된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한타 전환 레버를 당겨 세트될 때 영문 상승스톱퍼가 동시 회동하여 비켜진 상태도.
제7(a)도는 본 고안에 따라 영문 소문자를 타자하는 프라텐의 제1단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7(b)도는 본 고안에 따라 시프트 키판을 눌러 영문 대문자를 타자하는 프라텐의 제2단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8(a)도는 한글을 타자하는 프라텐의 제3단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8(b)도는 한글을 타자하는 프라텐의 제4단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R : 요홈 15 : 기판
16, 17 : 아암 16P : 돌기체
17S : 스톱퍼 18 : 한타전환레버
21 : 지지부재 21' : 손잡이부재
22 : 축 23 : 작동편
23a : 걸림턱 23b : 돌출핀
24 : 축 25 : 스프링
S : 간격
본 고안은 프라텐 회동식(式)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변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라텐 회동식 한영타자기는 활자면에 한글, 숫자, 영문 대문자를 3단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프라텐 3단 위치 변위장치로서는 영문소문자가 결여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영문타자기의 기능이 완벽하지 못했더 것이다.
본 고안은 프라텐 회동식 한영타자기에 있어서 종래 결여되었던 영문 소문자를 활자면의 하단에 배치하여문 4자를 4단으로 배열하고 활자면의 4단 문자 위치에 알맞게 프라텐을 4단으로 승강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글타자 및 완벽한 영문 타자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문 타자에 필요한 영문 대, 소문자의 프라텐 1단 및 2단위치와 한글 타자에 3단 및 4단 위치를 자유롯게 변위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영타의 프라텐 제2단 위치에서 한타의 프라텐 3단 위치로의 전환은, 프레임상에 붙어 있는 기판상에 회동 반경이 다른 2개의 아암을 슬라이드로 작동되게 설치하여 회동반경이 큰 아암상에 형성한 출력돌기체에 의해 회동 반경이 작은 영문상승 스톱퍼아암을 회동시켜 이루어지는 동시에 한타 전환 레버를 2개의 부재 즉, 하부 지지부재와 상부 손잡이부재로 하여 연결하되 지지부재에서 상단 손잡이부재가 약간 유동되게 설치하고 걸걸림턱을 상부에 형성하고 그 일단에 돌출핀을 고착한 작동편을 지지부재의 내측벽에유설하여 한타로 전환할때 이 괘지핀이 프레임측벽 상단의 슬라이드부를 타고 내려와이 괘지된 상부를 탄압하는 스프링에 의해 돌출핀에 들어맞는 요홈에 걸리도록함으로써 한타의 프라텐 제3단 위치가 확고히 세트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한타 전환 레버의 동작에 따라 캐리지 베이스와 그 주변에 장설되는 간단한 장치에 의해 프라텐의 4단위치 변위를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한타 전환의 프라텐 제3단 위치를 확고히 하는 한타 레버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라텐(13)을 설치하고 있는 캐리지(1)을 이동시킬 수 있게 지지하고 있는 캐리지 베이스(2)의 양단을 축(3)으로 프레임(4)의 측벽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캐리지 베이스(2) 저면에 3개의 절곡된 지지편(5), (6), (7)을 형성한 판을 착설하고 판의 후단에는 일체로 영타 및 한타의 프라텐 제2단과 제4단 위치로 세트시킬 수 있도록 돌편(8)을 하향 절곡시켜 견인간(10)을 이에 연결하고 견인간(10)의 타단은 회동 레버(9)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회동레버(9)의 입력단과 시프트키판(11)의 레버(11ℓ)사이는 연결간(12)으로 걸어져 있다. 조절나사가 고정된 지지편(5)은 영타의 프라텐 제1단 위치를 세트하도록 제1(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톱퍼(14s)에 의해 프라텐 제1단 위치를 세트한다. 한편 프레임(4) 저면에 붙여 있는 기판(15) 상에는 회동 반경의 차이가 있는 2개의 아암(16), (17)을 슬라이드로 작동되게 설치하되 회동반경이 큰 아암(16)의 입력단에 한타전환 레버(18)에 일단이 연결된 견인간(19)을 연결하고, 이 아암(16)상에 출력돌기체(16p)를 형성하여 상기 아암(16)과 인접되게 설치한 회동반경이 작은 아암(17)의 입력부(17i)를 아암(16)의 출력 돌기체(16p) 하측면에 맞닿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이 회동반경이 작은 아암(17)의 일단을 절곡 입설하여 프라텐 제2단 위치로 세트되게 하는 지지편(6)의 제2단 스톱퍼(17s)는 구성되고, 이 아암(17)을 스프링(20)으로 탄압되게 설치함으로 돌기체(16p)와 아암(17)의 입력부(17i)는 서로 항시 맞닿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지지편(7)에 고정된 조절나사의 밀단은 프라텐 제1단 위치에 세프된 상태하에서 아암(16)의 돌기체(16p)의 상측면에 거의 맞닿을 정도로 근접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또한 제3도~제5도에 나타낸 한타 전환레버(18)의 구조를 설명한면 하부의 지지부재(21)는 프레임(4) 측벽에 그 하단이 회동 자유롭게 축에 의해지지 되게 하고 수평으로 절곡된 손잡이 부재(21')의 하단 축부와 지지부재(21)의 상단 축부를 대접시켜축(22)으로 설치할때 지지부재(21)의 상단부와 손잡이부재(21')의 수평 절곡된 저부 사이에 좁은 간격(S)을 형성하여 손잡이부재(21')가 지지부재(21)의 이동과는 관계 없이 먼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선에서 가상선으로 재껴지게하는 한편 걸림턱(23a)이 형성된 작동편(23)을 지지부재(21)에 축(24)으로 유설하고 작동편(23)타단 축부에 돌출핀(23b)을 고정하여 한타로의 전환시 이돌출핀(23b)이 프레임(4)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부(4d)를 타고내려오면서 프레임(4)의 내측벽에 고정된 스프링(25)으로 그 상부가 눌리어 요홈(4 R)으로 들어가 걸리게 된다(프라텐 제3단 위치의 세트) 한편 기판(15)의 일단을 절곡입설시켜 견인간(19)에 고정된지지체(19 B)가 한타 전환 레버(18)에 의해 당겨질 때, 프라텐 제3단 위치로 세트되게 지지체(19 B)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26 S)를 형성하고 있다.
미 설명부호 27 S는 프라텐 제4단 위치의 스톱퍼, 28은 타이프 바아, 19C는 틀림 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라텐 4단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제7(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라텐 캐리지 베이스(2) 저면에 붙어 있는 지지편(5)의 조절나사가 스톱퍼(4 S)에 지지될 때, 다이트바아(28)의 활자면 최하단부의 영문 소문자가 타자되는 프라텐 제1단 위치가 세트된다.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키판(11)(제1도 참조)을 누르면 레버(11ℓ), 연결간(12), 회동레버(9), 견인간(10) 등에 의해 돌편(8)이 축(3)을 지점으로 프라텐 캐리지 베이스(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이 캐리지 베이스의 지지편(6)이 아암(17)의 스토퍼(17 S)에 맞닿아 정지될 때, 활자면의 영문 대문자를 타자할 수 있는 프라텐 제2단위치가세트 된다. 타자가 끝나는 즉시눌러져 있던 시프트키판(11)을 놓으면 축(3)을 지점으로 하여 편중된 프라텐 캐리지 베이스(2)는 자중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복귀되어 프라텐 제1단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상은 영타시의 프라텐 변위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음은 한타도 전환시의 프라텐 제3단 및 제4단 변위에 대해 설명한다. 한타 전환 레버(18)의 손잡이를 제3도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고정하면 견인간(19)에 의해 아암(16)은 제2도의 실선위치로회동되면서 아암(16)의 출력 돌기체(16 P)는 이곳 에대접설치된 아암(17)의 입력부(17i)를 밀어 캐리지 베이스(2)의 지지편(6)을 통과시키도록 아암(17)의 스톱퍼(17 S)를 비켜서게 한다(제2도, 제6도 참조).
동시에 상기한 아암(16)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역시지지체(16 P)의 상측면에 거의 맞닿아 있던 지지편(7)의 조절나사가 밀리어 프라텐은 제8(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타의 제3단 위치로 변위되고 이 때에 프라텐의 편중력은 지지편(7)의 조절나사를 통해 아암(16)의 돌기체(16P)에 작용하면서 견인간(19)의 지지체(19B)가 스톱퍼(25 S)에 의해 당김이 정지될 때 한타의 프라텐 제3단 위치에 세트된다. 한타의 프라텐 제4단 위치는 영타의 프라텐 제2단에 위치시키는 방식과 같은 시프트키판(11)을 누르면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테(16 P)로 부터 지지편(7)의 조절나사가 떨어져 제1단에 사용한 지지편(5)이 회동방향에 설치된 스톱퍼(27 S)(제8(b)도에 도시함)에 맞닿게 되므로 세트된다. 한편 한타의 프라텐 제3단 위치의 지속적인 세트는 일단 지지체(19 B)를 스톱퍼(26 S)에 걸어세트하는 동시에 견인간(19)으로 형성된 틀림스프링(19 C)을 한타 전환 레버(18)에 의해 탄성적으로 당길때에 이루어진다.
이하는 한영타의 제1단과 제3단을 세트하는 한타 전환 레버(18)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동편(23)은 축(24)에 의해 지지부재(2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이 작동편의 돌출핀(23b)이 스프링(25)에 의해 탄압 상태로 슬라이드부(4d)를 타고 내려와 요홈(4R)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지지부재(21)의 돌출핀(23b)은 지지부재(21)에 받고 있는 탄성력을 축(24)을 통해 이어 받아 스프링(25)의 탄압력으로 확고하게 걸어지게 되어 한타의 제3단 위치에 프라텐(13)은 세트된다.
영타로 전환할 경우에는 한타 전환 레버(18)의 손잡이를 전방으로 밀어내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1)의 상단과 손잡이부재(21')의 수평절곡된 저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S) 때문에 실선에서 가상선까지손잡이부재(21')가 축(22)의 지접으로하여 회동되면서 작동편(23)의 걸림턱(23a)을 밀어축(24)에 지지된 작동편(23)의 괘지핀(23b)을 요홈(4 R)에서 상방으로 탈리시킴으로써 프라텐캐리지베이스 편중력에 대항하던 한타전환 레버(18)는 해제되어아암(16), (17)의 원상위치로의 복귀와 동시에 한타의 프라텐 제3단 위치에서 영타의 프라텐 제1단위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프라텐 제2단의 스톱퍼(17 S)를 회동시켜 비켜지게 구성함으로써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까지 변위시킬 수 있고 본 고안의 한타 전환 레버(18)를 개량한 구조로 한타의 제3단 위치를 확고히 세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영문타자기의 미비점을 해결하는 동시 기능상에 있어서 완벽한 한영타자기를 제공한다.

Claims (1)

  1. 기판(15)에 회동반경이 다른 주동아암(16)과 종동아암(17)을 서로 인접되게 설치하여 회동 반경이 큰 주종아암(16)에는 출력돌기체(16P)를 형성하고 종동아암(17)에는 프라텐 제2단 위치 스톱퍼(17 S)를 형성하여 주동아암(16)이 종동아암(17)을 회동시키는 한편 한타 전환 레버(18)를 지지부재(21)와 손잡이 부재(21')로 구성하되 손잡이부재(21')의 수평 절곡부의 저부와 지지부재(21)의 상단 사이에 간격(S)을 형성하여 축(22)으로 대접 설치하고, 걸림턱(23a)을 형성한 작동편(23)에 돌출핀(23b)을 횡설하여 축(24)으로 지지부재(21)의 상부에 연결하며 돌출핀(23b) 상부를 스프링(25)으로 탄압하여 요홈(4 R)에서 자유롭게 걸고 벗어질 수 있게된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KR2019820004409U 1982-06-05 1982-06-05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KR840000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409U KR840000549Y1 (ko) 1982-06-05 1982-06-05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409U KR840000549Y1 (ko) 1982-06-05 1982-06-05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49U KR840000349U (ko) 1984-02-24
KR840000549Y1 true KR840000549Y1 (ko) 1984-04-04

Family

ID=1922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409U KR840000549Y1 (ko) 1982-06-05 1982-06-05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49U (ko) 198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6407A (en) Adjustable wrist support
US3633724A (en) Electric typewriter key and keyboard arrangement
US5673040A (e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US7828489B1 (en) Keyboard with a pair of pivotable keying modules
US20060000695A1 (en) Key switch
CN102300716A (zh) 印章及用于自行上墨印章之印台
KR840000549Y1 (ko)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US5342018A (en) Single-handle faucet
US3620344A (en) Selection system for a dual-element typewriter
KR890000373Y1 (ko) 한, 영 겸용타자기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KR860000452Y1 (ko) 플래튼 시프트식 타자기의 자동 시프트 록(lock) 및 해정(解錠) 장치
US4141658A (en) Attachment for remote control of a keyboard
CN111520003A (zh) 一种门锁的童锁开关结构及其门锁、门和反锁方法
KR830002885Y1 (ko) 한영 타자기의 에스케이프먼트(escapement) 구동장치
KR890007954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장치
KR85000203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KR890000881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 장치
CN212478854U (zh) 一种门锁的童锁开关结构、及其门锁与门
KR840000548Y1 (ko) 한영타자기의 세그먼트 4단 변위장치
KR860000021Y1 (ko)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KR890001263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KR870000856Y1 (ko) 수동타자기의 타자시 2단 시프트라크의 선택적 해제장치
KR790001238Y1 (ko) 볼(ball) 타자기의 동, 부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